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터넷 트래픽 분석을 위한 페이로드 시그니쳐 기반 분류방법에 관한 연구

        윤효진 (Hyojin Yoon ),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D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인터넷 트래픽 분석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다량으로 발생되는 인터넷 트래픽을 응용 프로그램별로 분류할 수 있다면 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트래픽을 분류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며 효율적인 기술들이 수없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인터넷을 이용하는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은 고품격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시켜 가고 있다. 예를 들면 P2P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의 경우 사용자 컴퓨터에 존재하는 방어벽을 우회하기 위해 복잡한 암호화를 추가시키는 등 점점 더 복잡해져가고 있으며 이를 분류 및 파악하기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그니쳐 기반 분류 기법을 제안하는 방법들을 소개하며 각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결과를 통한 그 타당성을 증명한다.

      • KCI등재

        초등저학년 읽기부진아동의 구문지식 및 구문인식능력

        윤효진(Yoon, Hyo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본 연구는 초등저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구문능력 특성을 구문지식과 구문인식능력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읽기능력과 구문능력이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1-3학년의 읽기부진아동 36명, 일반아동 36명으로 총 72명이 참여하였다. 읽기부진아동은 한국어읽기검사 결과 낱말해독과 읽기이해검사의 합산점수인 읽기지수 I에서 표준점수가 90점 이하인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집단간 구문과제 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읽기능력과 구문능력과의 관계를 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부진아동집단은 일반아동집단보다 구문과제 모두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구문 인식과제에서 더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지 않아 읽기부진아동이 구문과제 유형에 따라 수행력에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부진아동과 일반아동 모두에서 읽기능력과 구문능력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초등저학년 읽기부진아동은 또래 일반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구문능력을 보이며, 이러한 낮은 구문능력이 읽기어려움에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후 읽기부진집단을 낱말해독부진아동, 읽기이해부진아동의 개별적인 집단으로 하여 구문특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yntactic knowledge and syntactic awareness for early school-aged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y and whether syntactic ability and reading skill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participants were 36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y and 36 their grade-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are grades 1 to 3.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y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in both syntactic knowledge and syntactic awareness task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s well there was not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syntactic tasks. There were all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wo groups, except between decoding and syntactic knowledge for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or syntactic ability may impede the reading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y. Further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explore syntactic skills for children with decoding problems and children with specific reading comprehension problems separately.

      • SCOPUS

        The Effect of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on Reading Comprehension in Grade 1–4

        Hyojin Yoon(윤효진),Soyeong Pae(배소영),Bhu Ja Chung(정부자)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1-4학년의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어휘지식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어휘지식의 양적 측면은 수용어휘, 깊이적 측면은 어휘관계와 정의하기를 측정하여 각 어휘지식이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방법: 초등 1-2학년 43명과 초등 3-4학년 51명으로 총 9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아동의 비구어성 지능지수는 70점 이상이었다. 읽기이해검사 형식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이 달라진다는 선행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문답형식과 빈칸 채우기 형식의 두 읽기이해검사를 실시하여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은 수용어휘, 어휘관계, 정의하기의 세 가지 어휘지식으로 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1-2학년에서는 두 읽기이해검사 모두에서 정의하기와 어휘관계가 설명력이 있는 어휘지식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3-4학년에서는 짧은 지문을 읽은 후 대답하는 문답형식의 읽기이해검사에서는 정의하기가, 빈칸 채우기 형식의 읽기이해검사에서는 정의하기와 수용어휘가 설명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전반적으로 두 집단 모두에서 정의하기, 어휘관계와 같은 어휘지식의 깊이 측면이 읽기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지식의 깊이가 깊을수록 텍스트 내의 개별어휘를 활발하게 활성화하여 효과적인 읽기이해를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in reading comprehension.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which vocabulary knowledge (including receptive vocabulary, word associations and definitions) would influence on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Forty-three children in grades 1-2 and 51 children in grades 3-4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children obtained 70 or higher on the nonverbal intelligence test. All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two reading comprehension tasks, and three vocabulary tests including receptive vocabulary, word associations, and word definitions. Because different reading comprehension formats would have different components affecting the contribu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an open-ended question format and cloze task format were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vocabulary knowledge explained the two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Results: In grades 1 and 2, word association and definition accounted for the unique variances in each reading comprehension task. In grades 3 and 4, definition explained the variance in each comprehension task. Receptive vocabulary accounted for additional variance only on cloze-format reading comprehens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ed vocabulary knowledge would be an important key for text comprehension. Specifically, depth of vocabulary is more important for reading comprehension than depth breadth of vocabulary.

