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육성 주요 고구마 품종의 큐어링 처리에 따른 저장성 차이

        유경단,이형운,남상식,황엄지,양정욱,나라얀 찬드라 폴,이경보,고산,강용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30 No.1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storage roots are subjected to postharvest losses because of improper handing and other factors. Some wounding inevitably occurs during postharvest handling of sweetpotato, and it causes decay and weight loss of storage roots during storage. Curing of sweetpotato storage roots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of reducing the risk of postharvest infection and deca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torability in sweetpotato varieties bred by NICS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Korea according to curing treatment and storage period. Most of the sweetpotato varieties were considered to be possible to store for 30 weeks safely when curing process was treated. In 'Hogammi', 'Pungwonmi', 'Singeonmi', and 'Juhwangmi' varieties, decayed storage root weight of no-curing treatment was 20% higher than that of curing treatment. These varieties appeared to require curing treatment for long-term storage. The effect of curing treatment on the decay and weight loss of sweetpotato storage roots showed differences by varieties and storage period. We suggest that the curing method is an important factor to storage sweetpotato for longtime, and which would help farmers to storage sweetpotato safely and reduce the risk of economic loss. 1. 본 연구는 고구마의 큐어링 처리 및 저장기간에 따른 품종별 저장성 차이를 조사하여 품종별 적정 저장 조건을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수확된 고구마는 온도 32±1oC, 상대습도92±3% 조건에서 3일간 큐어링 처리를 실시하였고 대조구와함께 13±1oC의 저장고에 30주간 저장하였다. 2. 저장 기간에 따른 부패율 및 감모율은 품종별로 큐어링처리 여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대부분 품종에서 큐어링 처리구의 부패율과 감모율이 낮게 나타났다. 품종별로는‘호감미’, ‘풍원미’, ‘신건미’, ‘주황미’가 장기저장을 위해서 큐어링 처리가 필요한 품종으로 나타났으며, ‘다호미’, ‘연자미’ 품종은 큐어링 처리 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큐어링 처리 여부에 따른 부패율 차이가 없었던 ‘다호미’, ‘연자미’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은 감모율 조사에서도 큐어링 처리가 장기 저장에 더 유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호감미’ 품종의 경우 저장기간별 부패율 및 감모율을 예측하고 조수입을 계산하였을 때 큐어링 처리 시에는 조수입이증가하였으나 큐어링 무처리 시에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조수입이 감소하였다. 5. 따라서 이러한 품종별 저장성 차이를 고려하여 각 품종에 맞는 수확 후 관리 및 적정 출하시기를 예측하는 것이 고구마 저장성 증대 및 농가 소득 향상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초본계 농업부산물 바이오매스의 저장방법 및 저장시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유경단,나한별,안기홍,구본철,안종웅,문윤호,차영록,윤영미,양정우,최인후 韓國作物學會 2013 한국작물학회지 Vol.58 No.3

        농업유래의 바이오매스 중 볏짚의 저장형태와 저장기간에 따른 수분함량 변화와 바이오매스의 화학적 성분 변화를분석함으로써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원료의 최적 저장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1. 볏짚의 수분함량 변이를 측정한 결과 실내에서 보관한사각곤포 및 원형곤포는 약 20 ~ 25%의 수분함량을유지하였으며 실외에서 보관한 비가림 시설을 도입한사각곤포의 경우 20%이하의 낮은 수분함량을 확인하였다.2. 볏짚의 화학적 성분의 변이를 분석한 결과 실외보관곤포는 cellulose 및 hemicellulose의 함량이 큰 폭으로감소하였으나, 실내에서 보관한 곤포들은 비닐원형곤포를 제외한 나머지 집속형태에서는 오히려 성분의 함량의 증가를 확인하였다.3. 볏짚을 장기간 보관할 때에는 외부환경을 차단할 수있는 실내에서 보관하거나 부득이하게 실외에서 보관할 때 최소 비가림 시설을 도입하여 수분함량 및 화학적 성분의 감소를 최소화해야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고품질의 원료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ne of the abundant biomass for bioenergy production is thought to be agricultural by-products produced ann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of the moisture contents and chemical compositions for storage periods and bale types of rice straw, and it wa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The bale types of rice straw which were harvest in October 2011, were the square bale, the round bale, and the wrapped round bale type with plastic, respectively. Each of bale were stored in house, outdoor, and rain sheltering facilities condition for 1 year. The moisture contents and chemical compositions for each bale type are investigated for the 3-storage stages (0, 6, 12 month). While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square and round bales stored in house condition were ranged from 20 ~ 25%, the square bale stored under the rain shelter facilities was showed the lowest moisture content less than 20% during the storage periods. For the chemical compositions, the cellulose and hemicellulose contents of rice straw bale stored in outdoor condition were decreased with the storage periods. However, in house conditi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square and round bales were slightly increased at the middle and the end of storage stages (6 and 12 months) compared with the initial storage stage (0 month). In conclusion, while optimum and favorable storage conditions of agricultural by-products is a house storage of the bale with plastic, if the bale can stored at outdoor, water penetration prevention such as the rain shelter facilities is required.

