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난 상황 시 아동보호를 위한 NGO의 역할

        오원기 ( Wonki Oh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9 동광 Vol.114 No.-

        이 글은 해외 재난·위기 상황에서 아동보호 기관들이 펼치고 있는 주요 아동보호 대응활동들을 살펴봄으로써,국내 재난 발생시 NGO 들이 아동보호를 위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인지를 참조하기 위한 기초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재난·위기 상황에서 아동보호위험은 ①피해 아동 수, ② 아동보호 문제의 유형, ③ 재난·위기 이전 혹은 발생 시 국가의 조직화 및 안정화 수준, ④ 국가/지역사회의 대웅 역량 그리고 ⑤ 재난·위기의 성격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재난·위기는 크게 자연재난 또는 인적재난으로 나뉘며 여기에 복합적 인도주의 위기 또한 포함된다. 통계적으로 재난으로 인한 이주(국내 혹은 국외)인구의 80%는 아동과 여성이며, 아동인구는 통상 50%를 구성한다. 그러나 많은 재난 대응 활동들이 아동이 재난상황에서 직면하게 될 많은 위험요소, 특히 보호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아동은 재난·위기 상황에서 주요 8가지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바로 ①위험과 부상,②신체적 폭력과 악습,③성폭력, ④심리사회적 고통과 정신적 장애,⑤군대 또는 무장단체에 연루,⑥아동노동, ⑦보호자가 없거나 분리된 아동 그리고 ⑧아동을 위한 사법체계 등 이다. 이러한 아동보호 주요 문제들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 해 아동보호기 관들은 ①사례 관리, ②지역사회기반 아동보호메커니즘, ③아동친화공간, ④소외아동 보호 등을 주요 대응 전략으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재난·위기 상황에서의 아동보호위험을 예방하고 피해 아동의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전 인도적 지원 영역에서 아동보호활동이 주류화 되어야 한다. 또한 아동보호기관은 옥스팜 사건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인도적 지원기관 및 그 직원들에 의한 성착취와 학대의 문제를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세이프가딩을 적극적으로 옹호해야 한다. This article is a result from an initial study on what child protection concerns and risks which Korean NGOs can address and how to develop its capacity for future emergency response in Korea. Child protection risks in emergencies will depend on factors such as the numbers of children affected, the types of chad protection problems, the level of organization and stability of the state before and during the emergency, the country’s capacity to respond, and the nature of the emergency. Emergencies can result from natural hazards or any man-made events such as technological or industrial accidents. Complex humanitarian emergency is one of man-made emergencies which is usually brought by conflict or civil unrest. When forced displacement happens during and after emergencies, almost 80% of displaced population are women and children. And more than 50% of displaced population are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However, many humanitarian actors do not put child protection risks in their priority and often neglect the importance of child protection in emergencies. Children can be exposed to critical child protection risks in humanitarian emergencies such as dangers and injuries, physical violence and other harmful practices, sexual violence, psycho-social distress and mental disorders, children associated with armed forces or armed groups, child labour, unaccompanied and separated children, and justice for children. To address these child protection risks and needs, child protection actors develop and implement preventing and responding strategies including case management, community-based chid protection mechanisms, child-friendly spaces, and protection of excluded children. Mainstreaming child protection and incorporating child protection into all humanitarian action, can maximize the impact of all child protection ntervention to prevent child protection risks and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affected children. In addition, child protection actors should advocate that all humanitarian actors adopt the child safeguarding which can prevent humanitarian actors and their practitioners from making further harm to affected children.

      • KCI등재후보

        공군 항공기 소음이 초등학생의 소음 민감도,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원기(Wonki Oh),김형수(Hyeongsu Kim),장성훈(Sounghoon Chang),이건세(Kunsei Lee),김근회(Keunwhoe Kim),최희정(Heejung Choe),함은미(Eunmee Ham),손주형(Juhyoung Son)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8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3 No.3

        본 연구는 공군 항공기 소음에 노출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정서상태 및 아동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평가를 통해 항공기 소음 노출과 초등학생의 정서 및 행동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는 먼저 소음노출 지역과 대조지역간 주간 소음을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다음으로 항공기 소음노출 지역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272명과 학부모 272명, 대조지역 2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91명과 학부모 91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은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정신심리적 특성 및 학부모는 소음에 대한 민감도 및 초등학생에 대한 행동평가를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항공기 이착륙관련 환경소음은 수준은 노출지역의 주중 주간 소음수준(Leg55)은 평균 67.6 dB(A)으로 대조지역의 소음수준 57.1 dB(A), 58.2 dB(A), 60.2 dB(A)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출군에서 초등학생의 소음 민감도 점수는 15.1점으로 대조군의 16.6점에 비해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6). 또한 노출군에서 초등학생의 간이정신진단점수는 18.6점으로 대조군의 20.5점에 비해 낮았으나 역시 유의성은 없었다(p=0.165). 노출군에서 학부모에 의한 초등학생 행동평가점수는 15.5점으로 대조군의 13.2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43). 노출군에서 부모의 소음민감도 점수는 27.5점으로 대조군 학부모의 민감도 점수 24.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45).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초등학생 행동평가는 실제 소음노출에 의한 영향보다는 부모의 소음에 대한 민감도가 학생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공군 항공기 소음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건강영향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We evaluated the effect of the aircraft noise on the behavior and affect status of the loc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 The daytime noise levels of the exposed and control areas were compared and the self answered questionnaires from 272 students and their parents of the exposed area and 91 of the control area we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are regarding the noise sensitivity and the psychosocial status of the students, noise sensitivity of the parents and the parents" behavioral evaluation for their children. Results : The mean noise level of the exposed area (67.6 dB(A)) showed higher level than the control area (57.1 dB(A), 58.2 dB(A), 60.2 dB(A))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score for noise sensitivity and the mean score for brief mental exam. in the exposed students were lower than the mean scores in the control group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6 & 0.165). The mean score for behavioral evaluation of students by their parents in the exposed area(15.5)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in the control group(13.2)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43). The mean score for noise sensitivity in the exposed parent(27.5)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in the control group(24.1)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45).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oise sensitivity of the parents affected the behavioral evaluation of the students than noise-exposure itself.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aircraft noise and it"s effect on children"s health.

