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자 고등학생들의 근지구력, 심폐체력과 인슐린 저항성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관계

        안기용(Ki-Yong An),김은성(Eun-Sung Kim),제갈윤석(Yoonsuk Jekal),전용관(Junstin Y. Jeon) 한국생활환경학회 2010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muscular endurance (ME) and car-diopulmonary fitness (CF) to insulin resistance and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among Korean male high school students. Among two hundred eighty seven male adolescents anthropometric assessment, physical fitness test and serum analyses were conducted. The level of physical fit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tness, insulin, insulin resistance, cardiovascular risk score (CVDRS). M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insulin, insulin resistance and CVDRS, and CF was associated with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sulin, insulin resistance and CVDRS. In order to compare and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CF and ME to CVD risk factor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ross the combined level of CF and ME. The finding demonstrated that participants with the high level of either ME or CF have the low level of triglyceride, insulin resistance and CVDRS than the low level of ME and CF.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improvement of ME or CF is important to prevent metabolic disease among Korean male adolescents.

      • KCI등재
      • 한 환자에서 발생한 복직근 내 신경초종과 흉부 지방종: 증례 보고

        김주오,안기용,봉황세,이규정,Kim, Ju-Oh,An, Ki-Yong,Bong, Hwang-Se,Lee, Kyu-J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한 환자에게 동시에 발생한 흉부 지방종과 복부 복직근 내 신경초종 1예의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신경초종은 드물게 보이는 양성 종양이며 신경 조직에서 유발하는 것으로 주로 사지 굴곡부의 말초신경에서 발생한다. 저자들은 63세 남자환자에서 복부 복직근 내 발생한 신경초종과 흉부의 지방종을 동시에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We experienced a case of 63 years old male patient who had synchronous rectus abdominis intramuscular schwannoma and chest wall lipoma. Schwannoma is rare benign tumor which derived from nerve sheath and mainly peripheral nerve of flexor part. The authors report rare synchronous schwannoma and lipoma development.

      • KCI등재

        화농성 슬관절염에서 배액관 삽입 및 세척술이 관절경을 이용한 활액막 절제술만큼 효용성이 있는가?

        권기현(Ki Hyun Kwon),정영우(Young Woo Chung),안기용(Ki Yong An),김기수(Gi Su Kim),지훈(Ji Hoon Ah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6

        목적: 화농성 슬관절염은 조기 진단과 신속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정형외과적 응급 질환이다. 이 연구는 화농성 슬관절염에서 대퇴 신경차단 마취하에 배액관 삽입 및 세척술과 관절경적 활액막 절제술의 치료 효용성에 대해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3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화농성 슬관절염을 진단받고 배액관 삽입과 세척술을 시행받은 환자 30명(A군), 관절경적 활액막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30명(B군)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이, 성별, 기저질환, 원인, 혈액검사상 백혈구 수치 및 C-반응성 단백, 적혈구 침강 속도, 관절액 검사상 백혈구 수치 및 다형핵 백혈구 수치, 진단 후 수술까지 소요된 시간, 재원기간, C-반응성 단백이 정상화되는 기간, 재발률, 항생제 사용 기간 등을 확인하였다. 결과: 두 군에서 재원기간, 정상 C-반응성 단백 수치가 나올 때까지의 기간, 항생제 사용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진단 후 수술 준비 소요 시간 및 수술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군(배액관 삽입 및 세척술)에서는 진단 후 수술 준비까지 평균 9시간이 소요되었고 B군(관절경적 활액막 절제술)에서는 평균 12시간이 소요되었다. 재발률은 A군(33%)이 B군(17%)보다 높았다. 결론: 화농성 슬관절염의 치료에서 대퇴 신경차단 마취를 통한 배액관 삽입과 세척술은 비교적 빠르고 간단한 방법으로 조기에 관절 내 삼출물을 제거하여 통증 및 합병증을 줄이고 전신 또는 척추마취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 치료의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Purpose: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is an orthopedic emergency that requires early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sertion of a drain tube and irrigation under a femoral nerve block with that of knee arthroscopic synovectomy for the treat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60 cases diagnosed with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from March 2017 to October 2021. Thirty cases (group A) were treated with drain insertion and irrigation, and 30 (group B) were treated with knee arthroscopic synovectomy.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age, sex, underlying disease, cause, white blood cell (WBC) count, C-reactive protein (CRP),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of the serum and WBC count, polymorphonuclear neutrophil leukocytes of joint fluid, time from diagnosis to surgery. duration of the operation tim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duration of normalization of CRP, recurrence rate, and duration of using antibiotic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time of normalization of the CRP, and duration of using antibiotics between the two group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time from diagnosis to surgery and recurrence rate. The time from diagnosis to surgery was nine hours on average in group A (insertion of a drain tube and irrigation). When treated with arthroscopic synovectomy, the average time from diagnosis to surgery was 12 hours. The recurrence rate was higher in group A (33%) than in group B (17%). Conclusion: In the treat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the insertion of a drain tube and irrigation under femoral nerve block anesthesia is a relatively fast and straightforward method to reduce pain by draining the purulent joint fluid and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 risk of general or spinal anesthesia.

