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혼의 돌봄을 위한 상담학

        기민(An, Kim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2 이성과 신앙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new the identify of pastoral counselling and the approach therein that includes care for the soul. There are several types of soul care in the tradition of the Church. Pastoral counselling is one kind of new care for the soul that is related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psychology. In the term pastoral counselling itself, pastoral is understood as belonging to the subject of theology, and counselling as belonging to psychology. In counselling, theology is not something that is far removed from daily life. The thought of God that clients express in counselling is that their own anthropology is always revealed and closely connected to their daily life. What counselling is, is that, clients come to the counsellor to ask for help, and as the counsellor helps the client to explore and understand himself or herself and his or her problems and predicaments, the counsellor in this process, helps the client to achieve the client's own aim, determined by his or her own psychological change. In counselling, there is a clear goal and a method to achieve that goal. The method contains the theory, the process of counselling and the procedure. First of all, the counsellor fully understands the counselling approach that he or she chooses so that the counsellor helps the client to solve their problems in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ir problems by the basics of their approach. Pastoral counselling began in America in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when counselling came to be practised widely. Pastoral counselling, in relation to 'pastoral care', is an activity that is based on the values of theology and christianity. Especially, pastoral counselling is an activity that is understood in the big frame of 'pastoral'. Pastoral counselling is 'pastoral',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what makes the pastoral elements determines what is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ling. There is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activities of pastoral care, pastoral counselling, pastoral psychotherapy, and spiritual direction. These four activities are the type that are being done in the church to help peopl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respective helping contents, extent, aim, and approach. Unlike pastoral care and spiritual direction that have a tradition in the church of care for the soul, pastoral counselling is a special type of care for the soul. The theory and method the pastoral counsellors use to make decisions in pastoral counselling lead us to understand what pastoral counselling is. Because the 'pastor' is the pastoral counsellor ,the counselling cannot become pastoral counselling. Also, because the client who comes to counselling is a catholic, it does not mean that it is pastoral counselling. Being irrelevant to their religion, as well as the content of the counselling, what makes the decision regarding pastoral counselling is revealed in the whole counselling process. In general, the counsellor has the counselling theory and approach that are suitable to the counsellor so that he or she can help the client's problems. In conclusion, if the pastoral counsellor also has a strategic counselling approach, he or she can help the client more effectively in the frame of pastoral counselling. 이 연구의 목적은 영혼을 돌보는 사목상담의 정체성과 사목상담의 방법론을 새롭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교회의 전통 안에는 영혼의 돌봄에 관한 다양한 형태가 있다. 사목상담은 현대에 와서 심리학의 발달과 관계해서 대두된 새로운 영혼 돌봄의 형태이다. ‘사목상담’이라는 용어 자체에서 볼 수 있듯이, ‘사목’이라는 신학의 주제와 ‘상담’이라는 심리학의 주제가 이 용어 안에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상담에서 신학은 일상적 삶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 상담의 현장에서 내담자가 표현하는 ‘신’에 대한 생각은 늘 자신만의 인간학을 드러내고 일상적인 삶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담이란 내담자가 상담자를 찾아와 도움을 청하고, 상담자는 내담자가 진솔하게 자기 자신과 자신의 문제와 어려움을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를 일으켜 자기결정에 의한 목표에 도달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상담에는 어떠한 뚜렷한 목표가 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그 방법 안에는 이론과 과정(절차)이 있다. 무엇보다도 상담자가 자신이 선택한 상담방법론을 충분히 이해해서, 그것을 바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도와 문제해결을 돕는다. ‘사목상담’은 상담심리학이 본격적으로 태동하기 시작할 때인 20세기 중반에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사목상담은 ‘사목적 배려’와 관련이 있다. 사목상담은 신학적이고 그리스도교적인 가치관 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이다. 특히, 사목상담은 ‘사목’이라는 큰 틀에서 이해되는 활동이다. 사목상담은 ‘사목적’이고, 사목적인 결정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사목배려, 사목상담, 사목심리치료, 그리고 영성지도의 활동 사이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 네 가지 활동들은 모두 교회 안에서 행해지는 돕는 형태의 활동이지만, 돕는 내용과 정도, 목적, 그리고 방법에 차이가 있다. 교회의 전통적인 영혼 돌봄의 형태인 사목적 배려와 영성지도와 달리 사목상담은 심리학과 신학을 바탕으로 하는 영혼 돌봄의 특수한 형태이다. 사목상담을 결정하는 이론과 방법론이 곧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밝혀준다. 사목상담자가 ‘사목자’이기 때문에 사목상담이라고 결정할 수는 없다. 또한, 상담에 오는 내담자가 가톨릭신자라고 해서 사목상담이 성립되는 것도 아니다. 사목상담을 결정하는 것은 상담자나 내담자의 종교와는 무관하고, 또한 상담의 내용과도 상관없이 상담 과정 전반에 사목상담의 특성이 드러나는 것에 있다. 일반적으로 상담자는 자신의 성향과 가치관에 맞는 상담이론과 상담방법을 가지고서 내담자의 문제를 도와준다. 결론적으로, 사목상담자도 하나의 전략적 상담방법을 가지고 있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사목상담이라는 틀 안에서 내담자를 도와줄 수 있다.