      • KCI등재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혁신 지원제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효진(Hyojin Yoon),홍아름(Ahreum Hong),정성도(Sungdo Jung) 한국혁신학회 2018 한국혁신학회지 Vol.13 No.2

        세계 주요국은 세계경제포럼(2016)에서 발표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커다란 산업 패러다임 하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신기술개발과 기업의 파급력 향상을 위한 국가와 기업 간 협력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의 경우, 경제 성장률은 갈수록 둔화 되고 기업 간의 격차가 커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 되고 있다. 지속적인 경기전망지수 하락으로 인해 중소기업은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역량을 키우는 것 보다 원가절감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혁신 지원제도 활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우리 중소기업이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의 여러 역량 중 집중적으로 활용해야할 역량과 정부가 보완해야할 지원제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 역량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전반적으로 정(+)의 영향을 보였고, 기업의 기술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적 성과, 지식역량성과 및 기술개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기술혁신 지원제도 또한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전반적으로 정(+)의 영향을 보였다. 특히 자금지원과 세제지원, 판로지원은 중소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지원 확대가 필요하고, 인력지원, 정보지원은 제도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기업은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역량을 강화하고 더불어 기술혁신지원 제도를 활용해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는 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기업이 원가절감에 치중하기보다 기술개발과 혁신창출이 가능하도록 장려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부진한 제도(인력지원, 정보지원 분야)는 개선하여, 기술력 있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소기업을 적극 지원하도록 제안해야 한다. World leading countries are trying to cooperate with their business enterprises to raise enterprises’ new technology development ability and their impact und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leased at World Economic Forum (2016). Although Korea has been tried to cop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both inside and outside. An economic growth is slowing down and gap between large and small-/medium-sized companies is deeping. Due to the business survey index drop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has been focused on the cost reduction rather than R&D and improvement of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look at more efficient items by verifying the effect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R&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support system on business result. Also, this study attempts to assist government support plan and policy for maximizing the company result by identifying which government system effectively affects on the performance of compan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usiness R&D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give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result, especially the technical innovation capabilities such as company’s technology index and the variation of company’s technology index compared to 3 years ago have stronger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the support system of technology innovation also has positive effects. In particular, the supports of funds, tax and markets are able to improve the outcome so they need to be expanded. Pl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upports of human resource and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more efficient to maximize the performance by strengthening R&D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rather than focusing on cost reduction. The government should effectively support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nd improve system to support technically strong and highly growth potential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When the government and the enterprise cooperate closely, it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economic recession and grow into a nation and a corporation wh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읽기 유창성 중재 효과

        윤효진(Yoon, Hyojin),신가영(Shin, Gayoung),배소영(Pae, Soyeong) 한국음성학회 2014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6 No.4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ading intervention to enhance reading fluency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participants were 20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ho are in grades 1 to 3. To qualify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all children had to score below 30 % ile on the Receptive vocabulary Test of the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Test or the Word reading fluency of the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n=10) or control (n=10)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th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program using the guided repeated reading and the corrective feedback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performed better on reading fluenc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fter participating in the intervention program. Specifically, guided repeated reading with corrective feedback strategies produced significant improvement on generalization to unpracticed passages as well as practiced pass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uided repeated reading with corrective feedback is effective for enhancing reading fluency for children in Korea. Further study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language-specific reading intervention.