      • 견관절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시행한 초음파 관찰 하에 증식제제와 스테로이드제 병합주사요법

        문영래,안기용,박성민,배병조,Moon, Young-Lae,An, Ki-Yong,Park, Sung-Min,Bae, Byung-J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2

        목적: 견관절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초음파 관찰 하에 오구 상완 인대 부위에 시행한 증식제제와 스테로이드제 병합 주사요법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유착성 관절낭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초음파 관찰 하에 오구 상완 인대부위에 시행한 증식제제와 스테로이드제 병합주사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들로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53예를 대상으로 견관절의 상태를 운동범위와 VAS 점수를 증식치료 전과 치료 8주 후 그리고 치료 1년 후의 최종 추시 상태를 측정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견관절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평균 추시 기간은 13.8개월이었으며, 증세 발현부터 병원 내원시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22.5개월이었다. 주입 횟수는 평균 1.82회, 관절운동 범위는 치료 전 굴곡 93.4도, 외전 79.2도 였으며 VAS 점수는 평균 6.7로 측정되었다. 치료 8주 후 굴곡 142도, 외전 125.4도, VAS 점수는 3.5로 호전되었고, 치료 1년 후 최종 추시 상 굴곡은 153도, 외전 152.6도로 유지되었으며, VAS 점수는 3.7로 유지되었다. 결론: 견관절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초음파 관찰 하에 오구 상완 인대 부위에 시행하는 증식제제와 스테로이드제 병합치료는 통증 호전과 관절운동의 회복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ultrasound guided injection of prolotherapy and steroid mixture injection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Materials and Methods: 53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in all the patients a mixture of steroid and prolotherapy agent was injected into the coracohumeral ligament under the sonographic guidance. The pati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VAS and ROM of the shoulder before the injection and at 8 weeks and at 1 year after the injection. Results: Forward flexion was 93.4 degrees before the injection and was 142, 153 degrees at 8weeks and 1 year after injection. Abduction was 79.2 degrees before the injection and was 125.4, 152.6 degrees at 8 weeks and 1 year after the injection. The VAS score was 6.7 before the injection and was 3.5, 3.7 at 8 weeks and 1 year after the injection. Conclusion: The ultrasound guided injection of prolotherapy and steroid mixture into the coracohumeral ligament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is allowing both tissue distension and inflammatory process controlling procedure.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ange of shoulder motion significantly and is also effective in decreasing the pain.

