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국가 도시네트워크로서 동아시아 문화공동체에 관한 연구

        손예령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아시아문화연구 Vol.51 No.-

        Today,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localization’ is appearing. Based on ‘empathy’, regionalism and universalism coexist and new empathy society for mutual development is emerging. Accordingly exchanges have become active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between regionalism and universalism, and ‘Transnational Cultural City Network’ transcends the national boundary as a venue for improving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ultures is being formed. Understanding the complexity and multi dimensionality of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revolution in the transnational East Asia requires new analyzing instruments beyond the traditional state society dichotomy. At this time, Transnational City Network plays a role that a state cannot do and will become an important mechanism that effectively connects different forces within or transcending the boundary of transnational Asia.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cultur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at is more varied, complex and variable today than before, Transnational Cultural City Network’s role is important. Especially in the East Asia where issues in political, military, and historical dimensions still remain, cultural community is peace community and a window for empathy and communication. So Transnational Cultural City Network within East Asia will have to be activated. This will enable to improve the sense of belonging as East Asian citizen, enhance the regional identity of East Asia, and contribute to the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오늘날 ‘세계화’가 나타남과 동시에 ‘지역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공감’을 통해 지역주의와 보편주의가 공존하고 상호 발전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감사회가 출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주의와 보편주의 간의 이해와 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문화 간 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한 장으로서 국가 경계를 초월한 초국가 문화도시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다. 초국가적 동아시아의 사회, 정치, 경제적 변혁의 복잡성과 다차원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국가 사회의 이분법을 넘어 새로운 분석 도구가 필요하며, 이때 ‘초국가 도시네트워크’는 국가가 할 수 없는 역할을 하며, 효과적으로 초국가적 아시아의 국경 안이나 국경을 초월한 서로 다른 세력을 연결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이 될 것이다. 또한 오늘날 이전보다 다양하고, 복잡하며, 가변적이게 된 세계화 시대의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해서는 초국가 문화도시네트워크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여전히 정치, 군사, 역사적 차원의 문제가 남아있는 동아시아에서 문화공동체는 평화공동체이자 공감과 소통의 창구가 되므로, 동아시아 내 초국가 문화도시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시민으로서 소속감이 증진되고, 동아시아 지역정체성을 제고하며, 그리고 지역 문화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문화거버넌스 체계에 관한 연구

        손예령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문화정책논총 Vol.33 No.2

        The 21st century is the “century of the city,” given that more than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is living in urban areas. This emergence of citie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local areas, which causes various problems because of urbanization.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 and various interested parties is important in order to settle the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and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In particular, discussions about governance have been increasing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policies. These discussions highlight the inefficiency of central government-oriented establishments and their implementation of cultural policies, emphasizing the need for new and different approaches. Therefor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rm of cultural governance that is not state-centric; a network consisting of members from various interested parties such as local governments,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situated in each city, universities, citizens, enterpris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methods to establish a culture governance syste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ollowing reports: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15) of the UN, Culture 2: Actions (2015) of the UCLG, and Reshaping Cultural Policies (2015, 2018) published by UNESCO.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through its focus on the necessary meas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cultural governance from the viewpoint of a transnational city network, and in the direction it provides towards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al governance syste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오늘날 전 세계 인구 절반 이상이 도시에 사는 ‘도시의 세기’이다. 이러한 도시의 부상은 지역의 발전을 가져왔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도시화로 인해 각종 문제들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도시화로 인해 생겨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가뿐만 아닌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이 중요하다. 특히 오늘날 문화예술정책 영역에서 거버넌스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중앙정부 위주로 문화정책을 수립 및 실행하는 것은 더 이상 효율적이지 못하며, 기존과 다른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해서는 국가중심이 아닌 지방정부와 각 도시의 문화예술단체, 대학, 시민, 기업, 국제적 조직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구성원으로 한 네트워크 형태의 문화거버넌스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문화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UNESCO의 「문화정책 재구성(2015, 2018)」을 비롯하여 UN의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2015)」, 그리고 UCLG의 「문화21 실천(2015)」의 보고서에 나타난 ‘문화거버넌스’ 체계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초국가적인 도시네트워크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문화거버넌스 구축 방안에 대해 다루었다는 데 차별점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문화거버넌스 체계의 주요 행위자들의 역할과 거버넌스 구축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시민 실천을 위한 연구

