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지역에서 귤굴나방, Phyllocnistis citrella (Lepidoptera: Gracillariidae)의 성페로몬, (Z,Z)-7,11-hexadecadienal에 대한 반응

        송정흡,강상훈,Song, Jeong-Heub,Kang, Sang-H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2

        귤굴나방,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은 운향과(Rutaceae) 특히 감귤류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성페로몬 (Z,Z)-7,11-hexadecadienal (7Z,11Z-16:Al)에 대한 귤굴나방의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귤굴나방의 포획효율은 7Z,11Z-16:Al을 미끼로 한 끈끈이날개트랩을 이용했을 때 높았다. 귤굴나방이 유인되는 시간대는 일출과 일몰시간이 관여하고 있으며, 그 시간은 오전 2$\sim$6시로 일일 유인수의 93.1%를 차지하였다. 또한 이 시간대의 평균온도와 풍속, 강우가 귤굴나방 트랩 포획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풍속의 영향이 가장 높았다. 평균온도 13$^{\circ}C$이하에서는 유인수가 감소하였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풍속은 2.0 m/sec 이상일 때에는 유인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이었으며, 강우는 별다른 영향이 없었다. The citrus leafminer (CLM),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is an oligophagous pest of Rutaceae family, especially Citrus spp. occurring in most worldwide citrus-growing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 sex pheromone chemical of CLM, (Z,Z)-7,11-hexadecadienal (7Z,11Z-16:Al) in monitoring CLM by trap types, the diel activity and the influence of some weather factors on trap catch. CLM was well attracted on a trap baited 7Z,11Z-16:Al 1mg. Sticky wing trap was more effective than bucket trap. Most caught CLM were attracted at 2$\sim$6 a.m. regardless of season, and activity time of CLM was affected by sunrise time as well as sunset time. The trap catch of CLM was more influenced by wind velocity than temperature for activity time of CLM. The number of caught CLM was fallen at below 13$^{\circ}C$, but there was little effect for trap catch at over that temperature. The average wind velocity at over 2.0 m/sec made the number of caught CLM drop down. The precipitation did not affect the number of caught CLM when the average wind velocity was lower than at 2.0 m/sec.

      • KCI등재

        감귤원과 그 주변 기주식물에서 볼록총채벌레의 연중발생 양상

        송정흡,김창석,양영택,홍순영,이신찬,Song, Jeong Heub,Kim, Chang Seog,Yang, Young Taek,Hong, Soon Yeong,Lee, Shin Ch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3