      • 골프 운동중 발생한 늑골 골절의 초음파 진단

        임채준,윤태현,안기용,Lim, Che-Joon,Youn, Te-Hyun,An, Ki-Y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7 No.1

        Purpose: In most cases, the main cause of chest or back pain during playing golf is rib fractures. This kind of rib fractures can be easily overlooked in plain radiograph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value of the ultrasound in detecting rib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compared the findings of chest-X rays (anteroposterior, left or right lateral, both oblique view) with those of the ultrasound in 56 patients between the ages of 20th & 60th who were diagnosed rib fractures. Their chief complaints were chest or back pain which developed during playing golf.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Among 56 cases of rib fractures, 34 cases were diagnosed with initial X-rays. 51 cases were diagnosed with ultrasound. The sensitivity of radiograph and ultrasound were 60.71% & 91.07%, respectively. Dignosis was ultrasound with statical significance whereas radiography did not(p=0.0004).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ultrasound is a valuable tool in the diagnosis of the rib fractures which were undetected with X-rays during playing golf. 목적: 골프 운동시 발생한 흉배부 통증의 원인은 늑골골절인 경우가 많다. 이런 늑골 골절은 일반 방사선 검사상 놓치기 쉬운데 이러한 놓치기 쉬운 늑골 골절에 대한 진단에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골프 운동 중 발생한 흉부 및 배부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늑골 골절로 진단된 20 대에서 60대까지의 남녀 환자 56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일반 흉부 방사선 검사(전후, 측면, 좌우측 사선 촬영)의 결과와 초음파 결과를 비교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56례의 늑골 골절로 진단된 환자 중 일반 흉부 방사선 검사상 골절로 진단된 경우는 34례였고, 초음파 검사상 골절로 진단된 경우는 51례였다. 흉부 방사선 검사의 민감도는 60.71%, 초음파 검사의 민감도는 91.07% 를 보였으며, 카이제곱 검정상 초음파 검사의 결과가 일반 방사선 검사에 비해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4). 초음파 검사가 늑골 골절을 진단하는 데 매우 민감한 검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골프운동 중 발생한 흉부 및 배부 통증 환자에 이학적 검사 상 늑골 골절이 의심되는 경우 일반 흉부 방사선 검사상 골절 소견이 관찰되지 않을 시, 초음파 검사가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회전근 개 봉합 수술 후 증식 요법의 유용성

        문영래,유재원,안기용,조성원,Moon, Young Lae,You, Jae Won,An, Ki Yong,Cho, Sung Wo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3 No.1

        목적: 회전근 개 봉합 수술 후 증상이 지속되는 환자에서 초음파를 활용한 증식 주사술의 유용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12월까지 회전근 개 손상 중 극상근 파열을 보인 환자에서 수술을 시행하고, 4주 후 평가에서 동통이 지속된 환자 중 초음파를 이용한 증식 요법을 시행한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연령은 55.2세였다. 시술 전 후 통증에 대한 시각 점수 척도(Visual analog scale, VAS)와 관절 운동 범위 및 시술 시 발생하는 문제점 및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통증에 대한 시각 척도 검사(VAS)는 시술 전, 시술 후 4주에서 각각 $6.3{\pm}1.25$, $2.5{\pm}2.304$로 감소하여 의미 있는 통증의 감소를 보였고(P<0.001), 관절 운동 범위 (Forward flexion)는 $106{\pm}21.64$도, $143{\pm}26.63$도 증가하여 의미 있는 운동 범위의 호전을 보였다(P<0.001). 시술 4주 후 재 평가된 통증 및 관절 운동 범위는 74예(82%)에서 호전을, 13예(14%)에서는 2~5일 사이의 단기간의 호전을 보였으며 3예(4%)에서는 증식 치료 후 증상의 변화가 없었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의 환자에서 시행한 증식 주사 요법은 이론적으로 치유의 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실제 환자의 증상을 완화함으로써 재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efficacy of ultrasound guided prolotherapy in patients with persistant symptoms after rotator cuff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of 2008, 90 patients who had persistant pain and shoulder adhesion 4 weeks after rotator cuff repair were treated with ultrasound guided prolotherapy. The mean age was 55.2 years.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range of motion (ROM)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rocedure were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VAS score at 4 weeks follow up decreased to $2.5{\pm}2.304$ from $6.3{\pm}1.25$ before prolotherapy and forward flexion range at 4 weeks follow up increased to $143{\pm}26.63$ from $106{\pm}21.64.$ Four weeks after the ultrasound guided prolotherapy, 74 cases(82%) reported of improved pain and ROM, 13 cases(14%) reported of improvement after 2~5 days of the procedure and 3 cases(4%) had no improved in pain and ROM. No complications were encountered. Conclusion: The authors believe that ultrasound guided prolotherapy in repaired rotator cuff tear patients theoretically increased possibilities of healing and with relieving the pain of the patients results in increased possibility of rehabilitation effect.

