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복지시설 퇴소 경계선 지능 청소년의 자립지원 방향에 관한 탐색적 논의

        손선옥,박현용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복지연구 Vol.53 No.3

        Recently, education and support for an adolescent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 have been socially intereste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nd independent living among adolescents with BIF.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actitioners who have been providing transition services to help adolescents with BIF live interdependently.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4 practitioners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and evaluation regarding their support for those with BIF. Findings are as follows: 1) complex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BIF and independent living 2) difficulty in securing a foundation for interdependence 4) evaluation of independent living program for adolesents with BIF. Based on findings, practice implication was discussed to enhance the programs for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 KCI등재

        가정밖 경계선지능 청소년의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여 경험: 고립에서 연결로의 변화 과정

        손선옥,박현용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4 사회복지연구 Vol.55 No.1

        최근 가정밖 보호 청소년의 자립지원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경계선지능 청소년의 자립은 소극적으로 논의되고있다. 아동복지시설이나 청소년쉼터 등에서 보호되는 청소년 중 경계선지능인이 적지 않다고 예측되지만, 경계선지능 청소년과 그들의자립은 이해되지 못한 학문적 과제로 남아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립준비 경계선지능 청소년이 자립지원 프로그램을 받는 동안의 경험을살펴보았다. 이들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자립지원의 의미와 발전 방안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B 청소년자립지원관에서 자립지원을 받는 경계선지능 청소년 11명을 1년 동안 2번의 면접을 했다. 자료의 분석은 주제분석 방법을사용하였고, 이들의 자립준비의 과정은 사회적 고립에서 연결된 삶이라는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그 결과 3개의 주제와 이를설명하는 5개의 하위범주와 10개의 개념을 도출했다. 최종 도출된 영역은 ‘고립의 시작점: 가정에서 가정밖으로’, ‘고립에서 보호막으로: 자립지원관에 들어오다’, ‘미완의 연결: 열려있는 자립의 길’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는 자립준비 경계선지능 청소년을위한 자립은 첫째, 자립을 준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시간과 경험을 보장해야 하며, 둘째, 다양한 심리정서적 욕구에 대응할 수있는 전문적 서비스 체계가 마련될 필요를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으로 단절과 고립을 경험한 자립준비 경계선지능 청소년에게도움을 구하고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경험을 충분히 제공할 필요성을 논의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자립준비 경계선지능청소년의 자립지원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o dat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ndependent living preparation of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BIF), despite the increasing societal interest in supporting youth in out-of-home ca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experiences of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BIF) who participated in independent living support program(ILP) from their own perspective. A total of 11 adolescent with BIF participating in ILP at th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were interviewed. Thematic analysis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process of the ILP. From the interview data, we identified 3 main themes, 5 sub-themes and 10 concepts: (a) the beginning of isolation, (b) isolation to protection, and (c) unfinished yet promising journey. Based on our findings, we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ensure variety of experiences and more time for adolescents with BIF to develop social networks as resources for independent living. Additionally, We also suggest that a multidisciplinary team is required to provide ILP to meet with special needs of adolescents with BIF.

      • KCI등재

        경계선지능 자립준비 청소년의 자립지원 과정에서 나타나는 한계와 대안: 청소년보호체계를 중심으로

        손선옥,박현용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3 청소년상담연구 Vol.31 No.1

        Compared to general adolescents within the child welfare system,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o not get much social attention regarding the services tailored to support their independent living. This qualitative study, thus, aimed to explore existing programs designed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of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dentify limitations of the programs, if any,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dolescents for independent living, and suggest strateg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 total of 16 counseling practitioners working in youth welfare facilitie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From the interview data, five main themes and 11 sub-themes emerged as follows: "the difficulty of considering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hen implementing and providing programs," "the need to establish support systems for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housing is not enough for independent living," "limitations of short-term approaches," and "prerequisites to successful independent living."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advancing existing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for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the need of creating a manual for programs and services, as well as instruments to evaluate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본 연구는 청소년보호체계에서 경계선지능 자립준비 청소년의 자립지원 과정에서 나타나는 서비스의 한계를 발견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최근 본격적으로 가정밖청소년들의 자립지원에 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지만, 대부분 아동보호체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 쉼터와 청소년자립지원관에서 자립준비를하는 청소년 중 경계선지능 자립지원 청소년에 초점을 두었다. 선행 연구들은 자립준비의 실제적인 지원이 강화될 필요를 주장하지만, 이들 논의는 일반 청소년들에게 초점을두고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보호체계에서 경계선지능 청소년에게 자립지원 서비스를 제공한경험이 있는 실무자 16명을 모집하고,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했다. 그 결과 5개의 대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선정되었다. 도출된 대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지능은자립지원 서비스 과정에서 고려하기 어려움, 둘째, 경계선지능 청소년을 위한 자립지원체계 확립이 필요, 셋째, 독립된 주거로 자립이행의 기반을 만들지만, 과거로 되돌아옴넷째, 단기적 접근이 갖는 한계와 마지막으로 경계선지능 청소년의 성공적 자립이행을위한 조건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는 청소년보호체계의 자립지원체계 강화의 필요성과 함께, 경계선지능 청소년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자립준비도 척도와 매뉴얼이 마련될 필요를 제언했다.

