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교원양성기관 평가인증제 비교 연구

        金寶林(Kim, Bo-Rim) 한국일본문화학회 2015 日本文化學報 Vol.0 No.64

        This article aimed to overview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ystem and reveal the differences of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 pre-teachers with an environment to improve the specialization as a teac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敎職大學院) which is founded recently in Japan has two functions for training teacher and making teacher. It is similar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se schools in Korea and Japan, two countries received the evaluation from the third-party and announce the result. Teacher Education Evaluation Center of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KEDI) Korea takes a role of the evaluation fo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Korea. The Institute for th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 mainly works for the evalu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Japan. In the case of Japan, the day for the evaluation is decided not by the Institute for th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 but the graduate school. Each evaluation index in Japan is mainly a qualitative assessment rather than quantitative assessment.

      • KCI등재

        비교/대조와 원인/결과를 중심으로 본 초등 2, 4, 6학년 일반아동의 설명담화 요약하기 능력

        김보림(Bo Rim Kim),윤효진(Hyoji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2, 4, 6학년을 대상으로 설명담화 요약하기 능력을 설명담화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로 살펴보고자 하였 다. 설명담화는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비교/대조와 원인/결과의 두 구조를 사용하였다. 방법: 초등 2, 4, 6학년 학생이 학년당 15명씩 참여하여 총 4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비구어성지능검사에서 80점 이상, 수용표현어휘력검사에서 -1 표준편차 이상, 한국어읽기검사의 읽기유창성 검사에서 표준점수 90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이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글을 읽은 후 연구자가 제시한 도식을 채우고, 도식을 이용하여 구어로 요약하도록 요구하였다. 도식과 구어로 요약한 발화를 분석하였으며, 거시구조인 조직화, 응집성, 미시구조인 언어적 표지로서 NDW, MLC-w, MNC로 나누어 채점하였다. 각 설명담화 구조별로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각 학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모두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요약하기 조직성, 응집성의 총 점수, 그리고 하위 세부 지표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적 지표인 NDW, MLC-w, MNC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특히, 응집성은 총 점수와 세부 지표 모두 모든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학년이 올라갈수록 설명담화를 요약할 때 정보를 적절하게 통합하고, 설명담화의 구조에 맞게 조직화하여 중심내용과 뒷받침하는 내용을 다양한 어휘와 복잡한 구문구조로 산출할 수 있었다. 교과과정에서 설명담화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기 때문에 학령기 언어평가와 중재에서도 설명담화 요약하기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bility of expository summarization for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r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in two expository discourse types (i.e., compare-contrast and cause-effect structure). Methods: A total of 45 students from three grade groups participated. All participants had no problems in intelligence, language, and reading. After participants read two expository discourses, they were asked to fill in the graphic organizers, and to summarize the texts verbally using graphic organizers. Analyses of oral summaries included overall organization, with coherence as macrostructure and language markers as microstructure.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ade groups in each expository discourse, a one-way ANOVA was us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summarizing two expository discourses, showing that organization, coherence, and language markers significantly increased as students got older. In particular, all three groups were different with each other in regards to coheren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as students got older, their summarizing skills developed. That is, students have the ability to be aware of text structure, integrate the incoming information with one’s background knowledge, identify main ideas and supporting ideas, and produce sophisticated vocabularies and complex syntactic structures. Summarizing expository discourse would be one effective way to evaluate and intervene with school-aged children because it provides knowledge of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in expository discourses.

      • KCI등재후보

        지역의 "도움을 받는" 학교에서 "도움을 주는" 학교로: 문부과학성의 "커뮤니티 스쿨" 논의와 사례를 중심으로

        김보림 ( Bo-rim Kim ) 현대일본학회 2016 日本硏究論叢 Vol.43 No.-

        최근 일본에서는 빈부격차의 심화와 핵가족화와 같은 사회문제에 따른 ``등교거부``, 집단 따돌림``등 ``교육의 황페화``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문부과학성은 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가정, 학교에만 교육의 책임을 묻지 않고, 그 지역과 연계한 학교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커뮤니티 스쿨`` 제도가 학교 현장에 적극 도입되였다. 커뮤니티 스쿨의 기능은 크게 세 가지로서 학교목표에 대한 승인, 학교운영에 대한 의견 제출, 교직원의 임명에 대한 의견 제출 등이다. 커뮤니티 스쿨은 기존의 지역 연계 프로그램인 학교지원지역본부, 방과 후 학교 등과 달리 보다 더 지역적이고 통합적이다. 비록 커뮤니티 스쿨은 ``교사들의 업무 부담``등과 같은 부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지역에 지원을 ``받는`` 입장보다 지역을 지원할 수 있는`` 입장을 지향하기 때문에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 ‘The devastation of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social problems such as ``aging society`` and ``favor of the nuclear family``, is recognized recently as an important issue in Japan. Accordingly, the school as related to community recently is emphasized. As a result, ``Community School(CS)`` was started to be introduced in Japan. After school community was fragmented as a legislation in 2004, it has been highlighted until recently with the enlargement of the organization in Japan. Community School has the different system, ``School Management Committee`` from the Local headquarters of the school support, After School Program etc. It is more aggressive and integral system to their community. Even though there are negative effects such as ``promotion about Community School is scarce``, ``teachers`` fears that there is more work to back up the Community School`` etc, there are more positive effects yet. Community School``s object is to ``support`` their community than to ``be supported`` by them.

