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사렛대학교 발전에 있어서 선교사들의 역할과 공헌(1954-2004)

        김영백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9 지성과 창조 Vol.- No.12

        나사렛대학교는 1954년 나사렛신학원으로 시작하여 학교가 설립된지 30년만에 정부의 정식 인가를 받고 대학으로서의 새로운 면모를 갖추 게 되었다. 오늘의 나사렛대학교는 국제적으로 나사렛교회가 지향하는 목표와 함께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의 은혜이며, 초창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활동한 선교사들의 역할과 공 헌을 빠트릴 수 없다. 초창기부터 오늘에까지 활동한 선교사들은 제1대 선교사 오은수 목사(Donald and Adeline Owens), 제2대 선교사 고내 의 목사(Eldon and Marcella Cornett), 제3대 선교사 서태도 목사 (Charles and Lois Stroud), 제4대 선교사 배수덕 목사(Paul and Ann Stubbs), 제5대 선교사 이의도 목사(Stephen and Irena Rieder), 제6대 선교사 갑부련 목사(Brent and Marty Cobb), 제7대 선교사 백위열 목 사(William and Gail Patch), 제8대 선교사 서대선 목사(Kenneth and Joanna Schubert), 제9대 선교사 도일선 목사(Donald Roy and Sue Stults), 제10대 선교사 마동진 목사(Timothy and Mary Mercer), 제11대 선교사 하 철 목사(Mark and Rovina Hatcher), 제12대 선교사 전 은수 목사(David and Susan Downs), 제13대 선교사 우일암 목사 (Merrill and Janice Williams), 특별 선교사 라호밤 안나벨 박사(Dr. Anna Belle Laughbaum)이다. 그러나 오늘 필자가 논하는 주제는 초창 기부터 나사렛대학교가 오늘에 이르기까지 활동한 선교사들의 역할과 공헌을 기록하면서 동시에 몇 가지 비판을 통해 앞으로 많은 선교사들 을 배출하여 전 세계를 향해 비상할 나사렛대학교를 새롭게 조명하고 자 한다. “형제들아 나는 아직 내가 잡은 줄로 여기지 아니하고 오직 한 일 즉 뒤에 있는 것을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으려고 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이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좇아가노라”(빌3;13-14)

      •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 특성화에 대한 평가와 전망

        조성열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9 지성과 창조 Vol.- No.12

        나사렛대학교에서 1995년 기독교 신앙을 실천할 수 있는 분야로 재 활복지 특성화를 선포한 이래 이제 15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시간을 지난 이 시점에서 지난 시절의 특성화 성과를 객관적으로 돌아보고 향후 발전방향을 전망해 보는 것은 시의적절한 일이라 하겠다. 본 논문은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 특성화의 역사 및 추 진과정을 살펴보고, 각 학부 및 관련 기관별로 현재 특성화 실태를 조 사하며, 그 동안 재활복지 분야에서 이룩한 특성화 성과를 파악하여 향 후 특성화사업을 추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이 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활복지 관련 문헌연구, 관련 보고서 분 석, 특성화 관련 전공 및 기관 사업현황 분석, 재활복지 특성화 실적조사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대학 재활복지 특성화의 역사와 성과가 정리되고 각 학부 및 기과별로 추진하고 있는 특성화 사업들이 분석되었으며 향후 재활복지 특성화 추진방안이 제시되었다.