      • KCI등재

        남자 청소년 흡연행동의 종단적 변화유형과부모 양육행동의 영향

        손선옥,박현용,전진아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2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흡연행동의 종단적 변화유형을 확인하고, 부모의 양육행동이 흡연행동의 변화궤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자 청소년의 흡연행동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1자료를 활용하여, 총 1,152명의 남자 청소년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부터 6년간 흡연 행동 변화 양상을 반복측정 잠재계층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자 청소년의 흡연행동 변화 양상은 지속적으로 흡연 하지 않는 집단(73%), 비흡연 집단에 속하였다가 고등학교 2학년 시점에서 흡연을 시작하는 집단(22%)과 중학교 2학년 시점부터 지속해서 흡연하는 집단(5%)과 같은 세 개의 이질적인 종단 변화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자 청소년들의 흡연행동 변화유형에 양육 행동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항로지스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부모의 지도감독과 학대적 양육행동이 흡연행동의 종단적 변화 유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남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흡연 및 개입을 위한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underlying subgroups of male adolescents who have similar longitudinal patterns of smoking behavior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fied subtypes of smoking trajectories and parenting behaviors.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as used to explore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smoking behaviors among 1,152 adolescents(first year in middle school). Repeated Measures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re employed to identify subtypes of adolescent’s smoking behaviors and their relationships to parenting behaviors. We identified three subgroups of adolescents: (a) non-initiators(73%), (b) late escalators(22%), (c) early established(5%). We also found that parenting monitoring and maltreatment were associated with longitudinal patterns of adolescents’ smoking behaviors. Lastly, the present study discu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adolescents’smoking behaviors.

      • KCI등재

        학업스트레스가 컴퓨터 게임 과몰입에 이르는 경로: 사회참여와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와 성별 차이

        손선옥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related stress, adolescent-parents rel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computer-game immersion of adolescents. And additional analysis was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they were between the gender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s. Data from "a Study on Support measu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in 2012" was utilized for the anlaysis. The sample consisted of 6,171 students in their 11~16 ag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examine the study model.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related stress increased computer-game immersion. And also, social participation, adolescent-parents relation decreased computer-game immersion. Adolescent-parents relation increased social participation. Second, the gender difference was verified in most pathways. Third, for the boys, in the pathway form school-related stress to computer-game immersion, social participation and adolescents-parents relation were partial mediator. For the girl, otherwise, adolescent-parents relation was a partial mediator. This study provides discussion 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intervention models at school settings. 이 연구는 학업스트레스, 사회참여, 부모자녀관계가 컴퓨터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중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을 통해 성별 집단 간 경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참여와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을 나누어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2012년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분석 대상은 11세~16세인 6,171명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컴퓨터 게임 과몰입, 사회참여, 부모자녀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으며, 사회참여와 부모자녀의 관계는 컴퓨터 게임 과몰입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의 관계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둘째, 학업스트레스, 사회참여, 부모자녀관계에서 컴퓨터 게임 과몰입에 이르는 경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여학생은 오직 학업스트레스에서 부모자녀관계의 경로에서만 남학생보다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사회참여와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성별로 따로 검증한 결과, 남학생은 사회참여와 부모자녀관계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오직 부모자녀관계만 부분매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컴퓨터 게임 과몰입의 예방적 접근을 위해서 부모자녀관계의 증진과 사회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성별로 다른 예방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복지현장에서 컴퓨터 게임 과몰입을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의 영향요인: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

        손선옥,이봉주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0

        The development of social relationships is the most important task of adolescence. It needs to escape from the discussion of the social relations within the fragment influential factors, because youth can develop healthy social relationships when the various systems interact sound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attachment, inter-parental violence exposure, child abuse, aggression, depression, community monitoring, and peer and teacher attach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ose variables using Structural Equation and Latent Mea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adolescent-parent attachment did directly affect aggression, depression,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And, inter-parent violence exposure was negative effect on aggression, depression, peer attachment and positive effect on teacher attachment. Community monitoring did directly affect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Also, Aggression was a negative effect on peer attachment Second, In the pathway from inter-parental violence to peer-attachment and parent attachment to peer-attachment, aggression was a partial mediator. Finally, girls had higher latent mean values in peer attachment and depression than boys di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reventing and increasing attachment were discussed. 사회적 관계의 발달은 청소년기 가장 중요한 발달 과업이다. 다양한 체계가 건강하게 상호작용을 할 때, 보다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로 발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논의는 단편적인 영향 요인의 규명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를 대표하는 또래와 교사 애착과 부모애착, 부부간 폭력의 노출, 학대의 경험, 지역사회 관리감독, 공격성, 우울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패널 초4학년 5차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과 잠재평균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 애착은 우울과 공격성을 경감시키고, 또래와 교사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간 폭력의 노출은 공격성과 우울을 높이고, 또래 애착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교사 애착에는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대 경험은 공격성과 우울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관리감독은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은 또래애착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랩핑을 통해 검증한 결과, 공격성은 부모자녀애착과 또래애착 경로, 그리고 부부간 폭력 노출에서 또래애착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부분매개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남녀 청소년의 잠재평균을 살펴본 결과, 우울과 또래애착에서 여학생이 더 높은 잠재평균을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복지 실천에 대한 시사점과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기 다면적 친사회행동에 이르는 발달 경로: 공감 능력과 유능감의 매개효과

