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혼의 돌봄을 위한 상담학

        안기민(An, Kim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2 이성과 신앙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new the identify of pastoral counselling and the approach therein that includes care for the soul. There are several types of soul care in the tradition of the Church. Pastoral counselling is one kind of new care for the soul that is related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psychology. In the term pastoral counselling itself, pastoral is understood as belonging to the subject of theology, and counselling as belonging to psychology. In counselling, theology is not something that is far removed from daily life. The thought of God that clients express in counselling is that their own anthropology is always revealed and closely connected to their daily life. What counselling is, is that, clients come to the counsellor to ask for help, and as the counsellor helps the client to explore and understand himself or herself and his or her problems and predicaments, the counsellor in this process, helps the client to achieve the client's own aim, determined by his or her own psychological change. In counselling, there is a clear goal and a method to achieve that goal. The method contains the theory, the process of counselling and the procedure. First of all, the counsellor fully understands the counselling approach that he or she chooses so that the counsellor helps the client to solve their problems in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ir problems by the basics of their approach. Pastoral counselling began in America in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when counselling came to be practised widely. Pastoral counselling, in relation to 'pastoral care', is an activity that is based on the values of theology and christianity. Especially, pastoral counselling is an activity that is understood in the big frame of 'pastoral'. Pastoral counselling is 'pastoral',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what makes the pastoral elements determines what is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ling. There is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activities of pastoral care, pastoral counselling, pastoral psychotherapy, and spiritual direction. These four activities are the type that are being done in the church to help peopl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respective helping contents, extent, aim, and approach. Unlike pastoral care and spiritual direction that have a tradition in the church of care for the soul, pastoral counselling is a special type of care for the soul. The theory and method the pastoral counsellors use to make decisions in pastoral counselling lead us to understand what pastoral counselling is. Because the 'pastor' is the pastoral counsellor ,the counselling cannot become pastoral counselling. Also, because the client who comes to counselling is a catholic, it does not mean that it is pastoral counselling. Being irrelevant to their religion, as well as the content of the counselling, what makes the decision regarding pastoral counselling is revealed in the whole counselling process. In general, the counsellor has the counselling theory and approach that are suitable to the counsellor so that he or she can help the client's problems. In conclusion, if the pastoral counsellor also has a strategic counselling approach, he or she can help the client more effectively in the frame of pastoral counselling. 이 연구의 목적은 영혼을 돌보는 사목상담의 정체성과 사목상담의 방법론을 새롭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교회의 전통 안에는 영혼의 돌봄에 관한 다양한 형태가 있다. 사목상담은 현대에 와서 심리학의 발달과 관계해서 대두된 새로운 영혼 돌봄의 형태이다. ‘사목상담’이라는 용어 자체에서 볼 수 있듯이, ‘사목’이라는 신학의 주제와 ‘상담’이라는 심리학의 주제가 이 용어 안에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상담에서 신학은 일상적 삶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 상담의 현장에서 내담자가 표현하는 ‘신’에 대한 생각은 늘 자신만의 인간학을 드러내고 일상적인 삶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담이란 내담자가 상담자를 찾아와 도움을 청하고, 상담자는 내담자가 진솔하게 자기 자신과 자신의 문제와 어려움을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를 일으켜 자기결정에 의한 목표에 도달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상담에는 어떠한 뚜렷한 목표가 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그 방법 안에는 이론과 과정(절차)이 있다. 무엇보다도 상담자가 자신이 선택한 상담방법론을 충분히 이해해서, 그것을 바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도와 문제해결을 돕는다. ‘사목상담’은 상담심리학이 본격적으로 태동하기 시작할 때인 20세기 중반에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사목상담은 ‘사목적 배려’와 관련이 있다. 사목상담은 신학적이고 그리스도교적인 가치관 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이다. 특히, 사목상담은 ‘사목’이라는 큰 틀에서 이해되는 활동이다. 사목상담은 ‘사목적’이고, 사목적인 결정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사목배려, 사목상담, 사목심리치료, 그리고 영성지도의 활동 사이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 네 가지 활동들은 모두 교회 안에서 행해지는 돕는 형태의 활동이지만, 돕는 내용과 정도, 목적, 그리고 방법에 차이가 있다. 교회의 전통적인 영혼 돌봄의 형태인 사목적 배려와 영성지도와 달리 사목상담은 심리학과 신학을 바탕으로 하는 영혼 돌봄의 특수한 형태이다. 사목상담을 결정하는 이론과 방법론이 곧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밝혀준다. 사목상담자가 ‘사목자’이기 때문에 사목상담이라고 결정할 수는 없다. 또한, 상담에 오는 내담자가 가톨릭신자라고 해서 사목상담이 성립되는 것도 아니다. 사목상담을 결정하는 것은 상담자나 내담자의 종교와는 무관하고, 또한 상담의 내용과도 상관없이 상담 과정 전반에 사목상담의 특성이 드러나는 것에 있다. 일반적으로 상담자는 자신의 성향과 가치관에 맞는 상담이론과 상담방법을 가지고서 내담자의 문제를 도와준다. 결론적으로, 사목상담자도 하나의 전략적 상담방법을 가지고 있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사목상담이라는 틀 안에서 내담자를 도와줄 수 있다.