      • KCI등재

        기독교 세계관에서 본 한국의 역사교육

        김보림 ( Bo Rim Kim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3

        역사교육 현장에서는 가독교 역사교사가 성경적 가치관에 도전받는 경우가 많다. 기독교 세계관은 성경에 근거하여 상경이 하나님의 창조와 인간의 타락과 구원을 기록하고 있다고 본다. 역사적으로 볼 때 가독교 세계관은 창조, 타락, 구속이라는 구조 위에서 발전되어 왔다. 2011년도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돠는 모든 중고등학교의 역사 교과사들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진화론만 언급하고 있을 뿐, 창조론에 대해 사술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류의 기원에 대한 년도도 교과서별로 300만년. 400만년. 500만년 등으로 일정치 않게 서술되어 있어 최초의 인류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인식론적으로 어디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학생들은 이해할 수 없다. 칼빈의 무오 성경에 입각한 교육론은 역사교육의 방면에서도 그 목적과 내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학문과 신앙의 이원론이 팽배한 현대 공교육에서 역사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이론과 방법을 제시한다. There are many cases that christian history teacher have some troubles to teach creationism of the bible in his/her history class in reality. Christian world-view is based on the bible which is written about the Creation of God, Human being`s degradation, Salv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the history textbooks which are used in Korea recently, these textbooks describe not Creationism but only Evolutionism. The descriptions of the Human being`s origin in those textbooks are ambiguous and changeable because evolutionism is based on only discovery of fossils. Therefore students cannot understand where they came from with epistemolog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Moreover, the descriptions of the Australopithecus who is known as the first human being are not in agreement on the year of the appearance: 3 million years ago, 4 million years ago, S million years ago. Calvin`s educational theory can come up with many alternatives about the goal, content, educational method concerning history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

      • KCI등재

        최근 일본대학입학시험의 한국사 관련 문항 고찰

        김보림 ( Bo-rim Kim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8 일본공간 Vol.24 No.-

        아베 정권이 들어선 이후 일본은 고등학교와 대학 교육의 접속이 중요하다는 ‘고대접속개혁’실시와 이 ‘접속’을 위한 새로운 대학입시제도를 구상하고 있다. 본고는 새로운 시험체제 속에서 지금까지 한일관계의 지평을 여는 보다 질 좋은 한국사 관련 문항들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하고자 일본의 최근 3개년간 (2016~2018) 대학입시센터의 대학입학시험(센터시험)에서 한국사 관련 문항을 분석해 보았다. 2005년 센터시험의 세계사A와 세계사B 과목에서는 한국사 관련 문항이 하나도 제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1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센터시험을 분석한 결과 한국사 관련 문항들의 양과 질은 많은 변화를 보였다. 문항수의 확대 및 독립된 한국사 문항의 등장이나 답지에 옳은 답으로서 비중있게 한국사 관련사실을 다루는 등 질적인 면에서도 나아지고 있다. 내용적인 면에서도 통사적으로 한국사 자체 내용이 출제가 되고 있는 것도 특징적이다. 그러나 근현대사에서 식민지 통치의 억압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단순 사실을 나열하는 형식의 문제 출제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Since the arrival of the Abe regime, Japan has envisioned a new university entrance system for high school linked University(高大接續改革). In order to emphasize the need to develop better Korean history questions that open up the horizon of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the new examination system, I would like to analize the questions related to Korean history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during the recent three years of Japan(2016~2018). No Korean history related items were submitted in the subject of World History A in the 2005 University Enterance Examination of Japan(‘Center Test’) by National Center for University Enterance Examinations. However, after analyzing the Center Test at the present time more than 10 years ago, the quantity and quality of Korean history related items have changed a lot. Especially, The subject of World History A have more than 30% of East Asian contents. It is also improving in terms of qualitative aspects such as expanding of items such as dealing with Korean history related matters as the right answer and the independent Korean history items. However,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t is not possible to present the repressive nature of colonial rule.

