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와 코로나 시대의 교차점에서 인간의 자유와 감시사회 - 정제두, 왕양명과 베르그손, 메를로-뽕띠를 중심으로 -

        양선진(梁鮮軫)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9

        정보과학기술은 빅 데이터에 근거한 인공지능 시대를 초래하였으며 생명공학기술은 인간의 유전정보를 해독하는 단계를 넘어서 유전정보를 조작하고 설계하려는 야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정보과학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이 접목된 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삶의 편리성과 양적 성과를 제공하였지만, 삶의 환경을 변화시키면서 인간들의 일자리가 위협받는 세상이 도래할 것이라는 걱정이 나타나고 있다. 인공지능 시대가 사회 각 영역에 등장하면서 현대인들은 인간의 정체성에 대해서 근본적인 질문을 시작하였다. 정보과학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을 움직이는 힘은 바로 경제적 논리이다. 현대인들이 빅 데이터에 근거한 인공지능에 열광하는 이유는 바로 경제적 이유가 가장 직접적이다. 현대 사회는 데이터가 가장 중요한 자본이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오늘날의 자본주의는 데이터 기반의 정보거대기업들이 산업의 중심이 되고 빅 데이터가 가장 중요한 자본이 되는 사회가 되면서 정보거대 기업들은 정보를 수동적으로 수집하는 단계를 넘어서 능동적으로 수집하는 과정에서 개개인들의 원치 않는 정보들이 자신도 모르게 정보기업에 흘러 들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서 정보기업들은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찾는 과정에서 개인의 정보를 해독하고 감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정보가 해독되고 감시되는 과정에서 개인의 고유한 내면이 노출되는 사회로 전락할 위험이 있지만, 정보가 자본이 되는 시대에는 거스르기 힘든 자본주의의 메커니즘이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현실 앞에서 개인들은 어떠한 자세를 취해야 할지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며 지혜를 모으기 위해서 동서양의 철학자들을 통해서 고민하는 기회를 얻었다. Information technology has led to an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big data, and biotechnology has begun to display ambition to manipulate and design genetic information beyond the stage of deciphering human genetic inform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combin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convenience and quantitative achievements in human life have been provided, but there are concerns that the world will be threatened by human jobs while changing the environment of human life. With the advent of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various areas of our society, modern people have begun to ask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umans and ask again about their identity. The power to drive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s economic logic. The reason why modern people are enthusiastic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big data is that economic reasons are the most direct. Modern society lives in an era when data becomes the most important capital. As today’s capitalism has become a society where data-based information giants become the center of industry and big data becomes the most important capital, information giants are actively collecting information beyond the passive stage of collecting information, and unwanted information from individuals is flowing into information companies without their knowledge. In this trend of the times, information companies have begun to establish systems to decipher and monitor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actively searching for data. There is a risk of degenerating into a society in which information is decrypted and monitored, but it has become a mechanism of capitalism that is hard to go against in the age when information becomes capital. In the face of this social reality, individuals will have to pool their wisdom on what posture to take and have the opportunity to think through philosophers from the East and the West to pool their wisdom.

      • KCI등재

        리버스 터널링을 이용한 차량용 CCTV 영상 통합 관리 시스템

        양선진,박재표,승민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9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9 No.5

        ICT 기술의 발달은 기존의 폐쇄형 CCTV 보안 장비 시장에도 크나큰 영향을 일으켰다. 특히 자율주행 자동차와무인 자동차, 스마트 시티 같은 분야에서 영상 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영상을 활용한 다양한 기술이 나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CCTV 영상을 단순 녹화 용도로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 시티의 한 부분으로 통합하기 위해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메타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시 생활 속에서 유발되는 교통, 환경, 보안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차량용 CCTV 영상을 원격지에서 접속하기 위한 방법으로 리버스 터널링 기법을 설계하고구현하였다. 폐쇄적인 환경에서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되던 차량용 CCTV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함으로써, 차량 상태 검사 뿐 아니라 도로와 각종 시설물 관리처럼 스마트시티에서 요구하는 효율적인 통합센터 운영을가능하게 한다.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has a huge impact on the existing closed CCTV security equipment market. With the importance of video data particularly highlighted in areas such as self-driving cars, unmanned vehicles and smart cities, various technologies using video are emerging.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transmit videos and metadata as a part of smart city integration, and to solve the traffic, environment and security problems caused in urban life by utilizing the metadata instead of using CCTV videos for simple recording purposes, and reverse tunneling technique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as a method for accessing CCTV videos for vehicles from remote locations. Integrated management of CCTV videos and metadata for vehicles that have been used only for limited purposes in closed environments will enable efficient operation of integrated centers in real time required by smart cities, such as vehicle status check, road conditions and facility management.

