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의미생성

        안지혜 열린부모교육학회 2023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iculum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in childcare practicum and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essence contained in it. For this purpose, journals of the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s ‘awakening to the existence of young children in the fantasy created by adults’, ‘starting from the interest and interest of young children in fun planning’, ‘preoccupied with interest and attention. It turned out to be ‘following the interests and interests of young children in class’, ‘retaining the traces of play in records that do not contain learning (play)’, and ‘approaching true play from the center of play with only word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that is created together, first, the meaning of ‘making’ as ‘learning experienced throughout life and meaning creation’ is not limited to someone or a certain space. It was experienced throughout the entire life of young children, not just in the time zone. Second, the meaning of ‘together’ as ‘entanglement of relationships, emphasis on togetherness’ was created in the entanglement of relationships, not unilaterally led by someone. Third, the meaning of ‘I-Teacher’ in the curriculum of co-creation as ‘living as a growing being by making the curriculum together’ is to think actively and lead one’s own growth in the experience of childcare practicum. It turns out that it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s in depth how to experience the educational process created together through practicum in the childcare field, which is changing to be young child-centered and play-centered, and what meanings they create.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경험한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은 어떠한지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그 속에 담겨진 본질을 보다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보육실습을 경험한 예비보육교사 18인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수집하고 이를 질적연구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경험의 본질은 ‘성인이 만든 환상의 영유아에서 영유아의 존재에 눈떠가기’, ‘재미있게 계획하기에서 영유아의 흥미와 관심에서 시작하기’, ‘흥미와 관심을 끌기에 전전긍긍하는 수업에서 영유아의 흥미와 관심 따라가기’, ‘배움(놀이)을 담아내지 못하는 기록에서 놀이의 흔적을 담아내기’, ‘말만 놀이중심에서 진정한 놀이에 다가가기’로 드러났다. 또한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의 의미는 첫째, ‘삶 전체에서 경험되어지는 배움, 의미생성으로서의 ‘만들어간다는 것’의 의미는 영유아의 삶 전 전체에서 경험되어지는 것이었다. 둘째, ‘관계의 얽힘, 함께에 방점찍음’으로서의 ‘함께’의 의미는 누군가에 의한 일방적인 주도가 아닌 관계의 얽힘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었다. 셋째,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어가며 성장해나가는 존재로 살아가기’로서의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에서의 ‘나-교사’의 의미는 보육실습 경험 속에서 능동적으로 사고하며 자신의 성장을 이끄는 유능한 모습을 보이며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존재임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영유아중심․놀이중심으로 변화하는 보육현장에서 보육실습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생성해내는 의미는 어떠한지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빠르게 변화하는 보육현장의 변화만큼 보육실습의 변화가 따라오지 못하는 현주소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보육실습내용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역사 재현의 어려움 : 모델영화에서의 명예훼손과 표현의 자유