      • KCI등재후보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을 통한 사료비교학습

        김보림(Bo-rim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1 No.-

        최근 역사교육에서는 사료를 활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역사가의 탐구과정을 익히고 역사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사료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고에서 사료학습의 한 모형으로서 개발한 사료비교학습은 단일한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등에 대해 서로 다른 평가나 해석을 하고 있는 두 개 이상의 사료를 비교함으로써 사료가 작성된 역사적 배경상황을 이해하고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은 이러한 점에서 붕당의 출현과 전개과정을 파악하는 사료비교학습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북인 정권하에 편찬된 『선조실록』은 서인에 대해 공정한 평가로 서술할 수 없었으며, 인조반정 이후 서인이 집권한 상황에서 『선조실록』의 수정은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선조수정실록』에서는 서인에 대한 입장을 보완하고 수정하는 편찬 노선을 밟았다. 본시학습의 전개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사료를 비판, 해석하게 하여 두 사료의 비교를 통한 붕당 정치의 실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comparing historical materials. This model helps students to learn the process as historians use when they study history. This model for comparing historical materials which this study developed as one of the teaching models is to compare with the historical facts or events in the different materials which was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In addition, it is possible we use the different materials which the historians have different ideas about the same facts or events it was not shown at the same period. Students in the class are able to learn the background of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understand more deeply. This paper could be a good example because it propose two different materials which was made at the different period. The main faction was different politically when the two materials was published each. The appearance of ‘Bungdang’ is at the early Seonjo period. After the West had the power in politics, they insist this Sil-Lok had to be revised. As a result, the revised version was completed to publish soon. This version said that the West is very successful in history. With that, teachers make the learners understand the criticism of historical materials, the methods of analyze historical materials in advance before they start the class. The students can understand ‘Bungdang’ politics more concretely through this class comparing between Seonjo veritable records(Seonjo Sil-Lok) and the revised version(Seonjo Sujung Sil-Lok) This processing is from recognizing the issues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교원채용시험 제도 비교

        김보림(Kim, Bo-R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2

        본 연구는 최근 한국, 특히 서울 지역의‘공립학교 교원채용 후보자선고시험’과 일본, 특히 도쿄도(東京都)의 ‘공립학교 교원채용 후보자 선고시험(公立校員採用候補者選考試)’에서 역사교사 선발에 대한 시험 제도를 비교함으로써 21세기 우리의 교육을 선도해 나갈 교사 채용 과정의 현 시점을 진단하고 다음과 같은 특징과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일본은 우리와 달리 문제출제, 채용인원수 공고, 교원임명 등에 대한 모든 교원임용정책을 맡는 부서가 일 원화되어 있다. 둘째, 일본의 경우 교사 수급에 대해 예측하여 일정한 경쟁률을 매해 나타내고 있다. 셋째, 일본의 경우 한국과 비교하여 역사 교사에 대한 자질이 역사 전공에 대한 지식보다 채용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공문제에 있어서는 한국과 달리 역사교과교육학의 문제가 없고, 지리와 역사의 공통문제가 있는 것이 도쿄도 역사교사 ‘채용선고’의 특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ome points as belows which we can learn by comparing with Korea and Japan in terms of the teacher examination for the secondary public school. To clarify this, this article reviewed the questions of the examination for 2011 in Seoul and Tokyo concretely. First, there is one system that only one department(敎育委員會) takes charge of making questions, announcement for the number of employment, appointment etc. Second, there is a regular rate of competition in Japan in recent 3 years comparing to Korea. Third, comparing to Korea, teacher qualification is much more important in the test of japan than knowledge of history The last, there are no questions about history education knowledge in Tokyo examination comparing to Seoul. Also it is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s that there are questions in terms of geology in Tokyo test for history teacher..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향상을 위한 액션러닝 방법 중심의 수업시연 모형 개발 및 적용