      • 심리적 건강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 필요성:신학생을 중심으로

        안기민(An, Kim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5 이성과 신앙 Vol.58 No.-

        초창기 심리학은 인간의 의식 경험이나 마음이 어떤 일을 하는가에 대해 연구했다. 하지만 심리학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났다. 심리학자들은 심리학이 과학의 범주에 들기 위해서는 관찰 가능한 것만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인간의 정신보다도 관찰 가능한 인간의 행동에 더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20세기 중반에 인지심리학이 탄생하면서 행동주의 심리학이 나오기 이전에 관심을 가졌던 심리적 과정과 구조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되고 실험에 의해서 정신세계의 구성요소가 밝혀졌다. 인간의 행동이라는 기존의 관점에서 발달된 심리학이 다른 관점에 관심을 가지면서 패러다임이 변화되었다. 심리학의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인간의 정신에 관심을 더 가지면서 인간의 정신건강에도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지난 반세기 동안 심리학은 정신질환이라는 오직 한 가지 주제에만 전념해 왔으며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성과는 인간의 긍정적인 측면이 드러나기보다는 정신장애, 심리적 문제, 심리적 결함, 부적응 행동 등과 같은 인간의 부정적 측면으로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버린다. 개인이 지닌 내면의 강점과 자원 등을 찾아내어 이를 확대시키고, 긍정적 정서를 자주 경험하고 표현하게 함으로써 심리적 건강에 도움을 주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인간의 긍정적인 측면을 연구하는 심리학에서 제시한 심리적 탄력성(resilience)에서 그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탄력성이란 상당한 역경이나 위협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하고 처한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나 힘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서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으로부터 회복하여 이전의 적응상태로 되돌아오는 능력이다. 이것은 심리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변인이다. 따라서 신체건강의 지표가 다양한 병원균을 이겨낼 수 있는 면역체계에 달려 있듯이 탄력성은 다양한 시련과 고난을 극복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더 성장하도록 돕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심리건강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영적 건강은 심리적 건강과 깊은 관계가 있다. 한 개인이 영적이지 않더라도 심리적으로 건강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심리적으로 건강하지 않는 사람은 영적으로 건강하기란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그리스도교 영성은 추상적인 철학이나 신념체계를 뜻하는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 생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신앙인은 영성에 따라 신앙생활을 하게 되고 그리스도와의 일치를 더 빨리 이룰 수 있고 그리스도가 제시한 가치에 따라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병리적 증상이나 부적응 상태에 초점을 맞추는 심리적 건강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개인이 지니고 있는 내면의 강점과 자원을 촉진시켜 심리적 건강을 강화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 탄력성에 초점을 두고서 신학생들의 심리적 건강을 탐색하고자 한다. 신학생들의 심리적 건강은 영적 건강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신학생들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본다. Early psychology studied the human experience of consciousness and mind. However, it had brought a shift in the new paradigm for psychology. The psychologists, in those times, insisted that psychology study the possibility of observing, in order to be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science. So it had started to be more interested in human behavior than human psyche. Being concerned about cognitive psychology that was borne in the middle of the 1920s, psychologists were concerned about the structure of the psychological process, and the structure elements of the human mental area were revealed by the experiment. The psychology that developed in the previous perspective of human behavior had changed the paradigm of a different perspective. The shift in this paradigm in psychology has contributed more hugely to human mental health than being concerned about human psyche. Especially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psychology has achieved considerably by focusing only on one issue. Rather than revealing human positive aspects, this achievement is limited and downsized by human negative aspects such as mental disorder, psychological problem, psychological deficiency, mal-adapted behavior. The way that helps psychological health needs to be sought, by increasing the private inner strength and resources, frequently experiencing and expressing the positive emotions. Psychological resilience that presents in psychology studies human positive aspects, and is considered to find the way. What resilience means is the ability and power to be able to adapt successfully to the environment one is in, and to overcome it, in spite of considerable adversity and threatening situation(s). In brief, it is the ability to bounce back to the previous adapted state by overcoming the situation that has given the person stress. Therefore, just as the standard of physical health is dependent on the immune system to be able to overcome the diverse virus, so might resilience be the key element of psychological health by the characteristic of helping to develop more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various adversities and difficulties. Spiritual health is profoundly related to psychological health. Even if a person is not spiritual he can have psychological health. However, it cannot be difficult for the person who does not have psychological health to have spiritual health. [Furthermore, Christian spirituality does mean the way to live, but is not a naive concept of it. The faithful basically change their life by the values that Christ presented. The christian values are lived in their faith life by spirituality and quickly unite them with Christ. This study has tri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health of seminarians, with the focus on resilience to strengthen and maintain their psychological health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private inner strength and resources. The psychological health of seminarians is important in figuring out their psychological state because it relates to spiritual health.

