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농업유형 비교: 현대농업 이전에 대한 환경결정론적 해석

        임형백 충북연구원 2021 지역정책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gricultural types in Asia, Latin America and Africa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ompared the agricultural types of Asia, America and Africa from an environmental deterministic perspective. Of course, there is a limit to comparing the vast regions of Asia, Latin America, and Africa in one unit. Thus, this study compared three categories of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crop, and livestock for three continents: Asia, Latin America, and Africa. Asia has advantages over Latin America and Africa in terms of social environment, crops and livestock. For this reason, Asia was able to develop agriculture faster than Latin America and Africa. In other words, Asia developed more than Latin America and Africa, not because of race superiority, but because of its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Asia also differs in Latin America, Africa, and agricultural types. This implies that in carrying out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t is not possible to transfer Korea's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experience, which is the type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Asia and Asia, to the recipient country. In other words, when implemen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n agriculture in Latin America and Afric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d reflect the differences with Korea. 서양 역사에서는 시대를 근세(early modern period), 근대(late modern period), 현대(modern period)로 구분한다. 근세는 대략 16세기 초에 시작된 것으로, 근대는 대략 18세기 중반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현대농업 이전의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의 농업유형을 환경결정론적 시각에서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현대농업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로 본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다수의 식민지 국가가 독립하면서, 농촌개발이론과 현대적 의미의 국제개발협력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농촌개발이론의 발달에 대하여는, 임형백. 2017. “농촌개발 이론: 국제농촌지도에서 지역과 지역사회 주도개발까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4): 27-56.을 참고 바란다. . 물론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라는 광대한 지역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 비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이 연구는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의 3개 대륙에 대하여, 자연환경 및 사회환경, 작물, 가축의 4개 범주를 비교하였다. 아시아는 자연환경과 사회환경, 작물, 그리고 가축의 측면에서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보다 유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아시아는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보다 농업이 빨리 발전할 수 있었다. 즉 아시아가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보다 농업이 발전한 것은, 인종의 우월성이 아니라 자연 및 사회적 환경 때문이었다. 또 아시아는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와 농업유형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국제개발협력을 실시함에 있어서, 아시아, 그리고 아시아의 수도작(rice cultivation) 농경유형에 해당하는 한국의 농업 및 농촌발전 경험을 그대로 원조수원국(recipient country)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의 원조수원국에 농업에 대하여 국제개발협력을 실시할 경우, 한국과의 차이점을 고려하고 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세계 시장 개척 방향

        임형백,최흥규 한국자치행정학회 201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세계 시장 개척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푸드시스템에서 신선식품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는 반면, 식품제조업이나 외식업의 비중이 커지면서 식품산업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2010년에는 한식재단도 출범하였고, 2012년까지 농업관련 기관은 전북의 혁신도시로 이전되며,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또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의 벤치마킹 대상으로 네덜란드 와게닝겐 '푸드 밸리'가 자주 거론된다. 그러나 참여정부가 추진한 클러스터는 대부분 실패한 것으로 평가되며,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의 경우 당초계획대비 외자유치실적이 1.6%에 불과하다. 임형백(2006)이 지적하였듯이, 클러스터를 의미하는 지리적 집적은 지역혁신의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다. 또 한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여건이 양호한 네덜란드의 '푸드 밸리'도 1997년 클러스터 형성을 시작한 이후 10여년이 지나서야 구체적인 혁신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성공의 원인은 지리적 집적(클러스터)이 아닌 혁신의 창출이었다. 이탈리아 Lombardy 지역은 '혁신'을 창출하지 못해 실패하였다. 본 연구는 '혁신'을 중심으로 한 클러스터의 성공요인 고찰, 그리고 네덜란드 '푸드 밸리'의 벤치마킹을 통하여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의 세계 시장 개척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창출의 정책 방향