        김보림(Bo-Rim Kim),전홍주(Hong-Ju 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향상을 위하여 액션러닝 방법 중심의 수업시연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경기도 소재 Y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예비 수업시연 모형, 1차 수업시연모형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수업시연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시연 모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김연수(2017)가 개발한 유아교사용 수업역량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가지는 수업시연 모형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기 위하여 면담, 동영상, 수업시연 과정 산출물 등의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과 액션러닝을 중심으로 한 수업시연 모형은 ‘놀이 관찰하기 - 놀이 의미 읽기 - 다양한 놀이 지원 도출하기 - 우선순위 결정하기 - 수업계획안 작성하기 - 현직교사 참여 및 수업시연 발표하기 - 평가하기’의 7 단계로 구성된다. 모형 효과 분석 결과, 본 수업시연 모형 적용 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중 하위 요소인 내적 동기, 수업 개선 노력, 지식, 수업 목표, 수업 설계, 교수법, 학습 분위기 조성, 영유아 평가 요소는 수업시연 모형 적용 전과 후에 평균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본 수업시연 모형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 분석 결과 본 수업시연 모형은 ‘수업에 대한 기초 지식 구성하기’, ‘현장성 있는 수업기술 익히기’, ‘예비유아교사로서의 방향성 탐색하기’의 세 가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액션러닝 방법을 중심으로 한 본 수업시연 모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하며 나아가 예비 유아교사의 수업 역량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on a simulated instruction model based on action learning methods for the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Methods We developed a final class demonstration model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preliminary demonstration model and the first demonstration model for 75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t Y College in Gyeonggi-do.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demonstration model,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class competency evalua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by Kim Yeon-soo (2017). And to analyze the meaning that impact on pre-service teachers, we got materials of report of self-examination, examination report, study report, current teacher interview, study participants’ interview. Results Action learning is constructed. The demonstration model centered on action learning is constructed of seven steps: Observing play - reading play meanings - deriving various play support - determining priorities - writing class plans - presenting incumbent teachers participation and class demonstrations - evaluating. As a result of model effect analysis, inner motivation, effort of improving class, knowledge, planning the class, classing, teaching method among capability of pre young children teacher were positive impact on atmosphere of study. There was better impact especially inner motivation, effort of improving class, Knowledge and capability.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this demonstration model to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demonstration model has three meanings: “constructing basic knowledge about classes,” “learning practical teaching skills,” and “searching for directions as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 Conclusions This was able to conclude that it has positive impact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through simulated instruction model based on action learning by the evidence of study result. This has meaning as method study to improve teaching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

      • KCI등재

        최근 한국과 일본의 대학입학시험 비교 연구

        김보림(Kim, Bo Rim) 동아시아일본학회 2014 일본문화연구 Vol.0 No.52

        This study compares the Japanes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the National Center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s (Center Test) with South Korea"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n particular, the recent issues of the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have provoked interest in reviewing the historical portions of the university exams. The CSAT is method for judging Korean university applicants. In contrast, the Center Test of Japan evaluates “learning achievement.” Each Japanese national university uses its own academic test in addition to the Center Test to choose applicants for admission. The reason is that they feel that World History Course B is too difficult. The situation in Korea is almost the same. Finally, the comparison also shows that there are more questions about various regions of the world, such as Africa and West Asia, on the Center Test than on the CSAT.

      • KCI등재

        메이지(明治) 초기 서양인이 본 일본

        김보림 ( Bo Rim Kim ) 현대일본학회 2013 日本硏究論叢 Vol.37 No.-

        일본은 1853년 미국과의 미일화친조약 이후 에도막부에서 행해 온 오랜 쇄국을 벗어 나 서양의 각국에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다. 쇄국기에 일본을 방문한 서양인들은 주로 나가사키(長崎)를 중심으로 한 네덜란드 상인과 의사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문호 개방이후 일본을 찾은 서양인들은 세계 각국에서 모여들었고 직업군인, 외교관 기자, 탐험가, 작가 등 다양한 직업군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메이지 초기 일본을 찾은 서양인들이 오리엔탈리즘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이들 중 일본에 대한 기록을 남긴 12인의 기록물을 분석하여 당시 일본의 기술력, 위생상태, 근면성과 정직성, 여성, 문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서양인의 일본 인식은 일본의 기술력, 특히 세공기술과 위생 상태에 대해서는 높은 평가를 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일본 농민의 근면성 역시 동양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인들의 정직성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비판을 하고 있다. 이들은 일본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서는 다른 동양의 국가들과 달리 높은 대우를 받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한편, 이들에게 있어 일본의 문화는 서양에 비해‘미개``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Japan opened the door to foreign countries of Western breaking bound of a national long-isolation policy by Edo bakufu after treaty of peace and Amity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Empire of Japan in 1853.People visting in national isolation were most of merchants and doctors of Netherlands coming centered Nagasaki. However after open-the door, Westerners who came to Japan were from foreign countries in the world and those were in diverse occupational cluster such as professional army, diplomats, journalists exporers, writers and etc, It was not easy for Westemers who came to Japan in the early of Meiji to escape from Orientalism, In this article it is examined to focus on the awareness of the technology of Japan, sanitary condition, diligence and probity, women and culture by analyzing the records 12people left about Japan among Westerners. In general, it is showed that they have a high opinion of technology of Japan, in particular, the craftsmanship and sanitary conditions. Moreover, diligence of farmers in Japan is the most excellent in the Orient. However, they criticize sharply as to probity of Japanese. They determine that unlike other orient countries a social position of women in Japan is hospitably treated. Otherwise, it is evaluated of them that the culture of Japan is uncivilized comparing to West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