      • KCI등재

        끝순 채소용 고구마 우수 품종 선발

        유경단,이형운,남상식,정미남,고산,황엄지,이승용,박진천,한선경,이임빈 한국육종학회 2020 한국육종학회지 Vol.52 No.4

        In order to select sweetpotato varieties with excellent tip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the appearance, yield, and functionalcompounds in 32 domestic sweetpotato varieties.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the total production of sweetpotato tips among the differentvariety ranged from 1,780 to 9,923 g/m2, with that of the Gogeonmi variety being the highest. The lutein content among varieties rangedfrom 21.7 to 47.0 mg/100 g and was highest in the Juhwangmi variety, whereas the ß-carotene content ranged from 25.5 to 183.4 mg/100g and was highest in the Hayanmi varie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ranged from 30.7 to 74.4 mg CAE/g, and it was high in the Pungwonmi,Daeyumi, and Dahomi varieties at 74.4, 73.8, and 72.9 mg CAE/g, respectively, where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ips rangedfrom 88.6% to 91.6%, with Gogeonmi and Healthymi showing the highest value of 91.6%.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tobe lowest in the Yeonjami variety at 86%, whereas the remaining 31 varieties showed values in excess of 96%. ABTS radical scavengingactivity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polyphenol content.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we identified Juhwangmi with highlutein content, Hayanmi with high beta-carotene content and high yield, and Gogeonmi with hi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ighyield, as being suitable varieties for tip cultivation. We anticipate that these sweetpotato varieties with excellent tip characteristics will beused as parents for the breeding of varieties for vegetable use.

      • KCI등재

        국내 자생 억새를 가해하는 이화명나방의 방제 처리 효과

        유경단,이지은,장윤희,문윤호,차영록,송연상,이경보 한국잔디학회 2016 Weed & Turfgrass Science Vol.5 No.4

        Miscanthus are perennial rhizomatous grasses and considered as an ideal cellulosic bioenergy crop.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Miscanthus was damaged by the larvae of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one of the most destructive pests of rice in Korea since the 1960s. This study was thu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secticidal effects against rice stem borer in the Miscanthus cultivation fields for two year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chemical agent plots, one environment-friendly agent plot, and untreated plot. Untreated plot showed significantly high damage of 50%, while Buprofezin·Tebufenozide and Carbosulfan·Methoxyfenozide treatment plots showed low damage rate of 2% with low larvae density of 1 and 2.3 larvae m−2, respectively. Damage rates of Tebufenozide, ChlorantraniliproleIndoxacarb, and environment-friendly agent(MatrineWood vinegar solution) were 15, 26, and 18%,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that of untreated plot but higher than those of Buprofezin·Tebufenozide and Carbosulfan·Methoxyfenozide. In conclusion, rice insecticides were effective against rice stem borer in Miscanthus field. In particular, the treatments with Buprofezin·Tebufenozide and Carbosulfan·Methoxyfenozide showed excellent control effects with control value of 93.3 and 95.2. However, further studies with different types of insecticides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selection of insecticides with more effective control of rice stem borer. 본 연구는 바이오에너지작물인 억새 포장에 발생하는 이화명나방의 효과적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전남 화순의 억새 포장에서 2014년-2015년 2년 동안 이화명나방의 월동 유충 밀도와 억새의 생육, 벼용 살충제의이화명나방 방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억새 포장에 발생하는 이화명나방의 월동 유충 밀도는 2014년보다 2015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역별로는 2014 년 무안 0%, 화순 6%, 산청 5%, 2015년 무안 1%, 화순 3%, 산청 3%로 유충밀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월동 유충의 밀도가 높게 나타난 화순 포장의 억새는 1화기 및 2화기 유충 발생 시기인 6-11월까지 초장, 줄기 굵기, 엽수 등에서생육 저하 등의 피해가 나타나지 않아 유충이 속대를 가해하는 것이 억새 생육에는 큰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속대 가해 후 강풍으로 인해 줄기 부러짐 피해가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벼용 살충제의 처리는 억새 포장발생 이화명나방의 밀도 감소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그 중뷰프로페진• 테부페노자이드수화제와 카보설판 • 메톡시페노자이드수화제의 방제가가 93.3, 95.2로 이화명나방 방제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거대 1호’ 억새 화기 분화조직으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재분화 조건 확

