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예비특수교사의 연구수업 발문 유형과 특성 분석

        옥정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when the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k their students questions during the class. Ten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onstration class video clips are chosen for analysis during their practice at school. The analytical criteria are closed-headed, open-headed and managerial questions with the stemming categorization system proposed by Bloss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that the highest number of managerial questions is 80.3% during the class. 16.3% closed questions and 3.4% open questions follow after them. Second, the result of studying for class procedures is like this: in the introduction step, the management was 73.8%, the closed method was 20% and the open method was 6.2%. In the development step, the management was 82%, the closed method was 15.2% respectively. In the consolidation step, 76.8% of managerial headings, 18.7% of closed headings and 4.5% of open headings were in order. In conclus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current teachers. The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ighest number of managerial questions shows the fact that they lack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don’t have enough teaching experiences relatively. 이 연구는 중등예비특수교사의 교육실습 연구수업에서 발문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중등예비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실습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제수업 중 연구수업을 전사하였다. 분석기준은 Blosser가 제시한 발문 범주체계를 사용하여 폐쇄적 발문, 개방적 발문, 관리적 발문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중등예비특수교사들은 수업상황에서 관리적 발문을 80.3%로 가장 많이 하였고, 그 다음이 폐쇄적 발문 16.3%, 개방적 발문 3.4%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단계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도입단계에서는 관리적 발문 73.8%, 폐쇄적 발문이 20%, 개방적 발문 6.2%이었고, 전개단계에서는 관리적 발문 82%, 폐쇄적 발문 15.2%, 개방적 발문 2.8%였다. 정리단계에서는 관리적 발문이 76.8%, 폐쇄적 발문 18.7%, 개방적 발문 4.5%의 순서로 나타나 수업단계에 따른 발문유형 순서에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내 특수교육의 수업설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옥정달,유장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related to domestic special education from 2000 to 2014. A total of 18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opic, type of research, subjects and yea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first article about the instructional design was published in 2002. The most referred research topic was the relation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performance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Relatively, there was no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in integrated education classroom. The prevalent type of research were survey studies not experimental studies. Finally, the most targeted research subjects were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The instructional design was strongly emphasized in the school field. 이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수업설계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여 연구 현황 및 동향을 살펴보고 그에 관련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논문 분석 대상은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논문으로 총 18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은 연구문제에 따라 발표연도,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주제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단히 살펴보면, 발표연도에서는 2012년부터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4년부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었고, 연구방법 면에서는 실험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조사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다양한 연구방법의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은 현직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아, 수업설계가 특히 학교현장에서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주제에서는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요인관계에 따른 연구가 제일 많았으며 주로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져 통합 상황에서의 수업설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부모중심 말더듬기치료가 아동의 말더듬 개선에 미치는 효과

        옥정달,이규식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8 No.2

        The Effects of Parent Involvement in Stuttering Children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 말더듬 중재에 부모를 개입하였을 때 아동의 말더듬 빈도, 막힘의 지속시간, 수반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3세에서 6세사이의 남자아동 2명과 여자아동 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실험회기는 12회기였고, 부모개입의 프로그램 단계는 6단계였다. 그 결과 첫째, 말더듬 아동에 대한 부모개입이 말더듬의 빈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부모개입이 막힘의 지속시간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부모개입이 신체적인 수반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부모개입이 아동의 말더듬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 연구동향 분석

        옥정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 관련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왔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수업전문성 연구가 처음 시작된 2010년부터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2023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수업전문성에 관련된 2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발표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등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에 관한 연구는 2010년부터 시작되어 2022년까지 꾸준히 연구되어왔고, 수업전문성 관련 연구방법은 조사연구가 13편으로 가장 많았고, 질적연구 7편, 자문화기술지 4편, 개발연구과 문헌연구가 각각 2편씩이었다. 다만, 최근 2023년 상반기에는 수업전문성관련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대상은 특수교사, 중등특수교사, 초등특수교사, 초등특수교사와 일반교사, 통합교사와 일반교사, 특수학급교사, 특수교육관련전문가, 예비특수교사 등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주제는 수업전문성 향상, 수업전문성 영향요인, 수업전문성 분석, 수업전문성 인식, 수업경험, 수업전문성 탐구, 수업전문성 향상, 실천적 지식분석 등이었다. 이를 토대로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 연구의 동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28 papers related to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from 2010 to the first half of 2023. The analysis was based on criteria such as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op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consistently conducted since 2010 until 2022.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in teaching professionalism-related studies was survey research with 13 papers,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with 7 papers, consultation journals with 4 papers, and development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with 2 papers each. In the first half of 2023, there were no studies conducted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research subjects varied, includ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ollaboration with general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classrooms,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more. The research topics included enhancing teaching professionalism, factors influenc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nalysi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eaching experience, explora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mprov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practical knowledge analysi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rends in research o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중심 말더듬치료가 아동의 말더듬 개선에 미치는 효과

