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몰입(Flow)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에 관한 연구

        윤영란 ( Young Ran Yoon )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人文科學硏究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pose a career counseling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Flow``. The study was originally developed from various research about the unique experience of creative people. However. many researchers apply this theory to research and practice regarding sports psychology, adolescents` development, and counseling/psychotherapy. The study explores a way to apply ``Flow`` theory to career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This study describes uniqueness of career counseling from the perspective of ``Flow`` theory: ① work could be a source of joy, ② the goal of career counseling should be expanded from adaptation to a job to the development of people`s potential and talent, ③ career problem is a lack of ``everyday Flow experience``, ④ the task of career counseling is not limited to career choice but to help experience ``flow`` and integrate it to personal life goal.

      • 진로집단상담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영란 ( Yoon Young-r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문화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 내 진로지도를 활성화하려는 목적으로 진로집단상담을 활용하여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고 검증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S 대학교 1-4학년 학생 22명으로 집단상담은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10명과 12명이다. 진로지도의 효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선정해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 검증으로 밝혀진 결과들로 대학생 진로지도의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내 진로 집단상담으로 진로지도를 받은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진로집단상담으로 진로지도를 받은 학생들은 자신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고 직업에 대해서도 더 잘 알게 되었다. 그리고 진로 전반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생 진로지도의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진로는 매우 개별적인 문제이므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진로문제와 진로 이외의 문제들로의 접근은 상담으로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자신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학생들이나 전공과 적성이 불일치하다고 생각하는 학생, 의사결정능력이나 취업과 관련하여 불안과 스트레스를 받는 학생들에게는 개인상담이나 집단상담으로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tilize the career group counselling approach to revitalize the career guidance in college. The subjects of this particular study were make up total population of 22 people.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rt form developed by Betz(l983), Through the career group counselling, as career-guidance plan of the college students, I studied the possibility to build the career plans, the management ability, understanding and search of the job, and self-understanding. Based upon proven outcome of this research, I laid out the plans and the models of the career-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who took 'career group counselling' class were remarkably improved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s. All the career-guidance process should be planned and then managed only after oneself deeply understand about him/herself and his/her job. The personal or group counselling method should be applied to help the student group, who wants to learn and understand more about themselves and who feel insecure about irrelevancy in between their major and aptitude result and lastly who were experiencing the instability and under lots of stress in regards to decision making ability and employment.

      • KCI등재

        기계학습을 이용한 재실자 상태 인지를 위한 환경 데이터 기반 Classification 알고리즘 비교 연구

        윤영란(Young Ran Yoon),김선호(Sun Ho Kim),문현준(Hyeun Jun Moon) 한국생활환경학회 2018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n occupant status detection model by using indoor environmental data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CO₂, noise, lighting power energy usage, etc. This study tested various classification algorithms (i.e., Support Vector Machine(SVM), K-Nearest Neighbor(KNN), Decision Trees(DT)) which are one of machine learning methods. We defined the occupant’s state as ‘Away’, ‘Active’, and ‘Inactive’, and tried to classify the status of the occupant by learning environmental data as prediction variables.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model were identified and the accuracies of predi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lgorithm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variables influencing the occupant status detection were the lighting electricity energy consumption and CO₂ concentration.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by combining these two variables, we can implement an occupant status detection model with a prediction accuracy of 92%.

      • 친환경 건축 자재에서의 온도 변화에 따른 곰팡이 발아 및 성장에 관한 실험 연구

        윤영란(Yoon Young-Ran),문현준(Moon Hyeun-Jun),박진우(Park Jin-Woo)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Recently, new build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to response Sick Building Syndrome(SBS). These new materials are recognized as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materials, since they are able to reduce emission of harmful chemical gases,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Formaldehyde by using natural/organic materials. However, the risk of mold growth on these materials may increases due to nutrients in the new materials. In order to understand mold phenomenon correctly, the relationship between mold germination (or mold growth rate) and components of building materials should be established. This study shows the relationships among temperature, mold germination, and growth on wall papers and building materials. The experimental study reveals that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 materials can facilitate mold germination and growth.