        제주지역 노지감귤에서 2007년부터 볼록총채벌레 Scirtothrips dorsalis Hood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나 시기별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는 명확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귤원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볼록총채벌레의 기주식물 종류와 이와 연관된 발생특성을 구명하였다. 감귤원 주변에서 조사된 볼록총채벌레의 기주식물은 수목류 23과 39종, 초본류 10과 15종으로 총 32과 54종이었다. 조사된 기주식물 중 볼록총채벌레 제1세대 발생과 관련된 것은 인동덩굴과 사위질빵, 송악, 아왜나무였으며, 이들 식물에 월동성충이 3월 하순~4월 상순에 산란하여 성충이 4월 하순~5월 하순에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감귤 피해와 관련된 기주식물은 예덕나무와 동백나무 그리고 사위질빵, 계요등, 거지덩굴 같은 덩굴성 식물이었다. 황색끈끈이트랩을 감귤나무와 감귤원 경계에 설치하여 볼록총채벌레의 시기별 발생밀도를 조사한 결과 비슷한 발생양상을 보였으며, 연간 7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감귤 열매에 피해를 주는 시기는 6월 하순~7월 상순과 8월 하순~9월 상순으로 어린 열매와 성숙 초기 2회에 걸쳐 피해를 주며, 이는 각각 볼록총채벌레 제 3세대와 제 6세대 성충 발생 최성기와 일치하였다. 볼록총채벌레 발생밀도는 기주식물의 새순 발생량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감귤원 주변 기주식물에서 번식한 후 감귤나무로 이동하여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damage of citrus by Scirtothrips dorsalis Hood appears to have increased since 2007 in Jeju,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abundance are not clea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st plants and the seasonal abundance of S. dorsalis, observing plants distributed around citrus orchards. The host plants of S. dorsalis surrounding citrus orchards were determined to include 32 families, 54 species: 39 woody plant species and 15 herbaceous plant species. The host plants which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1st generation of S. dorsalis were Lonicera japonica, Clematis apiifolia, Hedera rhombea, and Viburnum awabuki. The occurrence of 1st generation S. dorsalis was estimated to be due to overwintered female adults having laid eggs into those plants from late March to early April, and the new adults having emerged from late April to late May. The host plants which were associated with fruit damage of citrus were Mallotus japonicus, and Camellia japonica, as well as creeping plants such as Clematis apiifolia, Paederia scandens and Cayratia japonica. The adult phase density of S. dorsalis caught on yellow-color sticky traps placed on the citrus trees on the edge of the citrus orchard. S. dorsalis were predominantly 3rd generation from late of June to early of July, and 6th generation from late of August to early of September, and their numbers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degree of damage caused to the citrus fruit. The density of S. dorsalis depended on the number of new growing shoots of host plants, which indicated that the immigration of adults of S. dorsalis to the citrus was based in the suitability of host plants surrounding the orchards.

      • KCI등재

        제주지역 무에서 벼룩잎벌레와 무잎벌의 색트랩과 집합페로몬에 대한 반응과 연중 발생특성

        송정흡,양영택,양철준,최병렬,좌창숙,Song, Jeong Heub,Yang, Young Taek,Yang, Cheol Jun,Choi, Byeong Ryul,Jwa, Chang So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4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와 무잎벌(Athalia rosae ruficornis)는 제주지역 무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구는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트랩 색(황색과 청색)과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6R,7S)-himachala-9,11-diene과 기주식물 휘발성 물질인 allyl isothiocyanate의 혼합물을 이용 두 해충의 발생을 간편하게 예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벼룩잎벌레는 트랩 색에 관계없이 집합페로몬이 부착된 점착트랩에 더 많은 성충이 유인되었으며, 무잎벌은 황색점착트랩이 청색트랩보다 더 많이 유인되었고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은 유인량에 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을 부착한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면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 발생을 효율적으로 예찰할 수 있었다. 점착트랩의 높이는 기주식물에 가까울수록 두 해충의 유인수가 많아 기주식물 상단 10 cm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의 연간 발생피크는 각각 3회와 5회정도 나타났으며, 두 해충의 첫 주발생시기는 벼룩잎벌레는 3월중하순, 무잎벌은 4월 중하순이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연간 발생특성을 이용하면 두 해충의 무에서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triped flea beetle, Phyllotreta striolata (SFB) and turnip sawfly, Athalia rosae ruficornis (TSF) are two economically important sporadic pests in radish fields on Jeju island. The response of adult SFB and TSF to a mixture of aggregation pheromone, (+)-(6R,7S)-himachala-9,11-diene and host plant volatile, allyl isothiocyanate (HAI), as well as to yellow and blue sticky traps was examined in radish fields. Adult SFB was more attracted to the sticky trap with HAI, regardless of the color of the sticky trap; however, adult TSF was more attracted on the yellow sticky trap than blue, and no effect of HAI was observed. The adult SFB and TSF can be effectively monitored using yellow sticky traps placed 10 cm above the plant canopy. SFB and TSF had 3 and 5 peak times in a year, respectively. The first peak occurred in the middle of March for SFB and mid-late of April for TSF.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facilitate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the two important pests in commercial radish fields.

