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달천 폐광산 지역에서 광미적재지와 기반암 지하수의 수질특성 연구

        양성일,강동환,김태영,정상용,김민철,Yang, Sung-Il,Kang, Dong-Hwan,Kim, Tae-Yeong,Chung, Sang-Yong,Kim, Min-Chul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8 자원환경지질 Vol.41 No.1

        본 연구에서는 달천 폐광산 지역 내 25개 지점에서 현장수질(pH, Eh)을 측정되었고, 41개 지점에서 지하수를 채수하여 주이온 성분을 분석되었다. pH와 Eh성분은 모두 사문암 지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pH는 약알칼리성에서 중성의 범위로 나타났다. 연구지역 내 지하수는 탄산염암과의 반응에 의한 산화 환원 환경이 지배적이었으며, 다른 암종에 의한 영향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의 지하수 중 양이온은 $Ca^{2+},\;Mg^{2+}$, 음이온은 $SO_4^{2-}$ 성분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탄산염암과 사문암, 유비철석과 황철석에 함유된 황 성분이 지하수에 다량 용해되었기 때문이다. 지하수내 이온성분 사이의 상관계수는 광미적재지에서 $Ca^{2+}$와 $SO_4^{2-}$ 성분이 0.95, $Ca^{2+}$와 $Mg^{2+}$ 성분이 0.86, $Mg^{2+}$와 $SO_4^{2-}$ 성분이 0.85로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반암 지하수에서는 $Mg^{2+}$와 $SO_4^{2-}$ 성분이 0.86, $Ca^{2+}$와 $SO_4^{2-}$ 성분이 0.68 정도로 나타났다. 양이온 중 $Ca^{2+}$ 성분이 광미적재지에서 $46.85\sim323.58mg/L$, 기반암에서 $3.18{\sim}207.20mg/L$로서 가장 넓은 농도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음이온 중 $SO_4^{2-}$ 성분이 광미적재지에서 $21.54{\sim}1673.17mg/L$, 기반암은 $2.04{\sim}1024.64mg/L$로 가장 넓은 농도 범위를 나타내었다. 대수층 매질 종류에 따른 파이퍼 다이아그램 분석 결과, 광미적재지는 Ca-$SO_4$형, 사문암 지역은 Mg-$SO_4$형과 Mg-$HCO_3$형, 탄산염암 지역은 Ca-$HCO_3$형, 혼펠스 지역은 Na-K형과 $CO_3+HCO_3$형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달천 폐광산 지역의 광미적재지에서 $Ca^{2+},\;Mg^{2+}$ 및 $SO_4^{2-}$ 성분이 지하수에 다량 용해되어 지하수의 주 흐름 방향에 위치한 기반암 지하수에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pH and Eh were measured at 25 points in the abandoned Dalcheon mine. And, major ion components $(Na^+,\;K^+,\;Ca^{2+},\;Mg^{2+},\;Cl^-,\;SO_4^{2-},\;CO_3^{2-},\;HCO_3^-)$ were analyzed through groundwater sampling at 41 points. pH and Eh were measur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serpentinite area. And, pH was between weak alkaline and intermediate values in study area. Groundwater in study area was dominated oxidation-reduction environment caused by reaction with carbonate rock. Because sulfur components contained in carbonate, serpentinite, arsenopyrite and pyrite was dissolved by groundwater, $SO_4^{2-}$ component was high in study area. And $Ca^{2+},\;Mg^{2+}$ of cations wer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ion components in tailing dumps were 0.95 between $Ca^{2+}\;and\;SO_4^{2-}$, 0.86 between $Ca^{2+}\;and\;Mg^{2+}$, 0.85 between $Mg^{2+}\;and\;SO_4^{2-}$. Correlation coefficients of ion components in bedrock were 0.86 between $Mg^{2+}\;and\;SO_4^{2-}$, 0.68 between $Ca^{2+}\;and\;SO_4^{2-}$. Concentration range of $Ca^{2+}$ in tailing dumps was $6.85{\sim}323.58mg/L,\;and\;3.18{\sim}207.20mg/L$ in bedrock. Concentration range of $SO_4^{2-}$ in tailing dumps was $21.54{\sim}1673.17mg/L,\;and\;2.04{\sim}1024.64mg/L$ in bedrock. By the result of Piper diagram analysis with aquifer material, groundwater in tailing dumps was $Ca-SO_4$ type. Groundwater quality types with bedrock material were Mg-$SO_4$ and Mg-$HCO_3$ types in serpentinite area, Ca-$HCO_3$ type in carbonate area, Na-K and $CO_3+HCO_3$ types in hornfel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study, groundwater in tailing dumps were dissolved $Ca^{2+},\;Mg^{2+}\;and\;SO_4^{2-}$ components with high concentration. Also, these ion components were transported into bedrock aquifer.