        손예령 한국예술경영학회 2020 예술경영연구 Vol.0 No.56

        Not only the government, but private corporations have contributed a lot to growth and development of culture. Corporations have mainly made charitable, dispensational Macenat activities which are separate from their business activities. Such an one-sided and charitable method of supporting culture cannot last long - Part of the reason why the number of corporations supporting culture is decreasing lies in it. In order to have sustainable partnership with culture, first, corporations should figure out needs of the other party. Second, the activities of corporations to support culture should be corporate citizenship activities which are linked to their busines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existing concepts of CSR and CSV have some limits. CSR separates business activities of corporations and thei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CSV mainly assumes corporate social activities helpful to their business activities. But, the concept of corporate citizenship suggested in this study assumes corporate activities where corporations do their best not only in their business activities, but in solution of social problems. Accordingly, searching for the ways to practice corporate citizenship, this study analyzed global agendas of UN, UNESCO, and UCLG which suggest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culture and corporate citizenship activities related with culture among corporation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findings and hin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rporate citizenship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building of unique images of corporations and improvement of brand identities. Second, such activities can help corporations to be born again as life style companies by using local cultures and their attractiveness. Third, corporations should have partnership with cultural associations creating shared values and provide them with continuous and stable support. And, cultural associations should try to grow with corporations through efforts to develop attractive contents and programs harmonious with management purposes of corporations. 그동안 문화분야의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많은 기여를해왔다. 그러나 기업에서는 주로 자선적이거나 시혜적인 메세나(mecenat) 활동을펼쳐왔고, 기업의 업(業)과 분리되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일방적이고, 업과 분리된 방식은 오랫동안 지속되기 어렵다. - 문화 분야를 지원하는 기업의 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 기업과 문화예술계가 지속가능한 동반자 관계(partnership)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니즈(needs)를 파악하여 상호 호혜적인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기업의 업과 연계된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ship)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시민 실천방향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하여 언급한 글로벌 어젠다를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국내·외의 문화분야에 대한 기업시민 실천사례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기업시민 실천에 대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기업시민 실천을 위하여, 기업은 지역문화에 대한 지원은 물론, 그 지역만이 가진차별적인 문화와 매력을 활용하여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하고 지역주민들의 삶의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으로 주도할 시장에서 문화는 혁신과 창의성을 이끄는 강력한 무기가 될 것이며 이러한 문화를 적극 활용한다면, 내부적으로는 조직 내 창의성 개발 및 조직문화 개선에 도움이 되며, 대외적으로는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기업이 공유된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예술단체(또는 예술가)와 파트너십을 맺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원하고, 문화계에서도 기업의 경영 목적에 부합되는 매력있는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기업의 지원과 소비를지속적으로 끌어냄은 물론, 기업-문화예술계-지역사회 간의 지속가능한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ESG 시대, 기업의 환경 이슈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

        손예령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2

        Nowadays, taking part in ESG is a must, not an option. Reflecting such a trend, the number of ESG-related studies is skyrocketing.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regarding environmental issues in corporations in the ESG era, this paper conducted an LDA topic modeling analysis, focusing on the abstract and keywords of papers covering environment issues among KCI journals pertinent to ESG and corporate citizenship published from Jan 2020 to Oct 2022. As a result, the following four topics were deriv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ESG Disclosure), Green Marketing and RE100, Climate Change Response. Through the above mentioned processes, this study objectively figured out the research trends of environmental issues in corporations in the ESG era; it holds its significance for presenting basic data to identify further research topics and keywords.