      • KCI등재

        시설토마토에서 황색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표본조사법

        송정흡,이광주,양영택,이신찬,Song, Jeong Heub,Lee, Kwang Ju,Yang, Young Taek,Lee, Shin Ch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는 바이러스병의 매개로 인해 제주지역 시설재배 토마토에서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다. 황색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성충의 실용적인 발생밀도 추정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011과 2012년 제주 서부지역의 농가재배 토마토 포장에서 포장 상황에 따라 20~30개의 트랩을 설치하여 7~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을 지상 60 cm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것이 작물 상단 10 cm 위에 수직으로 설치한 것보다 더 많은 담배가루이가 유인되었다. 황색끈끈이트랩에 유인된 담배가루이 성충의 분포형태를 Taylor's power law (TPL)과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을 이용 분석한 결과 두 회귀식의 기울기값이 모두 "1"보다 커 담배가루이 성충이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다. TPL의 결정계수($r^2$)값이 IPR보다 더 높아 TPL이 담배가루이 성충의 공간분포 특성을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담배가루이 성충 밀도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황색끈끈이트랩의 수를 TPL 상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는데 정확도 수준이 높을수록, 평균밀도가 낮을수록 필요한 트랩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TPL 상수를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조사를 중지하더라도 트랩당 평균밀도를 추정이 가능한 누적밀도를 계산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방제시기를 트랩 최고 밀도 10마리로 가정했을 때 이 밀도에서 필요한 포장당 트랩수는 고정정확도 0.25수준에서 15개이었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트랩당 평균밀도는 트랩마다 모든 성충수를 계수하는 것보다 2마리 이상 유인된 트랩의 비율을 가지고 추정하는 이항모델 [${\ln}(m)=1.19+0.90{\ln}(-{\ln}(1-p_T))$]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정확한 방제의사 결정을 통해 담배가루이가 매개하는 바이러스병 확산을 막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weetpotato whitefly (SPW), Bemisia tabaci Gennadius, is a major pest in tomato greenhouses on Jeju Island because they transmit viral diseases. To develop practical sampling methods for adult SPWs, yellow-color sticky traps were used in commercial tomato greenhouses throughout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in 2011 and 2012. On the basis of the size and growing conditions in the tomato greenhouses, 20 to 30 traps were installed in each greenhouse for developing a sampling plan. Adult SPWs were more attracted to horizontal traps placed 60 cm above the ground than to vertical trap placed 10 cm above the plant canopy. The spatial patterns of the adult SPWs were evaluated using Taylor's power law (TPL) and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The results showed that adult SPWs were aggregated in each surveyed greenhouse. In this study, TPL showed better performance because of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n the basis of the fixed-precision level sampling plan using TPL parameters, more traps were required for higher precision in lower SPW densities per trap. A sequential sampling stop line was constructed using TPL parameters. If the treatment threshold was greater than 10 maximum adult SPWs on a trap, the required traps numbered 15 at a fixed-precision level of 0.25. In estimating the mean density per trap, the proportion of traps with two or more adult SPWs was more efficient than whole counting: ${\ln}(m)=1.19+0.90{\ln}(-{\ln}(1-p_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revent the dissemination of SPW as a viral disease vector by using accurate control decision in SPW management programs.

      • KCI등재

        감귤원에서 귤녹응애 공간분포 분석과 표본조사법 개발

        송정흡,홍순영,이신찬,Song, Jeong-Heub,Hong, Soon-Yeong,Lee, Shin-Ch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2

