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배소영(Soyeong Pae),김미배(Mib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2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초등 저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기반 읽기능력을비다문화가정 아동의 수행력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발달을 살피고, 언어읽기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어머니로 둔 초등 1-3학년에 재학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34명과 학년과 지역이 일치하는 비다문화가정 아동 34명의 언어기반 읽기능력을 비교하였다. 읽기의 경우 낱말재인력과 덩이글이해력을 측정하였고, 관련언어요소로서 덩이말이해력과 음운인식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다문화가정아동은 비다문화가정아동처럼 1학년에서부터 3학년으로 갈수록 언어와 읽기능력이 발달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아동의 낱말재인과 덩이글이해력은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고, 언어능력인 덩이말이해 면에서도 비다문화가정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다. 한편 음운인식력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은 읽기와 언어가 발달하고 있지만, 읽기와 언어에 대한 선별평가 및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텍스트를중심으로 한 말과 글에 대한 평가가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Reading is an important area of language use in school activities.study aimed to compare reading and related languag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MC) with those of non-multicultural backgrounds (NMC) and to discus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oles for multicultural children. Method: Thirty-four school-aged children (mean age of 8 years old) with MC and 34 NMC pe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Readingabilities were measured on word recognition and text comprehension while reading-related language abilities were tapped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text and phonological awareness. Results: Both MC children and NMC children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reading and language as their grade level increased. However, children with MC showed lower abilities in word recognition, text comprehens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compared to children with NMC.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C children and NMC children in the area of phonological awareness. Discussion and Conclusion: School-aged Korean children with MC appeared to develop their reading and related language abilities, although their overall performance of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lagged behind their NMC pee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need to screen and assess NMC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s well as language abilities.

      • KCI등재
      • M-B CDI - Korean 축약판 개발

        배소영(Soyeong Pae),곽금주(Keumjoo Kwak),김미배(Mibae Kim),이현숙(Hyunsuk Lee),정경희(Kyunghee Jung) 한국음성학회 2008 음성과학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short form versions of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 Korean and to discuss clinical implications. Two short versions were developed: one for 9∼17 month-olds(including 69 words and 17 object manipulation skills) and the other for 18∼35 month-olds (including 128 words and 5 grammatical items). Short versions seemed to be representative of full versions and showed developmental validity. Short versions showed concomitant validity with SELSI which is a standardized test for Korean children under 37 month-olds. Norm tables for words and criteria for object manipulation and grammaticality are also provided. M-B CDI-K short versions could be used as a preliminary screening tool to identify Korean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Cautions using short versions of M-B CDI-K are discussed.

      • KCI등재

        학령기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이야기 평가

        배소영(Soyeong Pae),서경희(KyeongHee Seoh),정현경(Hyun-Kyung Ch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이야기 분석은 학령기 언어장애 아동에게 매우 유용한 평가방법이다. 학령기청각장애 아동들에 대한 연구는 어휘, 문법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졌으나 담화수준에서의연구가 부족하다. 이 연구는 학령기 인공와우이식아동과 생활연령일치 건청아동의 이야기산출 자료를 비교대조하여 인공와우이식아동의 담화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방법: 연구의 대상은 15명의 학령기 인공와우이식아동과 15명의 일반아동이었다. 개구리 이야기를 자발적으로 산출하도록 유도하여 그 결과를 이야기 관련요소, 의미 및 문법지표 면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인공와우이식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변인들은 다음과 같다; 내용어로 본 서로 다른 낱말유형수(Number of Different Words: NDW),총사용낱말수(Number of Total Words: NTW), 평균종결단위길이(Mean Length ofTerminable units in words: MLTw), 총이야기문법수. 그런데 종결단위당 문법형태소 사용력(Mean Length of Terminable units in grammatical morphemes: MLTgm)과 종결단위당 평균종속절수(Mean number of Dependent Clauses per Terminable Unit: MDCTU)의 경우, 청각장애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하위 이야기문법유형에서는 청각장애아동이 내적반응을 유의미하게 더 많이 사용한 데 반해, 일반아동은배경을 유의미하게 더 많이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언어적 결속표지의 경우 청각장애 아동이 적절하게 쓰는 횟수는 더 낮고,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횟수는 더 높았다. 특히 연결어미사용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논의 및 결론: 학령기 인공와우이식아동은 자발적인 이야기산출시 전체적 의미와 총이야기문법수 면에서 또래아동과 유사한 반면, 문법형태소 사용과언어적결속표지 사용면에서 제약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평가와 중재가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말지각 및 말명료도와 인공와우이식시기, 이야기 이해력을 고려한 후 속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 Objectives: Narrative assessment provides clinically important information on language abilitie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narrative-related a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mean implant age = 6 years old) with that of typically developing (TD) peers. Methods: Fifteen school-aged children (mean age of 9 years) with cochlear implantation (CI)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15 age-matched TD hearing children. Each child spontaneously narrated a frog story to the examiner, and the narrative was assessed in the areas of story grammars and cohesive devices. Language criteria, such as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Number of Total Words (NTW), Mean Length of Terminable units in words (MLTw), Mean Length of Terminable units in grammatical morphemes (MLTgm), and the Mean number of Dependent Clauses per Terminable Unit (MDCTU) were compared, as well. Results: First, children with CI showed similar abilities in the total number of story grammars, event initiation, trial, and results. However, children with CI used internal responses more often than TD children, while TD children used backgrounds more often than children with CI. Second, children with CI revealed restrictive abilities in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story production, especially in the connective markers involving predicates.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easures of NDW, NTW, or MLTw. In contrast, children with CI showed lower scores on the MLTgm and MDCTU than their TD peers. Discussion & Conclusion: Korean school-aged children with CI are able to use story grammar with semantic information and syntactic length similarly to their peers. However, children with CI need to develop cohesive devices and grammatical morphemes more efficiently in narrative discourse.

