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녕지역 고대 성곽에 대한 연구 : 낙동강 연안에 축성된 성곽을 중심으로

        안성현,배한,윤용술 한국성곽학회 2011 한국성곽학보 Vol.19 No.-

        Since the fortress construction reflects the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idea (Political situations and relations between countries) of the period, all fortresses constructed in the same period might possibly have been constructed in a similar shape with a similar construction method, and this aspect might also be shown equally in Changnyeong area. Fortresses constructed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material obtained from the surface investigation on the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among the fortresses in Changnyeong area,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fortresses located in the east side of Nakdong River had been constructed between 5th century and the early 6th century, and these were constructed by the influential force. For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the fortresses constructed at the point where Nakdong River and branches of the river meet in a small size less than 200m. Seongsan mountain fortress and Unggok-Ri mountain fortress located where are advantageous to enter the Changnyeong area or Gujin mountain fortress located where can see the midstream of Nakdong River at a glance are in relatively large size between 400m to 600m, but still these fortresses are similar to or smaller than mountain fortresses constructed during the Silla period which are confirmed in Gyeongnam area. Therefore, By considering the size of fortresses located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we can assume that the state couldn't actively control Nakdong River. Second,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are divided into the earthen fortification and the masonry fortification, and more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are earthen fortifications. It is difficult to find an exact construction method of earthen fortresses but these fortresses seem to be constructed by only piling earth. Random walling was used for masonry fortresses but the ramparts were not constructed on the outcrop parts to reduce efforts. These aspects show clear distinction with typical fortresses in the Silla perio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bove, we can see that the fortresses constructed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except the one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Nakdong River are clearly in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ortresses constructed in the Silla period at the areas with regard to the territorial expansion at the period, so no evidence showing that these fortresses were constructed by the Silla Dynasty can be f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opinion that most of fortresse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Nakdong River were constructed by the Silla Dynasty. 성곽의 축조는 당대의 토목기술과 관념(정치상황과 국가간의 관계)을 반영하므로 동일한 시기에 축조된 성곽들은 유사한 축조수법과 형태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양상은 창녕지역에도 동일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고에서는 창녕지역 성곽 중 낙동강 연안에 축성된 성곽에 대한 지표조사를 바탕으로 확인한 속성들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 동안에 위치하는 성곽들은 5세기에서 6세기 초반경 재지세력에 의해서 축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낙동강 연안의 성곽들의 특징 및 성격은 첫째, 낙동강과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에 축조된 성곽들은 200m 이하의 소형인데 반해, 창녕지역으로 진출하기 유리한 지점의 성산산성과 웅곡리산성, 그리고 낙동강 중류역이 한눈에 조망되는 지점의 구진산성은 대체로 400~600m로 대형에 속하지만 경남지역에서 확인되는 신라산성 중 규모가 소형인 산성과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소형에 해당된다. 따라서 낙동강 연안에 위치하는 성곽의 규모로 보아 낙동강을 적극적으로 통제하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낙동강 연안 성곽의 축조수법은 토성과 석성으로 나누어지며, 토성의 비율이 높다. 토성의 정확한 축조수법을 파악하기 힘들지만 이 시기에 축조된 다른 토성들의 축조 수법을 감안할 때 순수판축 토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석성의 경우 허튼층쌓기에 가깝게 축조하였으며, 자연암괴가 노두된 부분은 성벽을 쌓지 않음으로써 공력을 줄였다. 이러한 양상은 전형적인 신라성곽과는 차이를 보인다. 상기의 내용으로 보아 낙동강 연안에 축조된 성곽들은 낙동강 동안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 시기 신라의 영토 확장과 관련된 지역에 축성된 신라성곽의 특징과 부합하지 않으며, 신라에 의해서 축조되었다는 근거 역시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따라서 낙동강 동안에 위치하는 대부분의 성곽들이 신라에 의해서 축조되었다는 견해는 수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서울 구의동 보루의 구조와 사용시기의 再考