        안지혜 영상예술학회 2009 영상예술연구 Vol.15 No.-

        최근 한국영화의 주요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팩션(faction)영화, 그 중에서도 실제의 인물을 모델로 하여 영화 속의 인물을 재창조하는 ‘모델영화’는 모델이 되는 인물에 대해 다양한 해석과 창작이 덧붙여지고 그 과정에서 해당 인물의 명예 감정을 상하게 하거나 사회적인 평가를 저해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헌법이 보장하는 두 가지 기본권이 충돌하게 되는데 영화를 창작하는 사람이 가지는 언론·출판의 자유와 학문·예술의 자유, 즉 넓은 의미의 표현의 자유가 그 하나이고, 모델이 되는 사람이 가지게 되는 인격권이 다른 하나이다. 이 충돌은 일반적으로 명예훼손이라는 형법적 다툼과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이라는 민법적 다툼으로 이어지곤 한다. 실제 역사와 실존 인물을 영화화함에 있어 그 표현의 ‘자유’와 ‘한계’는 어디까지인가는 개별 창작 과정에서 끊임없이 검토되어야 하겠지만 일정한 사회적 합의와 일관된 판례가 그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불필요한 자기검열을 피하고 예술적 창조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예측가능한 기준들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명예훼손을 이유로 소송의 대상이 된 모델영화의 사례들을 통해 표현의 자유와 개인의 명예라는 충돌하는 가치를 적절히 조화함에 있어 우리 사법부가 어떤 태도를 취해왔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델영화에서 명예훼손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사실’(혹은 ‘허위사실’)을 적시하여 모델이 된 실존인물의 ‘사회적인 평가’를 저하시켰다고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적시된 사실이 진실과 부합하고 그 내용이 공공의 이익과 관련되어 있다면 위법성이 조각되어 책임을 면할 수 있다. 논점을 정리해보면 첫째, 문제의 표현이 사실 혹은 허위사실을 적시한 것인가의 여부, 둘째, 문제의 표현으로 인해 모델이 된 인물의 ‘사회적 평가’가 저하되었다고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지의 여부, 셋째, 적시된 사실이 진실과 부합하고 (혹은 그렇게 믿을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공공의 이익과 관련되는지의 여부 등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준들이 실제 판례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해석되는지를 <실미도>와 <그때 그사람들> 사건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현재의 판례들 이 영화 표현의 자유를 언론의 자유와 동일한 논의의 틀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허구의 예술인 영화의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논의의 틀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는 한국영화에서 다양한 소재와 다양한 시각의 역사 해석이 존재할 수 있도록 표현의 자유를 폭넓게 보장하고자 함이다. The ‘faction film,’ one of the noticeable trends in recent Korean films, or to a lesser extent the ‘films with the use of likeness,’ meaning the films that create the characters based on real figures, bear the negative possibilities of defamation and social demotion of the real figures. It is because this kind of films add various analysis and sometimes recreate certain factors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real figures into filmic entities. Two constitutional rights may conflict at this point:one is the freedom of expression which overall embraces the freedom of speech and publication and the freedom of art and academic research. The other is the personal right of the real figure. The collision between these two often leads to either the defamation, a penal case, or the damage suit, a civil conflict, or to both sometimes.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it's limitations in the films adapting from the real history and figure would have to be discussed in each individual filmmaking case. However, a general guideline, built upon social consensus and consistent precedents, should be provided since, being predictable, it could help filmmakers to avoid unnecessary self-censorship and encourage artistic creativity. This thesis aims to look into how the Korean judicature has been reacting to the issue of balancing on the verge of two potentially conflicting values,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defamation of individuals, by studying the films with the use of likeness under the lawsuit for being defamatory. In order to conclude defamation in the film, it is necessary that the real figure has to be defined, based on objective standards, as damaged from devaluation of social status by being adapted into the film. However, if the adapted story corresponds to the reality and involves in the public interest, the film can be waived from being claimed illegal and be free from legal responsibilities. In other words, three questions need to be asked in order to conclude the defamation;first, does the film include facts or fiction? Second, has the adapted story damaged social status of the real figure judging from objective standards? Third, does the adapted story correspond to the reality (or at least have enough reason to believe so) and relate to the public interest? This thesis sees how these questions are answered in real precedent cases by taking examples of two films:Silmido(2003, directed by KANG Woo-suk) and The President's Last Bang(2004, directed by IM Sang-soo). I'd like to point out that the current precedents have the same approach to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films as they do to that in press, and extend to claim that a new approaching model should be discussed considering the film's different nature: a fictional art. This, I believe, will help to secure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Korean films, which after all enriches Korean films with diverse subjects and various points of view in looking into history.