      • 한국초대교회의 부흥 1세기에 즈음한 한국교회와 나사렛교회의 역할과 사명

        안춘근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9 지성과 창조 Vol.- No.12

        본 논문은 한국나사렛교회의 역사와 1907년 한국교회의 대부흥운동 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오늘의 한국나사렛교회와 한국교회는 어떤 역할 과 사명을 감당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대략 한국나사렛교회의 역사를 3기로 나누면 초기(1932-1954), 중기 (1954-1965), 현대(1965-현재)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구분에 따라 한국 나사렛교회의 역사를 약술하였다. 그리고 1907년 한국교회의 대부흥운 동이 원산 - 평양 - 서울 - 전국으로 확산 된 과정을 기술하였다. 한국 교회의 부흥은 단지 영적 각성에만 머물지 않았고 한국의 개화와 독립 운동으로 이어졌다. 초기 한국교회는 문맹퇴치, 학교와 병원설립, 새로운 문명의 소개, 새 윤리의 이접, 남녀평등, 계급타파, 구습타파, 금주, 금연, 관혼상제의 개혁 등 이루 열거할 수 없이 많은 영향을 당시의 한국사회에 끼쳤다. 뿐만 아니라 일본에게 빼앗긴 국권을 수호하는 항일운동과 독립운동에 도 한국교회는 음양으로 엄청난 역할을 감당하였다. 이와 같이 초기 한국교회의 노정을 주의 깊게 살펴보면, 그리고 나 사렛교회의 역사를 면밀히 공부하면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 인가 하는 해답을 얻게 된다. 그것은 첫째, 반성과 회개요, 둘째, 사회 적응을 넘어 사회를 선도하는 일이다. 그리고 셋째는 나사렛교회의 특 징인 성결의 복음을 열심히 전개하는 일이다. 초기 한국교회는 영적으로 뜨거웠다. 그리고 그 시대를 앞에서 이끌 었다. 이와 같이 오늘의 한국교회도 먼저 1907년의 영적 대각성을 회 복하고 그 영적 각성의 바탕 위에서 오늘의 한국사회와 민중을 선도해 야 할 것이다.

      • 대학 신입생의 컴퓨터 활용능력 비교분석

        한경호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6 지성과 창조 Vol.- No.9

        대학교에서 시행중인 교양 컴퓨터 교육은 학교의 특성과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왔다. 대학교에 입학하는 신입생들의 컴퓨터에 대한 흥미와 관심의 정도에 따라 학생들이 습득하고 있는 기본 활용 능력은,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감으로 학생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의 변화를 교과과정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 3년간 나사렛대학교 신입생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분석하였다.

      • 중등특수교육 실습 실태와 개선방향

        유애란, 김명자 나사렛대학교 2009 나사렛 論叢 Vol.13 No.-

        본 연구는 중등특수교육의 교육실습과 현장관찰실습 실태를 조사함으로 바람직한 실습방향을 제시하여 중등특수교육의 성공적인 교사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중등부특수학교와 중등부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722명으로 하였고, 중등부 특수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의 교육실습과 현장관찰실습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개발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특수학교에서는 교육실습과 현장관찰실습을 각각 93.8%, 75%가 실시하고 있으나, 특수학급에서는 15%이하로 실시하고 있다. 둘째, 특수학급에서 실습실시가 저조한 이유로 학교실습체제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셋째, 특수학교에서는 교육실습에서 수업참관과 수업발표 등 수업에 직접 관련한 내용이 많은 반면, 특수학급은 학생지도와 행사참여, 수업참관 순으로 많았다. 특수학교에서의 현장관찰실습수업은 교육현장을 이해관찰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특수학급에서는 행사참여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넷째, 특수학교의 교육실습평가와 현장관찰실습평가는 특수학교와 대학교가 협력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가장 많았다. 특수학급의 현장관찰실습평가는 교사가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것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특수학급에서의 현장관찰실습은 대다수 연구부장이 총괄하고 특수학급교사가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다수의 특수학교에서 실습생의 선정은 학교의 방침에 따라 이루어졌다. 일곱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서 교육실습을 하기 위해 대학에서 미리 이수해야 할 영역으로는 장애영역별교육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 through a surve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acticum reality. Subjects were 722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ally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classes. Practicum reality was measured by Survey which was developed for investing educational practicum, and educational field observation practicum as a college practicum courses by this study researchers. Th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93.8% special schoolsl held educational practicum and 75 % special schools held educational field observation practicum. Below 15% special classes held educational practicum, and educational field observation practicum. Second, the reason of low percent of practicum in special classes was complicated school practicum system. Third, the major educational practicum program in special schools were classes participation and classes presentation, and the major educational practicum in special classes were students guiding, events participation, and classes participation. The major educational field observation practicum in special schools were educational program for understanding educational field, and the major educational field observation practicum in special classes were event participation. Fourth, it was desirable for cooperation of special school and college to be main part of educational practicum and educational field practicum evaluation. it was desirable for teacher to be main part of educational field practicum evaluation. Fifth, most of educational field observation practicum in special classes was planned and managed by head teacher of research department, and was directed by classroom special education teachers. Sixth, Most of special schools selected practicum college students by their special school rule. Seventh, it is recommended that preservice practicum college students take courses of special educa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teaching various disabilities.

