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곽시징(郭始徵)의 시조 창작 방식과 의미

        송재연(Song, Jae-yeon) 한국어문학회 2017 語文學 Vol.0 No.13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mposing methods and explore confucian meanings in Nakchongyunghanjung-gamhungga(樂村景寒亭感興歌), Gwak Sijing(郭始徵)’s works of sijo(時調). Gwak Sijing(1644-1713) expressed the excitement when viewing the scenery of the seasons in a form of Chinese poem, while staying at the Pavillion Gyunghanjung. There he also composed sijo poem-songs in the vernacular. Since he returned to the rural home, he endeavored to observe the Confucian ethics of Oryun(五倫) honed in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trained younger students. Sometimes he enjoyed the natural scenery and after realizing the principles of the mother nature. And he showed the integrated view of the lives of a human and the nature in one unity and his struggle to assimilate with the nature through his literary works. Such a view was embodied in his sijo. The exploration of Gwak Sijing’s sijo allows us to understand the core concepts and practices,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講學) and Sangjayeon(賞自然), also expressed in Yi Hwang(李滉)’s Dosansibigok(陶山十二曲) and Yi I(李珥)’s Gosangugokga(高山九曲歌). The ideas of Sangjayeon(賞自然) in Gwak Sijing’s sijo can be juxtaposed with the concept of Yokgiyeonggwi(浴沂詠歸) that denotes the pleasure of realizing the law of the nature. In conclusion, Gwak Sijing’s sijo emphasizes the moral ethics, but it also deals with the pleasure in the nature wherein he came to realize the true beauty and principles of the nature, and his works based on those experiences have enlightened his younger students.

      • 광소자에서의 손실을 고려한 WDM 다중홉 망설계에 관한 연구

        송재연,김장복,Song, Jae-Yeon,Kim, Jang-B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s8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논문들이 이상적인 소자들을 가정한 데 비해 WDM 망에서 사용되는 광소자들의 손실특성을 분석하여 수식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광경로 설정을 하였다. 비어있는 파장이 있을 경우, 이들 후보 경로중에서 일정 기준 SNR을 만족하면서 최적인 경로를 선택하였다. 그 결과, 파장변환기의 입출력 파장간격에 따라 호거절확률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했으며 보다 실제적인 망설계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 ATM망에서 다중화된 MPEG 비디오소스의 동적 대역폭 할당

        송재연,이상엽,하창국,김장복,Song, Jae-Yeon,Lee, Sang-Yeop,Ha, Chang-Guk,Kim, Jang-Bok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7 No.6

        본 논문에서는 ATM 망에서 다중화된 VBR MPEG 비디오소스 전송시 QoS를 보장하는 실시간 대역폭 할당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시간 처리를 위해 다중화소스를 일정시간으로 나눈 '측정구간별로 나누어서 단일 비디오 소스에 사용하였던 선형예측 방법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만족할만할 셀 손실율을 얻지 못할 경우 QoS를 보장하기 위한 대역폭 할당방법으로 과할당과 재할당의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특성이 서로 다른 네 가지 비디오 소스를 랜덤하게 다중화시켜 생성한 랜덤 다중화소스와, 프레임내 I 픽쳐의 배열을 고려해서 생성시킨 GOP 다중화소스를 만들어 모의실험을 하였고 이를 통해 선형예측 방법의 성능평가와 과할당 및 재할당방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과할당방법과 재할당 방법 모두 측정구간을 1.8초 이상으로 하면 0.9이상의 대역폭 이용계수값에서 목표 CLR을 만족하면서 낮은 COR(Cell Over Rate)을 얻을 수 있었고, 특히 COR의 경우 재할당방법이 같은 조건하에서 더 좋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bandwidth allocation scheme of multiplexed VBR MPEG video sequences over ATM network. In order to real time processing, multiplexed source is estimated by linear-prediction per measurement period. If the result CLR value were not sufficient, we proposed a overallocation method and a reallocation one to guarantee QoS. We used two kinds of sources, one is random multiplexed source made of foot different video sources, the other is the one considered the arrange of I frame in the sequence. With those sources, we analyzed the linear prediction, compared overallocation with reallocation method. As a result, in both schemes, the objected CLR value is achieved, the sufficient value COR under 10% when mp is over 1.8 sec, the utilization is over 0.9. Especially, the COR value of the reallocation scheme is better at the same condition.