      • KCI등재

        입주세대별 에너지 사용 요인 기반 가우시안 프로세스 예측 모델 개발

        윤영란(Yoon, Young Ran),문현준(Moon, Hyeun Jun)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6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10 No.2

        Forecasting of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 is crucial for energy efficient control in the operation stage. By using multi-variate approach in energy performance prediction, we can characterize building energy usage with a few available variables. The selection of variables in the prediction model is important for an accurate evaluation.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applied the variables related to building operation for predi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 So, in this study we propose a prediction model using energy use factors: occupant schedule data, operation data, equipment data to remove the impact of other variables on building performance; climate, usage and building envelope. This study reports the prediction model to estimated in January electricity consumption of each tenant in office buildings by using Gaussian process (GP) mode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26 variables related on building operation for 1,027 tenants in 13 offices in Seoul. The results show that the GP model using variables related to operation provides an accurate prediction and a low error. This study also established a method to identify a combination of variables that could make a more accurate estimation of energy consumption.

      • KCI등재

        시간 단위의 M&V 베이스라인 구축을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 건물에너지 예측 모델의 성능 비교

        윤영란(Young Ran Yoon),이명훈(Myeung Hun Lee),문현준(Hyeun Jun Moon) 한국생활환경학회 2018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5 No.5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simple regression monthly baseline method, we developed an hourly baseline model for M&V based on prediction models with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is paper evaluated three data-driven energy models used to predict building electricity energy consumption: K-nearest neighbor (KNN) model, Random Forest (RF)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As a result, CVRMSE is about 10% in all three mode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NN is superior to the KNN or RF in terms of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energy consumption pattern in which the energy consumption is rapidly fluctuated with time.

      • KCI등재

        대학생의 핵심역량함양을 위한 교양필수교과목 수업에 대한 효과 분석

        윤영란(Young-Ran Yoo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ore competence curriculum essential to the university designed by the team-based learning,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teaching method of TBL (Team-based Learning) The effect of the class was on 104 students of S university in Seoul who took the core competency core course. The results were derived by comparing the lecture class with the team based class. Classes were self - development competence subjects and effects were analyzed by career identity test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lasses designed for team - based learning were more effective than lecture - based classes for core competency core courses.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suggestions for the core competency curriculum classes. Core Competence Mandatory Curriculum Classroom instruction should be based on team-based instruction. In other words, the TBL teaching method, which was conducted by the students themselves rather than the one-sided lecture class, was conducted by discussing with the team members and participating in team teaching and team-based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내 핵심역량 교양필수교과목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로 최근 혁신교 수법으로 소개되고 있는 TBL(Team-based Learning) 교수법에 대한 효과분석 연구이다. 수업의 효과는 핵심역량 필수교과목 수업을 수강한 서울소재 S대학교 104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업은 강의식 수업과 팀기반 수업을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수업은 자기계발역량 과목으로 효과는 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학 내 핵심역량 교양필수교과목 수업은 팀기반 학습으로 설계된 수업이 강의식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이를 중심으로 핵심역량 교양필수 교과목 수업 운영에 대한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핵심역량 교양필수 교과목 수업의 방법은 팀에 기반을 둔 수업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교수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학생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팀수업에 참여하고 팀기반으로 활동하면서 팀원들과 토의와 토론으로 진행한 TBL 교수법은 핵심역량 교양필수 교과목수업의 방법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윤영란 ( Young Ran Yo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문화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고등학생의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의 남?여 고등학생을 선정하여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의 변화가 진로와 전공선택에 대한 확신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본인의 욕구와 현실에 대한 적절한 타협을 잘하는 고등학생일수록, 자신의 진로선택과정을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고등학생일수록 진로를 결정하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의 변화가 교육과 진로미결정의 전제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결과 진로선택을 독립적으로 하는 고등학생일수록,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는 고등학생일수록, 자신의 진로선택에 대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고등학생일수록, 진로결정에 필요한 본인의 이해를 잘 하고 있는 고등학생일수록 진로미결정의 전제조건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시기의 바람직한 진로정체감 형성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진로정체감 형성이 잘 되어 있는 고등학생 일수록 진로에 대한 결정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reer identity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in an attempt to help provide better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for teens to make a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 in a rational manner.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he career identity in high school students might have an impact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70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Hypothesis that the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might affect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e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Those who had a better career identity made a higher- level of decis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career identity had a lot of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erefor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a career development process should be assisted to make the right choice of major before they go onto college. To make it happen, the kind of educational climate that encourages them to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make a rational plan and make a proper preparation should be created, and they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get career counseling.