      • KCI등재

        초등 1, 2학년 난독 고위험군 아동에 대한 개별화된 파닉스프로그램 중재효과

        원효은(Won, Hyoeun),설아영(Seol Ah-young),장우정(Jang, Woojeong),이정민(Lee, Joungmin),배소영(Pae, So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난독 고위험군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개별화된 파닉스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한 뒤, 단어유형과 음절내위치에 따라 단어 읽기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 비언어 지능검사 2판(박혜원, 2014)에서 지능지수 평균 96.69(표준편차 13.10)이고, 한국어 읽기검사(배소영 외, 2015)의 읽기지수1(해독+읽기이해)에서 평균 63.42(표준편차 11.92)이며,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한글 교육을 6개월 이상 받았고, 다른 발달장애가 없는 아동이었다. 중재는 사전평가에서 보인 대상자의 단어 읽기 특성을 심층분석하고, 개별적인 목표를 정해 1대 1 대면으로 20회기(1회기 40분, 주 2회) 제공되었다. 연구결과 중재 후에 단어 읽기 능력에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의미단어보다 무의미단어에서 더 큰 수행력 향상을 보여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파닉스 중재가 친숙하지 않거나 의미를 알지 못하는 단어를 읽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음절내위치 중에서 종성에 대해 더 큰 수행력 향상을 보여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개별적인 맞춤형 파닉스 중재가 어려움을 보이는 특정 음절내위치의 자소 읽기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대상자의 향상된 단어 읽기 수준이 여전히 또래에 비해 낮은 수행력을 보이므로, 장기간의 중재를 통해 글자와 소리가 불일치하는 단어 읽기에도 파닉스가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통제집단을 포함한 파닉스 중재효과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vention effect of Korean individualized phonics program for 26 1st and 2nd graders at risk of dyslexia considering meaning availability and letter location within a syllable. The subjects performed very low ability in the reading index 1 of the standardized test of KORLA(Pae et al., 2015) and the average standard score was 63.42(SD 11.92) while they were intelligent as in the standard score of 96.69 (SD 13.10) on average in K-CTONI-2 (Park, 2014). , 63.42 (SD 11.92) on average in the KOLRA (Pae et al., 2015). All the children had reading and writing experience more than six months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had no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provided individualized 20 sessions of Korean phonics for 40 minutes twice a week.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ability to decoding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greater improvements in nonsense-words compared to meaning words reflecting word attack abilities in reading. Phonics intervention seemed to help children read unfamiliar or unknown words. As for letter location within a syllable, greater improvement was found for the syllable-final letters compared to syllable-initial consonant letters and syllable-medial vowel letters. Althoug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word reading, many children did not achieve the peer level of reading. Further studies are in need to provide longer sessions of intervention as well as including randomized control trials.