      • KCI등재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실재성

        세웅(An Se-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3

        이 논문은 우리가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를 대하며 마치 실제인 것처럼 실재감을 느끼는 이유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을 구해 보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세계에서는 초사실적 주체들이 존재하고 사물들이 생명을 부여받아 각자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또한 실제 세계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대상들이 등장하며 그들은 시간적 담화로 결속되어 있다. 그들의 세계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를 그대로 옮겨놓은 것 같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는 그런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세계가 지니는 실재를 상상적 현실의 실재, 존재적 사물의 실재 익명적 대상의 실재, 시간적 담화의 실재로 정의하고 그 실재성을 밝혔다. 실재성을 밝히기 위한 개념의 틀은 ‘사태 자체’에로 향하여 본질을 파악하려는 현상학의 철학적 진술에서 빌려왔다. 구체적으로 실재성을 규명하기 위해 빌려온 철학적 진술들은 후썰, 하이데거, 사르트르, 바슐라르, 메를로-풍티, 리쾨르에 의해 해명된 것들이다. 방법적으로 우리 존재와 세계 인식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해한 원리를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세계에 대입하여 사례 제시와 함께 논의를 이루도록 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화의 근본적 의미를 새삼 돌이켜보고 그 가치를 가늠해보는 계기를 갖는데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seeking a radical answer to the reason why we feel an actuality while watching a digital animated film. In the world of digital animation, there exist surrealistic subjects and the objects, which have come been brought into life, play their own role there. Furthermore, objects, which do not exist anywhere in the real world, appear and a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time discourse. Their world seems to be identical to our world or not. This study defined an actuality of a digital animation world as an actuality of imaginary reality, an actuality of existent object, an actuality of anonymous object and an actuality time discourse, and examined such actuality. A frame of concept for examining the actuality was borrowed from philosophical statements of phenomenology that understands the nature of an actuality through 'zu den Sachen selbst'. Philosophical statements cited for searching an actuality specifically were those already explained by E. Husserl, M. Heidegger, J.-P. Sartre, G. Bachelard, M. Merleau-Ponty, and P. Ricoeur. Methodolog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our existence and recognition of the world in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apply this principle to the world of a digital animation, and subsequently discuss it with the provision of examples.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fundamental meaning of a digital animated film and evaluate its valu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글서체 캘리그래피 표현유형에 관한 연구

        상락 ( Sang Iak An ),송종률 ( Jong Youl S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7 No.-

