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과정 만족도 및 강의 선택 관련 요인 분석

        유기웅(Ryu Ki-ung),신원석(Shin Won-su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5

        Studies on general education have been performed using a broad perspective or have focused on the stance of the university offering it. Little research, however, has been done on how students select courses for general education and their consequent satisfaction.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with and the selection of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is study considered th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the composition and formation of genera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strategies, individual achievement, and college facil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courses for general education wa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strategies, from amo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strategies, individual achievement, and college facilities. In addition, within the composition and formation of genera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strategies, individual achievement, and college facilitie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found to be the composition and formation of general education. In addition, as reported in SEM analysis,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the selection of courses. 대학의 교양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은 교양교육에 관해 주로 거시적인 접근에서 이루어지거나 교양교육을 제공하는 대학의 입장에서 이루어져 온 반면, 실제로 학생들이 교양교육과정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와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을 진행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과정의 만족도와 강의 선택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4년제 대학 재학생들의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관련된 요인으로 교양교육과정의 편성 및 강좌 구성,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개인의 능력신장, 지원시설 등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강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정된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개인 능력 신장, 지원 시설 중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양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설정된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강좌 구성,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개인의 능력신장, 지원 시설 중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강좌 구성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조모형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강의선택기준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인적자원개발 연구동향 분석: 최근 10년(2004-2013) 간 AHRD 학술지를 중심으로

        유기웅 ( Ki Ung Ryu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4 HRD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미국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AHRD)에서 2004년부터 2013년 사이에 발간된 네 개의 전문 학술지,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에 게재된 논문의 분석을 통해서 최근 10년 간 HRD 관련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HRD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총 956편의 학술 논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영역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최근 10년 동안 어떠한 주제의 논의가 주로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연구수행에 활용된 연구방법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연구주제 영역별로 적용된 연구방법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장 빈번하게 연구되고 있는 주제는 조직개발, 훈련개발, HRD 이론정립, 글로벌 HRD 영역인 반면, 수행/성과, 테크놀로지, 전략적 HRD 영역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동향분석을 해 본 결과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로 다른 연구방법에 비해 거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양적 연구, 질적 연구, 그리고 실천적 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네 개의 학술지는 각각 고유의 성격이 있어 학술지에 실리는 논문의 성격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결과 해석에 있어 주의를 요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HRD 연구의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reviews the research trends published in four journals of the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rom 2004 to 2013. The four journals this study reviewed are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The total 956 articles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criteria: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and topic- and method-related differences in its journals. The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re have bee a variety of topics relating HRD theory and practice, the topics related to organization development and training and development are more frequently discussed than the themes of performance, technology, and strategic HRD. The results also show that conceptual analysis is prevailing research methods for conducting research follow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research topics and methods with each four journal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지역사회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정희(Song, Jung-Hee),유기웅(Ryu, Kiung)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 학습공동체의 특성을 파악하고 참여자의 학습경험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신도시 지역에서 진행되는 ‘자연과 건강’ 학습모임에 참여한 전업주부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이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 학습공동체는 일상을 웰빙타임으로 만들고, 상생하는 공간이며,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의 의미는 ‘일상 시간 창조하기’, ‘마음 웰빙 경험하기’, ‘생활의 웰빙으로 나아가기’로 범주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 학습공동체가 참여자들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 다양한 현장에서의 학습공동체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community and explore the study experience of participa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5 housewiv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group ‘nature and health’ which located in new town in Gyeong gi province. The study has employed a qualitative stud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arning community is well-being time in everyday life and has a characteristics of co-existence in space. The meaning of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can be categorized into ‘creating time in everyday life’, ‘experiencing well-being of mind’ and ‘progressing toward well-being of life’. Consequentl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articipants are found to be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learning community. For further studies, it seems necessary to carry out observations of diverse learning communities. keyword: community, learning community, psychological well-being community mental health.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선행경험으로 인한 학습방해 과정에 관한 연구

        전신영(Shin-young Jeaon),유기웅(Kiung Ryu)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성인교육에 있어 많은 학자들이 성인학습자의 풍부한 경험은 교육의 매개체이자 학습의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오히려 성인학습자의 축적된 풍부한 경험이 새로운 학습을 방해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의 선행 경험으로 인한 학습방해는 어떤 과정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그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적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 10명을 선정하고 심층면담으로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행경험으로 인한 학습방해 과정의 중심현상은 익숙한 것을 선택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는 관성의 법칙이 작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성인학습자의 경험의 질량이 클수록(경험이 풍부할수록) 현재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관성력)이 강해지며 ‘외부적 힘’의 크기에 영향을 받아 익숙한 것을 선택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일부만 받아들여 부분적 변화를 시도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Although the scholarly and empirical literature on experience and learning in adulthood has grown in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focus has mostly been on the positive connection between experience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adult learners’ experiences negatively influence their learning. Specifically, the study was to examine how some experiences do not lead to learning for adult learners. Data were collected primarily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en adult learners. The results reveal that adult learners experienced resistance to learning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s. The resistance to learning is proportional to how much adult learners have had experience on the subjects.

