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라북도 자연환경조사 (동물자원)

        임동옥,윤홍균,최대훈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전라북도 에서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등 자연환경여건을 조사 분석 하여 전라북도의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함에 있어서 동물 자원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성을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런 동물자원을 향후 타시도 동물자원과 비교 분석을 함으 로써 전라북도 자연환경 여건에 맞는 장기적인 보전 및 활 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전라북도 전반에 걸쳐 동물상 조사는 환경부 자연환경조 사 2차와 3차 조사결과를 문헌리뷰하여 결과를 업었고, 시 군별로 분리하여 도뿐 만아니라 시군에서도 환경정책 및 자연자원 보전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전라북도 담수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5문 8강 20목 87과 312종이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의 관찰은 유량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여 나타나 며 또한 계절에 의한 종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들 무척추동물 중에서 전 지역에 걸쳐 고루 분포하는 동 물군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산간계류에서는 비교적 청정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강도래류 토우민강도래, 진강도래, 녹색 강도래, 꼬마강도래, 총채민강도래, 날도래류에는 검은머리 물날도래, 플라나리아, 옆새우류 등이 발견되었다. 강의 하 류나 평지에서는 비교적 오염된 지역에 서식하는 종들이 주를 이루었다. 전라북도 담수에 서식하는 어류는 최근 문헌자료에 의하 면 총 9목 19과 88종이 보고되었다. 이 중 잉어목이 51종으 로 가장 많았고, 칠성장어목 1종, 뱀장어목 2종, 메기목 6종, 바다빙어목 2종, 숭어목 2종, 동갈치목 2종 드렁허리목 1종, 횟대목 21종이 보고되었다. 환경멸종위기종 Ⅰ급 어류는 임실납자루, 감돌고기 총 2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 급 어류는 다묵장어, 꾸구리, 돌상어, 모래주사 총 4종이 출현하여 총 6종의 멸종위기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특산종 은 각시붕어, 칼납자루,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가시납지리, 쉬리, 참중고기, 중고기, 긴몰개, 몰개, 참몰개, 왜매치, 돌마 자, 왕종개, 줄종개, 미유기, 눈동자개, 자가사리, 꺽지, 동사 리, 얼룩동사리, 큰볏말뚝망둥어 등 22종으로 전체 25%를 차지하였으며 외래어종은 블루길 베스 2종이 보고되었다. 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육상곤충류는 18목 249과 2,105종 이 보고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Ⅰ급은 없었으며, Ⅱ급에 속하는 고려집게벌레, 멋조롱딱정벌레, 붉은점모시 나비, 비단벌레, 쌍고리부전나비, 왕은점표범나비 등 6종만 이 기록되었다. 고려집게벌레는 전주시 완산 칠봉에서 최근 에 관찰되었으며, 멋조롱딱정벌레는 무주군에서 문헌상으 로만 전해지며 붉은점모시나비는 무주군, 정읍시, 진안군에 서 문헌기록상으로 전해지고 있다. 비단벌레는 부안 변산국 립공원과 정읍내장사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쌍 꼬리부전나비와 왕은점표범나비는 각각 무주군과 무주군 및 정읍시에서 문헌기록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최근까지 관 찰기록은 없었다. 전라북도 양서류는 총 2목 6과 19종이 출현하였고, 환경 부 멸종위기종 Ⅰ급에 해당하는 수원청개구리 1종과 Ⅱ급 에 해당하는 맹꽁이, 금개구리 2종이 출현하였다. 보호종은 두꺼비, 맹꽁이, 금개구리 3종이 확인되었고, 외래종은 황소 개구리 1종이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2목 10과 30종이 출현 하였고, 환경부 멸종위기종 Ⅱ급은 구렁이 1종이 출현하였 다. 보호종은 남생이, 까치살모사 2종이 출현하였고 외래종 은 붉은귀거북 1종이 출현하였다. 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조류는 총 17목 53과 257종이 출현 하였다. 아비목 1과 1종, 논병아리목 1과 4종, 사다새목 1과 2종, 황새목 2과 14종, 기러기목 1과 26종, 매목 2과 17종, 닭목 3과 4종, 두루미목 1과 4종, 도요목 5과 49종, 비둘기 목 1과 3종, 두견목 1과 5종, 올빼미목 1과 5종, 쏙독새목 1과 1종, 칼새목 1과 2종, 파랑새목 3과 6종, 딱다구리목 1과 4종, 참새목 27과 110종이 출현하였다.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조류에는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큰고니, 노 랑부리저어새, 독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소쩍새,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황조롱이, 원앙 16 종이 있었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Ⅰ급에는 매, 청다리 도요사촌,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총 5종이 출현하였 고, 멸종위기종 Ⅱ급 종으로는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독 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큰기러기, 물수리, 별매, 솔개, 조롱이, 큰 말똥가리, 잿빛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새홀리기, 뜸부기, 흰목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검은머리갈매기, 긴꼬리딱새 총 24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은 총 29종이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에는 고창군과 군산시 지역에서 노랑부리백로 1종만이 발견되었다. 전라북도 포유류는 총 5목 11과 30종이 출현하였으며,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포유류는 하늘다람쥐, 수달 등이 발견 되었다. 또한 환경부 멸종위기종Ⅰ급에 수달 1종이 출현하 였고, 멸종위기종 Ⅱ급에는 삵, 담비, 하늘다람쥐 총 3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이 총 4종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으 로는 멧토끼와 고라니 2종이 확인되었다.