      • KCI등재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or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n Analogous to Korean Classroom Setting

        진연선(Yeon Sun Jin),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3

        배경 및 목적: 사회적 의사소통은 구어적ㆍ비구어적 행동 수단을 사용하여 사회적 맥락에서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의사소통은 맥락에 따라 다양한 변이성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정상발달 아동을 대상으로 교실 환경과 유사한 구조화된 환경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단순언어장애, 일반아동 집단 각 15명씩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아동은 교실 환경을 구조화한 상황에서 의사소통 행동을 유도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살펴보았다. 종속측정치는 총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 사회적 의사소통 수단은 구어적ㆍ비구어적 수단의 빈도, 사회적 의사소통 기능은 개시하기ㆍ반응하기 빈도,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유형별(친화적, 소극적, 이탈적, 독단적) 개시하기ㆍ반응하기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기능자폐장애 집단은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보다 비구어적 수단 빈도가 더 적었다. 또한 고기능자폐장애 집단은 이탈적ㆍ독단적으로 개시하기와 반응하기를 사용하였다.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과 유사하게 개시하기와 반응하기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몇몇 단순언어장애는 일반아동 집단보다 소극적으로 반응하는 형태를 사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령기 고기능자폐장애 집단과 단순언어장애 집단을 대상으로 교실환경을 반영한 구조화된 상황 내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특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일대일 상호작용 상황이 아닌 두 명 이상의 파트너와 함께 하는 상황에서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더불어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을 만났을 때 평가 및 중재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Objectives: Social communica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comprise ongoing verbal and/or nonverbal behavior during interactive social context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HFA) to those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ypical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Forty-five children with HFA, SLI, and TD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task that was similar classroom setting in order to elicit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total frequency of social communication, the frequency of verbal/nonverbal behavior, and the frequency of initiation/response as assessed across four types of social interaction types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social communication abilities of three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mount of social communication among the HFA, SLI, and TD groups. Children with HFA used nonverbal behavior less frequently than did SLI or TD children. HFA children responded and initiated more irrelevantly and assertively. The SLI children in this study showed similar pattern to the TD children in initiation and response behaviors although some SLI children used passive responses more frequently compared to those with TD. Conclusion: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seemed to be validly elicited in a structured task representing a classroom setting. It thus seems to be of considerable importance to tap into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s that involve more than two partners. The findings of this paper implicitly suppor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ructured group tasks in addition to assessment and/or intervention designed to improv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 SCOPUS

        초등 1-2학년 난독, 언어부진난독, 언어부진, 일반 아동의 쓰기 특성과 판별분석

        장우정(Woojeong Jang),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1

        배경 및 목적: 읽기능력과 언어능력을 고려한 4집단의 쓰기능력과 쓰기 관련 요인인 베껴쓰기, 실행기능(문법능력, 문장구성능력, 계획능력), 작업기억 특성을 비교대조하고, 집단 특성을 판별할 수 있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 1-2학년 난독 학생, 언어부진난독 학생, 언어부진 학생, 일반 학생 각 14명씩을 대상으로 하였다. 베껴쓰기, 단어쓰기, 문장쓰기, 짧은 글쓰기의 4가지 과제와 4가지의 쓰기 관련 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첫째, 단어쓰기와 문장쓰기에서 읽기 어려움을 보이는 두 집단, 언어부진, 일반 아동 수준으로 수행력이 다른 세 집단이 관찰되었다. 베껴쓰기와 짧은 글쓰기에서는 읽기어려움을 보이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두 집단이 관찰되었다. 둘째, 쓰기 관련 요인에서 작업기억을 제외한 3개의 요인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법능력과 문장구성능력에서는 세 그룹으로 ‘언어부진난독, 언어부진<난독<일반’, 계획능력에서는 ‘언어부진난독<난독, 언어부진<일반’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을 가장 잘 판별해주는 요인은 단어쓰기, 문법능력, 문장구성능력, 문장쓰기로 나타났으며, 94.6%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읽기와 언어를 고려하여 집단의 특성을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 저학년의 쓰기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어쓰기 뿐만 아니라 문장쓰기도 중요하며, 문법 및 문법처리가 쓰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학습부진 학생의 읽기, 언어, 쓰기 능력을 고려한 개별화된 평가 및 중재가 필요함을 지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writing ability and writing related variables such as executive functioning (syntactic ability, sentence construction, planning ability) and working memory. Additionally,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variables that can discriminate between the four groups. Methods: Fourteen 1st to 2nd graders in each group (dyslexia (DY), dyslexia with language difficulty (LRD), language difficulty without dyslexia (LD), and typical development (TD)) participated in four writing tasks and four writing related tasks. Results: First, there were three performance groups in word writing and sentence writing (TD > LD > DY = LRD), while there were two different groups were observed in short text writing and handwriting (TD = LD > DY = LRD). Secondly, there were three performance groups in syntactic skills and sentence construction (TD> DY> LD= LRD) and in planning skills (TD> DY= LD> LRD), while there were two performance groups in copying (TD= LD> DY= LRD). Thirdly,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a 94.6% hit ratio; and word writing, syntactic ability, sentence construction, and sentence writing were good discriminators for the four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including four groups of children considering language and decoding abilities. For 1st to 2nd graders, sentence writing and word writ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considering executive functions seem to play the key role for each student’s school adaptation with language and/or reading difficulties.

