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외모에 관한 코퍼스 분석 - 신체 및 신체 변형에 관한 뉴스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안진현,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2

        한국 여성들은 전례 없이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속에 살고 있다. 아름다운 외모에 관한 이미지는 시각문화 로 공유되면서 여성들에게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사회·문화를 반영하고 동시에 사회·문화에 영향을 주는 이데올로기를 형성해온 미디어 속에서 한국 여성의 신체와 신체 변형에 대한 언어적 표현을 수집하고 신체 변형의 어휘적인 특징과 의미를 연구하는 코퍼스 분석을 통해, 한국 여성의 외모를 규정하는 언어적 현상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17년 뉴스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여성의 신체 및 신체 변형에 관한 코퍼스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한국 미디어는 여성의 신체 각 부분에 대하여 이상적 이미지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며, 신체 변형에서는 새로움을 추구하고 변화하는 패션의 속성이 나타나고 있었다.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신체 변형에 관한 다양한 보도들은 여성이 신체 변형을 익숙하게 받아들이도록 함으로써 신체 변형이 타고난 외모를 훼손하는 행위가 아니라 앞으로의 외모를 위해 관리하는 행위로 인식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의 신체 및 신체 변형에 관한 어휘적 의미는 가치 획득, 소비와 투자, 유행과 정보, 효율과 효과, 세분화, 반작용과 다변화, 판단과 평가, 자기관리의 일상화, 성적 대상화, 사회 문제의 비판 및 개선으로 범주 화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외모의 개념, 의미, 속성으로 계층화된 외모 텍사노미를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대량의 텍스트에서 외모에 관한 언어 행위를 확인하고자 하며, 언어 현상으로부터 신체와 외모가 갖는 중요 성을 확인하는 의류학의 향후 관련 연구의 확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외모를 이루 는 신체와 신체 변형에 대한 수식과 표현을 수집한 실증적 연구이자, 미디어에 나타난 현대 한국 여성들의 외모 기준을 언어적 차원에서 제시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Korean women are living a life in a society where much unprecedented emphasis is put on appearance. Images of beautiful looks are being shared with women as the visual culture and established as significant values to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mpirical linguistic phenomena that define Korean women's appearance through corpus analysis which investigated how linguistic expressions are used for the body and body modifications of women and lexical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body modification in the media both reflecting society and culture and influencing them at the same time throughout the Korean society. The followings are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Corpus analysis on the body and body modification of Korean women based on news articles analysis from 2000 to 2017. First, Korean media showed an ideal image of a female body by part and the body modification revealed an attribute of fashion changing and pursuing the new. A variety of reports about women's body modifications in the media have influenced women's acceptance of body modifications so they are perceived as management for future appearance, rather than damaging their innate appearance. Second, lexical meanings of the female body and body modification in media could be categorized into value acquisition, consumption & investment, fashion & information, efficiency & effect, segmentation, reaction & diversification, judgment & evaluation, routine of self-management, sexual objectification, criticism and improvement of social issues. This study derived the taxonomy of appearance stratified by its concept, meaning and attribute, based on above, identified speech acts of appearance from a large quantity of texts, so intends to expand the range of research that discovers the importance of body and appearance they have in studies of clothing and textile from linguistic phenomena. It is also an empirical research that collects the modifications and expressions of the body and body modification composing the appearance of women in Korean society, and it is expected to be a material to suggest contemporary Korean women’s standard of appearance from a verbal dimension.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관광지 추천 시스템 구현-한국관광공사 LOD를 중심으로-