      • KCI등재

        도로안내표지의 안내지명 체계에 관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윤효진(Yoon Hyojin),박미소(Park Miso)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2D

        최근 도시지역의 확산과 교통망의 발달로 도로안내표지의 효율적 정보제공이 요구되고 있으며, 안내체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안내지명의 선정원칙과 안내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의 도로표지 안내정보의 실태를 파악하여 적절한 정보들을 제공되고 있는지 또한 제공된 정보들은 체계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도로이용자가 찾고자하는 한 지점을 중심으로 도로표지판의 안내정보의 적절성과 연계성 및 출현빈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원시청을 최종목적지로 하여 주변도시 접경부 의왕시, 안산시, 화성시, 오산시, 용인시 등지 에서 수원시청까지 5개의 간선도로에 설치된 도로표지판 중 방향예고표지와 방향표지, 시설안내표지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도로표지규정의 안내지명선정 원칙에 의한 랜드마크나 1등급으로 분류되는 지명들은 상대적으로 찾기가 다소 용이하나, 그 외의 이용자가 원하는 지명을 알아내는데 상당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안내지병만으로 현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제시된 안내지명이 직진방향에서 만날 수 있는 지명뿐 아니라 좌회전 혹은 우회전을 해야만 만날 수 있는 지명일 경우 방향을 알 수가 없어 비효율적인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게다가 선정된 안내지명마저도 출현빈도의 적정성에 문제가 있고, 표지간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도로이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이용 상의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로표지의 체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needs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road signs for expanding cities and traffic networks. Improving efficiency of direction guidance information from road signs not only requires criteria for but also systematic approach to selecting place names that appear on road sings. As such, this paper looks at road direction information from existing road signs that leads to Suwon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current system of road sings provides efficient, systematic and continuous direction information for road users to easily reach their destination. In this paper, Suwon's city hall is set up as the final destination, which is linked from five other cities, Euiwang, Ansan, Hwaseong, Osan and Yongin. The paper attempt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continuity and suitable number of road signs for direc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road signs between these 5 cities and Suwon with respect to direction, direction advance notice and direction guidance. It is found that road users cannot easily find the needed information on their destination from the existing road signs and that continuity of selected place names that systematically appear on road signs is insufficiency. That is to say, the findings of the paper are that while it is easy for road users to find place names that are classified under land marks or the first-class selection of place names on road signs, it is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from road signs on place names that are grouped under the second or third class. In addition, direction guidance on road signs is problematic, because the appearance frequency of road signs is not adequate and the continuity of road signs is not effective. Moreover,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local direction guidance for immediate destinations on road signs with respect to turning left or right or going straight. Hence road signs in urban area need systematic improvement to find easily some destination.

      • KCI등재

        초등 1학년 어휘발달지연아동과 일반아동의 단어읽기,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능력 특성

        윤효진(Yoon, Hyo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읽기발달의 초기 단계인 초등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어휘능력을 근거로 하여 어휘발달지연아동과 일반아동을 선정하고, 두 집단의 읽기능력을 비교함으로써 읽기에 대한 어휘능력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등 1학년 말의 시기에 200명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수용어휘검사와 단어읽기, 문단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용표현어휘력검사의 수용어휘검사에서 백분위 20이하인 아동을 어휘발달지연아동으로, 백분위 20초과인 아동을 일반아동으로 선정하여 읽기능력을 비교하였으며, 각 집단 내에서 어휘와 읽기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어휘발달지연아동은 단어읽기, 문단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검사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어읽기의 의미단어, 무의미단어, 자소-음소 일치 단어와 불일치 단어 모두에서도 낮은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와 읽기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휘발달지연아동에서는 어휘와 읽기이해만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일반아동에서는 어휘와 단어읽기, 읽기유창성, 그리고 읽기이해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 1학년 시기의 어휘지식의 제한은 읽기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읽기 발달의 초기에는 어휘지식이 읽기발달의 토대이자 촉진하는 요인이기 때문에 초등 저학령기에 제한된 어휘지식을 가진 아동에게 어휘와 읽기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word rea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whether vocabulary skills were correlated with reading skills in first graders with and without vocabulary delay.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should obtained at or below the 20th percentile on the receptive vocabulary test of the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Test(Kim, 2009).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to evaluate word rea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indicated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scored significantly lower on word rea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ask when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at is more,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in word identification, word attack, grapheme-phoneme correspondent words, and grapheme phoneme non-correspondent words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re was a on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for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while fo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re were all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vocabulary and three reading skill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lack of vocabulary knowledge would negatively influence on overall reading ability, and it appears to be cause of later reading problems. Vocabulary knowledge influence reading skills, and children acquirevocabulary knowledge through reading activities. This result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focusing on vocabulary and reading should be implemented for children who have lack of vocabulary knowledge.