      • KCI등재

        과학과 철학의 관계: 자연과 인간에 대한 동서양의 해석 - 한원진과 데카르트의 사상을 중심으로

        양선진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2024 공존의 인간학 Vol.- No.11

        Modernity is a concept that belongs to a qualitative category rather than a historical category, and means differentiation from the past, that is, the ‘pursuit of newness’. The 17th century is a revolutionary period of philosophy and science. Descartes is at the center of the revolution. Descartes can be said to be a philosopher who broke with the Middle Ages and opened the modern era with the shift of thinking that human reason alone can reach a definite perception without relying on any power of transcendent existence. With the completion of metaphysics in which the concept of the modern subject is formed, it can be said that science and technology that human subjects explore and use for the natural world emerge. Descartes is a philosopher of modernity who criticized the teleological view of nature in the Middle Ages of Scholar philosophy and established a mechanical view of nature. Historical modernity refers to the era following the feudal era, and if Jujuhak is defined as feudal, Silhak can be said to be modern. If Toegye’s and Yulgok’s discourse is feudal, the Personality Dongyi debate can be defined as a new discourse, or modernity. Because the Personality Dongyi debate took place in Joseon, an original and creative work to construct a systematic and consistent logical system of Juhee’s Neo Confucianism, such as ‘the theory four basic minds and seven emotions of human beings’, or ‘the theory of heart of human beings or truth’, was carried out in the Joseon Dynasty, which means that this debate or the movement to systematically organize Juee’s Neoconfucianism had continued since the 12th century to be fully bloomed at the period. While Descartes understood nature mechanically, Spinoza understood it as living nature. Descartes’ view of nature is very similar to that of neoConfucianism. It can be said that Descartes and neoConfucianism are basically attempts to understand nature within a systematic principle. However, if Descartes sets God apart from nature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objects in nature, neoConfucianism regards nature and God basically the same and different one. If Neo Confucianism presupposes that human status is part of nature, it is true that Descartes defines the human soul as an exceptional being that is not subordinate to nature.