      • 대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분석 연구

        윤영란 ( Yoon Young R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문화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2006년도 S대학교 “여성과 직업개발”을 수강한 174명의 학생 중 “나의 직업 설계, 나의 직업세우기” 보고서를 작성한 155명의 보고서를 개별적으로 분석한 연구로 연구자가 학생들의 보고서에서 얻은 내용을 중심으로 질문지를 작성하여 학생들의 자유반응을 작성한 질문형식에 연구자가 답을 적어 다시 분석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진로정체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자기가 누구인지 성격이 어떠한지 자신이 잘하는 것은 무엇인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자기가 어떤 일을 할 때 몰입을 하는지 등 자기정체성에 상당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인생의 목표나 미래에 대한 생각들도 심각하게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현실에 충실하고자 대학생활을 성실히 하고 학점을 관리하는 등의 비교적 계획적이지 못한 자세로 입하고 있다. 두 번째, 대학생들은 실제적으로 직업을 선택했더라도 직업에 대한 준비는 상당히 미흡한 편이었다. 직업을 고를 때도 장기적인 안목에서 미래나 인생목표에 맞추어 직업을 고르기 보다는 졸업 후 당장 취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근시안적인 관점에서 직업을 선택하고 직업에 대한 준비도 막연하게 학점이나 자격증이나 영어 등에 몰두할 뿐 구체적으로 준비를 하고 있지 못하다. 진로선택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인한 의사결정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진로를 선택해야 하는 시점에서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 진로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었고 쉽게 정보를 찾으려고 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직접 찾아가서 알아보고 경험해보고 하는 일들을 상당히 기피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 번째, 대학생들은 직업선택에 부모에게 상당부분 의존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부모의 지시에 따라 학습하는 습관이 몸에 배에서 학습에 대한 계획이나 진로에 대한 계획, 선택 등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서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성항이 나타났다. 네 번째, 대학생들은 진로관련교과목이 진로에 대한 생각이나 막연하게나마 꿈꾸고 있던 것들을 글로 정리해보면서 확실하게 정리할 수 있었던 경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현재 자신의 전공은 대부분 성적이나 능력에 맞추어서 진학하였고 자신의 전공에 자신의 적성과 잘 맞지 않는 경우에도 새로 전공을 시작하기에는 3,4학년이라는 학년이 상당히 부담감으로 다가오기 때문에 쉽게 전공을 찾아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1.2학년들은 진로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있지도 않고 생각하고 싶어 하지는 않았다. 다만 학점관리와 꾸준한 영어공부를 하다보면 진로가 보일 거라는 막연한 생각들을 가지고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such as the career recognition, the problems of career research and the limits of career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I looked into 155 student's reports about 'my job plan', 'my career setup' which took 'Woman and Career Developing' course among 174 students at S university in 2006.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I surveyed the general recognition and preparation about 'career', 'career choice', 'career obstacle', 'career decision-making'. Based on the reports, statistically, I made questionnaires which are very important, I answered them case by case, I reanalyzed all the questionnaires. I summarized this study in major factors. 1) Self-Identity and Career-Identity: University students don't establish self-identity regarding 'who they are', 'what kinds of personality do they have', 'what do they like', 'what kinds of works do they stay focused'. 2)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Actually, if they choose career, career preparation is not sufficient. they don't choose the career under the long-term view or life-time plan. After graduation, they get career quickly under the short-term perspective, and they only focus on credits, certification, English. 3) Career Performance A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 As for the career decision, students depend on their parents, they don't likely solve the problems such as 'study plan', 'career plan'. 4) Curriculum Satisfaction and Major Agreement: It says that much experiences move up their wide network of the career concept, according to their scores and abilities, most of the students choose their majors, even if majors don't fit for them perfectly, they feel so burdened to change their maj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