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사소송법상 피해자진술권의 한계와 강화방안

        소병도 ( Byung Do S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홍익법학 Vol.16 No.4

        W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reinforcing the victim’s right of statement, a key element of the criminal victim participation system include interaction between the criminal victim participation system and the victim protection system, coherence with the current litigation structure and the substantiality of statement. The interaction refers to the act of having the criminal victim participation system and the victim protection system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of performing mutual supplementation while providing legitimacy and direction. The criminal victim protection systems currently available in Korea do not take participation into account, which raises a need to come up with the inclusive legislation that incorporates the victim opinion statement system into the victim protection system. The victim``s statement system should expand within the victim’s participation system, and as subsequent provisions, protec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What matters in reinforcing the victim opinion statement system is to ensure coherence with the current structure of criminal procedure. I find the criminal victim participation system in Japan coherent with our litigation structure. It should have consistency with our lawsuit structure and enable victims to make statements. For a victim to be able to substantially state his or her own interests and concerns, the victim should be able to make a statement as a ‘victim’, not as a witness. On top of it, a victim should be able to state his or her interests during the investigation and penalty execution procedure as well. In conclusion, the victim opinion statement system should ensure coherence with our litigation structure with a proper support of the criminal victim protection system while inducing active statements from a victim. On top of it, the substantial and procedural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victims to state their own interests should be created and its prevalence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

        성폭력 범죄에 있어서 무고죄 수사의 개선방안

        소병도 ( So Byung-d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홍익법학 Vol.18 No.2

        형법상 무고죄는 국가적 법익과 개인적 법익을 보호하는 법제도이다. 이러한 무고죄의 성질상 성폭력 범죄에 한하여 무고죄 적용을 배제하자는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 그러나 진술증거가 유일한 증거인 경우가 많은 성폭력의 혐의는 입증이 어려운 반면, 신고 내용과 피해자의 진술내용이 수사기관에 기록됨으로써 무고 혐의는 입증이 용이하고, 국가적·개인적 법익을 모두 보호하는 무고죄의 성질상 성폭력 피해자는 가해자와 수사기관의 문제제기에 의해 무고죄의 가해자 신분으로 뒤바뀔 가능성이 높다는 점, 피해자의 기억에 주로 의존하는 성폭력 수사는 그 과정에서 피해자의 진술이 뒤바뀔 수 있어 그 진술의 신빙성을 의심받아 무고죄로 기소되는 사례가 있다는 점에서 성폭력에 대한 무고죄 수사는 피해자에게 불리한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검찰사건사무규칙 제70조에도 불구하고 성폭력 수사에서 무고죄의 수사를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자신이 사실상 `피의자` 신분임을 인지하지 못한 채 무고죄의 수사를 받는 것은 방어권의 중대한 침해이다. 해결방안으로 `선(先) 성범죄, 후(後) 무고죄 판단`의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 방안으로 성폭력 유·무죄 판단 전에는 피해자의 무고혐의에 대하여 판단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의의가 있다. 나아가 무고죄의 보호법익을 분리하여 개인적 법익의 경우 친고죄로 규정하여 해당 법익의 침해에 대한 문제제기는 성폭력 피의자가 직접 하도록 하고, 국가적 법익의 경우 수사기관이 수사 중 피해자의 무고혐의를 인지하였다면 정식으로 피해자에게 출석을 통지하고 성폭력 범죄 수사 종결 후에 별개로 수사를 개시해야 할 것이다. 무고에 대한 공소제기와 관련하여서는 성폭력 가해자가 피해자의 무고에 의하여 개인적 법익을 침해받았다고 주장하든, 수사기관이 국가적 법익의 침해를 인지하든 무고혐의는 성폭력 사건과 별개로 1건으로 기소되는 것이 당연하다. Criminal law protects national and personal interests against calumny. In this respect, it is not right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calumny for sexual violence cri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ve sexual assaults since testimonies are the only proof in many cases while calumny is easy to prove as reports and statements are recorded by the investigating agency. Also, for the nature of calumny which protects national and personal interests, for the fact that victims of sexual violence can be charged with calumny, the fact that victims` statements can change during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sexual violence which resorts mainly to the victims` memories, and that there are cases their credibility is doubted and victims are indicted for calumny, investigations on calumny regarding sexual violence is naturally disadvantageous to victims. It is also a grav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defense, as the investigation of sexual violence and calumny proceed simultaneously, and the victim gets investigated without the awareness that he or she is actually seen as a `suspect`. As a solu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cedure for `judging sexual crime the first and calumny the second`. As a way to do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ct,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which bans judgment of calumny before judgment of sexual violence. Moreover, benefits and protections of laws should be separated for calumny. So for personal benefits and protections of laws, antragsdelikt should be applied and the perpetrator of sexual violence should be made to raise issues for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and for national benefits and protections of laws, if an investigator perceives the allegations of calumny while investigating, he or she should officially notify the attendance and start investigation on calumny after the investigation on sexual violence is finished. Concerning indictment for calumny, whether a perpetrator claims that their personal benefits and protections of laws are infringed or an investigation agency recognizes the infringement of national benefits and protections of laws, it is natural that it is treated as one case of indictment.