      • KCI등재

        왕수인 심즉리의 현상학적 의미

        양선진(Yang, Sun-Jin)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3

        후설은 자신의 명제인 사태 그 자체로 가자고 했지만 인간의 인위적 기획에 따라서 인간의 몸이 배재된 의식이 세계를 구성했다면, 반면에 메를로-뽕띠는 외부 세계의 의미를 부여하는 의식은 신체 없는 의식이 아니라 신체를 가진 의식, 즉 몸의 의식이라는 것을 명확히 인식해야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인간의 신체를 가진 의식을 인정해야 외부 세계의 사태를 정확히 그려낼 수 있기 때문이다. 동양철학에서 인간의 심신은 형이상학적 요소인 혼과 형이하학적 요소인백이 공존한다는 것이다. 동양철학에서는 정신을 배제한 신체란 불가능하며 신체를 배제한 정신 또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몸의 철학은 바로 서양철학이 아니라 동양철학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또한 동양철학은 인간과 자연의 분리불가능한 하나라는 일원론이다. 따라서 인간이란 자연을 떠나서는 존재론적으로 설명될 수 없는 존재이며 신체와 정신과의 관계도 분리될 수 없는 기로서의 몸의 일원론이다. 현상학의 중심적인 개념인 지향성(Intentionalität)에서 의식이란 항상 무엇인가의 의식이라는 것, 즉 의식 주체(Cogito)는 의식대상(Cogitatum)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다. 후설의 현상학은 칸트의 구성주의 철학처럼 주어진 것보다 더 많이 생각함으로써 현상학의 명제인 사태자체에서 멀어지게 된다. 주희의 입장은 인간의 의식이 인식하기 전에 사물의 이치인 리의 선재성을 강조한 표현이라면, 왕수인은 사물의 이치란 인간의 인식과의 관계 속에서만 가능하다는 현상학적 태도를 가지고 있다. 주희의 철학은 인식주관을 초월한 존재원리이자 당위원리로서의 리를 상정한다. 반면에 왕수인은 인간의 마음은 이미 외부 사물과 지향적 관계에 있는 마음이기 때문에 인간의 마음과 외부 사물을 나눠서 구분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서 주희의 사물 속에 이치가 내재해있다는 격물론을 비판한다. 왕수인에게 인간의 마음은 이미 외부 사물과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마음은 외부 사물과 지향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왕수인의 심즉리에서 리는 인간 의식을 초월한 선험적이며 외재적인 리가 아니라 인간의 마음이 외부 세계와 끊임없는 관계 속에 살아있는 지향성의 세계를 의미한다. 왕수인의 경우에는 주희의 격물설과 달리, 인간의 의식은 세계와 끊임없는 관계 속에 있는 것이지 판단중지를 통해 생활 세계를 배제한 초월 세계를 상정하는 초월론적 현상학적 환원을 거치지 않는다. 왕수인은 인간 의식에서 벗어나서 외부 사물에 나아가는 방법이 아닌 인간 의식 속에 내재된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검토하고 수정하면서 교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왕수인의 현상학은 인간의 윤리적인 마음의 상태를 악에서 선으로 이행하도록 인도하는 윤리적 현상학을 의미한다. Husserl’s phenomenology proposition is away from the situation itself by thinking more than given as a constructivist philosophy of Kant. Chu-Hsi argues for a pre-existing principle of things before human recognition, whereas Wang Shouren has a phenomenological attitude that the principle of things is possible only in the relationship with human perception. Chu-Hsi’s philosophy assumes the existence of Li(理) as a principle both of existence and of value that transcends subjective awareness, whereas Wang Shouren think that it can not distinguish the human mind and the external things, because the human mind are already oriented relationship with external things. Wang Shouren criticizes Chu-Hsi’s the idea of principle in things. According to Wang Shouren’s idea, The human mind has formed an oriented structure with external things. He does not refer to the a priori and extrinsic Li(理) constantly transcending human consciousness but refers of the human mind to be constantly in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world. Human consciousness is in constant relationship with the world, It is not a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duction excluding the living world Wang Shouren’s phenomenology proposition refers to the ethical attitude that leads from the evil to the good. In this sense, It is called the really ethical phenomenology.

