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원의 부양부담감과 가정간호요구도

        손영주,강기선,김수진,Son, Young-Ju,Kang, Ki-Seon,Kim, Soo-Jjn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0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1 No.2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ollowing: the home care needs of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 burden on the primary family care giver: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care giver: and to suggest recommendations for medical institutions and social services that could reduce the burden on the families of people suffering from dementia.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53 patients of the two Public Health Centers of Cheju Province who are suffering from dementia and their families. The instrument used in the research was Kuen. Jung Don (1994)' s assessment tool of burden in the primary family care giver who has parents with senile dementia and Yoo. Young Mi(1998)'s assessment tool of home care need. modified by the researcher in the questionnaire by a Likert rating scale.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February 8. 2000 to March 10. 2000.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urden on the care giver and the level of dementia, its duration, the patient's ability to perform daily tasks, the period of care giving. and the use of social services, although the lower the patient's ability to perform daily tasks. and the worse the care giver's own health situation, the higher the burden on the primary family care giver.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1.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don't use social facilities and services. More publicity and referral efforts are needed about medical institutions. nursing institutions and other facilities that specialize in services for dementia sufferers and their families. 2. Nursing services should include intensive education for the primary care giver in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home care. 3.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and should include data from all parts of Cheju Province.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손영주(Young Ju Son),최은영(Eun Young Choi),송영아(Young A So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과 임상실습 중에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체 가능한 중재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K광역시와 S시에 위치한 3개의 3년제 간호과에 재학중인 2,3학년 562명이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는 학년(t=3.681, p=.000), 연령(t=3.063, p=.002), 용돈(F=6.398, p=.000), 학업성적(F=6.001, p=.003), 성격(t=?4.857, p=.000), 식사시간(t=?2.310, p=.021), 주관적 건강상태(F=18.083, p=.000), 외모에 대한 만족도(F=7.088, p=.001)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우울정도는 학업성적(F=8.643, p=.000), 성격(t=?6.541, p=.000), 식사시간(t=?4.272, p=.000), 주관적 건강상태(F=35.263, p=.000), 외모에 대한 만족도(F=4.120, p=.017) 등에서 통계적으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와 우울정도 간에는 유의한 순상관관계(r=.456, p=.00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을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age students during their collage lives and clinical practices, and to offer basic data used to find an alternative of reducing their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2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08.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an score for stress was 2.58 and depression was 17.81. Stress wit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as related to grade, age, pocket money, academic record, personality, meal time,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of appearance. Depression wit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as related to academic record, personality, meal time, perceived physical health status, and satisfaction of appear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reveale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d that stress control program, the best way of influencing stress redu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it for them to prevent stress and to manage inevitable str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 Str Res 2010;18:345∼351)

      • KCI등재후보

        경찰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손영주(Young Ju Son),송영아(Young A Song),최은영(Eun Young Choi) 대한스트레스학회 2008 스트레스硏究 Vol.16 No.3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이 직무 중에 경험하게 되는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소진정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체 가능한 중재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정도는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연령ㆍ결혼상태ㆍ경찰경력에서, 소진정도는 성별ㆍ연령ㆍ흡연에서 통계적으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정도 간에는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과 소진정도 간에는 직무자율 스트레스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물리적 환경,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정도가 많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exhaustion in police officers, and to offer basic data used to reduce mental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5 police offic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9 to November 30, 2007.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an score for occupational stress was 2.42 and exhaustion was 2.60.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exhaustion reveale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r=.589, p=.000). Exhaus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hysical environment (r=.278, p=.000), job need (r=.534, p=.000), relationship conflict (r=.222, p=.001), job instability (r=.218, p=.000), organized system (r=.355, p=.000), inadequate compensation (r=.470, p=.000), and job culture (r=.370, p=.000).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d that stress control program, the best way of influencing stress redu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it for them to prevent occupational stress and to manage inevitable stress in tpolice officers.

      • 객체지향 언어 C++을 위한 Information Browser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손영주(Young-Ju Son),송영재(Young-Jae Song)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소프트웨어의 생산성 향상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객체지향 개념은 이에 적합한 방법이라는 인정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객체지향 개념을 보유하고 있는 C++언어를 대상으로 하여 클래스간의 상속 관계와 시스템이 여러 화일로 구성되었을 경우 이들 간의 의존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클래스 관련 정보의 검색과 그래프 윈도우상에서 노드들에 대한 편집도 가능한 CISER(C++ Information browSER)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KCI등재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학습에 대한 PBL과 S-PBL의 효과

        손영주(Son, Young Ju),송영아(Song, Young A) 한국간호교육학회 2012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long-term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Simulation Problem-based learning (S-PBL) on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learning attitude,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t Cheju Halla College. These students were taking problem based learning and simulation as a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with an integrat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used a pretest-posttest with repeated measure design. Data was col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1st semester to the end of the 2nd year when the PBL and S-PBL were completed by those who were enrolled in the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One-hundred eighty-three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the repeat data collection. Results: There we re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learning attitud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post PBL and S-PBL.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outcomes from the PBL and S-PBL approach. The students undertaking PBL and S-PBL demonstrated that they developed a more positive attitude about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n addition, students’ tendency to think critically and problem solve improved through the use of the PBL and S-PBL approach.