        캘리그래피는 아름다움과 신선한 감동을 주는 표현력이 강한 글자체로서 전달하려는 문화적 메시지와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한글이 우리의 정서에 맞는 감각이기 때문이며 캘리그래피의 영역은 무한하다고 볼 수 있다. 타이포그래피의 영역 속에 있으나 그 독자적으로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찾아내고, 디자인의 한 요소인 캘리그래피는 한 시대의 유행이 아닌 발전적 가능성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서 보다 근원적이고 새로운 사고와 연구를 통하여 그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며 디자인에의 적용 및 시도는 표현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 디자인에서 강력한 표현 도구가 될 것이다. 캘리그래피에서 표현기법은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왜냐하면 표현기법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의 이미지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최근 정보전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으로 캘리그래피가 여러 광고 매체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잘못 전달되는 매체표현도 많아 정보의 사각지대가 되고 있다. 이러한 캘리그래피의 매체들은 직접적으로 전달하려고 하는 메시지를 보다 새로운 기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기억에 오래도록 각인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조적 캘리그래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한글 캘리그래피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도구를 활용한 표현기법을 통해 신선하고 독특하며, 새로운 표현기법을 구사하고 또한 각 브랜드별 캘리그래피의 표현 사례 및 분석을 통해 이에 따른 문제점 및 캘리그래피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캘리그래피의 미래에 대한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두었다. As calligraphy is expressive giving beauty and charge, it is various according to its cultural messages and characteristics. It’s because Hangul matches our emotion and we can see an area of calligraphy is infinite. Calligraphy belonging to typography but being one factor of design with new independent representability is not a fashion but have enough growing possibility, so through original thinking and research, arranging its concept will be an important study. Also, application and trying to design will be a strong expression instrument in modern design pursuing diversity of expression. We have to choose an expression instrument carefully in calligraphy, because an image of information depends on expression instruments. Nowadays, calligraphy is used in various advertisements as a new way for maximizing an effect of information delivery. However, there are many wrong media’s expressions so it is becoming a blind spot of information. These medias is stamped on consumers with a new technique expressing messages to deliver. This research recognizes importance of calligraphy and suggests its problems and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 through analysing examples of using calligraphy by brands. It puts meaning to maximizing the effective messages’ delivery function for the future.