        옥정달,이규식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termine the effects of parent involvement in children who stutter in their early stage in terms of stuttering frequency, its duration and the secondary behaviors. The subjects were 2 male and 1 female preschool stutterers ranging from 3;5 to 6;2 years in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of the intervention brought about the effective reduction of the stuttering frequency. Second, the intervention of this study was effective to shorten the duration. Third, the intervention of this study was very effective to reduce the consequent physical behaviors, while the children whose parents were stuttering had the secondary behaviors such as the tension in the jaw muscle and hand meddling, the rest subjects only had a slight facial tension which could not be detected without closer observ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 말더듬 중재에 부모를 개입하였을 때 아동의 말더듬 빈도, 막힘의 지속시간, 수반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3세에서 6세사이의 남자아동 2명과 여자아동 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실험회기는 12회기였고, 부모개입의 프로그램 단계는 6단계였다. 그 결과 첫째, 말더듬 아동에 대한 부모개입이 말더듬의 빈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부모개입이 막힘의 지속시간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부모개입이 신체적인 수반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부모개입이 아동의 말더듬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및 활동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옥정달,유장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on arts and culture education related to the disabled from 2000 to September, 2018. A total of 28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these standards such as the method of research, the subjects of research, categories of disability and categories of arts and cultu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first article about arts and culture was published in 2006. The most referred research method was the documentary study. The qualitative study was the next and the survey study followed last. There were no research subjects in most articles. A few of them were the intellectual disabled and the mentally retarded. The prevalent type of research on arts and culture was the integrated stud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of arts and culture for the disabled.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2000년부터 2018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장애인에게 제공된 문화예술교육 및 활동에 관련된 논문 28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동향의 분석기준은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 장애영역, 장애유형, 연구방법, 문화예술교육 분야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 및 활동에 관한 연구는 2006년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2015년까지는 연구가 저조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하다가 2016년 들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질적 연구, 조사연구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자는 장애 구분 없이 복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지적장애, 정신장애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문화예술영역에서는 영역구분없음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는데,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문화예술교육의 역량강화 그리고 인식조사 등 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장애인의 문화예술교육이 문헌연구에서 실험연구로 확장되어 장애인의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 현장 기반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광범위하게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연극, 공예, 무용 등 다양한 영역에서도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장애인들의 문화예술 경험이 다양화 되도록 하며, 학교, 지역사회 등 다양한 기관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청각장애 대학생의 인공와우 착용에 대한 만족도 및 적응 실태에 관한 연구

        옥정달,윤병천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cochlear implant operation and its management through investiga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who took cochlear implants and their adaptation. For this study 21 students who had received cochlear implant operations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atisfaction consists of four topics hearing rehabilitation program, subject of operation decision, hear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cochlear implant operation. Most students rate as “average" in every item, especially they rate as "more average" in the over-satisfaction than under-unsatisfaction. Second, the students' adaptation to cochlear implants is like this. After receiving operations, most of them took hearing rehabilitation program and got trained once a week. The place for training was a treatment room in the hospital. It usually took less than 2 years or more than 5 years for them to be trained. Many of them says that they do not always use the cochlear implants. They use them whenever they need or they use them once in a while. Mainly their parents make a decision on the operation conducting, but they scarcely know about the operation procedure because of inadequate explanation. 71.4 percent of students answers that the cochlear implant helps them, but 28.6percent of them answers it doesn’t. In conclusion, the cochlear implant is useful for the hearing-impaired but there are still lots of things to be improved. In my opinion, it is necessary that there has to be thorough explanation about effectiveness and procedure of cochlear implant operation. If it goes with systematleahearing rehabilitation program, the cochlear implants will contribute to better social life as well as vocational life 비contribute to be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공와우에 대한 만족도 및 적응실태 등을 파악하여 인공와우 수술 선택 및 사후 관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받은 청각장애 대학생 21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인 사항 7문항과 인공와우 착용에 대한 만족도 관련 4문항, 적응 실태 관련 18문항으로 총 2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첫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인공와우 착용에 대한 만족도에서 보통이 가장 높았고, 만족과 매우 만족은 미흡과 매우 미흡에 비해 2배에서 3 배 정도 높게 나왔다. 하지만 여전히 보통이 높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인공와우가 청각장애인에게 정각보조수단으로서 확실한 만족감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인공와우 착용 적응 실태에서는 최소 3개월 이상 보청기 사용 및 집중교육을 받은 후에 인공와우 수술을 결정해야함에도 대상자의 1/3 이 이러한 과정이 무시되고 수술이 이루어졌다. 또한 95.2% 가 인공와우 착용기간이 4년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언어 를 이해하는 비율이 42.82% 이고, 나머지 57.2%는 언어를 전혀 알아듣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공와우 착용기간이 길다고 해서 언어 이해력이 반드시 좋아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인공와우는 청각장애인에게 도움은 되지만 여전히 개선해야할 부분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