        유경단,안종웅,문윤호,차영록,윤영미,안기홍,양정우,최인후 한국육종학회 2014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4 No.07

        억새(Miscanthus spp.)는 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C4 식물로 국내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이 다.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거대 1호’는 4배체 물억새로 초장 및 경태 등이 일반 억새의 두 배 크기로 탁월한 건물 생산성을 보여 유망한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대 1호’의 미성숙 화기를 이용한 안 정적인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여 대량증식 및 분자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 다. 재료는 억새의 2mm 이하인 미성숙화기를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재료는 70% EtOH로 2분, 0.45% NaOCl으로 20 분간 표면살균 후 미성숙화기의 정단부위를 실체현미경 하에서 적출 후 사용하였다. MS배지에 2,4-D(Auxin)와 BA(Cytokinin)를 각 농도 별로 첨가하여 캘러스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2,4-D 5 mg/L와 BA 0.1 mg/L를 혼합 처리한 배지에서 가장 높은 캘러스 유도율을 나타내었다. 유도된 캘러스로부터 신초 재분화를 위해 MS 배지에 NAA와 BA, 2,4-D와 BA 등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NAA 1mg/L와 BA 1mg/L이 첨가된 MS 배지와 5 mg/L BA와 0.1 mg/L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 각각 15.4, 15.2 %의 신초 재생율을 보였다.

      • KCI등재

        미성숙 화기를 이용한 ‘우람’ 억새 식물체 재분화

        유경단(Gyeong-Dan Yu),장윤희(Yun-Hui Jang),김정일(Jeong-Il Kim),이지은(Ji-Eun Lee),안기홍(Gi Hong An),문윤호(Youn-Ho Moon),차영록(Young-Lok Cha),최인후(In-Hu Choi),안종웅(Jong Woong Ahn),구본철(Bon-Cheol Koo),이경보(Kyung-Bo Lee) 한국육종학회 2015 한국육종학회지 Vol.47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al conditions for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using immature inflorescence of M. sacchariflorus cv. ‘Wooram’, a bioenergy crop selected in Korea. Callus induction rate was the highest (93.3%) in MS medium containing 3 mg L-1 2,4-D, and 86.7% in MS medium containing 3 mg L-1 2,4-D combined with 0.1 mg L-1 BA. Plant regeneration rate was high when the calli derived from the medium containing BA was used, as compared with those derived from the BA-minus medi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um conditions containing 5 mg L-1 BA combined with 0.1 mg L-1 NAA was the most effective in plant regeneration of which the rate reached 86.7%. The regenerated shoots were separated from the calli and roots over 3 cm were developed from the shoots after 4 week culture on basal MS medium without supplementation. The plantlets were then transferred to soil and cultured in greenhouse. After 5 weeks, the plants with the height of at least 20 cm were successfully acclimatized.