      • KCI등재

        통계기법을 이용한 천리안위성 2A호 일일 해수면온도 산출물의 이상화소 검출 및 결측화소 복원 실험

        안지혜,이양원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21 기후연구 Vol.16 No.4

        SST (Sea Surface Temperature) is an essential meteorological factor that enables us to discover atmosphere-ocean interaction and understand climate change. Because SST observation using satellites can provide spatially continuous coverage, it is thought of as a useful tool for the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SST and the spatial complement of in-situ point observations. This paper examined a quality improvement method for GK2A (Geostationary Korea Multi-Purpose Satellite-2A) daily SST product in terms of the outlier detection using DSAT (Deviation from Spatial Autocorrelation Trend) and the gap-filling by FMM (Fast Marching Method) and MLR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outliers were found mainly around coastal areas, presumably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trieve SST around complex coastlines and small islands. After the removal of such outliers, GK2A SST showed a somewhat improved coincidence with in-situ observations. MLR, a multivariate method, produced better accuracy than FMM, a univariate method. The MLR model using appropriate explanatory variables yielded a more spatially detailed result for the gap-filling and quite high accuracy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0.951 and 0.964. Future works will be necessary to enhance the outlier detection and gap-filling process, including ensemble and filtering methods.

      • KCI등재

        알카자이트 수복재의 색안정성 : 실험실적 연구

        안지혜,이상호,이난영,신혜원,지명관 대한소아치과학회 202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알카자이트 수복재와 소아치과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복재들의 색 안정성을 비교하고, 다양한 음료에서의 색상 변화를 비교하는 것이다. 글라스아이오노머,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알카자이트 수복재, 복합레진의 시편을 준비하였고, 열순환 후 색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침전 전과 7일, 14일, 21일, 28일 후 CIE L*a*b*값의 색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각 수복재료의 시편을 5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각 PBS, 커피, 녹차, 콜라, 오렌지주스 용액에 침전시켰다. 열순환 후 복합레진에서 가장 높은 색 안정성을 보였고, 알카자이트 수복재, 글라스아이오노머,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순으로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7일간 다양한 용액에 침전시킨 결과 모든 시편에서 색상 변화가 나타났으며, 알카자이트 수복재는 글라스아이오노머 계열보다 낮은 색상 변화를 보였고, 복합레진보다는 높은 색상 변화를 나타냈다. 알카자이트 수복재는 커피에서 가장 많은 색상 변화가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녹차, 오렌지주스 순이었으나, 콜라와 PBS 용액에서는 침전 28일 이후에도 색상 변화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아내와 떨어져 0세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아버지의 사례연구

        안지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아내와 떨어져 자녀를 양육해본 아버지가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이러한 과정에서 경험하는 아버지됨의 의미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러한 경험이 있는 아버지를 심층면담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아내와 떨어져 양육하는 것은 새로운 도전이었으며, 이러한 도전은 두려움으로 다가왔다. 연구참여자에게 주변 사람들은 낮은 육아 기대치를 가지고 있었으나 점차 역할비중을 스스로 높아나갔으며, 해보지 않았던 일상적 양육의 영역까지 경험하게 되었다. 하지만 전적으로 육아를 담당할 수 없었던 연구참여자는 주변에 도움의 손길을 구해야 했으며 어려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아버지로서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가족 모두의 행복을 추구해야 하며, 전통적인 아버지의 역할에 갇혀 있기보다 새로운 아버지됨을 만들어가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자신은 가족을 위해 희생이 아닌 당당한 선택을 하는 존재이며, 앞으로도 계속 고민하게 될 존재임을 깨닫게 되었다. 이는 홀로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들을 이해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며, 이러한 아버지들과 자녀를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써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at kind of experience does a father who has raised his child without his wife has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For this, we have deeply interviewed a father who has such experience and have analyzed collected data. Raising his child without his wife was a new challenge to him and a fear fell upon him as such challenge began. Raising experience was started from the low expectations of neighboring people toward him but gradually he increased his role in raising and started to know what is an actual raising. However, he had to ask for the help to neighboring people and sometimes he felt the difficult. Through such experience, he got to be realized that he has to strive continuously as a father, has to pursue the happiness of all family members, and has to create a new role of father rather than stuck in the typical role of father. Also, he realized that he has to make not a sacrifice but a fair choice for his family and will concern this continuously even in future. This will be an actual help to understand fathers who raise their children alone and will has the meaning as a basic data to prepare the system to support such fathers and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