      • KCI등재

        경력단절을 경험한 고학력 여성 프리랜서 평생교육 강사의프로티언 경력 개발 과정 탐색

        신경주 ( Kyungjoo Shin ),유기웅 ( Kiung Ry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학력 경력 단절 여성 평생교육 프리랜서 강사의 프로티언 경력 개발 과정을 탐색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9명의 강사를 이론적 표집에 의하여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방법에 기초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의 성장욕구는 프로티언 경력 개발의 직접적인 동기로 작용하였고, 강사 활동을 통해 삶의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깨달았다. ‘진정성 있는 강사 되기’라는 당면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반성적 성찰과 자기주도 학습에 매진하면서 내면적 갈등과 위기상황을 극복하였고, ‘자기 주도적, 이타적 삶의 실천ㆍ지속 및 사회적 전파ㆍ공유’라는 심층적 결실을 이끌어내었다. 본 연구가 프로티언 경력 개발 전략의 사회적 확산을 위한 유효한 지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protean careers as freelance instructors for lifelong education of highly-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9 instructors were selected by theoretical sampling. Using in-depth qualitative interviews to collect data and grounded theory methods to analyze 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sire for growth of participants served as a direct motive for protean career development, they newly realized the value and meaning of life. They overcame internal conflicts, crisis situations and achieved the immediate task of ‘becoming an authentic instructor’ by refle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y drew in-depth fruit of ‘practice, continuation and social dissemination, sharing of self-directed, altruistic lif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valid guide for social diffusion of protean career development strategy.

      • KCI등재

        Q방법을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윤동현(Dong-Hyun Yoon),유기웅(Ki-Ung Ryu)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을 도출하고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 30명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대한 인식유형은 총 3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유형Ⅰ의 ‘자기주도적 경력비전 성취형’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함으로써 행복을 느끼고 직무에 대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유형Ⅱ의 ‘경제적 자유와 안정 지향형’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는 경제적 자유와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것을 희망했다. 유형Ⅲ의 ‘능력중심 업적 달성 추구형’은 자신의 직업 잠재능력을 최대치로 발휘해 고용시장에서 시장가치와 고용가능성을 높게 평가받길 원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경력성공에 관한 인식은 첫째, 인식유형별로 뚜렷한 차이점과 특성이 존재한다. 둘째, 경력성공의 다차원적 영역을 고려하고 있다. 셋째, 경력성공 인식차원 중 독립적 근로, 평생직업, 사회적 기여는 2개 이상의 인식유형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의 유형별 특성에 적합한 경력개발 프로그램과 커리어코칭 서비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 workers perceptions of career succ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30 Millennial workers in Korea were analyzed using the Q methodology, and a total of three types of perception of the career success of millennial workers were derived. Type I s ‘self-directed career vision achievement style’ considered it important to feel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with accomplishment in the job by doing what they like. Type II s ‘economic freedom and stability oriented focus’ hoped to maintain economic freedom and a stable life to live the way they wanted. Type III’s ‘capacity-centered achievement pursuit model’ wanted to be highly valued for the market value and employment possibility in the job market by maximizing their own potential. The conclusions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in millennial workers career success by the type of self-perception. Second, multidimensional areas of career success should be considered. Third, among the perception dimensions for career success, independent work, lifelong educ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are negatively recognized in two or more recognition types. Finally, this research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support career development programs, career coaching services, an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 workers.

      • KCI등재

        교권(敎權) 관련 연구 동향 분석:최근 10년(2011-2020)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임정미(Im, Jeongmee),유기웅(Ryu, Ki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등재된 교권(敎權)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교권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술 논문 중 교권 관련 연구 총 77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시기별 분석을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주제는 총 7개 대주제로 분류되었는데 그 중 교권의 개념, 교권에 대한 인식, 교권침해에 대한 연구가 전체의 74%를 차지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의 순으로 연구되었다. 연구대상은 교사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특히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시기별로는 2011년부터 매년 3~9편이 꾸준히 연구되었으며, 2020년에는 연구 논문 수가 16편으로 급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내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주제 측면에서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에 대한 연구 증가,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 연구 증가, 교권침해 분야에서 피해교원의 경험 위주의 연구, 교권에 대한 교육학 분야의 이론 연구가 부족하다. 둘째, 연구방법 측면에서 연구방법의 다원화 추세, 인식 연구의 양적 연구 편중화, 변인을 탐색하는 연구가 부족하다. 셋째, 연구대상 측면에서 교권 주체로서의 교원에 대한 외연의 확장, 특수교사의 교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헌법이론적 관점에서 초·중·고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의 제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며, 정치적 기본권 제한이 교사의 정체성과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누리과정을 운영하는 보육교사의 자격요건을 강화하고 교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학 분야에서 교권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draws implication and identifie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teacher s right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teacher s rights and authority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year 2011 to 2020. For this purpose, content analysis was implemented through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and analysis by time period on 77 total studies on teacher s right among academic paper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them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main topics total and among the topics, 74% of the total were researched on the concept of teacher s rights, awareness of teacher s rights, and violation of teacher s rights. Literature review,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arried out in order as the research method. Studies on teachers were conducted the most as research subjects, and studies are increasing especially on childcare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As for the analysis by time period, 3~9 journals have been studied each year steadily since year 2011, in year 2020 the number of studies surged up to 16 journal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are discussed. First, in terms of research theme, studies increased in ensuring teacher s political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increased in awareness on teacher s right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also the studies are focused on teacher s experience of harm in the area of violation on teacher s right and there is shortage in theoretical studies of teacher s right i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 there are diversification trend in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bias in research of awareness and lack of research exploring variables. Thir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expanding the exterior of teachers is necessary as they are the subject of teacher s right and studies are needed on teacher s righ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his study s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constitutional theory perspective, reconsideration of the restrictions on the political fundamental human righ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ies on the impact of teacher s identity and educational activities from the political fundamental human rights restriction are needed. Second, strengthen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childcare teachers who administers the Nuri curriculum and basic studies to protect the teacher s right are needed. Third, various studies on teacher s righ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평생교육 교수요목에 기반한 평생교육개론 내용 분석