        손선옥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9

        Recent trend in research on the effects of prosocial behavior has been to identify its impact factors by dividing them into various concepts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m as a single concept.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velopmental pathway of multidimensional prosocial behavior in Korean adolescents.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divided the concept of prosocial behavior into these two categories: compliance prosocial behaviors and altruism prosocial behaviors.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 father and peer-bonding, and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on mutlidimentsional prosocial behaviors. Also, it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competence of in the development process. Data from the sixth and seventh data of the Seoul Children's Panel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1,409 students aged from 16 to 17 years ol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o examine this study model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bond between adolescent and fathers shows as a significant factor in adolescents' altruism prosocial behavior. Second, perceived of schoo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s on multidimensional prosocial behaviors. Finally, empathy and competence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developmental pathway on multidimensional prosocial behaviors. This study provides discussions on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intervention at school. 최근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논의는 단일 개념에서 다면적 측면을 이해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순응적(compliant) 친사회 행동과 다른 사람들을 돕는 이타적(altruism) 친사회 행동으로 구분하여 다면적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경로를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과 실천적 개입을 위한 근거기반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아동패널 6차와 7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으로 총 1409명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와 아버지와의 유대감은 순응적 친사회 행동과 이타적 친사회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인지한 학교 환경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학교가 즐겁다고 인지한 청소년들일수록 순응적 친사회 행동과 이타적 친사회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감 능력과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청소년과 아버지와의 유대감은 순응적 및 이타적 친사회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유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청소년이 인지한 학교 환경은 순응적 및 이타적 친사회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공감 능력과 유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 방안에 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 방과후 돌봄서비스 이용 경험과 욕구에 관한 질적 연구

        손선옥,김태연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사회과학연구 Vol.34 No.2

        Recent discussions on expanding after-school ca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escalated,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manders (parents).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n evidence base for establishing an after-school car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can meet the needs and desires of the parent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enrolling 23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ways to improve the after-school car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eriences and evaluations of after-school car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organized into five major themes and 12 sub-themes. The the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heavy childcare responsibilities for parents, after-school care services that do not meet parents’ expectations, gaps in after-school care, safety a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childcare,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after-school care servic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establishing a universal after-school car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ich includes safety and education. The study furthe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increasing accessibility through the promotion of after-school care services.

      • KCI등재

        아동보호서비스 실무자들의 사례관리 수행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질적 탐색

        손선옥,김현수,김세원,YOO JOAN PAEK,이봉주,이상균,장화정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20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15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hild protection services (CPS) workers while carrying out case management work. For this purpose, we interviewed a focus group of 14 case managers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s with case management practice and identified specific themes on case management difficulties confronted by CPS workers. The five main themes and 12 ancillary themes have been drawn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five main themes include ‘Clients Wanting to Hide Their Naked Faces’, ‘Parents Who Are the Key to Change but Unwilling to Change’, ‘Difficulties Resulting from Managing High-Risk Family’, ‘Different Goals, Lack of Collaborations’, and ‘Struggling and Burn-Ou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to policy making and case management practice in the CP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유대감, 자기통제감, 유능감과인터넷 중독의 구조적 관계

        손선옥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5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의 문제에 주목하고, 이와 같은 문제의 보호 요인으로 주목되는 유대감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부, 모, 또래와 학교 유대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청소년의 자기통제감과 유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인터넷 중독과 같은 문제를 경감하고 예방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서울아동패널의 중학교 3학년 시점인 6차 자료와 고등학교 1학년인 7차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 대상은 총 1,214명이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의 유대감은 인터넷 중독의 문제를 경감시키는 직접 효과가 있었다. 둘째, 아버지, 또래와 학교 유대감은 유능감을 매개로, 어머니와 학교 유대감은 자기통제감을 매개로 하여 인터넷 중독의 문제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mother, father, school and peer bonds and the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Although Previous studies clearly assume that self-control and competence are predicted on bonding, its mediating effect is rarely assessed. Data from “Seoul Panel Study of Child” was utilized for the analysis. The sample consisted of 1,214 students aged from 16 to 17 years old. SEM method was employed to examine the study model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ther-adolescent bond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internet addiction directly and also indirectly mediated by competence. Second, mother-adolescent and school bonds were indirect effects by self-control to internet addiction. Also, school and peer bonds were indirect effect by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 that prevention strategies for internet addiction should target strengthen bo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