        온주밀감에서 귤녹응애, Aculops pelekassi의 분산지수와 분포양상, 표본조사시 적정 표본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귤녹응애는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으며, 분산지수는 Taylor's power law가 Iwao's patchiness regression보다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Taylor's power law의 상수를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열매 표면 $cm^2$당 누적충수에 따라 조사를 중지할 수 있는 표본조사법을 만들었다. 경제적인 표본조사를 위하여 Kono-sugino의 경험적 이항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항모델을 이용하면 귤녹응애가 $cm^2$당 12마리 이상 발생한 열매 비율을 이용하여 평균밀도를 추정할 수 있었다 : $ln(m)=4.61+1.23ln[-ln(1-p_{12})]$. 최적의 tally threshold를 결정하기 위하여 추정평균에 대한 분산을 계산한 결과 tally threshold가 12일 때 추정평균의 분산이 적었으며, 발생과율 0.1~0.5의 범위에서 분산의 변동이 거의 없어 다른 tally threshold에 비해 높은 정확도로 평균을 추정할 수 있었다. 적정 표본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계층표본조사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고정 정확도 0.25수준에서 감귤원당 적정 조사 나무수는 13주였으며, 나무당 조사 열매수는 5개, 열매당 2지점에서 $cm^2$당 귤녹응애수 조사가 바람직하였다(총 130표본). The dispersion indices, spatial pattern and sampling plan for pink citrus rust mite (PCRM), Aculops pelekassi, monitoring was investigated. Dispersion indices of PCRM indicated the aggregated spatial pattern. Taylor's power law provided better description of variance-mean relationship than Iwao's patchiness regression. Fixed-precision levels (D) of a sequential sampling plan were developed using by Taylor's power law parameters generated from PCRM on fruit sample (cumulated number of PCRM in $cm^2$ of fruit). Based on Kono-Sugino's empirical binomial the mean density per $cm^2$ could be estimated from fruit ratio with more than 12 rust mites per $cm^2$: $ln(m)=4.61+1.23ln[-ln(1-p_{12})]$. To determine the optimal tally threshold, the variance (var(lnm)) for mean (lnm) in Kono-Sugino equation was estimated. The lower and narrow ranged change of variance for esimated mean showed at a tally threshold of 12. To estimate PCRM mean density per $cm^2$ at fixed precision level 0.25, the required sample number was 13 trees, 5 fruits per tree and 2 points per fruit (total 130 samples).

      • KCI등재

        성페로몬 트랩에 유인된 수컷 성충에 의한 귤애가루깍지벌레의 연중 발생특성

        송정흡,최경산,홍순영,이신찬,Song, Jeong-Heub,Choi, Kyung-San,Hong, Soon-Yeong,Lee, Shin-Ch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3

        최근 들어 하우스재배 감귤을 중심으로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귤애가루깍지벌레에 대해 효율적인 발생예찰과 함께 방제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합성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시기별 발생특성을 조사하였다. 귤애가루깍지벌레의 수컷 성충은 합성 성페로몬뿐만 아니라 색에도 반응하였다. 성페로몬의 농도는 5.0 mg까지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인력이 높았다. 귤애가루깍지벌레 수컷 성충은 연 4회 발생되고 있었으며, 월동 후 수컷 성충이 처음 발생되기 시작하는 시기는 4월 중하순이었다. 수컷 성충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는 제 1세대 발생기인 7월 상중순이었다. 성페로몬트 랩에 유인된 귤애가루깍지벌레 수컷 성충은 한 세대 내에서 3회의 발생성기가 나타났으며, 이는 귤애가루깍지벌레가 1~3령 약충으로 월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트랩에 유인된 수컷 성충의 밀도와 나무의 가지당 평균밀도와는 높은 정(+)의 상관을 갖고 있었다. 수컷 성충의 최대 유인시기를 이용하여 1령 약충 발생 시기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그 적산온도는 산란전 기간과 비슷한 350DD이었다. The cryptic mealybug, Pseudococcus cryptus, has been increasingly damaging citrus, particularly those plants grown in plastic greenhou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seasonal phenology of adult male cryptic mealybugs and to determine the timing for control using a sex pheromone trap. Adult males responded to a synthetic sex pheromone and trap color. An increasing number of males were attracted to the traps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ex pheromone up to 5 mg. The males occurred annually four times and had three cohorts at a time due to different overwintering developmental stages. After overwintering the adult males began to in mid-late April.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umber of adult males caught in traps and the mean density per twig of all motile stages except first stage nymphs of the cryptic mealybugs. The peak time for the first nymph to occur was estimated from the maximum attraction time of the males, and the cumulative degree days (DD) was 350 DD, similar with the preoviposition period.