      • KCI등재후보

        TLC 분석에 의한 산청지역의 녹차 채엽시기에 따른 β-Carotene과 Lutein 함량의 변화

        손영주(Young Ju Son),전현식(Hyun Sik Chun) 한국차학회 2011 한국차학회지 Vol.17 No.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duce high quality green tea during different harvesting times at Sanchung by TLC assay and to prevent the loss of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In a comparison of different harvesting periods, the 3rd harvesting green tea (3rd GT) contained much higher total chlorophyll content than the 1st harvesting green tea (1st GT) and 2nd harvesting green tea (2nd GT). To isolate both β-carotene and lutein in green tea by TLC assay, the ratio of n-hexane and acetone in the development solvent was 50 to 50 (v/v) after developed as 85 to 15. Their isolation was also satisfactory as two-dimensional chromatography on one adsorbent combined development of the plate in the first direction with 40 to 20 and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one with 50 to 50 (v/v). Regarding β-carotene content per dry weight, the 2nd GT contained more than both the 1st GT and 3rd GT, whereas regarding per total chlorophyll, the 1st GT contained more than both the 2nd GT and 3rd GT. Regarding content of lutein, the 1st GT contained more than the 2nd GT and 3rd GT in both per dry weight and per total chlorophyll. Both the effect of inhibition on bacterial growth and the survival test of Artemia using green tea extract showed optimal conditions at a concentration of 200 µg mL‾¹.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체육활동 참여도에 따른 뇌파와 두뇌활용능력의 차이 분석

        손영주 ( Son Young Ju ),이종목 ( Lee Jong Mo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과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 들을 대상으로 뇌파와 두뇌활용능력의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체육활동이 뇌파 및 두뇌활용능 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재학생 중 교사 의 체크리스트 및 학생의 설문지를 통해 ‘학교체육활동의 적극적 참여자’ 30명과 ‘학교체육 활동의 소극적 참여자’ 30명을 선정하였다. 뇌파측정도구는 한국뇌과학연구원에서 개발한 스 마트 브레인(Smart Brain)을 활용하였으며, 자발뇌파(안정상태, 각성상태)와 유발뇌파(좌뇌, 우뇌) 및 두뇌활용능력(공간지각능력, 기억력)을 비교하였다. 데이터의 분석은 통계분석 프로 그램 SPSS 24.0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처리를 하여 각 자료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분석하였 으며, 이를 기초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때 통계적 검증을 위해 설정한 α는 .05 수준(양방향 검증)이었다. 안정상태(눈을 감고 편안한 상태)에서의 뇌파는 학교체육활동에 적 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의 SMR파, Alpha파, Theta파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각성상태 (눈을 뜨고 편안한 상태)에서의 뇌파는 학교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의 좌·우뇌 모두에서 Gamma파, H-Beta파, M-Beta파, SMR파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뇌활용능력은 학교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의 기억력 및 두뇌활용능력의 인 지강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렇듯 두뇌의 활발한 움직임에 필요한 학교체육활동을 학생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school sports activities in education. It is verified by gap of brainwave and brain utilization 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participation of school sports activities of elementary stud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eniors in ‘S’ elementary school, and I applied purposeful sampling of non-provability sampling, it wa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school sports activities. I choose 60 people (30 active participants of school sports activities and 30 passive participants of school sports activities) who agreed this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nalyze the spontaneous EEG differences, in a steady state test with eyes closed, active participants’ SMR waves, Alpha waves and Theta waves are high. Therefore, active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activities is much more concentrated than passive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activitie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memory, inspiration, intuition, learning efficiency is high. Also, in a test of alertness awakened, the active participants’ Gamma waves, H-Beta waves, M-Beta waves and SMR waves are high. It can be seen that active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activities are much more immersive in a specific learning or exercise. Second, in a test of evoked potential, the active participants’Gamma waves, H-Beta waves, M-Beta waves and SMR waves are high. It means that active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activities have a balanced development of the brai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lso happens to better thinking and acting the activities of the altitude. Third,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brain utilization ability between active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activities and passive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activities, the analysis of the memor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cognitive strength. So, it can be seen that the strength of the memory of the active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activities is higher than the memory that the strength of the passive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activities. Therefore, school sports activities can improve the thinking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as well as cognitive recognizing accident problems such as memory, judgment. As such, active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activities are better than passive participants in school sports activities in brainwaves and brain utilization ability. So, School sports activities will enhance the learning efficiency and learning ability improves concentration, attention, thinking.