      • KCI등재

        생명윤리학자 정제두의 '생리(生理)' 개념의 새로운 해석 -베르그손의 생의 약동(élan vital) 과 정제두의 생리(生理) 개념의 비교-

        양선진 ( Yang Sun-ji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5 No.-

        유학은 공맹 사상을 주희가 단순한 삶의 철학 내지 윤리학을 형이상학적 원리로 승화시키려는 노력을 한 철학이다. 주희의 철학적 중심 개념인 리와기의 개념은 인간과 사물을 포함한 모든 존재들을 형이상학자와 형이하자라는 두 가지 논리적 개념으로 구분하고 사물, 생명체, 그리고 인간에게까지 적용할 수 있는 원리라고 보았다. 우주의 운행 법칙과 도덕의 운행 법칙을 하나의 원리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인간의 마음 안에 존재하는 도덕 원리는 우주의 운행 원리와 동일하게 간주한 것이 바로 주희의 리 개념이 지닌 문제점이다. 주희의 격물설은 인간을 움직이는 원리가 인간 밖에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인간 안에서 작동하는 도덕적 원리가 인간이 아닌 사물의 원리처럼 취급되면서 인간을 규율하는 도덕 원리가 살아있는 인간의 윤리가 아니라 사물의 원리가 인간의 원리처럼 작용한다는 크나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정제두는 주희 철학의 우주의 원리와 도덕의 원리를 하나의 단순한 원리로 파악하는 리 개념을 거부하고 왕양명의 사상을 통해서 새로운 리의 개념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왕양명이 언급하는 이치 또는 원리란 인간 외부에 존재하면서 인간을 제어하고 통제하는 수단이 아니라 인간 내부에 존재하면서 인간이 도덕적 상황 속에서 발현되는 살아있는 도덕적 원리이며 인간이 도덕적 상황에 부딪힐 때 나타나는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원리이지만 절대로 경직되고 고정된 원리가 아니다. 정제두는 인간의 적용되는 원리는 사물에 해당하는 원리와 구별하면서 생명의 生理라고 명명하였다. 이치와 원리에는 사물의 원리와 생명의 원리라는 전혀 다른 원리가 있다는 것이다. 생명의 원리 중에서 도덕적 원리에 해당하는 것을 특별히 眞理라고 언급하였고 생명의 원리에만 머무른다면 욕망에 얽매이는 禽獸의 상태와 같다는 입장이다. 정제두의 철학은 생명의 원리를 고려한 베르그손의 철학처럼 생명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인간의 양지를 통해서 도덕성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철학이다. 정제두는 생철학과 도덕철학을 동시에 고려한 도덕생철학자 또는 생명윤리학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두는 최초의 한국의 도덕생철학자이다. 서양의 생철학이 도덕성을 포함한 생철학을 구성하지 못했다면, 한국의 생철학자인 정제두는 생철학에 도덕성을 포함한 도덕생철학자라는 점에서 정제두의 철학적 우수성을 평가할 수 있다. In the 17, 18 century, Jeongjedu(1649-1736) is considered among Joseon scholars as wang, Yang-ming philosopher. He criticized the problem of the thought of Li(理) of Jujahak and accepted the Yang-ming's philosophy. He had the occasion to study Jujahak and Yang-ming's thinking together. His open mind overcomes the philosophical system of Jujahak. the life is applied to the principle of the things, because if we apply the principle of the things to the life, the life is the dead things.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Hagok Jeong, Je-du’s living principle(生理). For Jeong, Je-du, human nature is at the same time vital being which has the movement and Yangjee moral heart(良知) which make people aware to the moral action. Under this premis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of human nature as follows. First, Jeong, Je-du described human nature as the vital be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hings and considered human essence as our moral being.

      • KCI등재후보

        팬데믹 시대의 개인과 사회의 관계 - 백신의 정의 및 집단 면역과 철학상담의 역할

        양선진 ( Sun-gin Yang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21 철학 실천과 상담 Vol.11 No.-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 disease (COVID-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VID-19) is an infectious disease that has spread around the world since it was first reported in China since November 2019 and is a common infectious disease that infects both humans and animals. With the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infectious diseases in certain region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not in local areas,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ed COVID-19 as a “pandemic”. With the willingness to end COVID-19, the U.S. FDA urgently approved the vaccine, and the first quarantine policy to ease social distancing seems to fail at a time when collective immunity through vaccines is expected to change its perception and quarantine system to a quarantine policy to manage the health of critically ill patients. As a precaution against pandemic worldwide, countries are recommending vaccine s. This paper aims to reflect on the philosophical meaning through the origin of the vaccine and the definition of the vaccine, and to have an opportunity for philosophical reflection beyond the medical level on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group immunity. In addition, philosophical counseling can play a role in increasing the number of suicide s among young people who are isolated and disconnected in the pandemic phenomenon, and in this reality, we want to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what philosophy can and should do.

