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비장애형제자매가 지각하는 장애낙인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안다혜,정주리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6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disability stigma affected life satisfaction in adult non-disabled siblings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moderated by social support from family of origin and from non-family. For the study, online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those with siblings with disabilities, aged 19 years old or over. The surveys consisted of disability stigma,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scales. Data from 200 participants (62 males and 138 females) were analyzed by SPSS Macro Proces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sability stigma perceived by adult non-disabled sibling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social support from family of origin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ability stigma and life satisfaction of non-disabled siblings.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non-family members was also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hen working with adult non-disabled sibling with low levels of life satisfaction, counselors need to explore whether their psychological difficulties were related to disability siblings, what was the disability stigma experienced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growth process, and how disability stigma and social support have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influenced their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성인기 비장애형제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장애낙인이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두 변인의 관계를 원가족으로부터 받는다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원가족 외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는다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인구통계학적 변인, 장애낙인,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장애형제가 있는 만 19세 이상의 비장애형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200명(남성 62명, 여성 138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Macro Proce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 비장애형제가 지각하는 장애낙인은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비장애형제의 장애낙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원가족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낙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원가족 외 지지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에서 낮은 삶의 만족도를 호소하는 성인 비장애형제가 내방했을 경우, 이들의 심리적 어려움이 장애형제와 관련되었는지 탐색하고, 성장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장애낙인은 무엇이었으며, 이러한 장애낙인이 사회적 지지와 함께 어떻게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반려동물과의 애착이 사별 이후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애도와 성장적 반추의 매개 효과

        안다혜,김도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ffect of Attachment With Companion Animalon Post Traumatic Growth After Bereavement:The Mediating Role of Mourning and Growth RuminationDahye An & Dohee Kim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ttachment with companion animal on post traumatic growth (PTG) after bereavement, and investigated whether mourning and growth rumination mediate their relationship.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adults who had experienced the death of a companion animal, and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programs. It was found that attach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urning, growth rumination, and PTG.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mourning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PTG, but the mediating effect of growth rumination was significant. Furthermore, attach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TG through mourning and growth rumination sequenti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ed that growth rumination is an important factor leading to PTG after losing a pet. Key Words: Companion Animal, Attachment, Post Traumatic Growth, Mourning, Rumination 반려동물과의 애착이 사별 이후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애도와 성장적 반추의 매개 효과안 다 혜*ㆍ김 도 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반려동물과의 애착이 사별 이후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애도와 성장적 반추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설문조사를 통해 반려동물을 사별한 경험이 있는 성인 20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SPSS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직렬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 반려동물과의 애착은 애도, 성장적 반추,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애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애착이 애도와 성장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결과는 성장적 반추가 반려동물 상실 이후의 외상 후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핵심어: 반려동물, 애착, 외상 후 성장, 애도, 반추 □ 접수일: 2022년 6월 22일, 수정일: 2022년 7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주저자,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Chonnam National Univ., Email: akdlf21@naver.com)** 교신저자,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박사수료(Corresponding Author, 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Chonnam National Univ., Email: mksbuf@naver.com)

      • Self-Heal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ith Elasticity and Stretchability by Crosslinking

        안다혜,차석준,이지우,박종진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2

        As research on energy harvesting is actively conducted, the material properties of generators have become important. Triboelectric is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materials with different charge potentials, which occurs at the surface of the materials. However, when the surface is damaged by mechanical force, it loses its function as a TENG. In this study, after crosslinking through metal coordination using poly(vinyl butyral) (PVB) and metal chloride, a TENG with flexiblity, elasticity and that is capable of slef-healing and shape memory (FE-TENG) is fabricated. Through metal coordination, stretchability and elasticity of PVB has been improved. With these properties, FE-TENG capable of self-healing was fabricated with the help of shape memory function. The functioin as a generator was maintained after healing. In addition, the output voltage of FE-TENG was improved due to the metal ion existing on the surface.

      • KCI등재

        성인 비장애형제자매의 부모화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형제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안다혜,정주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2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s and life satisfaction in adult non-disabled sibling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disabled sibl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 Online surveys consisting of parentification experience, life satisfaction, and disabled sibling stress scales were administered to adults with siblings with disabilities. Data from 200 surveys (62 males and 138 fema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ification experiences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disabled sibling stres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s and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counselings. Counselors are encouraged to consider the role that the burden and stress of parentification may play in non-disabled siblings’ levels of life satisfaction. Counselors are also advised to assist clients in exploring how parentification experiences and their disabled siblings stress have impacted their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성인 비장애형제자매를 대상으로 과거 부모화 경험이 현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부모화 경험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장애형제 스트레스가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함께 부모화 경험, 삶의 만족도, 장애형제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장애형제를 가진 성인 비장애형제자매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200명(남성 62명, 여성 138명)의 자료를 SPSS Macro Process를 이용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인 비장애형제자매의 삶의 만족도에는 부모화 경험이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화 경험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장애형제 스트레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비장애형제자매는 과거의 부모화 경험이 현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과거 부모화 경험은 장애형제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상담현장에서 성인 비장애형제자매를 상담할 경우, 그들이 가정의 구성원으로서 어떤 역할을 담당해왔고, 장애형제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으며, 부모화 경험과 장애형제에 대한 스트레스 수준이 자신이 지각하는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 심도 있게 탐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술치료사가 인식하는 비언어적 접근의 개념에 대한 주제 분석