      • 분만간호 핵심술기에 대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송영아 ( Young A Song ),손영주 ( Young Ju Son ) 부모자녀건강학회 2013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여성건강간호학 이론 및 실무를 중심으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시뮬레이션과 연계한 분만간호 실습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여 교내 실험실 실습교육의 체계적인 개선에 도움이되고자 시도하였다. 앞으로의 분만간호 실습교육은 졸업간호사로서 갖추어야할 핵심역량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해야 함을 인식하고, 통합된 비판적 사고를 통해 간호중재를 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충분한 여성건강간호학 이론과 연계한 교내 실습과 임상실습 교육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대학에서 간호학생의 이론과 실무를 지도하는 교육자의 역할에 따라 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의 질적 향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교수-학습전략에서 시뮬레이션 연계 교육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실습,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수업을 통해 현실성 있는 경험(Kneebone, 2005)과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교수자의 간호철학과 교수-학습방법을 재정 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학에서 일정한 체계를 갖추어 임상 간호 실무교육의 문제점들을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 병원의 환경 변화와 대상자들의 질적 간호에 대한 요구 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문제중심학습과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또한 여러 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즉, 문제중심학습(PBL)이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한 연구가 있으며(Bae, Lee, Kim, & Sun, 2005; Tiwari, Lai, So, & Yuen, 2006; Yoo, Choi, & Kang, 2009), Oh와 Han (2011)의 연구에 의하면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킨다고 하였다. 따라서 임상과 유사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학생들의 이론과 실제를 통합할 수 있고, 안전한 환경에서 반복학습을 통해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갖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준다고 볼 수 있다(Decker, Sportaman, Puetz, & Billngs, 2008). 본 연구에서는 여성건강간호학 이론과 교내실습 뿐만 아니라 임상실습을 마친 학생들을 대상으로 National Health Persona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2000)에서 제시한 간호사 직무분석 내용으로 분만간호 핵심술기에 대한 자신감을 평가 한 결과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받은 군이 4.52점으로 받지 않은 군 4.37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임상과 유사한 안전한 환경에서 반복하여 실습을 할 수 있으므로 학생들의 자신감이 향상된 결과로 보여진다. 이 중에서 3학년 2학기 「분만간호핵심실습」과목에서 습득한 핵심기술인 ‘레오폴드 복부촉진하기’ 4.77점, ‘임신과 분만중 부부 적응하기’ 4.76점, ‘오로 관찰하기’가 4.75점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에 낮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출산 교육하기’와 ‘고위험 임산부 관리하기’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러 실습과목에서 핵심술기를 가르치기 전에 체계적인 근거에 기반하여 선정하는 절차를 밟아야 하며, 실습 교육을 실시할 때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핵심능력을 염두에 두어 간호사 직무분석 내용과 연결하는 활용방안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분만간호 수행능력 평가점수는 5점 만점에 실험군이 4.54점으로 대조군 4.35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결과에서 분만간호 핵심술기에 대한 자신감 점수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 학생들의 자신감 정도와 현장실습지도자에 의한 평가가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연구에서 현장실습지도자에 의한 평가에 대해 조사한 연구가 거의 언급되지 않아 본 연구와 비교분석하기에 조금의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결과 현재 실시되고 있는 분만간호 핵심술기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을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시뮬레이션 교수법으로 간호사로서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간호핵심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수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임상 실습 현장에서는 지식, 기술, 태도에서 역량을 지닌 간호사로서 핵심기술을 자신 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실습지도를 해야할 것이다. Kim, Lee와 Chae (2012)는 분만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과 병원 분만실 실습교육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자기효능감과 실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Lee (2011)는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학습방법의 효과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여 연구한 결과 간호기술수행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분만 산부와 산욕부 간호 영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도 본 연구의 학습방법과 유사하게 사례와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적용 하였고, 실제 상황처럼 설정된 학습환경에서 준비된 모의 환자에게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학습자들에게 교육의 경험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21세기의 대상자들은 건강에 대한 의식이 신장되고,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와 권리 및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의료현장은 고객만족도에 대응해야 할 전환기에 직면하면서 간호실무현장에서도 어느 정도 수준 이상의 간호수행 능력을 갖춘 간호사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 내 실습교육에서 시뮬레이션 실습과 간호사 직무를 고려하여 더 효율적인 실습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만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사전사후 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 자신감과 평가점수가 변화되었는지를 알 수 없어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잘 통제된 실험연구설계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대한 효과성 분석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aternity nursing education-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among the third yea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maternity nursing, practice at the college, clinical practice and core skill practicum. Methods: This is the descriptive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based practice education for core skill of maternity nursing. Third year nursing students who have completed maternity nursing related theories and practice have been selected as population. Total of 202 surveys have been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is done by using SPSS/WIN 18.0. Results: Self-confidence of core skill in maternity nursing is experimental group 4.52 and control group 4.37 score (p<.05). Performance competence in childbirth care is experimental group 4.53 and control group 4.35 score (p<.05). The students who have maternity nursing related clinical practice and core skill practicum experience show high core skill evaluation score. Conclus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current maternity nursing core skill curriculum should be reviewed and improved, and th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variety of simulation techniques to gain essential knowledge and core nurs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