      • KCI등재

        일반 : "조직신학"과 "교의학"의 학문적 관계성에 대한 연구 -바르트, 벌코프, 틸리케, 판넨베르크를 중심으로

        계정 ( Kye Jung An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4 No.-

        한국의 신학교육에 있어서 ``교의학``이라는 용어는 매우 드물게 사용되고 있으며 대신 ``조직신학``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그렇다면 조직신학과 교의학은 사실상 같은 개념인가? 현대 조직신학에 큰 영향을 끼친 바르트, 벌코프, 판넨베르크, 틸리케가 교의학과 조직신학을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연구함으로써 이 물음에 답하고자 한다. 바르트에게 교의학이 곧 조직신학이다. 교의학은 한 신학적 분과로서 "교회에 고유한 하나님에 대한 말함의 내용에 관한 기독교 교회의 학문적인 자기시험"이다. 바로 이 ``교회의 하나님에 대해 말함``이 ``도그마``인데, 바르트는 단수 ``교의``와 복수 ``교의들``을 구별한다. 교의는 교회적 선포와 성서 안에서 증언된 계시와의 일치이다. 또한 바르트는 윤리적인 문제를 교의학 안에서 통합적으로 취급한다. 벌코프는 조직신학과 교의학을 사실상 동의어로 취급한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과 ``교의``를 구분하는데, 교의가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나온 진리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진리가 엄밀한 의미에서의 교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오직 교회가 이 교리적 가르침들을 공식화하고 공적으로 채택할 때만이 그것들은 교의가 된다. 교의학은 이 교의를 연구하고 해석한다. 판넨베르크는 교의학이 곧 조직신학이라고 주장한다. 판넨베르크는 "계시진리의 보편성"이 조직신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라고 천명한다. 조직신학은 근본적으로 기독교의 교리를 전체적으로 다루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진리의 보편성과 일반성의 요구를 거절하는 것은 아닌데, 판넨베르크는 이 문제를 종말론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조직신학이 다루는 기독교 교리의 진리문제는 근본적으로 종말과 그 예견에 달려있다. 틸리케에게 조직신학은 교의학과 윤리학의 통합적 개념이다. 기독교 신앙을 통해 교의학과 윤리학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각각의 고유한 독자성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교의학과 윤리학은 각각 다루는 주제영역에서 구별된다. 교의학의 임무는 전통적인 기독교회의 교의를 해석하는 것이고, 윤리학은 그리스도인의 이 세계 안에서의 실존을 해석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신학교육에서 조직신학과 교의학은 학제적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조직신학은 성경신학, 역사신학, 실천신학과 함께 신학이라는 전체 학문을 구성한다. 둘째, 교의학의 임무는 교회의 교의를 역사적으로, 조직적으로 기술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셋째, 윤리학은 조직신학의 한 분과로 인정되어야 한다. 특히 윤리적 문제가 첨예화되는 지금의 시대에 개혁주의 윤리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A Study on the scientific relation between Systematic Theology and Dogmatics Centered on Barth, Berkopf, Pannenberg and Thielicke Kye-Jung An (Baekseok University, Systematic Theology) In the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 the term ``Dogmatics`` has been rarely used; instead the name ``Systematic Theology`` is in common. Are they actually same concept? This article will find a solution studying how some great theologians like Barth, Berkopf, Pannenberg and Thielicke understood Systematic Theology and Dogmatics. For Barth Dogmatics is Systematic Theology. Dogmatics as a theological discipline is the scientific self test of Christian church concerning its own saying about God. This saying of church is dogma, and Barth concerns strictly the singular ``Dogam`` from the plural ``Dogmata``. The Dogma is the coincidence between church preaching and revelation testified in the Scripture. And Barth deals with ethical problems within the Church Dogmatics. Berkopf actually understand Systematic Theology as Dogmatics. He distinguishes ``the Word of God`` and ``dogma``. Though the dogma is truth that comes from the Word, this truth does not become the dogma in strict meaning. They can be dogma only when the Church formalize officially these doctrinal teachings. Pannenberg insists that Dogmatics should be Systematic Theology. He makes it evident that the universality of revelation truth is the core problem of Systematic Theology. So it deals with Christian doctrines historically and systematically, but it does not refuse the demand on universality and generality of truth; Pannenberg tries to solve this theme from the point of eschatology. Therefore the truth problem of Christian doctrines which are the task of Systematic Theology is dependent fundamentally on the End and its anticipation. For Thielicke Systematic Theology is a integrated concept between Dogmatics and Ethics. They are connected each other through the faith, but their identity never goes in annulment. The Task of Dogmatics is to interpret the traditional dogma of Church; that of Ethics is also to expose the existence of Christian in the world. Finally this article suggest these themes: First, Systematic Theology and Dogmatics should be distinguished interdisciplinary; the former consists the ``Wissenschaft`` theology with Biblical Theology, Historic Theology and Practical Theology. Second, the task of Dogmatics is to describe as well as to interpret the dogma of Church historically and systematically. Third, Ethics should be acknowledged a discipline of Systematic Theology; especially because of this age in which ethical problems are sharpening the importance of a reformed Ethics becomes more and more greater.

      • KCI등재후보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홍콩지하철 사인시스템 연구

        상락 ( Sang Iak An ),고영준 ( Young Jun K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7 No.-