      • KCI등재

        Contributions of Related Variables to Reading Comprehension in School-Age Children: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Bhu Ja Chung(정부자),Hyojin Yoon(윤효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3

        배경 및 목적: 종단연구방식은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이나 국내에서 읽기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최근 연구들은 형태인식과 읽기유창성의 영향력에 주목하고 있기에 본 연구는 저학년 시기의 단어재인, 어휘, 읽기유창성 그리고 형태인식이 중학년 시기의 읽기이해를 얼마나 예측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남아 14명, 여아 18명 총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가지 형식의 읽기이해와 예측변인에 관한 검사를 저학년 시기에 일차로 진행하였고, 2년 후 아동들이 중학년에 진입한 시점에 동일한 검사를 한 번 더 진행하였다. 변인 간의 상관계수 분석과 두 준거변인에 대한 예측변인의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중학년 시기의 문답 및 빈칸채우기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가장 주요한 변인은 저학년 시기의 각 형식에 따른 읽기이해였다. 다음으로 주요한 예측변인은 중학년의 문답식 읽기이해에는 저학년 시기의 형태인식, 중학년의 빈칸채우기식 읽기이해에는 저학년 시기의 단어재인과 어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횡단적으로 저학년과 중학년 집단 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 시기에는 단어재인과 형태인식이 문답식 읽기이해에 대한 주요 설명변인이었으며, 그 외에는 읽기유창성이 동일 학년의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주요하고 고유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는 다양한 구인들이 포함되는 복잡한 인지적 과정이므로, 읽기이해검사의 형식에 따라 예측변인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동일 학년집단 내에서는 읽기유창성이 읽기이해를 강하게 설명하였는데 이는 효율적인 읽기유창성 기술이 글의 의미를 파악할 인지적 자원을 보유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라고 해석되었다. Objectives: Reading comprehension is a complex cognitive process consisting of various constructs. This 2-year longitudinal study explores the predictor variables on reading comprehension. Specifically, as criterion variables, two widely use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in open-ended format and cloze task format, were used to figure out different patterns of relations. Methods: Thirty-tw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ollowed from early grades (1st and 2nd grades) to intermediate grades (3rd and 4th grades) completed measures of two formats of reading comprehension, word recognition, vocabulary, reading fluency, and morphological awareness. Correlations analyse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ndertake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early grade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same variables in the intermediate grades. Additionally, morphological awareness in the early grades accounted for unique variance in later open-ended reading comprehension. Word recognition and vocabulary in the early grades predicted later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in cloze task format. The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significant variance in reading comprehension during the same periods but not across the period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suggested the contributions of morph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fluency to reading comprehension.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reading fluency might be a distinct variable along with word recognition and vocabulary.