        안성현,박동선 백산학회 2022 白山學報 Vol.- No.123

        Although Guui-dong fortress consider as a Baekje tumulus, It reperceive as a Goguryeo military facility during the process of organizing relics that excavated from Mongchontoseong Fortress. In this writing, after recognizing synchronism of a pit dwelling and excavated relics in Guui-dong fortress, we looked at the landsca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tress during the period of the fortress, focusing on the loading method.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fortress in Guui-dong was divided into threee periods. The remains belonging to the first stage are drainage channels and earth mines. However, the remains of this period were damaged because of transfusion residence was installed. Therefore, the exact aspect is unknown. Rampart of first stage was stacked up by large size of chipping, a spur -chiwas not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exact structure of the fortress, however considering the size of the fortress and the installation of drainage channels insid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resided. State of second stage changed extremely. Projection added in rampart and digged structures installed inside. Inside the residence, an area of up to seven troops will be secured. Considering the organization of Goguryeo army, it is believed that about five people were stationed. However, the number of weapons or household containers used by the garrison is unknown.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the importance of the fortress has increased or was actively used as the ruins, earthworks, and stone pillars were installed in the south of the portress. The standard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tages is whether excavated artifacts can be loaded inside the residence, and if the structures functioned inside the residence, the excavated relics cannot be loaded, indicating that they were expanded to their appearnace at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Furthermore, unlike the previous period, it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changed to special facilitiessuch as warehouses and were discarded in that state. Since troops could not reside inside the warehouse during this period, it is considered that the management would have alternately worked with the troops residing in the 2st bastion of Guui-dong or the troops from the surrounding bastion. The fortress in Guui-dong was built as a the secretaria relic, but its character changed to a warehouse, and as it was discarded in that state, a large amount of relics were excavated from inside the remains, unlike other dwellings. This aspect can be applied to Goguryeo and South Korea fortresses in Achasan Mountain and also other region both. Therefore, if the fortresses in Guui-dong and Goguryeo fortresses in Achasan Mountain are reexamined, Goguryeo’s rule over the Hangang River basin from 475 to 551 years will be restored in three dimensions. 구의동 보루는 백제 고분으로 인식되었으나 몽촌토성 출토 유물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재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고구려 군사시설로 재인식되었다. 이 글에서는 구의동 보루 내 수혈주거지와출토유물의 동시성을 인정한 후 유물의 적재 방식을 중심으로 보루이 시기적 경관과 성격의 변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의동 보루는 세 시기로 나누어짐을 밝혔다. 1기에 속하는 유구는 배수로와 토광인데, 수혈주거지가 시설되면서 이 시기의 유구가 훼손되어 정확한 양상은 알 수 없다. 1기의 성벽은 대형의 할석으로 허튼층쌓기를 하였으며, 돌출부-치- 는 설치되지 않았다. 보루 내부의 정확한 구조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보루의 규모와 내부에 토광및 배수로가 설치되었음을 고려할 때 다수의 인원이 상주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2기에는 경관이 획기적으로 변한다. 성벽에는 돌출부가 가축되며, 내부에는 수혈 건물지가 설치되었다. 주거지 내부에는 최대 7명의 병력이 상주할 정도의 면적은 확보된다. 다만, 고구려 군대의 편제를 고려할 때 1오(伍)인 5명 정도가 주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주둔 병력이 사용하였던 무기나 생활용기의 수량은 알 수 없다. 이와 더불어 보루의 남쪽에도 전을 깐 유구와 토광및 석렬이 설치되면서 보루의 중요성이 이전보다 높아졌거나 아니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음은분명하다. 2기와 3기를 구분하는 기준은 출토된 유물을 주거지 내부에 적재될 수 있는가 여부인데, 주거지 내부에 구들이 기능을 하였다면 출토된 유물을 적재할 수 없으므로 조사 당시의 모습으로 확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 이전 시기와 달리 창고와 같은 특수 시설로 성격이 변화하였고, 그 상태로 폐기되었음을 시사한다. 이 시기 창고 내부에 병력이 거주 할 수 없으므로 관리는 구의동 2보루에 상주한 병력이나 주변 보루의 병력이 교대로 근무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구의동 보루는 관방유적으로 축조되었으나 창고로 성격이 변화였고, 그 상태로 폐기됨으로써유구 내부에서 다른 주거지와 달리 다량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아차산 일대 고구려보루를 비롯해 남한지역 고구려 성곽 및 보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구의동 보루와 아차산일대 고구려 보루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진다면 475년에서 551년간 이루어진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방식을 입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