        21C 디자인의 움직임은 인간의 미묘한 요구를 보다 잘 수용하고 디자인으로 인해 인간이 좌절감을 느끼지 않게 하며, 소외되고 차별된 느낌을 받지 않는 인간사회를 보다 유연하게 만들고자 하는 새로운 사고의 움직임이어야 한다. 특히 공공시설은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약자가 이용하기 위해서는 장애물이 없이 공공시설 내부 및 편의시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물리적 접근성이 갖추어져야 하고 그 물리적 접근성은 물 흐르듯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안된다. 영국의 식민지로 인하여 홍콩의 지하철은 매우 발달하였고 좁은 지상보다는 지하공간을 넓게 개발하였다. 세계 최초로 지하철을 개발한 영국의 기술로 홍콩의 지하철은 런던, 파리, 모스크바, 바르셀로나, 도쿄의 지하철과 함께 세계적인 사인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홍콩의 지하철이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이 적용된 것으로 예상하고 문헌과 현지 조사로 연구의 방법을 전개하였다. 홍콩의 지하철은 영국의 영향으로 일본보다도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이 확실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에스컬레이터의 탑승 입구 바로 위에 화살표 사인이 배치되어 이동에 대한 인식을 직접적으로 갖게 하며, 콘코스에서의 노선색상은 천장, 벽, 바닥 등 이동환경에 모두 적용되어 있음은 완벽함을 추구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차량내부의 교통약자를 위한 지정석이나 적절한 안전폴, 개별적 좌석의 개념을 도입한 디자인은 서로간의 불편함을 해소시키는 사례로 판단되며, 특히 모든 좌석의 측면에 설치된 유리칸막이는 서있는 사람의 가방이나 짐 등이 앉아 있는 사람의 신체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개인 존중의 역할을 충분하게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배려차원의 설치는 홍콩지하철만의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 된 사례로 생각된다. In 21C, design’s movement has to be a movement of new thinking that accepts human’s delicate requirements, doesn’t make human feel frustration, and makes society not giving a sense of alienation. Especially, public facilities should have physical approachability to inside or accommodations without obstacles for second class citizen such as the disabled and aged, and that physical approachability should be in a row. Because of been an England’s colony, Hongkong subway developed greatly and developed underground widely rather than ground. Thanks to England’s technique of first subway’s development in the world, Hongkong subway is considered equipping worldwide sign system with London, Paris, Moscow, Barcelona, and Tokyo. Thus, I researched literatures and site anticipating that Hongkong subway applies to universal design. Hongkong subway is judged that it applies to universal design certainly than Japan. An arrow near entrance of escalator gives recognition to move and application of route color to wall, floor, ceiling, and so on in concourse are examples of pursuing perfection. Design such as designated seats for trafficking weak, proper safety poll, and individual seats is an example for solving problems of inconvenience each other. Especially, glass partitions installed at the sides of all the seats prevent touching between standing people and luggages respecting individuals. These thoughtful installations are thought to be examples of only Hongkong subway’s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 KCI등재

        ‘누구의’ 심리어휘부인가

        소진(An So jin)(安昭珍) 형태론 2017 형태론 Vol.19 No.2

        심리어휘부는 실제 기억의 장소로 상정된다. 심리어휘부를 실재하는 어휘부로 상정하면 ‘이는 누구의 어휘부인가, 어떤 방식으로 심리어휘부에 대한 일반적인 진술을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본고는 개인들의 특징을 관찰한 뒤 이를 바탕으로 개인이 속한 모집단의 특징을 말하는 방식, 통계적 절차를 따른 추론의 결과로써 어휘부에 대해 논의하는 방식이 심리어휘부 연구의 자료와 방법론으로 유용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표본의 적절성이 통계적 일반화의 타당성을 결정하기 때문에 심리어휘부 연구에서도 연구 목적에 따른 대표성 있는 표본 구성이 중요하지만, 설명적 연구이자 현재로서는 일종의 탐색적 연구인 심리어휘부 연구에서는 비확률표집도 잠정적으로 활용 가능하다고 보았다. Two central issues surrounding mental lexicon are the questions of what an appropriate data collecting procedure is and how the features of mental lexicon ought to be revealed. An inductive generalization that proceeds from sample data from individuals to a conclusion about the mental lexicon is suggested as an effective measure which can reveal the features of mental lexicon. Non-probability sampling approaches can be used for mental lexicon research as exploratory research even though they are subject to a high risk of selection bias.