      • KCI등재

        초등 1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낱말 해독,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자소 지식

        양유나(Yang, Yuna),배소영(Pae, Soyeong) 한국음성학회 2018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0 No.2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word decoding skills, phonological awareness (PA), rapid automatized naming (RAN) skills, and letter knowledge of first grader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D) and those who were typically developing (TD). Eighteen children with DD and eighteen TD children, matched by nonverbal intelligence and discourse abil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Word decoding of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Pae et al., 2015) was conducted.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wor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whether the word has meaning, whether the syllable has a final consonant, and the position of the grapheme in the syllable. Letter knowledge asked about the names and sounds of 12 consonants and 6 vowels. The children’s PA of word, syllable, body-coda, and phoneme blending was tested. Object and letter RAN was measured in seconds. The decoding difficulty of non-words was more noticeable in the DD group than in the TD one. The TD children read the syllable initial and syllable final position with 99% correctness. Children with DD read with 80% and 82% correctnes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D group had more difficulty in decoding words with two patchims when compared with the TD one. The DD group read only 57% of words with two patchims correctly, while the TD one read 91% correc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coda PA, phoneme level PA, letter RAN, object RAN, and letter-sound knowledg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confirms the existence of Korean developmental dyslexics, and the urgent need for the inclusion of a Korean-specific phonics approach in the education system.

      • KCI등재

        철자 쓰기 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철자 쓰기 발달 특성

        신가영(Ga-Young Shin),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읽기이해에서 어려움이 없으나, 철자 쓰기에서 저성취에 있는 철자 쓰기 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3중 단어 구성론을 고려하여 철자 쓰기 능력이 초등 저, 중, 고로 가면서 어떻게 발달하는지 비교, 대조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 아동 각 20명씩 60명과 학년이 일치하는 일반 아동 60명으로 총 120명이 받아쓰기를 통해 작성한 38어절, 254개 자소를 분석하였다. 음운 지식, 형태 지식, 철자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어절을 포함하였다. 결과: 첫째, 일반 아동은 자소-음소 1:1 일치 자소, 문법형태소 자소 쓰기에서 저학년시기부터 철자 완성 단계에 해당하였다. 반면 철자 부진 아동은 고학년 시기에서야 해당 유형의 철자 쓰기가 완성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자소-음소 1:1 불일치 자소는 일반 아동도 고학년에 이르러서야 완성되었고, 철자 부진 아동은 완성 단계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특히, 초등 중학년의 경우 가장 큰 격차를 보여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철자 부진 아동의 철자 쓰기 지도는 저학년 시기부터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자소-음소 일치 여부 및 문법형태소를 고려한 지도 계획이 중요함을 시사해준다. 저학년에는 자소-음소 일치 어절을 중심으로 하며, 중학년부터 고학년까지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자소-음소 불일치 어절을 중심으로 지도가 필요하다. Objectives: Korean children’s spelling development with and without spelling difficulties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reflecting grade groups and triple word form theory including phonological, morpho-semantic, and orthographic knowledge. Methods: One hundred and twenty children; forty in each grade group, and twenty in each spelling group, participated in a dictation task with 3 to 4 eojeol sentence writing task. Eojeol is each word that constitutes a sentence. Two hundred and fifty-four graphemes from thirty-eight eojeols were elicited and analyzed considering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and grammatical morphemes. Results: First, normally developing low grade children have reached the near mastery level for writing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PGC) graphemes and graphemes from grammatical morphemes. In contrast;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reached the mastery level in the upper grades. Second, normally developing upper grade children mastered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PGNC) graphemes while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did not reach at mastery level even by the upper grades. Middle grade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were far behind the normal children for PGNC graphemes. Conclusion: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seemed to be in urgent need of intervention for help with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and grammatical morphemes. Focus needs to be placed on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eojeols need for lower grade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while phonological rules including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t eojeols need systematic intervention for middle to upper grade children with spelling difficul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