      • 중독의 일반적인 이해를 넘어서 신학적 입장에서의 중독에 대한 대처 방안

        안기민(An, Kim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4 이성과 신앙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pose a way of dealing with addiction, and of understanding the theological stance on addiction, over and abov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addiction. Addiction is a social problem, but it is also easy to find it and to meet it in  the pastoral area as well. At this present time, addiction, whether it be to alcohol, gambling, or the internet, is not only a serious problem in society, but it is also a task for the Catholic Church to deal with, to be interested in and concerned about.  This dissertation, first of all, studied 'addiction' in general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both in Korea and Overseas. Studying only the theological aspect of addiction without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addiction, would not give the whole reality. So in this dissertation, the definition of addiction, based on the theory of the general addiction researcher, was studied first. Then, what addiction is, what object makes addiction, what characteristics arise from addiction, and how we get into addiction, were studied. Furthermore, how we understand the cause of addiction, and what the standard diagnosis of addiction is, were explored.  This dissertation was a study on how we understand the theological aspect of addiction  based on our general understanding of addiction.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addiction will start from theological anthropology. The reason is that theological anthropology is not only a theology about God and a theology that  God interacts with the human being, but it is also a theology about who the human being is.  This dissertation tries to approach the addiction problem through spirituality based on theological anthropology. Especially, it has proposed a way that can apply the spiritual dimension to another substance addiction and process addiction based on spiritual growth and the principle of AA that is already in use to treat alcoholism. It is very certain that there needs to be further study and proposals and more discussion to study in depth the real pastoral area and clinical situation. This dissertation only hopes to encourage more interest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an there is right now, to treat addiction in the spiritual dimension. 이 논문의 목적은 중독의 일반적인 이해를 넘어 신학적 입장에서 중독을 이해하고 대처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중독은 사회적인 문제이지만 사목 현장에서 쉽게 접하는 문제이다. 특히 오늘날 알코올, 도박, 인터넷 중독은 심각한 문제로서 사회뿐만 아니라 교회 안에서도 관심을 갖고 대처해야 할 과제이다. 본 논문은 국내외의 문헌연구를 통해 우선 ‘중독’의 문제를 전반적으로 고찰하였다. 일반적인 중독에 대한 이해 없이 신학적인 측면에서만 중독을 고찰하는 것은 비현실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중독 연구자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중독의 정의에 대해서 먼저 고찰하였다. 중독이란 무엇이며, 중독을 일으키는 대상이 무엇이고, 중독이 일어나는 독특한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서 중독이라는 현상이 우리에게 일어나는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또한 어떻게 중독의 원인을 이해하고 중독을 진단하는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중독의 이해를 밑바탕으로 신학적인 측면에서 중독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중독에 대한 신학적인 이해는 신학적 인간학으로부터 출발한다고 할 수 있겠다. 그 이유는 신학적 인간학이 하느님에 관한 신학이고 하느님이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신학일 뿐만 아니라 인간이 누구인지에 관한 신학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신학적 인간학에 기반을 둔 영성을 통해서 중독 문제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미 알코올 중독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AA의 원리와 영적 성장을 중심으로 다른 물질 중독과 과정 중독에도 영성적인 차원(spiritual dimension)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물론 이러한 연구와 제안은 앞으로 실제 사목 현장이나 임상 현장에서 더 연구되고 논의될 필요가 있음은 너무나도 자명한 일이다. 다만 이 논문이 한국 가톨릭교회 안에서 지금보다 더 영성적인 차원에서 중독에 대한 관심과 치료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종교발달심리학과 종교교육과 영성지도의 지표