        안진현,김응희,김홍기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4

        기존 전시회 정보 제공 서비스는 전시회가 열리는 장소 주변의 관광지를 추천한다. 이러한 위치기반 추천의 경우 전시회의 내용과 관련이 없는 관광지를 추천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전시회 내용과 관련된 관광지를 관람객에게 추천함으로써 전시회에서 획득한 지식을 관광지에서 경험하는 데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전시회 큐레이터들이 전시회 내용과 관련된 관광지를 일일이 찾아 추천하는 방법이 있지만, 수작업이다 보니 큐레이터가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의 범위 내에서만 추천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수작업에 따른 오류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자동화된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자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시회 내용과 관련된 관광지를 자동으로 추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언어자원으로는 한국관광공사 LOD(Linked Open Data), 위키피디아, 국립국어원 사전 등을 활용했다. 단일 컴퓨터로는 이러한 대용량 언어자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클라우드 컴퓨팅 프레임워크인 아파치 스파크(Apache Spark)에 기반하여 구현했다.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전시회 정보를 열람하면 본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된 관광지들을 같이 보여주는 웹인터페이스도 구현했다(http://bike.snu.ac.kr/WARP). 주요 전시회에 대한 관광지 추천 정확도에 대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했다. 기존 방법에 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활용하면 전시회 큐레이터의 수작업을 줄여줄 수 있고 전시회 관람자들을 관광지로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시산업과 관광산업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Conventional exhibi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commend tourist attractions that are close to the place in which an exhibition is held. Some recommended attractions by the location-based recommendation could be meaningless when nothing is related to the exhibition’s topic. Our goal is to recommend attractions that are related to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exhibition, which can be coined as content-based recommendation. Even though human exhibition curators can do this, the quality is limited to their manual task and knowledge. We propose an automatic way of discovering attractions relevant to an exhibition of interests. Language resources are incorporated to discover attractions that are more meaningful. Because a typical single machine is unable to deal with such large-scale language resources efficiently, we implemented the algorithm on top of Apache Spark, which is a well-known distributed computing framework. As a user interface prototype, a web-based system is implemented that provides users with a list of relevant attractions when users are browsing exhibition information, available at http://bike.snu.ac.kr/WARP. We carried out a case study based on Korean Tourism Organization Linked Open Data with Korean Wikipedia as a language resource. Experimental results are demonstrated to show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The effectiveness was evaluated against well-known exhibi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approa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oth exhibition and tourist industries by motivating exhibition visitors to become active tourists.

      • KCI등재

        웹 검색 기반으로 한 제주 오름의 콘셉트 분류 시스템

        안진현,변소영,우서정,안예지,강정운,김민철,Ahn, Jinhyun,Byun, So-Young,Woo, Seo-Jung,An, Ye-Ji,Kang, Jungwoon,Kim, Mincheol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8

        오름의 방문객 수가 증가하고 있고 관광의 트렌드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오름 방문의 동기도 과거의 휴식과 쾌락의 차원에서 경험과 체험을 중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사람들은 오름에 오를 때 단순히 운동만이 아닌 결혼, 가족여행 등과 같은 동기를 선정하여 방문한다. 하지만 관광객의 오름 방문 동기에 맞는 오름을 찾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웹문서 검색 엔진을 통해 오름과 콘셉트에 대한 연관 수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오름의 콘셉트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홈페이지에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원하는 날짜를 선정해서 과거 혹은 선택한 기간의 오름과 콘셉트에 대한 연관 수치 확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제주의 자연유산인 오름의 방문을 활성화하여 제주 관광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향후 제주 오름만이 아닌 해수욕장이나 바다 등으로 본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다. Currently, the number of visitors to Oreum is increasing and the trend of tourism is changing rapidly. The motivation for visiting Oreum is also changing from relaxation and pleasure to experiences. In line with this change, people visit the mountain by selecting motivation such as marriage and family photos, not just exercis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arch for an Oreum that matches the tourists' motiv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d a system that provides the association between Oreum and concept based on the number of search results from web search engines in real tim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date to check the associations for past or selected periods and concepts. Through this research, visitors to Oreum, Jeju's natural heritage,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 Jeju. In the future, the concept of visiting beaches or seas, not just Jeju Oreum, can be provided. In this work, search results from websites are collected, stored in a database, and search results of Oreum and concept are provided on the homepage to classify Oreum trends.

