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 과목 ‘NCS를 위한 실용 글쓰기’의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제고 : 학습자 효능감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안미애(Ahn, Miae),이채영(Lee, Chae young)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9 교양학연구 Vol.0 No.10

        In this study,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conducted for the liberal education subject, ‘Practical Writing for NCS’ at Dongguk University Gyeongju. First, the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iberal education subjects related to NCS communication skills of universities was presented. Second, the results of the ‘Practical Writing for NCS’ survey of students who took the second semester of 2018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Practical Writing for NCS’ learner were analyzed to enhance the plan for improving the subject. During these discussions,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opinions on the assessment of the preparation of ‘Korean Practical Writing Examination’ through the subject were analyzed as well.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First, measures to design and operate university liberal arts subjects aimed at fostering NCS communication skills can be derived. Second, through a study on the subject"s learner"s efficac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effectiveness of the ‘practical writing for NCS’ subject can be considered by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is, it can also derived groundwork for discussions on the function and necessity of NCS communication skills-related subjects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인식 양상 연구

        안미애 ( Ahn Miae ),( Wei Qun ),이미향 ( Lee Mihy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70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가 자신의 한국어 발음을 인식하는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가 인식한 한국어 발음과 한국어 원어민 화자가 평가한 학습자의 실제 발음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TOPIK 기준 중급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자신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설문항목과 동일한 항목을 한국어 학습자가 발음하게 하여 그 결과를 한국인 원어민이 평가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원어민의 한국어 화자의 발음에 대한 평가 결과를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 발음 인식과 비교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알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결과, 중급 이상의 한국어학습자는 전반적으로 한국어의 바른 발음을 알고 있다. 둘째, 실제 발음형의 평가 결과,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 발음 인식과 실제 발음의 실현 간에는 차이가 있다. 원어민의 한국어 학습자 발음 평가 결과, 발음 규칙에 따라 평가 결과에 차이가 있다. 특히 비음화와 유음화의 점수가 다른 음운 규칙에 비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피험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성 학습자의 발음 평가 결과가 남성 학습자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학습자들은 음운 규칙을 부분적으로 습득하지 못했거나, 이를 실제 발음에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 발음에는 오류가 있는 데도 불구하고, 설문에서는 자신의 발음형을 바른 것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어 발음은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 발음 인식 양상만으로 발음오류의 수정과 향상이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향상과 오류의 개선을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자신이 인식하는 발음과 실제 실현 발음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려줄 객관적 방안이 필요하며 이는 언어권별로 접근해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difficulties L2 learners face in recognizing their pronunciation, and reveal the differences in pronunciation that Korean learners recognize and native Korean speakers evaluate. This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methods. First, we assessed L2 learners` Korean pronunciation awareness, and allowed the native speakers to evaluate if the recorded L2 learners` pronunciation was natural. Second, we compared the results with L2 learners` pronunciation self-awareness. Results revealed that, first, Korean learners at the intermediate level or higher, generally knew the correct pronunciation. However, they experienced difficulty while applying nasalization and liquidization in actual pronunciation.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learners` self-awareness and realization of pronunciation. It was markedly low especially in nasalization and liquidization between evaluation score of pronunciation. In addition, the different subjects` gender revealed that female learners` evaluation results were higher. Third, learners could not partially acquire accurate pronunciation rules, or pronounce application properly. L2 learners made pronunciation errors, but misjudged their pronunciation as similar to what they knew before. As a result, we discovered that a “pronunciation evaluation system by language groups” is required in order to objectively measure learners` pronunciation proficiency. Regarding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improving learners` pronunciation, an objective method is necessary to inform learners about the differences in the pronunciation that they realize individually and the actual pronunciation.

      • KCI등재

        한국어 발음 학습과 자가 평가를 위한 스마트폰 앱(App) 개발 및 교육적 적용 방안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안미애 ( Ahn Miae ),웨이췬 ( Wei Qun ),이미향 ( Lee Mihyang )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0 No.-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mart phone application for Chinese students to improve their pronunciation by self-evaluation and education. It also aims to find a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 practical teaching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research team has developed an android based prototype application, as it is the most widely used operating system among Chinese students. This app allows the students to practice and evaluate their speaking skill word by word. Google speech recognition engine was used in the app to recognize the voice. The application functions to provide self study and automatic evaluation of word pronunciation. The app was tested and reviewed by Chinese students with a TOPIK level 3 and high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in an actual teaching environment. The students gave positive feedback of the app as a tool to study and evaluate pronunciation. All students however, noted that the prototype was limited in function to only studying words and not sentences. Moving forward, such noted problems will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y the research team to further develop and upgrade a more user friendly app. (Dongguk University of Gyeongju, Keimyung University, Yeungnam University)