        안기민(An, Kim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5 이성과 신앙 Vol.59 No.-

        이 논문에서는 먼저 종교심리학의 입장에서 종교발달 이론을 논의한 다음 신앙발달 단계 이론을 논의하였다. 이 두 발달이론을 토대로 각 단계의 발달 특성을 논함으로써 종교교육과 영성지도를 위한 지표를 논하였다. 이 두 발달단계를 통해 논의한 종교교육과 영성지도의 지표들은 크게 다섯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개인이 지각적이고 감각적인 수준에 머물게 되는데 종교교육에서 하느님과 세상에 대해 신뢰와 안전감을 느끼도록 하면서 영원이라는 개념을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영적인 측면에서는 지각적이고 감각적인 수준에 개인이 머물러 있는지 파악하고 그 수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종교교육에서 하느님의 표상을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영성지도에서는 개인이 때로 언어로 설명할 수 없지만 자기를 초월해서 뭔가를 느끼고 경험하는지를 파악하고 그 부분을 탐색하도록 돕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종교교육에서는 개인이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이야기에서 갈등과 모순을 겪고 진정한 의미를 숙고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성지도에서는 개인이 어떻게 하느님과 관계를 형성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실제 행동에서 무엇이 드러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네 번째 단계는 사람들이 스스로 자신의 신앙과 종교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자신의 신앙을 발달시킬 수 있는 종교교육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영성지도의 측면에서 사랑, 정의, 자비와 같은 추상적 원칙들이 영성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고 그것이 실생활에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로 종교교육에서 고려할 점은 모든 창조물이 하느님의 선함을 드러내고 모든 인류가 평화 속에 하나 되어야 한다는 열정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다. 영성지도의 측면에서 개인이 자기, 타인, 하느님과 어떻게 통합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This study was firstly discussed in the position of the psychology of religion, the theory of the religious development, and then, the theory of the stage of faith in development. The guidepost to religious education and spiritual direction was discussed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each stage based on these two theories of the development. In the first stage, as the individual stays in the level of being perceptive and sensible, he or she should be helped to form the concept of eternity gaining trust and safety in God and the world. In the dimension of spirituality, whether or not being in the perceptive and sensible level, the individual needs to grasp it, and to be guided to get out of the level. The second stage should give consideration to forming the representation of God positively in the religious education. And in the spiritual direction, the individual sometimes cannot express what he or she feels and experiences in something transcendent over himself or herself, so him or her should be helped to grasp and explore this part. The third stage is, that in religious education when the individual gets through conflict and contradiction in the story that interprets literally and considers the real meaning, he or she is seen to be in the level. In the spiritual direction, it is important to be concerned about, how the individual makes a relationship with God, and to grasp what he or she shows in real behavior. In the fourth stag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religious education, so that the individuals reflect deeply on their faith and religion and develop their faith. And in the aspect of the spiritual direction, how abstract principles such as love, justice, and mercy are applied to the spiritual life and how they show in the daily life are important. In the last stage, religious education is concerned that every creature shows the goodness of God and all human beings have a passion to be one in peace. In the spiritual direction, how to be integrated with self, others and God is important.