        임형백 충북연구원 2018 지역정책연구 Vol.29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of government and a policy direction for ‘job cre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a social issue since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Without a specific policy orienta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gan in Germany and it spread to around the world. Without policy orientation, policy means, road map, measurement of performance, the rosy blueprint of the government on employme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not be successful. Si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volution would bring disruptive technological change, thereby changing the current structure of jobs, proper strategies and policies are needed to alleviate its negative impacts on labor markets. At this rate, AI may replace most of human labor someday. When that spills over in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job creation short termism can be very harmful. Job creation requires a vision of how the economy is likely to evolve and what the government’s long term role will b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need to abandon our propensity for short termism. This study suggest several salient points for making policy direction for employment in the new era as follows; ①identifying key drivers of changes in the revolution, ②setting specific policy direction, ③preemptive action, ④job creation in private sector, ⑤tailored policies considering differences in employment condition, ⑥efficient job matching, ⑦consideration of time lag between policy interventions and market response, ⑧promoting knowledge econom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vailable to apply at smart city, smart farm and vertical farm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pplicable across all areas, but smart farm and vertical farming may offer particularly strong opportunities in rural areas. 물론 4차 산업혁명도 아직 학술적 용어로 정착된 것도 아니고, 한국이 언제 도달할지도 확실하지 않다. 4차 산업혁명은 아직까지는 미지의 영역이다. 하지만 우리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사회전체에 걸친 대변혁이다.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선 4차 산업혁명이 선행정책인 지역혁신체제, 녹색성장, 창조경제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이는 선행정책의 토대를 기반으로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선행정책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4차 산업혁명도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4차 산업혁명의 선진국을 보면, 정해진 정책 방향과 사회적‧경제적 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오히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즉 한국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를 통하여, 선행정책과 차별화하는 반면, 4차 산업혁명이 선행정책의 문제점 내지는 실패를 해결하지 않고도 성공이 가능한 마치 새로운 신약(新藥)처럼 과대포장하는 경향이 있다. 지금은 소득주도성장이라는 명분에 집착하지 말고, 실효성 있는 정책방향을 잡아야 할 때이다.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개괄을 고찰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일자리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과 기술적 주요 변화 동인(drivers of change)은 도시 뿐만 아니라 농촌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오히려 인구감소, 노령화, 농업의 경쟁력 약화 등의 현안 문제가 있는 농촌에 더 필요할지도 모른다. 현재 농촌에 대하여는 주로 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팜의 형태의 접근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주로 시설원예를 중심으로 한 과학적 관리와 생산성 증가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기술중심의 협소한 접근이라는 한계가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도시에 적용하는 스마트 시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농촌에 적용하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에서 농촌에 대한 적용으로 스파트 팜과 수직 농장을 예로 들었다. 특히 상당한 시간이 걸리겠지만 수직 농장은 농업 분야에 고용효과가 가장 큰 제조업이 결합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일자리 정책의 방향으로, ①4차 산업혁명의 주요 변화 동인의 고려, ②정책 방향의 설정, ③선제적 대응, ④민간부문의 일자리 창출, ⑤노동시장 차별화, ⑥일자리 매칭, ⑦정책 시차 고려, ⑧지식 경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의 공간적 적용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여, 도시에 대하여는 스마트 시티, 농촌에 대하여는 스마트 팜과 수직 농장을 예로 들었다.

      • KCI등재

        농촌연구에 대한 농업경제학적 접근과 농촌사회학적 접근의 비교와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

        임형백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6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modern economics, 2)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3)to try to improv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rural sociology and agricultural economics for interdisciplinary stud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raditionally rural sociology takt it for granted that rural society is isolated areas. But rural society is no longer isolated area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gricultureal policies of other countries, world trade. Especially after 1970s there were a new trends in rural sociology (i.e. sociology of agriculture). The sociology of agriculture have interested in political economy, world-system, and globalization. Recently agriculture of Korea was in a critical condition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mension. So mutual understanding and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rural sociology and agricultural economics will be profitable for study of rural society of Korea in the era of globalization.

      • KCI등재

        한국농촌계획의 전개와 농촌인구의 변화

        임형백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7 No.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phase change and traits of agriculture and rural population in Korea according to rural planning process. According to its traits the periods of rural planning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five periods. In the first period Korea lay emphasis on food self-supply, antipoverty an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 In the second period Korea lay emphasis on food self-supply, green revolution and income gap mitig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third period Korea lay emphasis o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In the fourth period Korea lay emphasis on agricultural structure adjustment,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In the fifth period Korea lay emphasis on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and balanced rural development. The market rationality bring on malfunction of agriculture as a food supply and discriminative population between city and rural areas. So it is necessary for us understood malfunction of agricultural expansionism and discriminative approach to rural population to improve Korea rural condition.

