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작유구를 통해 본 중·근세 농업의 경지이용방식 연구

        윤호필(Ho-pil Yun)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0

        본 연구는 문헌사학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근세 농업연구를 고고자료(물질자 료)를 통한 고고학적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먼저 중·근세 경작유적과 유구에 대한 현황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세부적인 속성분석을 통해 중·근세 농업의 흐름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농업사의 주요쟁점인 ‘경지이용방식(휴한법과 연작법)’에 대해 고고학적인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고고학적 조사사례나 연구성과 만으로는 문헌사료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중·근세 경작유적에 대한 조사사례가 활성화 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새로운 조사방법 및 자연과학적 분석 등도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중·근세 농업연구의 고고학적 접근은 현재 첫 걸음을 내딛는 시점으로 부족한 점이 많지만, 중·근세 경작유구에 대한 인식전환과 함께 문헌사학과의 보다 적극적인 상호보완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농사기술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다양한 관점에서 중·근세 농업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 on agriculture in the Middle and Modern ages centering around philological history from the aspects of archaeology based on archaeological materials (or material data). To attain the goal, this paper arranges the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remains and relics from the Middle and Modern ages first and then studies briefly the flow of agriculture in the Middle and Modern ages through detailed attribute analysis. Also, based on that, this research studies the ‘farmland use’ which is the chief issue of Korean agricultural history from the aspects of Archaeology, and it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archaeological examination regarding Hyuhan method and Yeonjak method (Sanggyeong method). However, only with the current Archaeological research cases or research results, it is difficult to make a concrete approach to the philological historic data. Therefore, it is needed to activate the research cases on the cultivation remains from the Middle and Modern ag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nalysis methods of natural science more positively. Archaeological approaches to research into agriculture in the Middle and Modern ages are at the point to take its first step now so lack in many ways. However, along with the changes of recognition on the cultivation remains from the Middle and Modern ages, if complementary research is more actively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philological history,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more concrete aspects of farming techniques, and along with that, research on agriculture in the Middle and Modern ages will be conducted from more diverse viewpoints.

      • KCI등재

        경기도지역 지석묘의 장송의례(葬送儀禮)

        윤호필 ( Ho Pil Yu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본 연구는 한국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축조과정과 그에 따른 단계별 의례양상을 통해 지석묘의 장송의례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기도지역 지석묘의 장송의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장송의례는 보편적인 사회규범에 속하지만 그 속에는 사자 및 생자의 사회적 지위와 관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무덤은 이러한 사회적 관계가 반영되는데, 집단의 사생관(死生觀)과 조령관(祖靈觀)으로 나타나며 장기간 지속되면서 강한 전통성을 가지게 된다. 지석묘의 장송의례는 축조의 각 과정마다 의례가 행해지며, 이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사회적 연대 및 통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지석묘의 축조는 생자의 입장에서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Ⅰ단계는 피장자를 매장하기 위한 준비단계(묘지 선정 석재운반), Ⅱ단계는 피장자를 매장하고 무덤의 외형적인 틀을 만드는 단계(매장주체부 및 묘역설치), Ⅲ단계는 완성된 무덤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장송의례는 각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축조방식이 다른 개석식 지석묘와 탁자식 지석묘는 피장자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 이를 공간관계의 측면에서 보면 수평적 공간관계와 수직적 공간관계로 나눌 수 있다. 수평적 공간관계는 묘역의 범위를 넓게 하여 무덤 존재를 부각시키는 것이고, 수직적 공간관계는 무덤의 외형을 지상에 돌출시켜 무덤을 하나의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는 가족적 씨족적 친분관계가 강하고, 후자는 독립적·제단적인 성격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형식과 장송의례 양상이 다른 두 무덤이 경기도지역에서는 같은 묘구 내에서 함께 조성된다. 따라서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무덤인 지석묘에 나타난 장송의례는 당시의 사회구조, 문화, 기술, 세계관, 내세관 등을 반영하므로 청동기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restores the burial ritual of dolmen through the construction method of dolmen in the Bronze Age in Korea and the features of rituals followed in each stage. Based on it, it looks into the burial ritual of dolmen in Gyeonggi do region. The burial ritual belongs to general social norm. On the other hand, social class of the living beings and dead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re. Therefore, the graves reflect such social relationship, and it gains strong tradition as it reveals as a view on life and death and a view on ancestor`s spirit of social group for long term. Rituals are performed in each stage of construction of dolmen, and through this, it plays a role reinforcing social union of members. Construction process of dolmen is divided into three big stages from the view point of a living person. The first stage is preparation stage for burial of dead body(Choosing tomb area and moving stones). The second stage is burial of dead body and building frame of tomb(Building main part of burial area and boundaries of grave). The third stage is maintaining the finished dolmen. Burial ritual appears in various ways in each stage. The cover stone dolmen and table type dolmen with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show certain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deader. From the view of spatial relationship, it can be divid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s. The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 bring into relief the existence of grave by extending grave area while vertical spatial relationship makes the grav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xistence by projecting appearance of grave onto ground. Therefore, the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 has strong relationship of family and relatives while the vertical spatial relationship has strong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ce and altar. Likewise, two different graves with different features of burial rituals and formats are built in the same boundary of grave in Gyeonggi do region. Therefore, the burial rituals revealed in dolmen which represents the Bronze Age reflect the social structure, culture, technology, world view and the view of afterlife, therefore, is very useful in understanding the Bronze Age.