      • KCI등재

        한국 여고생의 신체불만족과 외모관리에 대한 질적 연구

        안진현,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낮은 신체만족도를 보이며 두드러진 외모관리를 행하는 한국 여고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불만족과 외모관리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거주 여고생 66명에게 한국판 청소년용 대상화된 신체의식척도(K-OBC-Y) 설문을 실시하여, 설문을 마친 여고생들의 K-OBC-Y 평균 점수인 38.08 이상의 높은 신체의식을 가진 10명의 여고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여고생의 신체불만족과외모관리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들은 본인의 신체에 불만족을 표현하고 있었으며, 이는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인 부모, 또래, 미디어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된 신체부분별 구체적인 이상적 신체이미지로 인한 것이었다. 특히, 미디어는 여고생들의 신체불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나타났다. 둘째, 여고생들은 얼굴관리, 외모변형, 체중관리, 의복관리로 다양한 외모관리를 일상적이며 기본적인 것이라 인식하며 행하고 있었으나, 체중관리는 외모관리의 효용성을 낮게 평가하는 여고생에게서는 소극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여고생들의 외모관리는 신체불만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으며, 외모관리를 통해 자신이 불만족하는 신체부위를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여고생의신체불만족과 외모관리에서 사회적 문제점 및 시사점을 찾고, 그들의 신체 이미지에 바람직한 사회와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한다는 점과 향후 여고생의 긍정적인 신체 이미지를 구축하는 방향성 제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의의를 가진다. 그리고 청소년의 신체불만족과 외모관리에 관해 단편적인 유형화와 가중치에 따른 영향력에 대해 양적인 통계 수치로 주를 이루는 연구들 사이에서, 양적연구로는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사실들을 파악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향후 청소년의 외모 관련연구에서 활발히 이루어져야한다는 재고를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in Korean high school girls showing a lower level of body satisfaction and a higher level of appearance management. Hence, 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K-OBC-Y) was conducted for 66 high school girls in Seoul and in-depth interview was done for 10 high school girls having a higher level of body consciousness more than 38.08, average scores of K-OBC-Y for girls that completed a questionnaire. As for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high school girls, findings from in-depth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ly, high school girls showed dissatisfaction with their body resulted from specific ideal bodily images influenced by their parents, peers and media. socio-cultural influential factors.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media ar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of high school girls. Secondly, high school girls recognized various kinds of appearance managements including management of face, weight and clothing along with bodily transformation as the usual basic but showed difference in weight management less shown from high school girls who undervalued utility of appearance management. Thirdly, appearance management of high school girls had close association with body dissatisfaction and they tried to overcome their unsatisfactory bodily parts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social issues of and gave suggestions for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high school girls, providing basic data for desirable social and media roles in their bodily images. Besides, It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it gav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need of active qualitative research for adolescents.

      • KCI등재

        Combining Local and Global Features to Reduce 2-Hop Label Size of Directed Acyclic Graphs

        안진현,임동혁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16 No.1

        The graph data structure is popular because it can intuitively represent real-world knowledge. Graph databaseshave attracted attention in academia and industry because they can be used to maintain graph data and allowusers to mine knowledge. Mining reachability relationships between two nodes in a graph, termed reachabilityquery processing, is an important functionality of graph databases. Online traversals, such as the breadth-firstand depth-first search, are inefficient in processing reachability queries when dealing with large-scale graphs. Labeling schemes have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The state-of-the-art is the 2-hoplabeling scheme: each node has in and out labels containing reachable node IDs as integers. Unfortunately,existing 2-hop labeling schemes generate huge 2-hop label sizes because they only consider local features, suchas degre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re efficient 2-hop label size reduction approach. We consider thetopological sort index, which is a global feature. A linear combination is suggested for utilizing both local andglobal features. We conduct experiments over real-world and synthetic directed acyclic graph datasets and showthat the proposed approach generates smaller labels than existing approaches.