      • 털조장나무의분포특성과개체군동태 - 무등산, 천봉산, 조계산을 중심으로-

        최대훈,임동옥,윤홍균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털조장나무는 전라남도에만 분포하고 환경부 지정 식물 구계학적 4등급종이며 산림청지정 약관심종(LC)인 중요한 식물 자원이다. 털조장나무는 2013년도에 지정된 무등산국 립공원의 깃대종으로 선정됨에 따라 그 가치가 상승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털조장나무를 보존하고 관리하는데 필요 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털조장나무 군락은 무등 산 지역은 해발고 340m ~ 531m, 사면은 NNW, 경사도는 11° ~ 25°사이에, 천봉산 지역은 해발고 220m ~ 231m, 사면은 NNE ~ EEN, 경사도는 21° ~ 51°사이에 그리고 조계산 지역은 해발고 323m ~ 415m, 사면은 NNE ~ NE, 경사도 12° ~ 45°사이에 분포하고 있다. 조사지는 무등산, 천봉산, 조계산 3개 지역에 10×10㎡크기의 방형구 20개를 설치하여 4~8월 사이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형구내에 있 는 털조장나무를 포기마다 맹아수, 근원직경 및 수고를 각 각 측정하였다. 전체 조사구에서 확인된 식물은 총 37과 54속 66종 5변종 1품종 72분류군이었다. 무등산은 20과 26 속 33분류군이 확인 되었고 이중 초본류 8종, 덩굴식물 3종, 관목류 8종, 아교목류 1종 및 교목류 13종이 확인되었다. 천봉산은 28과 36속 4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이중 초본류 19종, 덩굴식물 2종, 관목류 10종, 아교목류 2종 및 교목류 12종이 확인되었다. 조계산은 25과 30속 37분류군이 확인 되었고 이중 초본류 11종, 덩굴식물 1종, 관목류 11종, 아교 목류 3종 및 교목류 11종이 확인되었다. 털조장나무는 치수 를 제외 할 경우 단간성 식물이 아니다. 전체 조사구에서 털조장나무 맹아수에 따른 포기수를 확인한 결과 2~5개의 맹아수를 갖는 포기는 270포기(66%), 5~10개의 맹아수를 갖는 포기가 30포기(7%)였고 가장 맹아수가 많은 포기는 27개의 맹아가 나타났다. 무등산에서 맹아수별 포기 수는 2~5개의 맹아수를 갖는 포기가 114포기(60%), 5~10개의 맹아수를 갖는 포기가 8포기(4%)였고, 가장 맹아수가 많은 포기는 13개의 맹아가 확인되었다. 천봉산의 맹아수별 포기 는 2~5개의 맹아수를 갖는 포기가 73포기(62%), 5~10개의 맹아수를 갖는 포기는 17포기(15%)였고, 가장 많은 맹아수 를 갖는 포기는 27개의 맹아가 나타났다. 조계산에서의 맹 아수별 포기수는 2~5개의 맹아수를 갖는 포기가 83포기 (79%), 5~10개의 맹아수를 갖는 포기가 5포기(5%)였고, 가 장 많은 맹아수를 갖는 포기는 17개의 맹아가 있었다. 전체 조사구에서 털조장나무의 각 맹아별 수고를 측정한 결과 50㎝이상 100㎝미만인 맹아수는 358줄기(30%), 100㎝이 상 150cm미만인 맹아수는 341줄기(28%)였고, 수고가 가 장 높은 줄기는 565㎝였다. 무등산에서 털조장나무의 각 맹아별 수고는 50㎝이상 100㎝미만인 경우 맹아수는 168 줄기(40%), 100㎝이상 150cm미만인 맹아수는 114줄기 (27%)였고, 수고가 가장 높은 줄기는 370㎝이었다. 천봉산 에서 털조장나무의 각 맹아별 수고는 50㎝이상 100㎝미만 인 맹아수는 113줄기(24%), 100㎝이상 150cm미만인 맹아 수는 161줄기(34%)였고, 수고가 가장 높은 줄기는 460㎝였 다. 조계산에서 털조장나무의 각 맹아별 수고를 측정한 결 과 50㎝이상 100㎝미만인 맹아수는 77줄기(25%), 100㎝ 이상 150cm미만인 맹아수는 66줄기(22%)였고, 수고가 가 장 높은 줄기는 565㎝이었다. 전체 조사구에서 털조장나무 의 각 맹아별 근원직경을 측정한 결과 0.5㎝미만인 경우 맹아수는 480줄기(40%), 0.5㎝이상 1.0㎝미만인 맹아수는 512줄기(43%)였고, 근원직경이 가장 굵은 줄기는 3.2㎝였 다. 무등산에서 털조장나무의 각 맹아별 근원직경을 측정한 결과 0.5㎝미만인 맹아수는 96줄기(23%), 0.5㎝이상 1.0㎝ 미만인 맹아수는 223줄기(53%)였고, 근원직경이 가장 굵 은 줄기는 2.2㎝로 확인되었다. 