      • KCI등재

        서로 다른 운동 형태가 Nitric Oxide 생성과 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의수 ( An Ui Su ),박수현 ( Park Su Hyeon ),이한 ( Lee Han ),제세영 ( Je Se Yeong ) 한국운동영양학회 2003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f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cycle exercise on blood NO (nitrie oxide) and LA (lactate) concentrations in trained subjects. Seven male university volleyball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the subjects performed three different exercise test (Graded (G). Aerobic (A), and anaerobic (AN)) on a cycle ergometer with one week of washout period among the tests. V02max was determined on a Monark bicycle ergometer using the A strand protocol, which was also used at the G exercise test. The A exercise rest was performed the bicycle ergometer at an intensity of 60% of the VO_(2max). The AN exercise test was composed of a 30_(s) Wingate cycling test. Venous blood samples (3 ml each) were coilected from an antecubital vein into EDTA-treated tubes befor, during, immediately after and 30minutes after the test for the determination of blood NO and LA concentr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G exercise test, baseline N0 and LA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during. immediately after and 30 minutes after test. There wa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NO and LA concentrations. 2) In the A exercise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plasma NO concentration throughout the test, while baseline LA concentr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immediately after and 30 minutes after the test. 3) In the AN exercise LA,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during, immediately after and 30 minutes after the test. In summary, there were dose-responses in NO and LA elevations following acute exercise, such that the higher exercise intensity the greater elevation in the NO and LA concentration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re was an inverse relationship in plasma NO and LA concentrations.

      • KCI등재

        무경의 사상적 원류

        상경(An Sang-Gyeong) 한국무속학회 2005 한국무속학 Vol.0 No.10

        무경은 신장(神將)이나 신병(神兵)을 설득하여 조정하거나 또는 위압적으로 명령하여 부정적인 존재를 구축하는 주술적 언어이다. 기존의 견해에서는, ‘중국의 고대문화를 수용하여 무경이 형성ㆍ발전하였다’고 추정하고 있다. 경무의 주술행위가 나례의식(儺禮儀式)과 상통하며, 무경에 등장하는 신들의 명칭과 성격이 도교의 만신전(萬神殿)에서 숭앙하는 신격과 동일하며, 단순한 문구로서 첨가하고 있는 진언(眞言)이나 범어(梵語)가 밀교(密敎)의 것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국시대에 약간의 시차를 두고 전래된 외래 종교 내지 문화가 무경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본고의 논의는 ‘한국 전통신앙의 기반에 주술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국 고대문화를 수용하여 무경이 발전하였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특히 ‘무경의 내적 원리’라고 할 수 있는 무속적 논리가 중국 고대문화의 수용에 따른 결과물이라는 것에 주목하고, 이를 추적하는데 주력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늘의 역량이나 의지에 따라 인간의 운명이 결정되기 때문에 인간은 천의 법칙이나 질서를 따라야 한다는 운명 내지 숙명으로서의 천명과 덕성으로서의 천명을 수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인간의 운명을 무조건 신뢰할 것이 아니라 스스로 수덕하여 덕성을 온전히 보전하면 부정적인 존재의 침해를 방비하는 것은 물론 침해한 부정적인 존재까지 구축할 수 있다는 역의 논리로 무경이 확대ㆍ발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정적인 존재를 구축하는 것도 일종의 전쟁일 수 있다’는 일반적인 관념을 토대로, 춘추전국시대에 격렬한 전란기를 감내해야 했던 당시 민중의 전쟁에 대한 공포와 불안 및 전화의 회피와 안녕 도모의 희구를 반영한 시대정신으로서 벽병주술을 무경에서 대거 수용하여 부정적인 존재를 구축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신장 또는 신병의 주력을 과시하여 부정적인 존재를 위협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문자가 생성되기 이전에 이미 자연의 이치를 구조화하여 신명(神明)의 덕을 통찰할 수 있었던 오행의 원리 내지 점성(占星)의 원리, 특히 성상과 운기의 관념을 대거 수용하여 체계화한 전쟁주술로서 한대에 발달한 병음양가를 폭넓게 수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haman bible is an incantational language of establishing the negative existence by persuasive adjusting and coercive commanding a powerful spirit and ghost soldier. In existing opinion, we saw that the shaman bible is formed and developed by receiving the ancient Chinese culture. The incantational behavior is concerned with narye’s ceremony. The name and character of ghost appeared in the scene is accorded with Taoism. Because, the truly word and sanskrit receives estoteric buddism. Therefore, we suggest that foreign and culture individually transmitted in an era of samguk affect the development of shaman bible.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haman bible is developed by absorbing the Chinese culture as a means of securing a power of sorcery based on the faith of the ancient Korean culture. Especially, this article focused that the logic of exorcist customs was consequenced by receiving the ancient Chinese culture as a inner principle of shaman. Hence, this article concentrates on pursing the origin. This article’s consequences are as follows. First, we know that the shaman bible is developed by enlarging as a logic of chinese classic divination. Because man is destined to follow the principle of heaven and preserve a innate divinity nature. Second, we confirmed that the negative existence is threatened by showing a powerful spirit and a ghost soldier’s magic as a prestage of establishing it. The belief is based on that the establishig the negative existence is a war. Also third, we reach a conclusion that the shaman bible receives the Yin and Yang, the Five Elements, and a fortuneteller of soldier progressed as a magic of war in an era of Han before the invention of letter.