      • KCI등재

        한국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 외모담론 - 2000년부터 2017년 뉴스 기사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

        안진현,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3

        Commercialism and the profit structure of the media and the consumer appearance management industry have been intensified with the capitalistic development, making women pursue appearance defined by the media rather than the biological beauty. In particular, as a kind of ideology, discourse on the body modification established from such a process encourages women to acquire their appearance through modification cutting and trimming a body. Hence,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discourse on Korean women’s appearance in media from a contextual way by analyzing how such discourse was created in media and especially what action women do for a body and body modifi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iscourse on female appearance in the Korean media with understanding on the way they produce the discourse based on body modification and females’ changing perception and attitude on appearance. Through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6 daily newspapers from 2000 to 2017, discourse from the Korean media could be analyzed into the appearance management as qualification, appearance concept fragmented, appearance evaluation internalized, appearance surveillance deepened, and the coexistence of destructive appearance discourse and subjective appearance practice. The media was making females desire for more beautiful and better looks and saying that they had to have it. The media were exercising the unfair power over community members, urging them to transform their body and implanting standardized desire in their mind, and they were destructing their lives and values significant to them. They are to put their looks in the center of the limitless competition and especially be immersed in the operation of a body through the modification. Such discourse on appearance was neither formed by one or two news articles nor established within a short time. It has been reflecting the ordinary language and acting as the power for a long time in a stable manner. Through a multilateral approach to the discourse on appearance which has been established i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 media and women and conducted by individual practice since 2000,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considered perception of the discourse on female appearance formed by the present Korean media and deepened by practice of women and investigated an appearance management phenomenon of Korean society’s own from a perspective of fashion design. 언론과 외모관리 소비산업의 상업적 목적과 수익구조는 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라 심화되어, 단순히 생물학적인 아름다움이 아닌, 미디어 속에서 규정되는 외모를 여성이 추구하도록 만든다. 특히 이러한 과정을 통해형성된 신체 변형에 관한 담론은 일종의 이데올로기로서 여성이 스스로 신체를 깎아내고 다듬는 변형을 통해 외모를 획득하도록 조장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 속에서 여성의 외모담론이 어떠한 방식으로 생성되었는지, 특히 신체와 신체 변형에 관하여 여성들이 어떠한 행동을 실천하게 만드는지 분석함으로써 미디어 내에형성된 한국 여성의 외모담론을 맥락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미디어가 신체 변형을중심으로 담론을 생산하는 방식과 그에 따라 변화한 여성의 외모 인식과 태도를 이해하여, 한국 미디어에나타난 여성의 외모담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6개사의 중앙지에 실린 뉴스 기사를연구 범위로 페어클로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한국 미디어에 발견된 담론은 스펙화된 외모관리, 파편화된 외모개념, 내재화된 외모평가와 심화된 외모 감시, 파괴적 외모담론과 주체적 외모 실천의 공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미디어는 더 아름답고 나은 외모를 갖고 싶도록, 또 이를 가져야만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신체 변형을 종용하고 획일화된 욕망을 심어주는 미디어는 사회 구성원들을 향해 부적절한 권력을 행사하고있었으며, 끝없는 욕망의 실현을 위해 사회 구성원들은 중요한 자신의 삶과 가치를 파괴하고 있었다. 무한경쟁의 한 가운데 외모를 두고, 특히 변형을 통한 신체 운용에 더 몰입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외모담론은결코 한두 개의 뉴스 기사 내용으로 형성되거나, 짧은 시간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일상 언어가 반영되어오랜 시간 동안 공고하게 외모담론이 권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한국, 미디어, 그리고 여성이라는 특수성 속에서 외모담론들이 형성되고 개인의 실천으로 행해지는 것에 대해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현 한국 미디어가 만들고 여성들의 실천으로 심화되는 여성의 외모담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패션디자인적인 입장에서 한국 사회만의 독특한 외모관리 현상을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