천봉산에서 털조장나무의 각 맹아별 근원직경을 측정한 결과 0.5㎝미만인 맹아수는 212줄기(45%), 0.5㎝이상 1.0㎝미만인 맹아수는 197줄기(42%)였고, 근원직경이 가장 굵은 줄기는 2.1㎝였다. 조계 산에서 털조장나무의 각 맹아별 근원직경을 측정한 결과 0.5㎝미만인 맹아수는 172줄기(56%), 0.5㎝이상 1.0㎝미 만인 줄기는 92줄기(30%)였고, 근원직경이 가장 굵은 줄기 는 3.2㎝로 나타났다. 수고와 근원직경 간의 상관계수를 확 인한 결과 전체지역에서 비교적 강한 양의 상관관계 (0.4438)를 갖고 3개 지역에서의 상관관계는 무등산에서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0.7423), 천봉산에서는 보통의 양의 상 관관계(0.3574), 조계산에서는 비교적 강한 양의 상관관계 (0.6037)가 확인되었다. 나머지 맹아별 근원직경과 맹아수 의 상관계수와 맹아별 수고와 맹아수의 상관계수는 3지역 모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털조장나 무는 최대수고 565㎝, 최대 근원직경 3.2㎝로 확인되어 아 교목으로 자라지 못하고 오래된 개체는 맹아지수를 증가시 키면서 자생하는 관목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무등산, 천봉산 및 조계산에서 털조장나무 개체군의 분포특성과 동태

        임동옥,최대훈,윤홍균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4

        녹나무과 생강나무속인 털조장나무는 한국 희귀식물 가운데 약관심종(LC),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Ⅳ등급 종이며 무등산국립공원 깃대종이다. 무등산, 천봉산 및 조계산 지역에서 털조장나무는 경사도는 12°~51°, 분포사면은 북서사면에서 북동사면까지, 해발고는 220~533m사이에 분포하였다. 털조장나무를 조사한 방형구에서 확인한 관속식물은 37과 54속 66종 5변종 1품종 총 72분류군이었다. 이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Ⅳ등급종은 털조장나무, Ⅲ등급 종에는 노각나무와 단풍나무가 있었으며, 한국 고유종은 노각나무와 지리대사초였다. 털조장나무가 분포하는 무등산지역의 식생군집은 신갈나무와 졸참나무-털조장나무, 때죽나무 군집, 천봉산지역은 노각나무-털조장나무, 조릿대군집, 조계산 지역의 선암사지역은 서어나무-털조장나무, 조릿대군집 그리고 송광사 지역은 노각나무-털조장나무, 조릿대군집이었다. 조사된 털조장나무는 총 662개체였는데 이중 치수를 포함한 줄기가 1개인 개체는 353개(53.32%)였고, 2~5개의 맹아지를 갖는 개체는 270개(40.79%)였다. 맹아지 수가 가장 많은 개체는 27개로 확인되었다. 전체 662개체에서 맹아지 수는 1,198줄기였다. 또한 수고는 50㎝에서 150㎝까지의 개체가 699개(58.34%)로 가장 많았고 가장 큰 맹아지는 565㎝였다. 맹아지의 근원 직경은 1㎝미만이 992개(82.81%)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직경 1.0~1.5㎝는 156개(13.2%)였다. 가장 큰 줄기는 근원 직경이 3.2㎝이고 키는 565㎝이었는데 근원부는 50%가, 흉고부는 25%가 고사된 상태였고, 줄기 한쪽이 세로로 찢어져 있었다. 4m이상인 3개체의 줄기도 정단부의 가지가 일부 고사된 상태였다. 따라서 한국산 털조장나무는 정아우세인 수형을 유지하지만 일정 수고 이상의 줄기는 고사되고 맹아지 수를 증가시킴으로서 개체의 형태적 적응을 보이는 관목이다. Lindera sericea, which belongs to genus Lindera in the Lauraceae family, is labeled under Least Concerned (LC) among Korean rare plants, floristics specific species Ⅳgrade and also flagpole species of the Mudeung National Park. It is distributed in Mt. Mudeung, Mt. Cheonbong and Mt. Chogye within gradients