      • KCI등재

        지성과 직관에 대한 고찰 - 베르그손과 왕양명을 중심으로 -

        양선진 ( Yang Sun-ji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39 No.-

        인간은 본능, 직관 그리고 이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깨달음을 얻는다. 인간의 인식에 가장 중요한 기능에 속하는 직관, 이성 또는 지성 그리고 지혜란 도대체 무엇이며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인가? 논자는 이러한 다소 애매하면서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는 개념 중에서 특히 지성과 직관에 대해서 가장 명확한 철학적 작업을 수행했던 철학자인 베르그손(Henri Bergson; 1859-1941)의 철학을 고찰함을 통해서 동양 철학자인 王陽明(1472-1528)의 철학 속에서 등장하는 개념들(知, 智 등)을 이해하고자 한다. 베르그손의 지성(intelligence)이란 공간과 언어를 매개로 파악하는 사유이다. 지성이 간접적 의식이라면 직관은 직접적 의식이며 지성이 매개적 의식이라면, 직관은 무매개적 의식이다. 지성이 인식 주체의 안과 인식 대상의 밖이 구별된다면, 직관은 인식 주체의 안과 인식 대상의 밖의 매개물이 없는 상태이다. 왕양명의 지성(慮, 思 또는 思慮, 省察)이 인간적 노력의 차원이라면 직관적 의미를 의미하는 知, 즉 良知는 반대되는 의미이다. 두 철학자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베르그손의 직관이란 단순히 형이상학적이고 존재론적 앎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왕양명의 良知는 직관적이면서 동시에 도덕적 의미를 지닌다. 인간의 지성이 도달한 진리란 인간적인 능동적 노력으로써 도달할 수 있는 인간적 진리(人道)라면, 인간이 깨달음의 차원인 양지의 진리란 인간의 지성적 노력으로 도달할 수 없는 하늘(天)이 부여하고 계시한 진리(天道)이다. 베르그손의 직관은 철학의 영역에서 종교의 영역까지 확장된 개념이다. 베르그손의 직관적 인식이란 단번에 완성된다거나 生得的이라는 의미를 지니지 않으며 부단한 인간적 노력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왕양명의 직관 개념과는 다르다. 맹자의 사상을 계승한 왕양명의 도덕적 직관, 즉 도덕감(moral sense)은 베르그손의 직관 개념처럼 後驗的 노력의 결과물이 아니라 인간이면 누구나 지니고 능력을 수양을 통해서 재발견될 수 있는 先驗的인 것이다. Humans recognize things and gain enlightenment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instinct, intuition and reason. What is intuition, reason or intelligence, and wisdom in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human perception and how can we understand it? The Eastern philosopher is the first to understand through these philosophical ideas, the philosophy of Henri Bergson(1859-1941), the philosopher who performed the clearest philosophical work on intelligence and intuition among these rather ambiguous concepts. I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concepts(知, 智, etc.) that emerge in the philosophy of Wang Yang Ming(1472-1528). Bergson's intelligence is the reason for grasping space and language. If intellect is an indirect consciousness, intuition is a direct consciousness; If the intellect distinguishes the inside of the cognitive subject from the outside of the cognitive subject, intuition is in the state without the inside of the cognitive subject. If the Wang Yang-Ming's mind is the dimension of human effort, the knowledge meaning intuitive meaning, or yangji(良知), is the opposite. Sunny does not simply mean metaphysical and ontological knowledge as in the case of Bergson, but also has an intuitive and moral meaning. If human mind is a human truth that can be reached through human effort, heavenly truth is a world that cannot be reached by human intellectual effort. Bergson's intuition is an extension of intuition that extends from the realm of philosophy to the realm of religion. Bergson's intuitive perception is different from Wang's intuition in that it does not mean that it is complete or intrusive, and that it is the product of hard work. Wang's intuition concept is that Wang's moral intuition or moral sense, which inherits the idea of Mencius, is not the result of a priori epigenetic effort, but rediscovers the ability of all human beings through fostering.

      • KCI등재

        조선유학의 도덕적 토대에 대한 이해 - 조선 유학과 근대 서양철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