      • KCI등재

        대학생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지와 미디어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안미애(Ahn Mi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이 연구는 대학 교양 교육의 영역에서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수요목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과 능력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함께,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양상을 진단 역량 평가 도구를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은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의 정도도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인식과 행동으로 나눠볼 때,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이해와 무관하게, 대학생들은 인터넷에 대한 가치 인식과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미디어에서는 자신을 표현하는 것보다 표현된 것을 이해하는 행동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 교양 교육의 차원에서 먼저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고, 디지털 기반 미디어에 서 긍정적인 자기 표현의 경험을 하도록 하여, 균형 있는 디지털 기반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of media literacy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have a low need for awareness and ability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There is also a lack of knowledge about media literacy. Second, university students’ digital-based media literacy capabilities are generally positive. Third, regardless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 value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n the Internet. In addition, Internet media evaluated the behavior of understanding what was expressed more positively than expressing oneself. From these results, in order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digital-based media literacy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ositive perceptions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balanced digital-based literacy capabilities through positive expression experiences for Internet media.

      • KCI등재후보

        유성 자음 뒤 경음화의 특성 및 원인에 대한 고찰

        신승용(Shin seungyong),안미애(Ahn miae) 동아인문학회 2012 동아인문학 Vol.22 No.-

        유성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 무성 자음이 경음화되는 일부 현상이 있다. 이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이 규칙의 조건 환경을 형태ㆍ통사ㆍ의미적인 정보로 제약함으로써 설명해 왔다. 하지만 사이시옷 첨가 조건 환경이 아님에도 경음화가 일어나는 ‘겨울잠[겨울잠 ~ 겨울짬]’류나, 동일한 입력형이 지역 방언에 따라 경음화되기도 경음화되지 않기도 하는 ‘안기다[안기다 ~ 안끼다]’류, 한자어 /ㄹ/ 뒤와 같이 경음화의 조건 환경이 아님에도 경음화가 일어나는 ‘불법[불뻡]’류에 대해서는 설명하기가 쉽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들은 조건 환경을 비음운론적인 정보로 제약하더라도 설명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음절말에서 유성 자음 /ㅁ, ㄴ, ㅇ, ㄹ/이 외파되긴 하지만 불파로 실현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위에서 제시한 현상들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즉, 음절말 유성 자음을 불파시키는 것은 화자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또한 어휘에 따라 달리 나타날 수 있다. 왜냐하면 음절말 유성 자음의 불파 자체가 구조적인 제약에 따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절말 유성 자음의 불파발음의 특성이 실제 음운 현상에서 화자에 따라, 어휘에 따라 수의적으로 적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위에서 제시한 세 유형의 예들에서 음운론적으로는 규칙적이지 않은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There are some glottalization phenomena of non-voiced consonants between voiced consonants and vowels. Till now, many researchers have explained these phenomena by constraint of the morphology, syntax and semantics based on the condition of ruks. However, it the glottalization applies to the non-conditional environment which excludes a condition of the insertion [ㅅ] like ‘Gyeouljam’ [Gyeouljam ~ Gyeouljjam]. And despite of the same input, glottalization may apply and may not apply depending on the dialect, for example, ‘Angida’ [Angida ~ Anggida]. May even apply glottalization to the environment which glottalization can not be applied such as /l/ of Sino-Korean word-final position, for example, ‘Bulbeop’ [Bulbbeop]. These cases are difficult to explain. Because in these cases, even constrained b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non-phonological information described should. So,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about that the voiced consonants /m, n, η, l/ in the word-final position sometimes change to plosive or implosive. And based on these facts, we tried to explain the phenomena presented above.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speakers and words, voiced consonant of the word-final position changes to implosive or plosive. The structural constraint is not a reason for glottalization of voiced consonants in the word-final position. These unreleased characteristics of voiced consonants optionally apply to phonological process depending on the speakers and words. As a result, this optionality may be the reason for three types presented above as irregular phonological phenomena.

      • KCI등재

        자연 발화 코퍼스에 기반한 한국어 폐쇄음의 격음화 실현 양상

        손형숙(Sohn, Hyang-Sook),임신영(Shinyoung Lim),안미애(Miae Ahn) 언어과학회 2016 언어과학연구 Vol.0 No.78

        Based on a spoken corpus, this study investigates phonetic realization of aspiration merger in Korean, whereby plain stops become aspirated before the fricative /h/. Unlike phonological prediction in the wake of the canonical rule application, the VOT analysis of stops in the merger environment in the Seoul corpus confirms that phonetic realization of aspiration is not categorical but gradient. The production pattern of aspiration across the four age groups of talkers ranging from their tens to their forties in the corpus shows that the age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in distribution of the VOT variation: the degree of aspiration turned out to b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age, reflecting the careless speech of the older speakers. The results also support the tendency that gradient phonetic realization of aspiration merger is affected by word type and prosodic structure conditioned by stops and their following fricative in the merger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