      • 한국과 서구의 다문화 사회의 차이와 정책 비교

        임형백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9 다문화사회연구 Vol.2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multicultural societybetween Korea and countries in western. Korean and countries inwestern have formal semblance but have different cause-and-effect inmulticultural society. For example, USA immigration law permit permanentsettlement but Korea immigration law prohibit permanent settlement. USAadopted the territorial principle but Korea adopted the personal(nationality)principle. So a large number of people immigrated and settled in USAand mass(collective) immigrants is usual in USA. But temporary immigrationand individual immigrants is usual in Korea. And there is a greatdifferences between urban areas and rural areas in multicultural societyin Korea. Temporary residence laborers and temporary residents are maincause of multicultural society in urban areas of Korea. But internationalmarriage women immigrants are main cause of multicultural society inrural areas of Korea. This paper compared multicultural society betweenKorea and countries in western in three points; difference in epistemology,difference in positive law, and difference in causes of multicultural society. So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multicultural society policy according toKorea's traits. 최근 들어 한국의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이 진행되면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정책에도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좀 더 깊숙이 살펴보면, 한국과 서구의 다문화 사회는 커다란 차이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이러한 차이점에 대한 깊은 성찰이 결여된 채 피상적으로 서구의 다문화 사회의 이론과 제도를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면이 없지 않다. 서구에서 다문화 사회를 주도하고 있는 국가들은 ‘정주허용’을 통하여 이민을받아들이고 있는 영․미 계통의 국가들이다1). 호주나 캐나다는 이민자를 받아들여야만 경제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나라이다. 미국은 경제 활성화에 이민자가 꼭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민자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특별한 혜택을 주지 않는다. 대신 미국은 우선적으로 받고 싶은 자격의 순위와 종류를 만들어 놓고, 매년 그 순위에 입국 비자를 줄 수 있는 Quota를 정해 놓는다. 따라서 이들 국가에는 요구조건을 갖춘 가족단위의 대규모의 이민을 통한 다문화 사회가 진행된다. 반면 한국은 실정법상 ‘정주허용금지 원칙’을 고수하는 이민을 받아들이지 않는국가이므로, 가족단위의 이민은 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도시에서의외국인 노동자의 단기거주가 다문화 사회화의 부수적인 원인이며, 농촌에서의 결혼이민자가 다문화 사회의 주된 원인이다. 즉 서구에서는 결혼이민자는 다문화적인 사회구성원과는 거리가 먼 문화적인병합(amalgamation)의 대상일 뿐인 반면, 한국에서는 농촌의 결혼이민자가 다문화사회의 가장 큰 원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한국과 서구의 다문화 사회의 차이를 첫째 인식론적 차이, 둘째 실정법(positive law)의 차이, 셋째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배경(원인)의 차이에서살펴보고, 이에 따른 서구와는 차별화 된 한국적인 다문화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구의 이론과 제도의 무비판적 수용보다는 한국적 정책의 모색과 이를 통한 사회적 비용의 감소와, 특히 다문화주의 모형과 동화 모형의 선택적 적용에 대한 신중한 고려를 주장하였다.

      • KCI등재

        농어촌구조개선사업의 발전 방향

        임형백,조중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6 No.3

        After UR in 1994, Korea government made special loan programs, that is, 'Agricultural Structure Adjustment Project'. And government made fund through 'Agricultural Special Tax Project' and spent 82 trillion on agricultural sector for agricultural reforms from 1992 to 2003. But it is difficult to find conspicuous effect about that. There were many mistakes in 'Agricultural Structure Adjustment Project'. But the government will spend 119 trillion($100 billion) over the coming 10 years to develop the agricultural sector as the industry faces further market opening. To avoid repeating the mistake during the UR, when enormous amount of money was spent only to see a failure in reforms, the government should come up with an effective system to implement state budgets after conducting strict evaluations on projects.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인종적 민족 공동체와 근대 영토적 민족 공동체의 갈등: 그리스와 소아시아 및 아프리카 관계를 중심으로