      • 한국에서 사이비ㆍ이단 집단의 실태와 원인

        안기민(An, Kim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1 No.-

        이 논문에서는 사이비ㆍ이단에 빠지는 원인을 종교심리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한다. 종교심리학적인 차원에서 고찰한다는 의미는 종교적인 행동을 하고 종교적인 현상에 참여하고 있는 인간의 행동을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사이비․이단에 빠지는 원인을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즉 사이비ㆍ이단에 빠지게 되는 상황적인 차원, 사회적인 차원, 심리적인 차원에서 고찰한다. 이것들을 고찰하기 전에 먼저 사이비ㆍ이단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용어를 규명하고 그리스도교를 중심으로 발생한 사이비ㆍ이단의 실태와 특성을 살펴본다. 사이비ㆍ이단 종파에 사람들이 빠지는 이유는 단순하지는 않다. 사이비ㆍ이단 종파에 빠지는 원인은 개인을 둘러싼 상황적인 요인이 있다. 상황적인 요인에서 볼 때 사이비ㆍ이단에 빠진 이들의 특성이 있다. 사이비ㆍ이단 종파에 빠지기 쉬운 환경에 처한 이들이 있으며 이들이 사이비ㆍ이단 집단의 포섭 대상이 된다. 사이비ㆍ이단 집단은 주로 이러한 이들에게 접근하고 그들을 자신의 소굴로 유인해 간다. 이것은 사이비ㆍ이단에 빠지기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사이비ㆍ이단에 본격적으로 빠지게 되는 순간은 사이비ㆍ이단 집단에 발을 들여놓고 그들과 함께 지내는 순간부터 일어나게 된다. 여기에는 심리적인 역동성이 있고 이 심리적인 역동성을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사람들을 집단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옭아 묶는다. 이러한 심리적인 요인으로 말미암아 사람들은 사이비ㆍ이단 집단에서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고 이것이 마치 참다운 신앙 경험인 양 믿게 된다. 사람들을 집단에 구속하는 또 다른 요인은 사이비ㆍ이단 집단 교주의 역할이다. 교주의 카리스마가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요인들을 각각 논할 때 사이비ㆍ이단 종파에 빠지는 원인을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다. This study will examine the reasons for joining the cult in the aspect of the psychology of religion. What the reasons are for joining the cult will be examined in the aspect of the psychology of religion in order to approach human behaviour on the level of psychology that relates to religious behaviour and participation. Considering this level, the reasons for joining the cult will be approached largely in the three dimensions of situation, society, and psychology. Before discussing these three dimensions in Korea, the terms of cult and the terms similar to cult that are being used will be examined closely. Then the situ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 in relation to Christianity will be discussed. Disclosing the reasons for joining the cult is not straightforward. It is not simple since the situations people are in have influential factors. As we explore the surrounding situ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join the cult can come to our awareness. The environment some people live in makes them an easy target for the cult to embrace and attract to their group. It is the cult that mainly makes the approach to lure these people into their group. This can be a step prior to joining the cult. The moment that people are in earnest about joining the cult is when they step into the cult group and then spend time together with the people in the cult group. When the people are in earnest about joining the cult, there is psychological dynamics that the cult effectively uses to bind the people to the cult group with no way of escape from it. Because of these psychological factors, the people have a new experience in the cult, and then they are led to believe that this experience is a true faith experience. Another factor that ties people down in the cult group is the role of the founder or leader of the cult. The charisma of the founder or leader of the cul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eople in the cult. When these factors are discussed the reasons for those who join the cult can be investigated clearly.