      • KCI등재

        Notes on the Aloe Vera Aphid, Aloephagus myersi Essig (Hemiptera: Aphididae) on Non-native Aloe Plants in Korea

        송정흡,서수정,Song, Jeong-Heub,Suh, Soo-Jung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3

        온실에서 재배되는 수입 알로에묘목에 알로에베라진딧물, Aloephagus myersi Essig, 이 채집되었다. 이 종의 원산지는 아프리카로 알려져 있고 수입된 식물을 통해 온실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도입과 정착을 방지하기 위한 이들 종의 진단형질, 사진자료, 기주 및 분포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aloe vera aphid, Aloephagus myersi Essig, was collected on imported Aloe vera (L.) Burm.f. (Xanthorrhoeaceae) grown in greenhouses in Korea. This species is native to tropical Africa and probably was introduced into greenhouses via the aloe plant trade. This introduction reinforces the need to focus attention on the eradication from collected localities, and for constant surveillance and detection at ports of entry to prevent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new pests in the Korean environment. In this paper,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aloe vera aphid is provided with diagnoses and photographs along with host plant and distribution data for accurate species identification.

      • KCI등재

        신규다원에서 잡초관리 방법이 잡초 발생 및 차나무 생육에 미치는 영향

        송인관(In Kwan Song),김용덕(Yong Duk Kim),윤정희(Jeong Hee Yoon),송정흡(Jeong Heub Song),고성준(Sung Joon Ko),송관정(Kwan Jeong Song) 한국차학회 2010 한국차학회지 Vol.16 No.2

        To develop an effective method for weed control in a newly established tea plantation, various methods of weed management such as soil mulching and growth of cover crops were evaluated in 3 to 4 year-old Hushun cultivar for 3 years in Jeju. The occurrence and occupancy of weeds differed depending on the weed management method applied, with White clover and Red clover suppressing weeds most effectively. Regard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vering crops, Italian ryegrass was taller than tea tree, Red clover and Crimson clover were similar, and White clover grew well for the first two years after seeding but was still shorter than tea tree. Biomass production from the control (noninterfered grown weed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talian ryegrass and Crimson clover. Effect of different weed management methods on the growth of tea tree was negligib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 methods on soi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hite clover was the most appropriate weed management method for increased tea tree growth, soil properties and weed suppression.

      • KCI등재

        제주도지역 아스파라거스의 주요 해충 종류, 피해 및 발생양상

        최경산,송정흡,양진영,최활란,김동순,Choi, Kyung San,Song, Jeong Heub,Yang, Jin Young,Choi, Hwalran,Kim, Dong-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3

        아스파라거스(Asparagus officinalis)에서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 및 피해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제주도에서 조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이 총 5개목 16종의 해충이 관찰되었다: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하와이총채벌레(Thrips hawaiiensis),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도둑나방(Mamestra brassicae), 네눈쑥가지나방(Ascotis selenaria), 줄고운가지나방(Ectropis excellens),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청동풍뎅이(Anomala albopilosa), 아스파라거스잎벌레(Crioceris quatuordecimpunctata), 달팽이(Acusta despecta sieboldiana), 작은뾰족민달팽이(Deroceras reticulatum). 그 중에서 파총채벌레는 아스파라거스 전 기간에 걸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이었다. 아스파라거스잎벌레와 달팽이류는 봄 수확기에 아스파라거스 순을 가해하여 큰 피해를 주었다. 아스파라거스 입경기부터 생육기에는 진딧물과 나방류 해충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나방류 해충 중에서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왕담배나방 등 밤나방과 해충의 피해가 많았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아스파라거스 재배에서 해충방제 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st species and their damage on Asparagus officinali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in asparagus greenhouse in Jeju, for four years from 2007 to 2010. Total of 16 pest species belonging to 5 orders were found as follows: Thrips tabaci, Thrips hawaiiensis, Adoxophyes honmai, Spodoptera litura, Spodoptera exigua, Helicoverpa armigera, Mamestra brassicae, Ascotis selenaria, Ectropis excellens, Geisha distinctissima, Aphis gossypii, Myzus persicae, Anomala albopilosa, Crioceris quatuordecimpunctata, Acusta despecta sieboldiana and Deroceras reticulatum. Among them, T. tabaci frequently occurred and damaged asparagus plants during the whole growing seasons. C. quatuordecimpunctata and snails caused severe damages on asparagus shoots in spring harvest season. In mid-late seasons, aphids and lepidopteran species occurred and attacked asparagus plants. Of the lepidopteran pests, S. litura, S exigua and H. armigera belonging to Noctuidae occurred moderately and fed on asparagus plants. And the pest control strategy in asparagus cultivation was discussed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 KCI등재