      • KCI등재

        온라인 교육영상에 나타난 모션그래픽 시·청각적 요소 분석

        송재연(Song, Jae Yeo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온/오프라인 학습 환경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들은 학습 자료로 영상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더불어 교육 영상물의 표현 양식이 다양해지고, 콘텐츠의 범위도 점차 넓어지고 있다. 현재 여러 웹 사이트에서 다량의 교육영상들을 접할 수 있지만, 영상 속의 어떤 점들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지식을 전달하고 있는지 불명확하다. 그러므로 교수자/학습자가 선호하는 영상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탐구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온라인 교육 영상에 나타난 시청각적 표현요소가 학습 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가정 하에 진행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영상에 나타난 표현 및 특성을 정립하여 학습자(Learners)에게 정보전달력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설계자(Educators)/제작자(Creators)에게는 효율적으로 고려할 점들을 도출해 보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 영상의 특징 및 교육적 효과와 모션그래픽의 시청각요소에 대한 선행연구 조사와 사례분석을 하였다. 사례연구로는 다양한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Ted-Ed Originals 레슨 영상물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영상물에 적용된 모션그래픽의 구성요소 중 시각적(조형) 요소와 청각적 요소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먼저 영상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영상은 특히 흥미유발, 몰입도, 이해도 측면에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론적 근거인 인지부하 이론에서는 교육영상 설계 시 시청각적 연출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영상물에 나타난 시청각적 표현 분석의 객관성을 위해, 인지 부하 이론을 근거로 한 효과적 교육영상 설계 방법(Signaling, Segmenting, Weeding, Matching Modality)에 따라 정리 해 보았다. 그 결과 강조방법, 함축방법, 불필요한 정보제거방법에서 공통점이 있음을 확인했으나 시청각요소의 조화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교육 영상은 각 분야별 전문가의 투입으로 내용적인 측면 외에 디자인적 측면에서도 지속적으로 보완을 하며 발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표현 분석을 정리해 본 결과, 내용적 측면과 디자인적 측면이 부합하는 명확한 지표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향후 이 연구를 바탕으로 개선 된 교육 영상물이 많이 제작되기를 기대해본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educators and learners frequently use videos as their educational materials. At the same time, the visual forms and the themes become broader. Currently, various web-sites provides free educational videos, on the other hand, it is unclear what aspects in the educational videos inform effectively to the learners. Therefore, understanding what styles of the videos are appropriate is necessary in depth. This study assumes that audio-visual expressions in online educational video influence the achievement of learner’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etter methods that informs effectively to learners and design efficiently to creators by analyzing visual forms in the educational video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videos through the prospective studies and introduces several web-sites providing free educational videos. Second, several educational animations from Ted-Ed originals are analyzed as a case study in order to find out commons and differences of design styles. By reviewing the prospective studies, the videos are effective in an interesting, an immersive, and an understanding way. Moreover, Cognitive Load Theory explains the importance of audio-visual elements in educational videos. To approach objective analysis of audio-visual elements in the videos, four suggestions by Brame for effective educational videos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are added. The analysis discovers some common ground from a signaling, a segmenting, and a weeding method except for a matching modality. In conclusion, the educational videos are developing in its content and design aspec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clear pattern of audio-visual correspondences through the analysis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Based on this study, well-improved educational videos will appear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박선장(朴善長) 가문의 영주(榮州) 생활과 시가 창작의 의미