      • KCI등재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중 트라넥삼산의 정맥 내 투여와 국소 사용의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이현주(Hyun Ju Lee),안기용(Ki Yong An),박지연(Ji Yeon Park),정영우(Young Woo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2

        목적: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트라넥삼산의 효능을 확인하고, 트라넥삼산의 정맥 내 사용 방법과 관절 내 투여 군을 비교하여 어떤 방법이 혈액 손실 감소 효과가 더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 연구는 광주보훈병원에서 2017년 3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에 대한 후향적 연구이다. 단측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총 210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트라넥삼산 사용 방법에 따라 각각 70명의 환자들에 대해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Group I: 정맥 내 투여 군, Group II: 관절 내 투여 군, Group III: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군). 그룹 간 수술 후 총 실혈량, 헤모글로빈 감소치, 수혈 단위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실혈량은 관절 내 투여 군(1,136±339 ml) 및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군(1,366±866 ml)보다 정맥 내 사용 군(987±449 ml)에서 더 낮았다(p=0.004). 수술 후 헤모글로빈의 손실 또한 정맥 내 사용 군(1.8 g/dl)에서 관절 내 투여 군(2.9 g/dl)이나 투여하지 않은 군(3.5 g/dl)보다 현저히 낮았다(p<0.01). 수혈 빈도는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그룹(5.7%)에서 더 높았으며 정맥 내 사용 시 1.4%를 보이고, 관절 내 투여한 군에서 수혈을 받은 환자는 없었다. 혈전색전증의 발생 빈도는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트라넥삼산을 사용한 환자 군에서 사용한지 않은 군에 비해 총 실혈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관절 내 투여보다는 정맥 내로 투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정맥 내 투여로 인한 합병증은 관절 내 투여 및 트라넥삼산을 사용하지 않은 군과 비교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ranexamic acid in reducing postoperative blood loss in total knee arthroplasty by comparing the methods of administration between an intravenous group, topical group, and non-tranexamic acid group. Materials and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ase series study of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from March 2017 to February 2019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The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method of tranexamic acid administration (Group I: intravenous group, Group II: topical group, Group III: non-tranexamic acid group).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anexamic acids, the total amount of postoperative blood loss, postoperative hemoglobin loss, and volume of red blood cell transfusion in the three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The total amount of postoperative blood loss was lower in the tranexamic acid administered group than in the non-tranexamic acid group (1,366±866 ml). Among the administration methods, the intravenous group (987±449 m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opical group (1,136±339 ml) (p=0.004). Postoperative hemoglobin loss was lower in the tranexamic acid group than the non-tranexamic acid group. Among the administration methods, the intravenous group was lower than the topical group. The transfusion rate was higher in the non-tranexamic acid group (5.7%) than the tranexamic administered group. The transfusion rate of the intravenous group was 1.4%, and no patient required a transfusion postoperatively in the topical group. The number of postoperative thromboembolic events, as a complication of tranexamic acid, was similar in the three groups. Conclusion: Tranexamic acid was effective in reducing postoperative blood loss after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compared to the non-tranexamic acid administered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lications induced by tranexamic acid was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