        온실재배 오이의 생육단계별 목화진딧물의 주내 분포 특성에 기초한 축차표본조사법

        정부근,송정흡,이흥수,최병렬,Chung, Bu-Keun,Song, Jeong-Heub,Lee, Heung-Su,Choi, Byeong-R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4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monitoring Aphis gossypii in greenhouse cucumber fields that was used during 2013 and 2014. The dispersion pattern of A. gossypii was determined by commonly used methods: Taylor's power law (TPL) and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The sample unit was determin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mean density of sample unit versus whole plant. The optimum sample unit for different plant growth stages was two leaves (median and the lowest + 1 leaf) when the total number of leaves was less than nine, and three leaves (4th, 7th from canopy, and the lowest +1 leaf) when the total number of leaves was greater than nine. A. gossypii showed an aggregated distribution pattern, as the slopes of both TPL and IPR lines were greater than 1. TPL provided a better description of the mean-variance relationship than did IPR. The slopes and intercepts of TPL and IPR from leaf sampl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surveyed years. Fixed precision levels (D) for a sequential sampling plan were developed using Green's and Kuno's equations based on the number of aphid in a leaf sample. Green's method was more efficient than Kuno's to stop sampling. The number of samples needed to estimate the density of A. gossypii increased at higher D levels and lower mean densities. The cumulative number of aphids needed to stop sampling increased at higher D levels and with fewer plants sampled. Thus to estimate 10 aphids per leaf, 13 plants needed to be sampled,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aphids to stop sampling was 131. 온실재배 오이에 발생하는 목화진딧물의 발생밀도를 추정하는 표본조사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개년(2013-2014년) 동안 주 전체의 잎별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의 공간분포 특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aylor's power law(TPL)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의 주 전체 밀도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단위를 일정 잎 위치의 평균밀도와 주 전체의 잎당 평균밀도와의 일반선형 회귀식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적정 표본단위는 오이 생육기에 따라 달랐는데, 총엽수가 9매 미만일 경우 2매(중위엽과 최하위+1번째 엽), 그 이상인 경우에는 3매(위로부터 4번째, 7번째, 최하위+1번째 엽)를 조사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오이에서 목화진딧물의 공간분포 특성은 TPL과 IPR의 기울기가 모두 "1"보다 커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으며, 진딧물의 평균-분산 관계를 TPL이 IPR보다 더 잘 설명하였다. TPL의 기울기와 절편은 연차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Green과 Kuno의 식을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D) 수준에서의 축차표본조사법을 개발하였다. 목화진딧물의 축차표본조사법은 Green의 방법이 Kuno에 비해 더 효율적이었다. 목화진딧물의 일정 평균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 주수는 D값과 잎당 평균밀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표본조사를 중지할 수 있는 누적 진딧물 수는 D값이 낮을수록, 조사 주수가 적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목화진딧물 잎당 10마리의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 주수는 13주이었으며, 이 때 조사를 중지하기 위한 누적 진딧물수는 131마리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