from 12˚to51˚. The slope area is from northeast to northwest sides and the altitude range of distribution site is between 220 m and 533 m. The vascular plants in the quadrate where Lindera sericea were studied were identified as a total of 72 taxa; 37 families, 54 genera, 66 species, 5 variants and 1 forma. Among the floristics specific species, Ⅳ grade species was Lindera sericea and Ⅲgrade species were Stewartia pseudocamellia and Acer palmatum. Korean endemic species were Stewartia pseudocamellia and Carex okamotoi. As for the vegetation group, Quercus mongolica and Q. serratak - Lindera sericea, Styrax japonicus populations were found in Mt. Mudeung area where Lindera sericea appeared, Stewartia pseudocamellia-Lindera sericea and Sasa borealis populations were found in Mt. Cheonbong areas, Carpinus laxiflora - Lindera sericea and Sasa borealis populations were found in Mt. Chogye area, and Stewartia pseudocamellia-Lindera sericea and Sasa borealis populations were found in Songgwangsa area. A total number of 662 Lindera sericea individuals were examined. The number of trees with 1 trunk including younger individuals was 353 (53.32%), and the number of trees with 2 to 5 stems was 270 (40.79%). The number of trees with the greatest number of sprouts was 27. Of 662 trees in total, the total number of sprouts was 1,198. Among these, 699 trees (58.34%) were between 50 ㎝and 150 ㎝in height. The tallest tree was 585 ㎝. The most common root-collar diameter of sprouts (992, 82.81%) was under 1 ㎝, followed by the sprouts with collar diameter from 1.0 to 1.5 ㎝(156, 13.2%). Among them, the largest root-collar diameter was 3.2 ㎝. This Lindera sericea specimen had the tallest trunk (565 ㎝) which was torn lengthwise on one side. Its root and breast parts were decayed by 50% and 25 respectively. Some branches of the three trunks that were more than 4 m in length were dead in the apical portion.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the Korean Lindera sericea maintains an apical dominance tree type while showing morphological adaptation as a typical shrub because it autonomously decays some branches and trunks over a certain height while increasing the number of its sprouts.