      • KCI등재

        언론의 자유에 대한 제한과 프랑스민법상 사생활보호

        문희(AN, Moon Hee)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叢 Vol.39 No.-

        프랑스에서는 1789년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Declaration des Droits de l’Homme et du Citoyen)’에 의해서 최초로 도입된 표현의 자유와 1881년 7월 29일 법에 의해서 인정된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고 있다. 1970년 7월 17일 법을 통해 사생활 침해에 관한 규정이 민법 제9조로 편입되었다. 프랑스민법 제9조는 “누구나 각자의 사생활을 존중받을 권리를 가지며, 손해배상과는 별도로 법관은 사생활 침해에 대한 금지 또는 중단을 위한 기탁, 압류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조치를 명할 수 있고, 위급한 경우에 해당 조치는 긴급명령의 형태로도 가능함”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사생활을 존중받을 권리는 절대적인 권리가 아니며, 이는 대중에게 정보를 제공할 언론의 권리 또한 마찬가지이다. 프랑스법원의 판결은 유럽인권협약의 영향으로 개인의 사생활의 자유보다는 언론의 자유를 더 보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두 권리 사이의 균형을 찾는 문제에 있어서, 파기원은 최근 이미지에 대한 권리를 통해 개인에 대한 권리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 평등 및 시민권에 관한 2017년 1월 27일 법의 개정이 있었다. 해당 개정을 위한 법안이 국회에 제출된 이후에, 언론의 비판과 국회의원들의 의견 불일치로 상원과 하원에서 수차례의 수정과 심의가 있었다. 특히 이번 개정은 명예훼손, 인종차별 범죄에 대한 가중처벌이나, 인종차별이나 동성애 혐오를 악화시키는 상황을 보다 일반적으로 규정함으로써 해당 범죄에 대해 엄격한 규제를 목표로 하고 있다. In France the freedom of expression adopted by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Human and of the Citizen has been guaranteed since the year 1789 and the freedom of the press adopted by the law of July 29, 1881. The law of July 17, 1970 inserted an article 9 in the Civil Code which protects the privacy of every individual. Article 9 of the Civil Code states that “everyone has the right to respect for his private life. The judges may, without prejudice to the compensation for the damage suffered, prescribe any measures, such as sequestration, seizure and other measures, designed to prevent or put an end to an infringement of the privacy of private life. These measures may, if there is urgency, be ordered in summary proceedings.” Yet the right to privacy is not an absolute right, nor is the right of the media to provide the public with information. There is a tendency, especially in European jurisprudence, to favor the defense of press freedom. French jurisprudence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s regards the search for a balance between the right to information and the right to respect for private life, there has been recent developments in the supreme court’s case-law on the right to the image. Recently, there was a reform of the Equality and Citizenship Act of January 27, 2017. After the proposal of this law was launched, it had several modifications and readings to the Senate and National Assembly because of the criticism of the press and disagreement of the deputies. In particular, it contains provisions to improve first the punishment of offenses of provocation, defamation and racist or discriminatory abuse and to generalize the aggravating circumstances of racism and homophobia currently foreseen for certain listed offenses, to all crimes and misdemean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