        양선진(Yang Sun-Jin)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4

        조선 유학은 윤리적 토대를 근본적으로 이성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에 근거하고 있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인간의 도덕적 토대를 이성이 아니라 감성에 기초한다. 도덕적 감성이라는 측은지심의 도덕심은 인간의 이성에 근거해서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감성(情)에 근거해서 성립한다. 중국의 유학자들처럼 조선의 유학자들도 역시 이와 마찬가지이다. 인간의 윤리성은 도덕적 이성이 아닌 도덕적 감성(moral sense)에서 기원하다는 것이다. 인간의 근본적 속성을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탐구하는 서양철학과 달리, 조선유학자들은 인간의 본성을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설명하기 보다는 윤리학적 차원에서 설명한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인간과 자연의 구분하고 육체와 정신을 구분하며 이성과 감성의 구분을 구분하는 분석적 방식을 거부한다. 조선의 윤리학은 엄밀히 말하면, 이성과 감성을 나누기 이전의 차원 또는 감성과 이성이 통합된 차원에서 언급하는 감성(情)이다. 조선의 유학자(퇴계와 고봉)의 철학적 체계는 리기(理氣)론이다. 기(氣)는 모든 사물의 질료이며 리(理)는 사물이 가능하게 하는 원리이며 본질이다. 理와 氣는 항상 서로 의존적이며 상호의존 속에서 하나의 사물을 이루는 관계이다. 유학의 리기론에 의하면, 리와 기는 독립적으로 떨어져 존재하지 않으며(불상리:不相離) 섞이지도 않는다고 한다(불상잡(不相雜). 리는 인간의 존재근거이자 윤리적 근거로 상정하면서 리는 인간의 본성이면서 동시에 윤리적 근거이다. 유학 사상 속에는 존재와 가치를 규정하는 근원적인 리가 두 가지 의미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서양철학은 플라톤 철학 이후에 가치론은 존재론에서 독립하여 나왔다. 흄(D. Hume)은 존재(being)로부터 당위(ought to)가 도출않기 때문에 존재와 가치의 구분한다. 퍼트남(H. Putnam)은 존재와 가치는 분리할 수 없는 것이며 존재 속에 가치적 요소가 있고 가치 속에도 존재적 요소가 엄연히 있다는 주장한다. 이러한 점에 비춰본다면, 유조선 유학자들의 존재와 당위의 섞여있음은 유의미하다. 근대 이후의 자연이란 인간과 독립된 자연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파악된 양화된 자연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연은 인간의 사고틀 속에서 포착되기 시작하였으며 양화가능한 자연이라는 객관적 자연으로 파악하기 시작하였다. 유가철학에서는 인간의 본성(性)은 하늘이 부여한 것이며 자연의 이치(理)와 인간의 바람직한 원리 및 이치(性) 모두 근원적으로 동일한 기원을 가지고 있다. 서양 철학적 인간과 자연의 이분법적이며 대립적 개념과 달리, 유학에서 인간이란 자연과 동일한 존재 기원을 지니며 인간의 본성은 자연과의 동일한 기원에서 본래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본다. 도덕적 원리인 리는 인간 세계에서 기원한 도덕원리가 아니라 우주자연의 운행원리에서 나오는 우주자연의 이법에서 기원한다. 인간의 도덕이 인간들 사이에서만 통용되는 도덕이라면 닫힌도덕이며 이러한 도덕은 참다운 도덕이 될 수 없다. 하지만 유학적 도덕원리인 지극한 선한 리는 우주자연의 원리에서 기원한 열린도덕이며 우주자연과 소통되는 도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주적 윤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clarifying the reason why the west ethics and the east ethics diverged into three different views regarding the foundation of ethic on the reason or the emotion, the connection of the existence and valu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nature and the human. The study is looking at the emotional basis rather than rational foundation in ethics. Human greatness is its morality, not reason. The foundation of human morality is a human emotion and not reason. the confucian theory of Li and Qi is composed of two different semiotic frame, one, the ontological meaning of Li; the other, the moral meaning of Li. While the one frane is applied to describe the ambivalent relationship between Li(that is moral disposition and Qi(that is amoral disposition), the other frame is applied to explain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Li(that is the principle) and Qi(that is the matter). Li is at the same times the ontological principle or reason to exist in the world, and is also the moral principle that people ought to follow. the human moral principle comes from natural world. If the human morality that prevails only among humans called the 《closed morality》, which isn`t the true morality, the true moral is expanded to the universe which is called the《opened morality》. The Confucian moral principle of ultimate good comes from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e originated from nature. the Confucian moral should communicate with nature which is called the universal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