      • 동물 및 기타 전라북도 자연환경조사 (동물자원)

        임동옥 ( Dong Ok Lim ),윤홍균 ( Hong Gyun Yoon ),최대훈 ( Dae Ho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전라북도에서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등 자연환경여건을 조사 분석하여 전라북도의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함에 있어서 동물자원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성을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런 동물자원을 향후 타시도 동물자원과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전라북도 자연환경 여건에 맞는 장기적인 보전 및 활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전라북도 전반에 걸쳐 동물상 조사는 환경부 자연환경조사 2차와 3차 조사결과를 문헌리뷰하여 결과를 업었고, 시군별로 분리하여 도뿐 만아니라 시군에서도 환경정책 및 자연자원 보전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전라북도 담수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5문 8강 20목 87과 312종이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종의 관찰은 유량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여 나타나며 또한 계절에 의한 종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들 무척추동물 중에서 전 지역에 걸쳐 고루 분포하는 동물군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산간계류에서는 비교적 청정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강도래류 토우민강도래, 진강도래, 녹색강도래, 꼬마강도래, 총채민강도래, 날도래류에는 검은머리물날도래, 플라나리아, 옆새우류 등이 발견되었다. 강의 하류나 평지에서는 비교적 오염된 지역에 서식하는 종들이주를 이루었다. 전라북도 담수에 서식하는 어류는 최근 문헌자료에 의하면 총 9목 19과 88종이 보고되었다. 이 중 잉어목이 51종으로 가장 많았고, 칠성장어목 1종, 뱀장어목 2종, 메기목 6종, 바다빙어목 2종, 숭어목 2종, 동갈치목 2종 드렁허리목 1종, 횟대목 21종이 보고되었다. 환경멸종위기종 Ⅰ급 어류는 임실납자루, 감돌고기 총 2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급 어류는 다묵장어, 꾸구리, 돌상어, 모래주사 총 4종이 출현하여 총 6종의 멸종위기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특산종은 각시붕어, 칼납자루,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가시납지리, 쉬리, 참중고기, 중고기, 긴몰개, 몰개, 참몰개, 왜매치, 돌마자, 왕종개, 줄종개, 미유기, 눈동자개, 자가사리, 꺽지, 동사리, 얼룩동사리, 큰볏말뚝망둥어 등 22종으로 전체 25%를 차지하였으며 외래어종은 블루길 베스 2종이 보고되었다. 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육상곤충류는 18목 249과 2,105종이 보고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Ⅰ급은 없었으며, Ⅱ급에 속하는 고려집게벌레, 멋조롱딱정벌레, 붉은점모시나비, 비단벌레, 쌍고리부전나비, 왕은점표범나비 등 6종만이 기록되었다. 고려집게벌레는 전주시 완산 칠봉에서 최근에 관찰되었으며, 멋조롱딱정벌레는 무주군에서 문헌상으로만 전해지며 붉은점모시나비는 무주군, 정읍시, 진안군에서 문헌기록상으로 전해지고 있다. 비단벌레는 부안 변산국립공원과 정읍내장사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쌍꼬리부전나비와 왕은점표범나비는 각각 무주군과 무주군 및 정읍시에서 문헌기록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최근까지 관찰기록은 없었다. 전라북도 양서류는 총 2목 6과 19종이 출현하였고, 환경부 멸종위기종 Ⅰ급에 해당하는 수원청개구리 1종과 Ⅱ급에 해당하는 맹꽁이, 금개구리 2종이 출현하였다. 보호종은 두꺼비, 맹꽁이, 금개구리 3종이 확인되었고, 외래종은 황소개구리 1종이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2목 10과 30종이 출현 하였고, 환경부 멸종위기종 Ⅱ급은 구렁이 1종이 출현하였다. 보호종은 남생이, 까치살모사 2종이 출현하였고 외래종은 붉은귀거북 1종이 출현하였다.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조류는 총 17목 53과 257종이 출현하였다. 아비목 1과 1종, 논병아리목 1과 4종, 사다새목1과2종, 황새목 2과 14종, 기러기목 1과 26종, 매목 2과 17종, 닭목 3과 4종, 두루미목 1과 4종, 도요목 5과 49종, 비둘기목 1과 3종, 두견목 1과 5종, 올빼미목 1과 5종, 쏙독새목1과 1종, 칼새목 1과 2종, 파랑새목 3과 6종, 딱다구리목1과 4종, 참새목 27과 110종이 출현하였다. 천연기념물에속하는 조류에는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독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소쩍새,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황조롱이, 원앙 16종이 있었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Ⅰ급에는 매, 청다리도요사촌,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총 5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급 종으로는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독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큰기러기, 물수리, 별매, 솔개, 조롱이, 큰 말똥가리, 잿빛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새홀리기, 뜸부기, 흰목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검은머리갈매기, 긴꼬리딱새총 24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은 총 29종이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에는 고창군과 군산시 지역에서 노랑부리백로 1종만이 발견되었다. 전라북도 포유류는 총 5목 11과 30종이 출현하였으며,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포유류는 하늘다람쥐, 수달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환경부 멸종위기종Ⅰ급에 수달 1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급에는 삵, 담비, 하늘다람쥐 총 3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이 총 4종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으로는 멧토끼와 고라니 2종이 확인되었다.