      • 한영 자동 번역을 위한 동사구 번역패턴의 활용

        양성일(Seong-Il Yang),김영길(Young-Kil Kim),서영애(Young-Ae Seo),김창현(Chang-Hyun Kim),홍문표(Mun-Pyo Hong),최승권(Sung-Kwo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Ⅱ

        원시언어 문장의 구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원시언어의 최소 의미 단위는 동사를 중심으로 한 단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단문 단위 대역어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동사구 번역패턴의 사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단문 내 격 정보와 번역을 위한 의미 제약조건을 기술하여 한영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동사구 번역패턴을 정의하고, 문장 정규화를 통한 동사구 번역패턴의 활용 방법을 제안한다. 동사구 번역패턴은 단문 구조 파악을 위한 제약 조건부와 대역어 선정부로 나뉜다. 제약 조건부는 단문 구조 번역을 위한 최소한의 의미 제약만으로 기술되며, 격조사로 구분되는 격 정보를 갖는다. 이러한 격 정보는 원시언어인 한국어의 단문 분석을 위해 사용되며 분석결과에 대해 단문 단위 대역어를 지정한다. 동사구 번역 패턴은 실제 말뭉치에서의 사용을 반영하기 위해 병렬 말뭉치로부터 구축되며 실험을 통해 예측되는 패턴의 규모를 알아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Ameloblastic Fibroma : A case report

        양성일(Sung Il Yang),노충(Chung Noh),최문식(Mun Sik Choi),김준영(Joon Yeun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5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1 No.4

        법랑아섬유종은 악안면 부위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혼합치성 종양으로써 상피성 및 중배엽성 요소를 모두 갖고 있으나 석회화 된 경조직은 함유하고 있지 않다. 임상적으로 이 종양은 평균 15세 이전의 연령에서 발생하며 성별차이는 없고 호발 부위는 하악 구치부이다. 무통성으로 천천히 성장하며 악골의 협측혹은 설측 피질골판을 팽창시켜 이환부의 종창을 유발하나 피질골로의 침윤성향은 보이지 않는다. 방사선학적으로는 법랑아세포종과의 구별이 어렵고 단방성 또는 다방성 방사선 투과성을 나타낸다. 치료는 병소와 보존적인 적출술이 추천되나 다양한 재발율이 보고되고 있으며 재발 증례에서는 보다 광범위한 외과적 절제술이 요구되기도 한다. 본 교실에는 하악골의 약 1/4를 침습한 비교적 큰 법랑아섬유종을 치료하여 추적 조사한바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와 다소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ameloblastic fibroma is a relatively uncommon neoplasm of odontogenic origin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proliferation of both epithelial and mesenchymal tissue without the formation of enamel or dentin. Clinically, the lesion occurs in the younger age group(average 15 years) with equal sex distribution. The mandible is affected most frequently, and the premolar area seems to be a favorite site. The tumor is slow growing and is generally considered beneign, destroying bone by local expansion in single or multilocular cavities. Radiographically, the ameloblastic fibroma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forms, ranging from a small unilocular radiolucency to a large multilocular lesion involving half of the mandible. The treatment of the ameloblastic fibroma has been more conservative than that of the simple ameloblastoma, but in case of a recurrent lesion a more aggressive surgical removal is recommended.