        송재연 ( Song Jae-yeon ) 한국고전문학회 2017 古典文學硏究 Vol.51 No.-

        이 논문은 務安朴氏 寧海派의 朴善長(1555~1616) 가문이 영주로 이주하여 세거하는 동안 창작한 시가 작품을 검토하여 박선장 가문의 시가 창작 양상과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작성된 것이다. 영주 入鄕祖인 박선장은 南夢鰲와 학맥과 혼맥을 형성하면서 영주 지역에서 입지를 확보하며 안정적으로 학문을 연마할 수 있었다. 그런데 그의 영주 생활에서 주목되는 점은 그가 퇴계학을 계승하는 가운데 『심경』을 탐독하였다는 사실과 이산서원의 동주로서 서원 교육을 통한 영주 지역 향촌사족의 교화에 힘썼다는 점이다. 특히 그는 향촌의 유림들과 함께 직접 구만서당을 건립하여 후학을 양성하는 데에도 진력하였다. 이때 주자의 <白鹿洞書院揭示>에 담긴 강학 지침인 `오륜`을 구만서당의 교육 근간으로 삼고, `오륜`의 이념을 시조 <五倫歌>로 형상화하여 서당의 유생들을 권면하고자 하였다. 박선장의 장남인 朴璥 역시 외조부인 남몽오의 문인으로, 환로에 나가지 않고 성리서를 중심으로 한 도학의 탐구를 지향하면서, 특히 『심경』의 이치를 체득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그는 도학의 의리를 중요시하여 당대의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토대로 절의 정신을 시조 <鋤?歌>로 형상화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박선장과 박경 부자의 시조 창작은 영주 지역에서 사족으로서의 입지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영주에서의 경제적 기반이 약했던 박선장 가문은 남몽오와의 사승 관계를 통해 영주 지역 사족들과 학맥을 형성하고, 또 사제지간의 인연으로 인해 옹서지간이 되면서 영주에서의 입지가 어느 정도는 확보되었을 것이지만, 이후 시조를 통해 퇴계학의 이념을 더욱 공고히 드러냄으로써 친족을 비롯한 주변 在地士族을 교화하고 결속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creative aspects and the meaning of Siga(詩歌) written by the family of Bak Seon-jang(朴善長), namely Bak Seonjang and Bak Gyeong(朴璥), reviewing the works of poems created living in Youngju(榮州) which is weak in economic fundamentals for generations. Bak Seon-jang was be able to hone their studies in Youngju by building school ties and marriageable relationships with Nam mong-o(南夢鰲). By the way, it should be noted in his Youngju life that he read Simgyung(心經) hard, and he make an effort to edification of Hyangchonsajok(鄕村士族) in Youngju by the edcation of Seowon(書院), as a director of Yisan-Seowon(伊山書院). Especially, he build Guman-Seodang(龜灣書堂) with Hyangchonsajok and use all his force in training younger students. At this time, he regarded Oryun(五倫) contained in Bakrokdongseowongesi(白鹿洞書院揭示) as the basis of Education in Guman-Seodang, and he encouraged Confucian scholars in Seodang by forming Oryun in Sijo(時調), Oryunga(五倫歌). The eldest son of Bak Seon-jang, Bak Gyeong is also as a student of Nam mong-o, and he make efforts day and night to realize the reason in Simgyung. Especially, he symbolized faithful mind as Seoyooga(鋤?歌), based on the critical awareness of the absurd reality of the present day. In conclusion, the Writing of Sijo in family of Bak Seon-jang means to secure a position as Hyangchonsajok in Youngju area.

      • KCI등재

        작시원리를 통해 본 高應陟道學時調의 문학적 특성

        송재연(Song, Jae-yeon) 한국어문학회 2012 語文學 Vol.0 No.11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Dohak-sijo(道學時調) written by Ko Eung-choek(高應陟), by comparing the Bu(賦) and Dohak-sijo(道學時調)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versification. Ko Eung-choek(高應陟) enjoyed reading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expressed various art forms, such as Chinese poetry[漢詩], Do(圖), Sul(說), Bu(賦), Sijo(時調). Especially,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a Bu(賦) and Dohak-sijo(道學時調), Ko Eung-choek(高應陟) expressed great awakening about Confucian scriptures. But differences between Bu(賦) and Dohak-sijo(道學時調) are found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versification. In the Bu(賦), the Confucian ideology and spiritual awakening were explained by way of arranging things[鋪陳], metaphor, and catechetical dialogue. On the other hand, in the Dohak-sijo(道學時調) they were embodied by Yongjeon(用典) and metaphor literarily. In generall, Dohakja(道學者) will express the Confucian ideology and spiritual awakening. But Ko Eung-choek(高應陟) expressed the Confucian ideology and spiritual awakening by literary form of Sijo(時調), and made an effort to express his own ways.