      • 상담심리학에서 영성의 역할

        안기민(An, Kim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3 이성과 신앙 Vol.54 No.-

        영성은 심리학의 연구 영역이 아니라 종교의 영역으로 간주해 온 경향이 있다. 상담심리에서도 영성을 외면해 온 경향 있는데 최근에 영성이 차지하는 중요성과 역할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영성은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이나 직업의 상실, 대인관계 및 친밀한 관계에 갈등과 같은 심리적 위기의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고 내담자의 고통을 완화시키는 심리적 자원으로 인식된다. 상담심리 안에서 영성의 문제나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영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영성에 대한 이해를 밑바탕으로 상담자는 영성이 상담 안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이해할 수 있고 내담자의 문제를 더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 논문에서는 일반 영성, 심리학에서의 영성, 그리스도교 영성의 정의와 의미를 고찰하고, 상담심리에서 영성의 문제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영성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심리에서 인간의 영성적인 측면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기서는 인간의 영성적인 측면을 오랜 역사 안에서 다루어 온 종교적 영성의 이해와 입장을 중심으로 상담심리에서 영성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Spirituality tends to have been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area of religion, but not to the area of psychological study. Spirituality has tended to look away from counseling as well until recently when its importance and role have begun to be recognized. Spirituality can help to cope with psychological risks such as the loss of a lover, the loss of a job, relationship conflicts, and it can recognize the psychological resource to relieve the pain of a client.  There needs to be an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issue and role of spirituality in counselling. Based on spirituality the counselor is able to understand how spirituality functions in counseling and he/she is able to treat in effect the problem of the client. Thus, in this study, an enquiry has been made into the concept and meanings of general spirituality, spirituality in psychology and religious spirituality. Some discussion was also done on how spirituality functions and on how the issue of spirituality in counseling is treated. Through these, it was hoped that a way of how to use the human spiritual dimension in counseling would be proposed. In this study, a way of clinical application to spirituality was proposed with the understanding that religious spirituality has a long history in conveying the dimension of human spirituality.

      • KCI등재

        자간전증의 자궁정맥혈장 및 제대정동맥혈장내 항산화능과 항산화 비타민

        기민 ( Kim Gi Min ),김윤하 ( Kim Yun Ha ),봉환 ( An Bong Hwan ),양성열 ( Yang Seong Yeol ),김철홍 ( Kim Cheol Hong ),조문경 ( Jo Mun Gyeong ),송태복 ( Song Tae Bo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4

        목적: 자간전증시 자궁정맥혈장, 제대정맥혈장 및 제대동맥혈장의 항산화능과 항산화 비타민의 양태를 파악하여 이들이 자간전증시 산모와 태아의 병태생리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임신 34주 이상의 정상 임부 18명과 자간전증 환자 16명으로부터 제왕절개술시 분만전에 자궁정맥혈을 채취하였고, 태아분만시 제대정맥과 동맥혈, 그리고 태반 분만후 자궁정맥혈을 채취하여 혈장을 얻었다. Thiobarbituric acid (TBA)반응을 이용하 Objectiv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lipid peroxide levels, oxygen-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antioxidant vitamin levels in uterine venous plasma, umbilical venous and arterial plasma and to evaluate their roles in the pathophysiol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