      • KCI등재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 속에 숨겨져 있는 음악

        손예령 ( Ye Ryeong So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이화음악논집 Vol.20 No.2

        미술가, 건축가, 공학자, 그리고 과학자로 잘 알려져 있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음악가이기도 했다. 그는 악기 연주자, 악기 발명가로 활약하였고, 과학적으로 음악을 연구하기도 했다. 또한 자신의 작품 속에 음악을 숨겨놓기도 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점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레오나르도가 자신의 작품 속에 음악을 숨겨놓은 첫 번째 예는 ≪수수께끼 음악≫이다. 레오나르도는 수수께끼를 사용하여 창의적인 곡을 만들어냈기에, 이를 해석하면 그가 남긴 수수께끼를 풀 수 있다. 두 번째 예는 ≪음악가의 초상≫으로, 이 작품은 약 300년 동안 스포르차 공작의 초상화로 잘못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 그림에는 그 모델이 누구인지 알 수 있도록 단서가 남겨져있는데, 그 단서는 바로 그림에 그려진 악보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림의 실제 모델이 가푸리우스임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예는 ≪최후의 만찬≫이다. 레오나르도는 이 작품에도 악보를 숨겨놓았으며, 팔라와 마짜렐라는 ≪최후의 만찬≫에 남겨진 단서를 토대로 숨겨진 악보를 해독했다. 그러나 그들이 해석한 악보에는 이 그림에서 가리키는 단서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몇 군데 나타난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기존에 해석해 놓은 악보의 오류를 수정하고, 숨겨진 박자를 찾아냄으로써 악보를 재해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Leonardo da Vinci is well known as artist, architect, engineer and scientist but he was also a musician. He was active as music performer and inventor of musical instruments while taking scientific study of music. In addition, he used to hide music in his works, and this point will be concentrated in this article. The first example that Leonardo hid music in his works is Musical Puzzle. Leonardo produced creative music through using of puzzles. Translation of this will unpack the puzzles that he left. The second example is Portrait of a Musician that has been taken by mistake a portrait of Duke Sforza for nearly 300 years. But, this art work contains a clue left to realize who the model was. The clue was just the score drawn in the work. Through this fact, the real model in the art work could become known to be Gaffurius. The third example is The Last Supper. Leonardo hid a score in this work too. Pala and Mazzarella decoded this hidden score based on the clue left in The Last Supper. However, there were some discrepancies with the clue indicated by this work in the score they have decoded and translated. The present writer has re-interpreted the score by revising the errors in the score that had already been translated and finding out the hidden time.