      • KCI등재

        용담김계(龍潭金啓)의 시조 향유에 나타난 문학적 지향

        송재연 ( Jae Yeon Song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3

        이 논문은 일기「龍潭錄」의 기록을 토대로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중반에 생을 살았던 향촌사족 金啓의 향촌생활을 살펴보고, 이러한 향촌생활을 바탕으로 창작된 시조를 분석하여 김계의 시조 작품이 가지는 문학적 지향점을 밝히고자 작성된 것이다. 김계는 시조 30수를 남기고 있는데, 이 시기까지만 하더라도 한 작가가 10수 이상의 시조를 창작한 경우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그의 시조 작품을 고찰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일기의 기술방식을 고려할 때 시조 창작과 관련된 구체적 상황과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향촌사족의 시조 창작 및 향유 양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龍潭錄」에는 향촌에서의 소소한 일상생활과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생활 감정이 진솔하게 담겨있다. 이러한 향촌생활을 토대로 창작된 김계의 시조는 생활 속에서 느끼는 진솔한 감회를 노래하는 한편, 가족애를 기반으로 한 가문의식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물론 시조를 통해 삶의 정서를 표출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김계의 시조 작품만이 가지는 독특한 면모는 가문의식의 표출에서 찾을 수 있다. 조상의 蔭德에 대한 감사, 자손의 출생에 대한 기쁨, 자제들이 出仕하기를 소망하는 마음을 노래하는 것은 모두 가문의 결속과 번영을 바라는 심정을 드러낸 것이다. 결국 김계가 시조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문학적 지향은 자손의 번창과 가문의 발전에 수렴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결부시켜 볼 때 중앙의 정치 현실에서 배제된 한미한 향촌사족으로서 가문을 유지하고 부흥시켜야 한다는 의식 속에서 배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to clarify a literary orient of sijo(時調) written by Kim ge(金 啓) who lived in Bian(比安) province on the basis of Yongdam-rok(龍潭錄) of records. Yongdam-rok(龍潭錄) is a diary, and it includes life of the country. Kim ge(金啓) is a country aristocrat, and a writer. And in the country, he wrote 30 sijos. Because the case in which, by early 17th century, a writer who had written more than 10 sijos is rare,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closely sijos written by Kim ge(金啓). And if we consider narrative style of diary, we can receive help in understanding of writing and enjoyment of sijo (時調) written by country aristocrat. The life of Kim ge(金啓) in Yongdam-rok(龍潭錄) is filled with daily life and honest life feeling. It does not contain political realities, confucian traditions. So sijos written by Kim ge(金啓) show feelings about the country life, moreover express family consciousness. Especially family consciousness is very important in sijos written by Kim ge(金啓). In conclusion, a literary orient of sijo(時調) written by Kim ge(金啓) is to consist in prosperity of descendant and bringing honor to family.