      • KCI등재

        비교/대조와 원인/결과를 중심으로 본 초등 2, 4, 6학년 일반아동의 설명담화 요약하기 능력

        김보림(Bo Rim Kim),윤효진(Hyoji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2, 4, 6학년을 대상으로 설명담화 요약하기 능력을 설명담화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로 살펴보고자 하였 다. 설명담화는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비교/대조와 원인/결과의 두 구조를 사용하였다. 방법: 초등 2, 4, 6학년 학생이 학년당 15명씩 참여하여 총 4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비구어성지능검사에서 80점 이상, 수용표현어휘력검사에서 -1 표준편차 이상, 한국어읽기검사의 읽기유창성 검사에서 표준점수 90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이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글을 읽은 후 연구자가 제시한 도식을 채우고, 도식을 이용하여 구어로 요약하도록 요구하였다. 도식과 구어로 요약한 발화를 분석하였으며, 거시구조인 조직화, 응집성, 미시구조인 언어적 표지로서 NDW, MLC-w, MNC로 나누어 채점하였다. 각 설명담화 구조별로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각 학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모두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요약하기 조직성, 응집성의 총 점수, 그리고 하위 세부 지표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적 지표인 NDW, MLC-w, MNC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특히, 응집성은 총 점수와 세부 지표 모두 모든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학년이 올라갈수록 설명담화를 요약할 때 정보를 적절하게 통합하고, 설명담화의 구조에 맞게 조직화하여 중심내용과 뒷받침하는 내용을 다양한 어휘와 복잡한 구문구조로 산출할 수 있었다. 교과과정에서 설명담화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기 때문에 학령기 언어평가와 중재에서도 설명담화 요약하기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bility of expository summarization for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r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in two expository discourse types (i.e., compare-contrast and cause-effect structure). Methods: A total of 45 students from three grade groups participated. All participants had no problems in intelligence, language, and reading. After participants read two expository discourses, they were asked to fill in the graphic organizers, and to summarize the texts verbally using graphic organizers. Analyses of oral summaries included overall organization, with coherence as macrostructure and language markers as microstructure.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ade groups in each expository discourse, a one-way ANOVA was us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summarizing two expository discourses, showing that organization, coherence, and language markers significantly increased as students got older. In particular, all three groups were different with each other in regards to coheren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as students got older, their summarizing skills developed. That is, students have the ability to be aware of text structure, integrate the incoming information with one’s background knowledge, identify main ideas and supporting ideas, and produce sophisticated vocabularies and complex syntactic structures. Summarizing expository discourse would be one effective way to evaluate and intervene with school-aged children because it provides knowledge of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in expository discourses.

      • KCI등재

        네트워크 스토리지에서 비대칭키 방식의 시 분할 권한 관리 (ATPM)

        김은미(Eun Mi Kim),윤효진(HyoJin Yoon),천정희(Jung Hee Cheon) 한국정보보호학회 2005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15 No.3

        현재까지 네트워크 스토리지의 안전성은 스토리지 서버의 접근 제어에 의해 보장되어 왔으나 스토리지를 신뢰할 수 없다면 이 방법만으로는 자료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안전성을 위해 자료의 암호화가 필수적이나 복호화 방법과 권한 관리 등 효율성 및 실용성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시간에 따라 효율적으로 스토리지의 자료를 암호화 및 복호화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권한을 관리하는 세 가지 방식으로 제시한다. 첫 번째 방식은 같은 시점에서 reader와 writer가 동일한 권한을 가질 경우 사용하는 스킴으로 트리 구조 일방향 함수에 기반을 둔 효율적인 시 분할 권한 관리 (TPM)이다. 두 번째는 공개 정보로부터 누구나 자료를 암호화하여 스토리지 상에 저장할 수 있고 특정 사용자만이 암호화된 자료를 복호화해서 read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비대칭키 방식의 시 분할 권한 관리 (ATPM)이다. 마지막으로 ATPM에서 시간에 따라 효율적으로 writer의 권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권한 관리 방식은 모두 사용자의 가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TPM과 ATPM의 경우 back-issue 구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We consider a network storage model whose administrator can not be fully trusted. In this model, we assume that all data stored are encrypted for data confidentiality and one owner distributes the decryption key for each time period to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 three privilege management schemes. In the first scheme, called Temporal Privilege Management (TPM), we use a symmetric encryption based on one-way function chains for key encapsulation. In the second scheme, called Asymmetric Temporal Privilege Management (ATPM), anyone can encrypt the data using the public key of owner, but only privileged users can decrypt the encrypted data. Finally, we present a scheme to restrict writers' privilege using ID-based signatures in ATPM. In our schemes, the privilege managements are based on the time and the addition of users is efficient. Specially, applying TPM and ATPM, we can solve the back-issue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