      • KCI등재

        위드 코로나 시대, 기업과 문화예술계의 협력 방향 모색

        손예령(Son Yeryeong),고민지(Ko Minj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코로나19로 인해 문화예술 분야는 그 어떠한 분야보다도 큰 피해를 입었다. OECD에서는 문화예술 분야가 가진 장소 기반 특성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피해가 그 어느 분야보다 크다고 밝혔다. 또한, 코로나19가언제 종식될지 알 수 없으며, 만약 종식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위기는 언제 어디서 찾아올지 모른다. 코로나19와함께 살아가야 하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문화예술계가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본 연구에서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문화예술계가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최근 기업들이 사회적 가치의 실현에 자발적인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확대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지역사회와 국제사회를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업은 문화예술 지원 및 협업을 통해 문화예술발전 및 지역사회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21세기는 소프트파워가 주도하는 문화의 세기로,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지원과 협업은 이제 기업에 필수적인 경영 의제로 정착되었다. 그러나 그동안 기업의 문화예술계에 대한 지원과 협력 방식이 문화예술인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였고, 지원 및 협력 대상에 사각지대가 존재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연예술 및 전시예술분야 예술인을 중심으로의견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위드 코로나 시대에 기업과 문화예술계의 협력 방향으로, 상호 공감과 존중의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기업의 업(業)과 연계된 문화콘텐츠 개발은 물론, 모두의 힐링을 위한 문화예술백신 활용을 통해 기업과 문화예술계가 지속가능한 협력을 추진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위드 코로나 시대에 문화예술계와 기업 간의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협력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field of arts & culture has suffered more damage than any other fields due to COVID-19. OECD indicated that the damage caused by social distancing is greater than any other fields due to the placebased characteristics of the arts & culture field. Also, it is unknown when COVID-19 will end, and even if it does, it is unknown when and where this crisis will reoccur. What should arts & culture community do to overcome this crisis in the era of with-corona where we have to live with COVID-19? I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arts & culture community in the with-corona era needs to be cooperative with companies to overcome this crisis. Recently, as the argument that companies should be direct agents of realizing social values, has expanded, many companies are carrying out variou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for local communities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In addition, companies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rts & culture an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cultural enjoyment in local communities through support for and cooperation of arts & culture. Since the 21st century is a cultural century led by Soft Power, support for and collaboration with the field of arts & culture have now become an essential management agenda for companies. However, the companies’ support and cooperation methods for arts & culture community have not reflected the opinions of artists in the field, and blind spots have existed in the support and cooperation target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 opinion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cusing on artists who are active in the fields of performing arts and exhibition arts in various regions.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building a partnership of empathy and respect; utilization of culture and art vaccines for everyone’s healing; companies and arts & culture community are cooperativ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linked to work.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basic information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partnerships between arts & culture community and companies in this with-corona era.

      • KCI등재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문화의 역할에 관한 연구

        손예령(Son, Ye Rye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세계화시대가 등장하면서 초국적인 인적교류와 문화교류가 증대되었고, 이로 인해 그 지역만의 문화정체성을 구분하기 어려워지면서 ‘네트워크화 된 문화’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전의 국가 중심의 국제관계에서 국가경계를 초월한 초국적 도시 간의 네트워크의 역할이 보다 중시되었다. 이러한 시대상황 속에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 문화에 대한 논의가 국가를 초월한 초국적 도시 간의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네트워크 사회에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하여 문화의 역할과 향후 나아가 할 방향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문화의 역할 및 방향에 모색하기 위함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화와 지속가능발전과 연관된 UN, UNESCO, UCLG의 글로벌 아젠다 8개를 분석하여 국제사회에서 문화와 지속가능발전에 대하여 다루고 있는 주요 이슈 5가지로 다시 묶어 정리하고, 문화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4가지 영역과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문화네트워크 사례에서 도출한 시사점을 3가지를 바탕으로, 총 4개의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위한 문화의 역할 및 방향을 도출해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다양성 존중 및 사회 포용을 통한 도시에 대한 소속감 증진시켜야 한다. 둘째, 도시 정체성 형성을 위한 도시문화 · 자연유산 및 공공장소를 보존 및 활용하여야 한다. 셋째, 도시의 사회적 · 경제적 발전을 위한 매력적이고 특색있는 지역문화 산업 및 창의관광 육성해야 한다. 넷째, 도시문제해결과 사회통합 및 평화를 위한 문화협력네트워크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네트워크사회에서 문화가 지속가능한 도시발달과 도시화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emergence of globalization era, transnational human exchange and cultural exchange have increased, and as it became difficult to classify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area, a `Networked Culture` emerged. Accordingly, the network`s role between previous national centers to transnational cities have became more important. In these times situation, the discussion about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culture shall be made in transnational network across cities beyond country,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role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ulture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network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role and directions of culture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network societ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to reorganize by putting together as five main issues that handles cultur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ternational society by analyzing eight global agenda of United Nations(UN),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and United Cities and Local Governments(UCLG) in relation with cultur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based on 4 areas that culture contributes in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three implications derived from cultural network case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 have derived role and direction of culture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a total of four network society.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sense of belonging in the urban through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and social inclusion should be increased. Second, the urban culture · natural heritage and public places for urban formation identity should be preserved and utilized. Third, attractive and unique local culture industry and creative tourism should be cultivated for urban`s social · economical development. Fourth, cultural cooperation network for urban problem solving, social integration and peace should be construc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expect that it would contribute in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in network society.