      • KCI등재

        신입사원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업가치의 매개효과와 기업교육훈련의 조절효과 검증

        소병,김지현,전이제,권준용,송지훈 한국기업교육학회 201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examine how new employees’ perceiv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focused on mediated effect of work value and moderated effect of enterprise educational training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 total of 843 employees who have less than 1-year experience in Korean were included as research samp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MGSEM) was employed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proposed variables. Results show that 1) new employe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positively and directly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2) work value(intrinsic, extrinsic, structural) was also effected by employe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vel; 3) job satisfaction of new employees was positively effected by intrinsic work value and was negatively effected by extrinsic work value and was not effected by structural work value; 4) intrinsic work value was only playing as a mediating role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and finally 5) the enterprise educational training was playing a moderating role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extrinsic work value and job satisfaction, structural work valu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ignificant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new employee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discipline in terms of career path, organizational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본 연구는 신입사원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이 때 신입사원이 갖고 있는 직업가치의 매개효과와 입사 후 기업교육훈련의 조절효과가 직무만족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지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대상은 2015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응답자 중 연구목적에 맞는 유효표본 84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SEM)을 통해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다중집단분석(MGSEM)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모형의 적합도는 92.6% 설명력을 나타냈다(GFI=0.926). 분석결과, 첫째 신입사원의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입사 후 직무만족은 높아졌다. 둘째, 신입사원의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개인이 직업에 대해 갖고 있는 가치관, 즉 직업가치는 높아졌다. 특히, 내재적 직업가치 > 구조적 직업가치 > 외재적 직업가치 순으로 진로준비행동에 따른 영향관계가 높아졌다. 이는 진로준비행동을 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외재적 직업가치 보다는 내재적 직업가치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신입사원의 직업가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내재적 직업가치→직무만족’ 경로는 정적 유의한 반면, ‘외재적 직업가치→직무만족’ 경로는 부적 유의했고, ‘구조적 직업가치→직무만족’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직업가치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직업가치 유형에 따라 그 영향관계는 달라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넷째, 신입사원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진로준비행동→내재적 직업가치→직무만족’의 매개경로만 정적 유의하였다. 이는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직업가치 유형 중 내재적 직업가치에 의해서만 직무만족은 더욱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진로준비행동, 직업가치,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 속에서 기업교육훈련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직업가치→직무만족’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에서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내재적 직업가치→직무만족’ 관계 속에서 기업교육훈련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이유는 직업가치가 높은 사람일수록 외부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구조적 직업가치→직무만족’, ‘외재적 직업가치→직무만족’ 경로에서는 기업교육훈련을 통해 부정적인 직무만족이 개선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함든 과정을 거쳐 직장생활을 시작하는 신입사원의 성장과 발전, 나아가 어렵게 채용한 기업의 인재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범죄 취약성의 다면성과 형사법적 대응