      • 저라북도 자연환경조사(식물자원)

        임동옥 ( Dong Ok Lim ),윤홍균 ( Hong Gyun Yoon ),최대훈 ( Dae Hoo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전라북도에서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등 자연환경여건을 조사 분석하여 전라북도의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함에 있어서 식물자원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성을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런 식물자원을 향후 타시도 식물자원과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전라북도 자연환경 여건에 맞는 장기적인 보전 및 활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전라북도 전반에 걸쳐 식물상 조사는 환경부 자연환경조사 2차와 3차 조사결과와 환경영향평가서 및 현지조사 결과를 리뷰하여 결과를 얻었고, 시군별로 분리하여 도뿐 만아니라 시군에서도 환경정책 및 자연자원 보전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전라북도는 동부산간지대인 무주, 지안, 장수, 남원지역이 서부평야해안지대인 김제, 부안, 고창, 익산, 군산 등지보다 많은 식물이 분포하며, 지리산 국립공원을 끼고 있는 남원시가 가장 많은 종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전라북도는 고산수종부터 남부해안 수종까지 다양한 식물이 분포하며, 이는 동부산간지대와 서부평야해안지대로 구성된 전라북도의 지형적인 특성에 기인하였다. 전라북도의 관속식물상은 총 141과 615속 1,313종 7아종 171변종 총 1,49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지역의 식물 멸종위기종으로는 무주군에 광릉요강꽃, 가시오갈피, 산작약, 복주머니난으로 4종, 남원시에 솔붓꽃, 산작약으로 2종, 임실군에 솔붓꽃, 정읍시에 진노랑상사화, 부안군에 미선나무로 각각 1종씩 확인되었다. 고창군에는 솔붓꽃, 가시연꽃으로 2종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가운데 정밀생태조사종에 해당하는 Ⅲ등급종은 152분류군, Ⅳ등급종 27분류군 및 Ⅴ등급종 32분류군으로 총2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히 각 시군 가운데 완주군은 Ⅲ등급종 23분류군, Ⅳ등급종 2분류군 및 Ⅴ등급종 3분류군으로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어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그뒤로 남원시가 Ⅲ등급종 18분류군, Ⅳ등급종 2분류군 Ⅴ등급종 3분류군으로 총 23분류군, 정읍시가 Ⅲ등급종 18분류군, Ⅳ등급종 1종 Ⅴ등급종 3분류군으로 총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전라북도에서 나타난 한국고유종은 양치류 3종, 나자식물은 구상나무로 1종, 피자식물로는 쌍자엽식물은 42종과 단자엽식물 7종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26과 43속 44종 8변종 1품종으로 총 5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라북도에서 나타난 산림청 희귀종으로는 24과 29속 28종 2변종 30분류군으로 고란초, 사스레피나무, 개서어나무, 만주바람꽃, 쥐방울덩굴, 백작약, 매미꽃, 히어리, 낙지다리, 물매화, 왕벚나무, 모감나무, 태백제비꽃, 금강제비꽃, 구상난풀, 꽃개회나무 등 총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전역에서 나타난 귀화식물에서 생태교란 야생종은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털물참새피 등 9종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백서의 후구절제 우울모델에서 Memantine 투여 후뇌구조와 해마 조직 소견 변화

        김소연,이영식,기백석,민경준,윤홍균,유현,남택균 대한정신약물학회 2006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7 No.5

        Objectives: The validity of olfactory bulbectomized rat as an animal depression model and the possibilities of the NMDA antagonist as an antidepressant would be evaluated by demonstrating structural alterations in their brain MRIs and histological findings of hippocampus. Methods: Those 8-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received either an olfactory bulbectomy or sham operation and volume changes at ventricles and caudate nucleus in their brain MRI were acquired at preoperation and postoperation. Those olfactory bulbectomized rats received either memantine, an uncompetitive NMDA antagonist, or normal saline, a placebo, and their brain structural changes in MRI were acquired. At preoperation, postoperation, and postmedication each one of the rats with sham-operation, with memantine, and with placebo was sacrificed to acquire histological impressions. Results: (1) Comparison of the volume changes between preoperation and postoperation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volumes of the left and right lateral ventricles(p=0.007, p=0.008) and the third ventricle(p=0.003)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volumes of left and right caudate nucleus decreased(p=0.014,p=0.032),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s. (2) After 6-weeks of memantine administrations, the OB rats revealed more definite recovery in brain MRIs statistically than the controls: the volumes of left and right ventricles and left and right caudate nucleus(p=0.004, p=0.03 p=0.04, p=0.05).