      • 미성숙화기를 이용한 ‘우람’ 억새 식물체 재분화

        유경단,장윤희,안종웅,최인후,문윤호,차영록,이지은,안기홍,이경보 한국육종학회 2015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5 No.07

        억새(Miscanthus spp.)는 화본과 중 광합성 효율이 높은 C4 식물군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가 원산지인 대표적인 바이오에너지 원료작물이다. 억새는 주로 지하경을 이용하여 번식하여 왔으나 지하경을 이용한 번식은 유전형은 유지할 수 있으나 우량 품종 개발에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조직배양기술은 유용 자원을 이용한 돌연변이 육종과 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한 신품종 육종을 위한 기반기술로 활용 될 수 있어 바이오매스의 확보측면에서 유용하다. 국내 유망 바이오매스 자원인 억새의 신품종 육성을 위해서는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에 효율적인 조직배양 기술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선발한 ‘우람’ 억새(Miscanthus sacchariflorus cv. Wooram)의 미성숙 화기를 이용한 안정적인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확립하여 신품종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식물재료는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 내의 억새 재배포장에서 미성숙 화기가 5 mm 이하로 분화한 개체만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재료는 70% EtOH로 2분, 0.45% NaOCl으로 20분간 표면 살균하여 배지에 치상하였다. 미성숙화기로부터 캘러스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MS배지에 생장조절제인 3 mg L-1 2,4-D를 첨가한 처리가 캘러스 유도율 93.3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3 mg L-1 2,4-D + 0.1 mg L-1 BA를 혼합 처리한 배지에서도 86.6 %의 캘러스 유도율을 나타냈다. 이후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생 실험에서 3 mg L-1 2,4-D에 0.1 mg L-1 BA를 혼합 처리한 배지에서 유도된 캘러스가 3 mg L-1 2,4-D 처리 배지에서 유도된 캘러스보다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캘러스 유도에는 최종적으로 3 mg L-1 2,4-D + 0.1 mg L-1 BA 처리 배지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최적 생장조절제 농도에 대한 실험에서는 5 mg L-1 BA + 0.1 mg L-1 NAA 배지에서 재분화율 86.6 %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유휴 간척지토양에서 바이오에너지작물 거대 1호의 생육특성 연구

        엄경란,장윤희,안기홍,차영록,유경단,이지은,문윤호,안종웅 한국작물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0 No.3

        This study firstly provides basic data for selection of cultivatable bioenergy grass in barren reclaimed lands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experimental plots consisted of a plot containing reclaimed land mix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MSS 50), a plot covered by solidified sewage sludge (CSS 100), and an original reclaimed soil plot (ORS). The growth, biomass production of bioenergy grass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each experimental plot for 5 years. The organic matter (OM) and total nitrogen (T-N) content in both MSS 50 and CSS 100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in ORS. In bioenergy grasses,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showed an excellent growth and adaptability on reclaimed land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application of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provided soil nutrition in the reclaimed land due to the fact that bioenergy crops grew better in soils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an in untreated soils, and treated soils had higher OM and T-N content than untreated soils. This study suggests that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is the most suitable biomass feedstock crop for biomass production and that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be used as a soil material

      • KCI등재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유휴 간척지토양에서 바이오에너지작물 거대 1호의 생육특성 연구

        안기홍,장윤희,엄경란,유경단,이지은,차영록,문윤호,안종웅 한국작물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0 No.3

        This study firstly provides basic data for selection of cultivatable bioenergy grass in barren reclaimed lands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experimental plots consisted of a plot containing reclaimed land mix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MSS 50), a plot covered by solidified sewage sludge (CSS 100), and an original reclaimed soil plot (ORS). The growth, biomass production of bioenergy grass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each experimental plot for 5 years. The organic matter (OM) and total nitrogen (T-N) content in both MSS 50 and CSS 100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ose in ORS. In bioenergy grasses,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showed an excellent growth and adaptability on reclaimed land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application of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provided soil nutrition in the reclaimed land due to the fact that bioenergy crops grew better in soils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an in untreated soils, and treated soils had higher OM and T-N content than untreated soils. This study suggests that M. sacchariflorus cv. Geodae 1 is the most suitable biomass feedstock crop for biomass production and that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be used as a soil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