      • 코로나19 시기 국제개발협력사업이 나아갈 방향: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사업을 중심으로

        오원기 ( Wonki Oh ),김일권 ( Kim Ilkwon ) 한국어린이재단 2021 동광 Vol.116 No.-

        이 글은 코로나19 위기의 ‘회복과 복구 이후’또는‘위드코로나시대’에 국제개발 NGO는 어떤 변화를 맞이하게 될까? 라는 궁금증에서 출발했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우리가 어떤 위기를 거쳐 왔으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대응을 해왔는지 확인하고 다음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되는지 예측하고자 했다. 먼저 코로나19가 미친 영향, 특히 개발도상국의 아동이 마주하게 된, 보건, 생계, 교육, 보호 위기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 지구적인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단체들이 어떠한 대응을 했는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의 코로나19 대응 활동을 중심으로 요약해 보았다. 그 대응 활동들은 식수와 위생환경 지원, 생계지원, 보호(아동과 젠더), 교육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드코로나시대에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주요하게 논의될 여러 화두 중 현지화(Localization)와 기후변화 대응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아직 어떠한 모습으로 주류화 혹은 전면화될지 알 수 없지만, 장기적 방향을 모색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ask the question of what changes international development NGOs may encounter after moving into a phase of ‘Living with COVID-19’. It needs to assess the crisis we have gone through, the response we have made, and the changes we can expect in further. To do this, it begins with a brief recap of the impact that the COVID-19 pandemic has had on the health, livelihood, education, and protection of children in developing countries. It highlights the development and humanitarian NGOs' responses to COVID-19 with a focus on ChildFund Korea, which took the action of wash, livelihood, education, and protection. Finally, it looks at ‘localization’ and ‘climate crisis’ as major topics in the upcoming phase of ‘Living with COVID-19’. It is unknown how these areas will be impacted in the future, but this paper provides recommendations to seek long-term plans for localization and the climate crisi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조업사업장의 산업안전보건 비용

        오원기,김형수,엄창수,장성훈,이건세,정최경희,김근회,이관형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1

        목적: 산재예방과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대부분의 사업장은 산업안전보건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근로자 규모별 및 업종별 제조업 사업장의 산업안전 보건 비용의 규모 및 구성요소의 상대적 크기를 파악하여 제조업 사업장의 산업안전보건 비용의 수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도 동향조사에 참여한 제조업 사업장 중 근로복지공단의 2004년도 확정보험료 자료와 연결이 가능하였던 1,228개 제조업 사업장에 대하여 동향조사에서 파악한 8개 항목의 산재예방 투자비용과 산재보험료 자료를 이용하여 산업안전보건 비용을 계산하였다. 결과: 근로자 1인당 산업안전보건 비용은 근로자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99만원,근로자 50인 이상 300인 사업장 87만원 및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 177만원이었다.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과 50인 이상 30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산업안전보건 비용중 산재보험료가 각각 62.8%와 52.8%로 가장 많았으며,다음으로 안전시설 및 보호장치 투자비로 각각 20.1%,19.1%이었다.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산재보험료 37.5%,인력유지비 23.0%,안전시설 및 보호장비 투자비 22.8% 순이었다.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 비해 근로자 규모가 증가할수록 인력유지비,활동비,건강관리비 및 기타비용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작업환경측정비와 산재 보험료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2004년도 제조업 사업장이 지출한 산업안전보건 비용의 수준은 규모별 및 업종별로 매우 다양하였다. 산재 예방과 건강증진 측면에서 산업안전보건 비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cost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 manufacturing factor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factory's size and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Methods: The costs to prevent occupational injuries and promote the general health of the worker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data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in Korea in the year of 2005 and the data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IACI) Premiums at the same factories for the year of 2004. Results: The mean cost per one worker was as follows: 990,000 won for the factory with 5∼49 workers, 869,000 won for the factory with 50∼299 workers and 1,773,000 won for the factory with more than 300 workers, In the factories with 5∼49 workers and 50∼299 workers, the premium for the IACI was the largest portion of the cost (62.8% and 52.8%, respectively) and the cost for gear to protect workers from dangerous machinehes was the next biggest portion of the cost (20.1% and 19.1%, respectively). The largest portion of the cost in the factories with more than 300 workers was the premium for the IACI (37.5%). Conclusions: The investment costs to prevent occupational injuries and to promote the general health of the workers were very divers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actories and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To reduce the occupational injuries and to promote the general health of the workers, systematic and continuous approaches to evaluate the investment costs for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