      • 베이브의 자아 찾기 : 돼지는 존재할 가치가 없어 Babe:"Pigs have no purpose"

        이봉희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3 지성과 창조 Vol.- No.6

        문학과 대중문화(영화)의 접목은 문학이 우리의 삶 속에 줄 수 있는 많은 즐거움과 감동과 때로는 치유효과를 보다 대중에게 친근한 매체를 통해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제 영상매체의 홍수 속에 무방비상태로 노출된 학생들에게 영화를 올바로 감상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일은 인문학이 맡아야 하는 중요한 몫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 논문은 <영문학 보조 자료로서의 영화 읽기 사례>의 두 번째 논문으로 막 대학에 입학하여 아직은 보다 깊은 내용의 문학의 도전을 받아보지 못한 학생들에게 영문학을 가르칠 때 보다 쉽게 문학에 접근하도록 문을 열어주는 방법으로 택한 '영화읽기'의 예이다. 문학에 입문하는 학생들에게 <라이언 킹>에 이어 <꼬마 돼지 베이브>를 골라 "나는 누구인가?"라는 문학의 가장 보편적이고 근본적인 주제를 이해시키기 위한 보조 자료로서, 그리고 그 자체로서도 충분한 문학작품으로 읽어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필자의 [문학과 영상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Literature and Film>] 학술대회 발표 논문인 "심바의 자아찾기 여정"에 이어 강의 사례로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이 논문은 위의 강의 사례와 같이 신학대학이나 기독교와 대중문화의 접점을 찾고자 하는 수업의 한 사례로 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문 중에 각주에는 기독교적인 해석으로 읽을 경우를 위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놓았다. <라이언 킹>은 왕의 신분으로 태어났으나 그 정체성을 잊고 살아가는 주인공 심바가 결국 어떻게 내면에 죽어있던 "왕"으로서의 고급하고 존귀한 자아를 회복시키고 실현하게 되는 가 그 과정을 그린 영화라면 반면에 <꼬마 돼지 베이브(Babe>>는 <라이언 킹>과는 사진의 네거티브 필름처럼 반대상황 속의 정체성 발견을 영화화하고 있다. 타고난 실존적 존귀함인 "왕"으로서의 정체성을 찾는 것이 아니라 실존적으로 천한 존재로 태어난 주인공이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여 새로운 자아를 발견하고 실현해 가는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 특수교육교사 양성대학의 실무중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재학생 및 현장교사 요구 분석

        김형일,김희규,정동훈,채희태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7 지성과 창조 Vol.- No.10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이념과 특성화를 구현하면서 실무능력을 갖춘 특수교육 전문 인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현재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과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을 위한 요구를 조사하여 특수교육전공 교육과정을 개선하는데 그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개선된 교육과정을 통하여 예비특수교육교사 양성의 질을 높이고 교육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현장실무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e demands of 120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70 field teachers to order to identify problems in the curriculums of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improving the curriculums for educating special teachers based on the opinions of field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The improved curriculum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candidat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be executed more effciently and practic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 장애학생 고등 통합교육 지원센터 운영모형 나사렛대 운영실태 분석을 토대로

        김수진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7 지성과 창조 Vol.- No.10

        This study was aimed to propose an effective management model of higher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disabled stud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present status of an existing support system, the organization, the tasks and decision making system of the learning support center for disabled students in Nazarene University was analyzed. To establish an effective management model for higher education support system, discussion were made on practical and political solutions in terms of professional, administrative assi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