      • KCI등재

        선사시대 팥의 이용 및 작물화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이경아(Lee Gyoungah),윤호필(Yun Hopil),고민정(Ko Minjung)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최근 동북아시아에서 발견된 팥 자료는 여러 지역의 신석기시대 문화에서 야생 팥이 이용되기 시작하고 궁극적으로 작물화되는 과정을 시사한다. 본고는 수천 년 간(5000~1400 BP)에 걸친 팥의 형태상 변화를 중국, 일본, 한국의 고고학 자료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일본과 한국에서는 늦어도 5000 cal. BP 경부터 그 작물화 여부에 관계없이 팥의 이용이 시작되었고 2천여 년 간의 재배 과정을 거쳐 팥의 작물화가 점진적으로 진화되었다. 또한 본고는 일본과 한국에서 팥의 독립적 작물화가 비슷한 시기에 진행되었을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고학적 자료가 진화 통계학적 연구와 더불어 작물의 기원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임을 입증하였다. The recently acquired archaeological records for azuki bean (Vigna angularis) from East Asia are shedding light on the context in which these pulses became associated with people and were domesticated. The main data of this study are archaeological collections from various sites (5000~1400 BP) in Korea, China and Japan as well as modern refrences of both domesticated and non–cultigen azuki. Long–term morphological change of archaeological seeds shows that human manipulation of azuki began as early as 5000 cal. BP, over 2000 years earlier than was previously suggested. The data from this research also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multiple origins of azuki. A uniqu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its interdisciplinary attempt to examine both biological and cultural process of major pulse crop domestcation.

      • KCI등재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파세마고원의 거석유적

        임영진 ( Young Jin Yim ),박수현 ( Soo Hyun Park ),이정진 ( Jung Jin Lee ),( Bagyo Prasetyo ),가종수 ( Jong Soo Ka ),이동희 ( Dong Hee Lee ),조진선 ( Jin Seon Cho ),윤호필 ( Ho Pil Yun ) 호남고고학회 2011 湖南考古學報 Vol.38 No.-

        이 글은 2011년 2월에 이루어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파세마고원 지대의 거석문화유적에 대한 현지조사 보고문이다. 한국의 (재)호남문화재연구원과 인도네시아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공동으로 이 지역의 지석묘와 석실묘를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지석묘 7개소, 석실묘 7개소, 석상·석물·입석 13개소, 암각화 1개소를 조사하였다. 지석묘는 평야지대에 군집되어 있으며 남방식과 개석식이 공존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연대는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석실묘는 구릉지대에 단독 또는 몇기가 모여 있으며 지하 횡구식이지만 외형만으로는 지석묘와 구분하기 어려운 것도 있다. 석실묘 역시 정확한 시기를 알기 어렵지만 철기 유입 이후 지석묘가 발전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석상과 석물은 대부분 지석묘나 석실묘와 같은 지역에 공존하고 있지만 아직도 그 용도와 상호 관계가 파악되지 못하고 있으며 입석은 단독으로 존재한다. 수마트라섬의 파세마고원 지대에 남아있는 많은 거석문화유적은 선사·고대의 동아시아 교류사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지만 연구의 진전을 위해서는 정밀한 발굴을 통한 정확한 연대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is a survey report on the megalithic monuments of the Pasema area in Sumatra, Indonesia, which was conducted in February 2011. The survey was carried out collaboratively by the Honam Cultural Property Research Center in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of Archaeology in Indonesia, and investigated seven dolmens, seven stone chamber tombs, thirteen stone statues, and one rock carving site. The dolmens, which can be divided into stone-supported type and capstone type, are situated on the plains and their construction dates are difficult to estimate. The stone chamber tombs, which are a side-entrance type, are situated on the low hills, but some of them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apstone type dolmens.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stone chamber tombs is equally ambiguous, although they appear to have developed after the dolmens. Most of the stone statues coexist with the dolmens or the stone chamber tombs, but their func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s not clearly understood until now. Menhir exists alone. The megalithic sites of the Pasema area are important archaeological materials through which we can understand cultural interactions in ancient East Asia. They awaits further investigation, particularly on the issue of establishing chronology through systematic exca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