        유예인(Yu, Yein),유기웅(Ryu, Ki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4

        개론서는 학문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지식 및 최근 동향을 다루기 때문에 학문 후속 세대 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학 개론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평생교육 개론서들이 평생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학 개론서 15권을 선정하고 평생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교수요목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대상인 평생교육학 개론서들은 입문서로서의 요건을 충실히 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저자의 관심과 성향에 따라 강조점을 두고 있는 내용이 약간씩 달랐다. 셋째, 연구대상인 평생교육학 개론서들은 평생교육자의 직업윤리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았다. 넷째, 평생교육 제도와 정책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모호하여, 개론서마다 평생교육 제도 및 정책 내용이 혼합되어 있었다. 다섯째, 연구대상인 평생교육학 개론서들을 출판 연도별로 비교했을 때 개론서 내용에 차이는 없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평생교육학 개론서 개편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introductory books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A total of 15 introductory books were chosen for the purpose of analysis. Results from the introductory books are indicated as follows: a) the introductory books contain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lifelong education; b) there are differences in contents based on the author’s major interests and viewpoints; c) the professional ethics of lifelong educator is not included in the introductory books of lifelong education; d) the boundary between education system and policy is ambiguous; e) no content difference on introductory books by years were fou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영업사원의 성과향상을 위한 관리자의 피드포워드(Feedforward) 제공 경험 탐색

        김진영(Jin-Young Kim),유기웅(Ki-Ung Ryu)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202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to help managers bring about change through the behavior of salespersons by using feed-forward, a new approach to performance improvement.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experiences of 7 sales managers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and the stories of providing feed forwar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frequent and diverse communication, the salesperson's strengths were found and the speed of work conversion and growth was increased. Second, empathy was given with sincere praise for rational performance, so that they could focus on their future potential and motivated them on their future direction. Third, the influence of bringing about change through the delegation of managers was emphasized so that salespeople could take the initiative in handling their own business by putting their knowledge into action. Fourth, various strategies were conceived and practiced in order to keep all possibilities open and expand thoughts so that the message about goal achievement would not be one-sided and oppressive. Fifth, for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in sales, we focused on building sales stamina so that sales staff can experience a lot of success experiences so that they can immerse themselves in follow-up opportunities with confidence. Sixth, in the course of sales activities, we utilized an approach to seek growth through cooperation by utilizing all the people and resources involved, and to make a breakthrough in the event of an issue by realizing that we are a partner. 본 연구에서는 성과향상을 위해 새로운 접근방식인 피드포워드를 활용하여 관리자가 영업사원의 행동을 통해 변화를 끌어내도록 돕기 위한 경험들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3년 이상 경력을 가진 영업관리자 7명의 성과향상 경험과 피드포워드 제공 이야기를 중심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번하고 다양한 소통을 통해 영업사원의 강점을 찾아 일의 전환과 성장 속도를 높였다. 둘째, 합리적 성과에 대해 진정성 있는 칭찬으로 공감을 주어, 미래 잠재력에 집중하게 하고 나아갈 방향에 대해 동기부여를 해주었다. 셋째, 영업사원들이 지식을 행동으로 옮겨 스스로가 주도적인 업무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관리자의 위임을 통해 변화를 끌어내는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넷째, 목표 달성에 대한 메시지가 일방적이고 억압적이지 않도록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생각이 확대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상하여 실천하였다. 다섯째, 영업에서 가장 중요한 성과를 위해 성공 경험을 영업사원들에게 많이 경험하게 하여 자신감을 갖고 후속 기회에 몰입할 수 있도록 영업 체력을 만드는 데 집중했다. 여섯째, 영업활동 과정에서 관련된 모든 사람과 자원을 활용하여 협력을 통해 성장을 모색하고, 파트너라는 사실을 실감하게 하여 이슈 상황이 발생 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는 접근방식으로 활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