(3) The hippocampus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olfactory bulbectomy showed frequently eosinophilic cytoplasm and hyperchromatic nucleus with shrinkage in CA3. After memantine intake, the hippocampus histological findings returned to nearly normal and showed mixtures of normal cell and abnormal neuron cell. 연구목적:뇌 구조 및 해마조직 변화 소견을 통해 백서의 후구절제 모델(olfactory bulbectomy, OB모델)이 우울증의 동물 모델로서 타당한가를 검증하고, NMDA 길항제인 memantine이 항우울제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생후 8주된 수컷 Sprague-Dawley 백서를 MRI 기초 촬영 후 OB군(olfactory bulbectomized rats)과 sham 처치 군으로 나누었다. 수술 후 6주째에 뇌실과 미상핵의 구조 변화를 MRI로 확인하였다. 그 후 OB 군을 memantine과 위약 투여군으로 나누어 6주간 각각 구강 섭취하게 한 후 MRI 촬영을 실시하였다. 수술 전, 수술 후, 약물 투여 후에 각각의 그룹에서 한 마리씩 희생시켜 MRI로 측정하지 못한 해마부위의 조직 소김소연 등 483 견을 확인하였다. 결 과 :1) OB 수술군에서 sham 처치군에 비해 수술 후 좌측과 우측 측뇌실, 제 3 뇌실의 크기는 의미있게 증가하였고(p=0.07, p=0.08, p=0.03), 좌측과 우측 미상핵의 크기는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14, p= 0.032). 2) Memantine 복용 군은 위약군에 비해 좌측과 우측 측뇌실과 좌측과 우측 미상핵의 크기가 의미있게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p=0.04, p=0.03;p=0.04, p=0.05). 3) 수술후 해마 조직소견은 sham 처치군은 수술전과 차이가 없었으나 OB 군은 CA3 부위의 신경세포에서 세포질의 호산성 변화, 핵 위축, 과염색성등의 명확한 세포 손상 소견이 관찰되었다. 또한, memantine을 투여한 후 OB 군은 위약 투여한 군에 비해 손상된 세포수가 명백히 감소하고 다소간의 정상세포도 관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형 중독 치료지침서(Ⅲ) : 알코올 사용장애의 정신사회 치료

        오승헌,이계성,한창우,서정석,조근호,이해국,윤홍균,최삼욱,김현수,이보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4 신경정신의학 Vol.53 No.4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elines for psychosocial treatment of alcoholuse disorder. Methods According to the ADAPTE manual, the Korean alcohol use disorder treatment guidelineswere developed by the guideline development committee. Recommendations from foreignguidelines were evaluated regarding the applicability and acceptability to domestic circumstances. In addition, a survey from experts was conducted, along with a review of Korean literature. By these means, recommendations of psychosocial treatment for alcohol use disorder were established.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 1) Although Group therapy was notrecommended by foreign clinical guidelines, it was considered as a first-line treatment by Koreanexperts. 2) Among many psychosocial treatment programs, cognitive behavior therapy (CBT),coping skills training, 12-step facilitation, and Group therapy were commonly used programs inKorea. Finally, the following treatment methods were selected for recommendations : Grouptherapy, motivational enhancement treatment, CBT, behavioral self-management, alcoholicanonymous, 12-step facilitation, psychodynamic psychotherapy,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continuous case management, and community residential rehabilitation program. Conclusion Just as in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continuity is importantfor management of alcohol use disorder. Therefore, not only pharmacological treatment butalso psychosocial treatment should be provided comprehensively after treatment of acute withdrawal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