      • KCI등재

        공감 문화를 통한 기업혁신을 이룬 사례 연구: 다학제적 접근방식 분석을 중심으로

        손예령(Son, Ye Rye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공감 문화를 통한 기업혁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오늘날 구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비슷한 제품과 서비스가 쏟아지고 있고, 많은 기업들이 글로벌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른 기업과 차별화될 수 있는 요소는 바로 ‘공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감 문화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공감 문화를 통해 기업의 혁신을 이룬 사례들을 다학제적 접근방식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공감 문화를 통한 기업혁신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니즈와 원츠를 반영한 ‘공감형 브랜드’를 조성해야 한다. 둘째, 지속가능한 혁신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신념이나 가치가 담긴 브랜드 메세지가 조직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도 잘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업(業)과 연계된 기업시민 활동을 통한 기업혁신이 중요하다. 넷째, 기업의 조직 문화가 혁신되기 위해서는 공감 문화를 기반으로 한 건강한 조직문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감 문화’를 통해 기업의 혁신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둔다. 끝으로, 향후 공감 문화를 통해 혁신을 이룬 기업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고 진전되길 기대해본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nterprise innovation through a empathy culture. Today, products and services, which are too similar to distinguish are pouring out and many companies are being exposed to a fierce competition in the global market. In such a situation, ‘empathy’ is the factor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companies. In a company, empathy influences all areas directly ranging from customer loyalty, enterprise innovation to profitability. Therefore, to become innovative, an enterprise should be reborn as a company that could sympathize heartily, out of the age-old practice on the way the industry did business. This study looked at the definition of empathy, components of empathy, and empathy model, to search the directions of corporate innovation through empathy culture. It also analyzed the effect of empathy culture on enterprise and cases of enterprise innovation through empathy culture and described it objectively. In addition, it put together the suggestions obtained from case analysis and the directions of enterprise innovation through empathy culture are as follows. First, empathy-type brand reflecting customer needs and wants should be formed. Second, to become a sustainable innovation enterprise, brand message containing corporate belief or values should be delivered well to outside the organization as well as inside the organization. Third, enterprise innovation through activity as a corporate citizen in association with businesses is important. Fourth, to innovate corporate organizational culture,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empathy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기업의 문화예술을 통한 ESG경영

        손예령(Yeryeong S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문화예술만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긴 어렵다. 하지만 문화예술 본연의 인지적 가치와 예술적 행동을 통해 공동체의 인식을 고취시키고, 나아가 다양성 존중 및 지역사회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등 ESG경영을실천하기 위한 노력을 뒷받침한다. 오늘날 ESG경영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자리매김한 만큼, 기업이ESG경영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놓쳐선 안 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과협력일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화예술을 통한 ESG경영의 지속가능한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외 기업 문화재단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환경, 사회, 거버넌스 각 영역에서의 실천 방향을 도출해냈다. 또한, 기업과 문화예술계가 자선적이고 시혜적인 관점에서 상호호혜적인 파트너십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기업의 업(業)과 연계된 ‘기업시민’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re are limitations i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solely through culture and arts. However, it can support efforts to practice ESG management by raising community awareness through the inherent cognitive value of culture, art, and artistic actions and further contributing to respecting diversity and solving community problems. As ESG management has become an unstoppable trend, support and cooperation for culture and arts should be considered for companies to practice ESG management effectively.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sustainable direction for ESG management through the culture and art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case studie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rporate cultural foundations and derived actionable directions within the realms of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The study further suggests that a shift from a solely charitable and benevolent standpoint to a mutually beneficial partnership between corporations and the cultural and arts sector is essential.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secure sustainability through 'corporate citizenship' activities that are connected to the business of the corpo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