        임형백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3

        This paper examines the conflict between ancient ethnic community and modern territorial community of Greek. My aim is to add a new perspective to nationalism by introduce modernism and primordialism. This paper thus attempts to outline an alternative reading of nationalism. Theory of nationalism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is modernism. Modernism see nationalism as entirely modern phenomena, beginning predominantly in Europe at the industrial age. So ethnic and cultural roots are irrelevant to this view because not all modern nations have them. Modernism was very Eurocentric. According to modernism, nationalism and its cultural symbol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 are invented as a form of top-down control. The second is primordialism. Primordialism see nationalism derives from the early, primordial roots and sentiments such as being born into a particular community. This cultural or naturalist view implies that the nation, or some early form of nation, is ancient and thus a natural part of human experience. For a long time, the Greeks have believed that myth tell them the truth. The Greeks have some common stereotypes about history. But there was great gap in Greek history. Besides, some belief and myth does not consist with the archeological evidence. After World War Ⅱ, many countries became independent. Greece is a product of politics. There is great ethnical, historical, cultural and epistemological break between ancient Greek and modern Greek. But there is a inextricable relation between Greek and Asia Minor. From a logical standpoint, it can be true that some identity, nation, nationalism are artificially constructed. 이 논문은 고대 인종적 민족 공동체와 근대 영토적 민족 공동체의 갈등을 다루고 있다. 그리스를 대상으로 소아시아(오늘날의 터키 아나톨리아)와 그리스의 관계, 근대 국가로서 그리스의 정체성 갈등을 다루고 있다. 민족주의에 관한 입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근대주의자’이다. 이들은 민족이 사회와 역사 구조 속의 자연적인 혹은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라, 매우 근대적인 발전의 산물로서, 순수하게 근대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한다. 둘째는 ‘원초주의자’이다. 이들은 민족과 인종적 민족 공동체는 역사의 자연스러운 단위이고 인간 경험의 통합적 구성 요소라고 주장한다. 즉 ‘근대주의자’는 민족이라는 개념이 특히 근대 유럽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는 반면, ‘원초주의자’는 민족이라는 개념이 비록 그 기원을 명확히 찾을 수는 없지만, 근대 이전부터 전 세계에 산재해 있던 것으로 본다. 이 논문은 고대 그리스의 인종적 민족 공동체를 고찰하였다. 현대 그리스인의 혈연적 직계 선조는 아니지만, 그리스 최초의 문명인 ‘미노아 문명’을 건설한 미노아인을 고찰하고, 이후 현대 그리스인의 혈연적 직계 조상으로 여겨지는 아카이아인, 이오니아인, 아이올리스인, 도리아인을 고찰하였다. 아카이아인, 이오니아인, 아이올리스인, 도리아인은 인도-유럽인으로 그리스 고전기 시대의 그리스인을 구성하는 4개의 주요 부족이었다. 문제는 기원전 1000년부터 기원전 750년까지의 시기, 그리스의 ‘암흑시대’에 전해지는 기록이 거의 없고, 이를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증거도 빈약하다는 점이다. 또 그리스의 근대 영토적 민족 공동체를 고찰하였다. 우선 그리스인들은 현대적 의미의 국가를 형성한 적이 없다. 문화적 동질성을 향유한다고는 생각했지만, 정치적으로 단결한 적은 없었다. 문화적 동질성 이외에 혈연적 동질성에 대한 인식은 있었고, 이는 그리스 신화에도 반영되어 있다. 그리스 문명의 모태가 이집트라는 것은 17세기까지는 상식이었다. 그러던 것은 19세기 유럽인종주의자가 아리안(인도-유럽족) 작품으로 바꿔치기 했다. 역사는 결국 역사가가 만들어낸 이야기(담론)’에 불과하다“는 포스트모더니즘 역사학의 명제를 생각나게 한다. 한편 그리스 신화를 끝까지 지켰던 그리스인은 동로마 시대 여러 황제들의 정치적 박해로 거의 사멸했다. 한편 동로마 시대에 정교를 믿고, 오스만 제국 시절에는 로마인이라고 불리던 사람들이 현대 그리스인으로 이어지는 조상이다. 더구나 그리스-터키 전쟁(1919-1922) 이후, 그리스와 터키는 협약을 체결하고, 종교만으로 인종을 구분했다. 이미 그리스인과 터키인이 오랜 기간 같이 살면서 동화되어, 언어와 혈통에 의한 구분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선택의 대안이 없었던 종교에 따른 이분법에 의하여, 그리스에서 약 50만 명의 터키인이 추방되었고, 터키에서 약 150만 명의 그리스인이 추방되었다. 이렇게 추방되어 그리스에 들어온 약 150만 명은 당시 그리스 전체 인구의 약 20% 정도이다.

      • KCI등재

        영국, 프랑스, 독일 3개국의 다민족국가의 경험과 갈등

        임형백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3 다문화와 평화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look the experiences and conflicts of multinational nation in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These countries were known as ideal multinational nation and pursue multicultural nation, but they were not. This view is contrary to the facts of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Many Korean scholars failed to understood the fact of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and misled people about the fact. I must confess many research to be rather misleading. Many research had frequently misled the people with distorted papers. Multiculturalism and weakening of social integration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Multiculturalism will no longer support by the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Some think that multiculturalism is divisive rather than unifying. The surface of multiculturalism are diversity and openness, but the facts of multiculturalims are weaken of social integration and poverty. Relentless pursuit of economic gain leads to the extinction of traditional culture. Thoughtless pursuit of multiculturalism leads to the conflicts.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seeking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selection and exclusion.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never pursuit thoughtless multiculturalism and diversification.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s Cases are not appliable to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ake use of multiculturalism as means of their subsistence in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pend most of money(about 69% of the total budget in 2010 year) in multiculturalism policies, but inadequate money spending and methods is an issues in these days. We need to be selective about the multiculturalism we receive instead of accepting it uncondit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