      • KCI등재

        가사 <운림처사가(雲林處士謌)>에 나타난 강호 인식의 양상과 도선(道仙) 지향

        송재연(Song Jae-yeon)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5

        이 논문은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문학적 생애 가운데 광해(光海) 혼정기(昏政期) 안동(安東) 풍산(豐山)에서의 은거 양상을 재구하고, 이를 토대로 󰡔해동유요(海東遺謠)󰡕 소재 가사 <운림처사가(雲林處士謌)>에 나타난 강호 인식의 양상과 도선(道仙) 지향 의식을 고찰하고자 작성된 것이다. 당쟁과 전란이 연속되었던 혼란기를 보냈던 김상헌은 의리와 절의를 중시하는 도학자적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환로(宦路)에 들어선 후부터 광해군을 비롯한 대북파 세력과 정치적으로 대립하며 부침(浮沈)을 거듭했던 그는, 1618년 사회의 혼란과 집권 세력의 박해를 피해 안동의 풍산으로 내려가 3년 동안 이곳에서 은거하였다. 풍산으로 낙향한 김상헌은 청원루(淸遠樓)에서 은거 생활을 시작했다. 청원루에서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는 삼귀정(三龜亭)이 있었는데, 삼귀정 주변의 아름다운 산수자연의 경치를 완상하며 세상의 시름을 잊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곳은 피세(避世)를 위한 은일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이곳은 지인들과 교유하며 회포를 푸는 풍류의 장(場)으로 심적 위안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이기도 했다. 이와 같은 안동 풍산 은거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사 <운림처사가>는 광해 혼정기의 현실에 대한 실망으로 산수자연에 은거한 처사의 삶을 노래한 작품으로, 풍산 삼귀정 일대의 자연경관을 완상하며 풍류를 즐기는 삶을 통해 속세의 번민에서 벗어나려는 피세적(避世的) 위안과 주어진 분수에 만족하며 천명(天命)에 순응하려는 삶의 태도가 구현되어 있었다. 또한 정치적․사회적으로 혼란스러운 당대 현실을 부정(否定)함으로써 삼귀정 일대의 승경을 ‘선계(仙界)’라는 대리 만족의 공간으로 설정하고, 현실에서 불우(不遇)한 자아가 신선이 된 것처럼 선계를 즐기며 안식과 위로를 얻고자 하는 선취적(仙趣的) 삶을 지향하고 있었다. 아울러 가사 <운림처사가>의 작품 양상은 창작연대와 작자 미상의 상태로 전해지는 처사가 계열의 작품군과는 차이를 보였다. 처사가 계열의 작품군에서는 운림처사로 은거하게 된 상황에서 자연경관의 아름다움과 그곳에서 느끼는 흥취를 추상적으로 표출하고 있을 뿐 은거의 계기나 당대 현실에 대한 인식,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는 방식이나 이념적 지향은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해동유요󰡕 소재 <운림처사가>에서는 광해 혼정기 현실에 대해 부정함으로써 야기된 천명에 순응하는 운명론적 사고를 바탕으로 ‘선계’라는 이상적 공간을 설정하여 불우(不遇)한 자아가 유선적(遊仙的) 삶을 지향함으로써 위안을 얻고 있었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reconstruct Kim Sang-heon s life in seclusion in Pungsan, and to examine the aspects of nature perception and Tao-oriented consciousness expressed in his Unlimcheosaga in Haedongyuyo. Having spent a period of chaos in which political party strife and war continued, he lived a moral life that valued loyalty and incisiveness. From the beginning of his official duties, he was politically opposed to the ruling forces, including King Gwanghae-gun, and in 1618, he went down to Pungsan to live there to avoid social turmoil and persecution of the ruling forces. He was able to forget the troubles of the world while admiring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around Samgwijeong in Pungsan, so this place is meaningful as a space for seclusion. Not only that, this place was also a place where you could get mental comfort as a place of taste for the arts to socialize with your acquaintances. His Unlimcheosaga is about the life of a scholar who lived in nature in disappointment with the reality of the time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It embodies the aspect of escaping from the troubles of the world through enjoying the natural scenery and the attitude of living to conform to fate. In addition, by denying the politically and socially chaotic reality of the time, the beautiful scenery around the Samguijeong is set as a space of surrogate satisfaction called the world of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 and in reality, as if a lonely self became a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enjoy the beautiful scenery and give them rest and comfort.

      • KCI등재

        UX 표현적 모션 연구를 위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리 재분류

        송재연 ( Song Jae Y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웹이나 모바일 인터페이스에서 다양한 기술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모션의 활용이 증가하였고, 적절한 모션의 적용은 사용자 경험(UX)에 직접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UX 모션 연구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UX 표현적 모션 연구에 대해 체계적인 기준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션의 필수적 개념인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리를 재분류하여, UX 표현적 모션 연구에 대하여 어떤 기준으로 논의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리와 UX에서 모션의 역할과 목적을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를 살펴본바, UX 모션에서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리가 소극적이었던 이유가 사용성을 방해한다는 점에 있었다. 그런데 사용성(Usability) 측정 요소에는 기능적인 측면과 감정적인 측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감정적인 면과 관련 있는 표현적 측면의 연구도 지속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표현적 모션 개념과 활용 방법을 고찰하여, 디즈니 애니메이션 원리의 재분류 범위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UX/UI 디자인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에서 제시한 표현적 모션의 개념은 A) 브랜드 성격을 부여하는, B) 눈에 띄는 역동적인 느낌을 만들어내는, C) 감정적 연결을 만들어내는 수단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활용 방법에는 기능적인 측면의 사용성을 충족시킨다는 전제하에 표현적 모션이 적용된다. 표현적 측면의 UX 모션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애니메이션 원리를 적용 효과 중점으로 재정리하여 위의 표현적 개념적 접근 A), B), C) 아래 재분류하였다. 재분류 결과, 1) Staging과 Timing, 2) Follow Through & Overlapping과 Appeal, 3) Stretch & Squash와 Anticipation이 중점 논의 대상이 된다. 이 연구를 통해 어떤 기준으로 논의 할 수 있는지를 확보하였고, 향후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The use of motion in web and mobile interfaces has been increasing because of digital technology advancement, and properly applied motion contributes to the user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ystematic standard for UX expressive motion research that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e field of UX mo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mainly discussed and reclassified the Disney Animation Principles, which are the foundational concepts in the motion design field. Reclassifying the classical animation principles is also to seek what criteria UX expressive motion research can be discussed further. The research method examines the Disney Animation Principles and the role and purpose of a motion in the UX field. By looking at the previous studies, Disney's animation principles were passive in UX motion because they interfered with usability. However, the usability measurements include both functional and emotional aspects―the emotional elements related to expressive elements, so the research should continue. This study considers UX expressive motion concepts and utilization methods, establishing a scope for re-classification of Disney Animation Principle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concept of UX expressive motion presented by major corporations leading UX/UI design defines it as A) giving brand personalities, B) creating dynamic atmospheres to be noticeable, and C) producing emotional connections. In addition, expressive motion is applied to the utilization method because it satisfies the usability of functional aspects. The animation principles were rearranged to the application affect focus and reclassified below the above expressive conceptual approaches A), B), and C) to discuss UX motion on the expressive aspect. As a result of the re-classification: 1) Staging and Timing, 2) Follow Through & Overlapping and Appeal, and 3) Stretch & Squash and Anticipation are the main discussion topics. Hopefully, this result aims to motivate what criteria can be discussed further and be helpful for future UX expressive motion research.