      • KCI등재
      • KCI등재

        Posterior Maxillay Segmental Osteotomy를 이용한 상악 후방 치조골 과성장의 회복 증례

        양성일(Sung Il Yang),김준연(Joon Yeun Kim),김진수(Chin Soo Kim)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1994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0 No.1

        Thisis a case report of surgical repositioning of unilateral posterior maxillary alveolar hyperplasia by one step posterior maxillary segmetal osteotomy. The patient had masticatory difficulty due to the impinngement on edentulous mandibular posterior alveolar ridge by vertically extruded maxillary posterior teeth. We planned to perform one step posterior maxillary segmental osteotomy to superiorly reposition the extrued posterior maxillary alveolar segment and to recreate enough vertical dimension between upper and lower arch for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After superior repositioning of right posterior maxillary segment,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was done on edentulous area of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s. Therefore, we suggest that one step posterior maxillary segmental osteotomy can be successfully used for correction of unilateral posterior maxillary dentoalveolar hyperplasia.

      • KCI등재

        현장추적자시험과 실내주상실험을 이용한 복합토양층의 수리분산특성 연구

        강동환,양성일,김태영,김성수,정상용,Kang, Dong-Hwan,Yang, Sung-Il,Kim, Tae-Yeong,Kim, Sung-Soo,Chung, Sang-Yong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8 지하수토양환경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복합토양층(조립질 모래, 세립질 모래, 실트 점토의 혼합토)에서 수행된 현장추적자시험과 3개 토양층에서 채취된 시료를 이용한 실내주상실험의 자료를 이용하여, 복합토양층의 수리분산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양층별 투수성과 유동 분석에 의해, 유효공극률이 낮은 실트 점토의 혼합토와 세립질 모래에서 평균선형유속이 높고, 유효공극률이 큰 조립질 모래에서는 수리전도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균토양입경에 따른 수리전도도 함수는 Y=$3.49{\times}10^{-8}e^{15320x}$로 추정되었으며 결정계수는 0.90이었다. 평균토양입경에 따른 평균선형유속 함수는 Y=$1.88{\times}10^{-7}e^{11459x}$로 추정되었으며, 결정 계수는 0.81이었다. 그리고 평균토양입경에 따른 종분산지수 함수는 Y = 0.00256$e^{5971x}$이었으며, 결정계수는 0.98 정도로 나타났다. 평균선형유속과 종분산지수의 선형회귀분석 결과, 함수는 Y = 21.7527x+0.0063로 추정되었으며 결정계수는 0.9979로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현장규모/실내쥬모의 종분산지수비는 54.09로서 규모종속효과를 나타내었다. 현장추적자시험을 실시하여 산정한 종분산지수(1.39m)가 Xu와 Eckstein(1995)의 방법에 의해 산정된 종분산지수(0.186m)에 비해 7.47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이는 시험 대수층 내 중 조립질 모래층에서의 우세한 확산 흐름에 의한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for hydrodynamic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multi-soil layer (Silt and clay, Find sand, Coarse sand), data of a field tracer test on the multi-soil layer and data of laboratory column experiments on the samples on each soil layers. Through the analysis of permeability and flow, MS (Silt and clay) and FS (Fine sand), which were low effective porosity, were higher average linear velocity while CS (Coarse sand), which was high effective porosity, was higher hydraulic conductivity. Hydraulic conductivity function based on average soil particle diameter was assumed Y=$3.49{\times}10^{-8}e^{15320x}$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90. Average linear velocity function based on average soil particle diameter was assumed Y=$1.88{\times}10^{-7}e^{11459x}$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81. Longitudinal dispersivity function based on average soil particle diameter was Y = 0.00256$e^{5971x}$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98. According to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average linear velocity and longitudinal dispersivity, assumed function was Y = 21.7527x + 0.0063,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9979. The ratio of field scale/laboratory scale was 54.09, it exhibited scale-dependent effect of hydrodynamic dispersion. Field longitudinal dispersivity (1.39m) was 7.47 times as higher than longitudinal dispersivity estimated by the methods of Xu and Eckstein (1995). Hydrodynamic dispersion on CS layer was occurred mainly by diffusion flow in the test aquif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