        김도희,안다혜 한국미술치료학회 2024 美術治療硏究 Vol.31 No.1

        언어를 활용하는 전통적인 상담과 달리, 미술치료는 비언어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창의적인 미술 작업을 통해 내담자의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이 분야에서 비언어적 접근의 개념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이와 관련된 체계적인 설명이나 학술적 논의는 부족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비언어적 접근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를 확립하기 위하여 5명의 미술치료사와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고 주제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21개의 하위 주제를 포함하는 5개의 중심 주제를 도출하였다: (1) 미술치료에서의 비언어적 접근 [개념], (2) 비언어적 요소 [분위기, 신체 언어, 상징, 작품의 형식적 요소, 상호작용 방식], (3) 치료 기술 [치료적 환경 조성, 단서 제공, 매체 제안, 모델링, 행동 제안, 반영하기, 관점 바꾸기, 언어화, 창의적으로 변형시키기], (4) 치료자 역할 [민감한 관찰자, 보조자], (5) 주요 효과 [긍정적 상호작용, 성찰과 통찰, 몰입, 자기조절]. 본 연구는 비언어적 접근에 대한 구조적인 개념화를 시도함으로써 비언어적인 요소가 임상적 맥락에서 어떻게 촉진되고 활용되는지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rt therapy, distinct from conventional verbal counseling, employs innovative approaches to foster client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creative artistic endeavors, often characterized as a non-verbal modality. While the concept of non-verbal approaches is widespread in art therapy, it lacks a systematic framework and academic discourse, which requires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comprehension. This study conducted one-on-one interviews with five art therapists, employing thematic analysis to establish the comprehensive definition of the non-verbal approach. The investigation discovered five core themes including 21 sub-themes: First, Non-verbal Approaches in Art Therapy [concept], second, Non-verbal Elements [atmosphere, body language, symbols, formal elements of artwork, interaction techniques], third, Therapeutic Techniques [establishing a therapeutic milieu, providing cues, suggesting artistic media, modeling, proposing actions, reflecting non-verbal elements, shifting perspectives, verbalizing, creative transformation], fourth Therapist Role [attentive observer, facilitator], and fifth, Principal Outcomes [enhanced interaction, reflection and insight, creative flow, self-regulation]. This study offered a structured conceptualization of non-verbal approaches, explaining how these elements harnessed and promoted within clinical contex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국내 인지행동치료 연구의 지식구조: 동시출현단어 분석

        김도희,김현진,안다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the keywords in journals in the field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CBT studies in Korea. To compare CBT studies from Korea and abroad, 234 articles (2008-2019) published o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and 2,316 articles (1977-2019) published 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4.3. The co-word analysis was done by calculating the cosine similarity matrix of major keywords, followed by visualizing the net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the main interests of Korean CBT scholars, and categorized the knowledge structure of CBT in Korea into 9 research areas: “scale validation”; “perfectionism and entrapment”; “cognitive, emotional, and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chizophrenic patients”;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depression/bipolar disorder patients”;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causes and co-morbidities of depressi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understanding and the treatment of binge eating disorder pati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reviewed the accumulated knowledge in the CBT field in Korea for the past 11 years, and suggests future tasks for development to improve the standards of CBT practice.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Cognitve Behavioral Therapy: CBT)분야 학술지에서 나타난 키워드의 출현패턴을 조사하여 국내 CBT 연구의 지식구조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국내·외에서 수행된 CBT 연구를 비교하고자 ‘인지행동치료’에서 출판된 논문 234편(2008-2019)과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에서 출판된 논문 2,316편(1977-2019)이 수집되었다. 자료는 NetMiner 4.3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으며 동시출현단어 분석은 코사인 유사도 행렬을 산출하고, 네트워크를 시각화하는 절차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국내 CBT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식별되었고, 국내 CBT 지식구조는 9개의 연구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척도 타당화’, ‘완벽주의와 속박감’, ‘조현병 환자의 인지, 정서, 관계적 특성’, ‘경계선 성격장애와 우울/양극성 장애 환자의 인지적 특성과 치료’, ‘적응과 심리적 건강’, ‘사회불안장애 환자의 인지적 특성과 치료’, ‘우울의 원인과 공존이환’, ‘수용전념치료’, ‘폭식 장애 환자의 이해와 치료’. 본 연구는 지난 11년 동안 국내 CBT 분야에서 축적된 지식을 점검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국내 CBT 연구의 향후 발전과제로 임상적 실천 표준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