      • KCI등재

        한시 제재와 연계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 연구

        송재연 ( Song Jae-yeo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8 한문교육논집 Vol.50 No.-

        본고는 중등학교 국어교육과 한문교육의 소통과 연대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의 하나로, 고전시가와 한시의 관련 양상에 穿鑿하여 한시 제재와 연계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 글이다. 한문 교과서를 검토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거나 수록되었던 한시 제재는 우리나라 문인의 작품뿐만 아니라 중국 문인의 한시문까지 포함하고 있었고, 주제 역시 다양했다. 이 중에서 우리나라 문인의 한시는 주제의식과 정서의 측면에서 국어교과의 ‘한국 문학의 전통’과 관련시켜 통합교육을 시도할 수 있다. 특히 한국 문학의 전통 중에서 ‘자연친화 사상’이나 ‘이별의 情恨’의 경우에는 고전시가와 한시를 견주어 읽음으로써 고전시가 해석의 깊이와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한편 중국 문인의 한시문은 고전시가 창작의 배경이 되는 典故와 典範으로서 교육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즉, 고전시가 창작이 중국 고대 경전을 비롯한 다양 종류의 한시문의 내용을 引喩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한다면 한문교과에서 이러한 典故 또는 典範으로서의 성격을 지닌 한시문을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국어교과에서 고전문학을 다루는 영역은 대체로 ‘전통과 특질’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러한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에 연계하여 시가 창작의 典故로서 배경지식 역할을 했던 한시문 작품들을 교육하고, 나아가 창작의 典範 역할을 했던 중요한 한시문의 경우 그 全篇을 온전하게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물론 현재의 상황에서 典故나 典範 역할을 했던, ‘장형’의 ‘난해’한 한시문 全篇을 온전하게 교육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국어 교과서 수록 부분에 한정해 부분 발췌를 한다거나 작품 내적 연관 관계가 두드러진 부분 위주로 교육하는 방식으로 현실적 방안을 찾아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국어과와 한문과의 연계를 통해 문학 교육의 목표뿐만 아니라 교육의 대상이 되는 제재를 공동 논의를 통해 선정하여 시가 창작의 典範이 되는 작품들에 대한 교육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methods of Classical poetry education through Chinese poetry, focused on the related aspect of classical poetry and Chinese poetry, as an attempt to seek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inese Class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The works of Chinese poetry in the Chinese textbooks had various themes, including not only the works of Korean writers but also the literatures of Chinese writers. Among these works, the Korean writer's poetry can try integrated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subject consciousness and emo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nature friendly concept’ or 'parting sentiments' among the traditions of Korean literature, it is possible to broaden the depth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lassical poetry, by comparing it with Chinese classical poetry. Also the Chinese writer’s poetry are the background knowledges of creation Korean classical poetry, namely authentic precedent(典故) or Classic(典範), so the need for teaching Chinese writer’s poetry can be raised. In literature curriculum, the area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s generally regarded as 'tradition and characteristic' or 'reflection of contemporary society'. Especially, I think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works of Chinese which acted as background knowledge as a source of the poetry's creation, and as classic of cre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there is a limit to educate all parts of the literary work which has many volumes and is difficult to understand, but it is necessary to find a practical method in such a way as to make partial excerpts only in the part of Korean textbooks, or such a way as to educate the related parts with Korean classical poetry. Ultimately, through the linkage between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ducation on the works that are the norm by selecting not only the goals of literary education but also the works that are subject to education through joint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