        소병 연세법학회 2022 연세법학 Vol.39 No.-

        Criminal vulnerabilities include absolute vulnerabilities, which are objective characteristics people have such as physical immaturity, disability, and pathological conditions, as well as relative vulnerabilities resulting from physical superiority, psychological attributes, economic status, and legal status in relation to others. Relative vulnerability can be further divided into one-time relationship and continuous relationship vulnerability. The response to crimes against the vulnerable has centered on the imposition of heavy punishment and security measures through special laws that address crimes against vulnerable people and laws related to security measures. This approach is problematic in two respects. First,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sanctions, issuing a heavy punishment is not an appropriate countermeasure because it confuses criminal vulnerability and the socially weak's characteristics and does not recognize the multifaceted nature of vulnerability and the possibility that victims may have multiple vulnerabilities. Secondly, with regard to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 long sentences and various security measures were applied multiple times without confirming their own justification and special justification as a means of responding to crimes against vulnerable people. Aggravated punishment itself is difficult to justify, and it is difficult to justify even when used for crimes against vulnerable people because the provisions on a crime against the vulnerable should be stipulated in the Criminal Act and also because security measures or other expedients may be more effective. Security measures, however, have their own justification because they have a purpose distinct from punishment, and they are justified even if they are combined with punishment because of the great damage and sustainability of crimes against the vulnerable. If several security measures are imposed together, they are justified if the detailed purpose of each security measure is confirmed. As a response to crimes against the vulnerable, there are “separate security measures” to separate victims from perpetrators, “criminal tendency reduction security measures” to reduce the perpetrator's criminal tendency, and “instrumental security measures”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se security measures. At the same time, “separation expedient” by police officers is requested to fill the time difference between separate security measures that require a court sentence and perpetrator's attacks. Since the damage caused by crimes against people with absolute vulnerability can be great, the perpetrator is likely to have a psychological problem, and if it is not a relationship-based crime, a response centered on security measures to reduce criminal propensity is required. With regard to crimes against people with relative vulnerability that occur in a one-time relationship, separation expedients closer to the attack are important because the possibility of further contact between the victim and perpetrator is low. Crimes against people with relative vulnerability that occur in a continuous relationship are highly likely to recur or continue because of ongoing contact between the victim and perpetrator. This is the most dangerous category in terms of risk of recurrence, so separation expedients should be applied in the short term, and separate security measures should be applied in the long term. The two countermeasures must be continuous in relation to the victim. Most importantly, separate security measures, separation expedients, and criminal tendency reduction security measures suitable to address the vulnerability of a victim must be used independently and simultaneously, and security measures imposed should be guaranteed by instrumental security measures. 범죄 취약성에는 신체적 미숙, 장애, 병적인 상태인 사람들이 가지는 객관적 성질인 절대적 취약성과 상대방과의 관계에 기반하여 신체・심리・경제・법률 등의 우열에 따른 상대적 취약성이 있다. 상대적 취약성은 다시 일회적 관계와 계속적 관계의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취약성 범죄의 대응은 취약자별 특별법과 보안처분 법률을 통해 다량의 가중처벌과 보안처분을 부과하는 중벌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대응은 두 가지 측면에서 문제가 된다. 첫째, 제재의 실효성 측면에서, 범죄 취약성과 사회적 약자성을 혼동하거나 취약성의 다면성과 취약성의 중첩 보유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하여 적합한 대응수단이 아닌 단순한 중벌화를 통해 대응해왔다. 둘째, 과잉금지 원칙의 측면에서, 높은 형량과 다양한 보안처분들의 자체적 정당성과 취약자 범죄의 대응수단으로서의 특수한 정당성을 확인하지 않고 중복적용 하였다. 가중처벌은 그 자체로도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렵고, 취약성 범죄에 활용되는 경우에도 「형법」 내에서 다루어질 당위성과 보안처분이나 다른 조치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렵다. 하지만 보안처분은 형벌과 구별되는 목적 때문에 그 자체로도, 취약성 범죄의 큰 피해와 지속 가능성 때문에 형벌에 병과되는 경우에, 보안처분의 세부 목적이 확인된다는 전제하에 복수의 보안처분이 부과되는 경우에도 정당성이 인정된다. 취약성 범죄의 대응으로써 피해자와 가해자의 분리를 위한 ‘분리 보안처분’, 가해자의 범죄성을 개선하기 위한 ‘범죄성 개선 보안처분’, 이 보안처분들의 이행 담보를 위한 ‘수단적 보안처분’이 있다. 한편 법원의 선고가 필요한 분리 보안처분과 공격행위와의 시간적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경찰관의 분리조치가 요청된다. 절대적 취약성 범죄의 피해는 클 수 있고, 범죄인은 기질적 문제를 가질 가능성이 높으며, 관계 기반 범죄가 아니기 때문에 범죄성 개선 보안처분 중심의 대응이 필요하다. 일회적 관계의 상대적 취약성 범죄에서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재접촉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공격행위와 시간적으로 밀접한 분리조치가 중요하고, 계속적 관계의 상대적 취약성 범죄에서는 재접촉에 따른 범죄의 재발・지속 가능성이 높아 재범 실현의 측면에서 가장 위험한 범주이기 때문에 분리에 초점을 두고 단기적으로는 분리조치가, 장기적으로는 분리 보안처분이 피해자의 체감상 연속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한 명의 피해자가 가진 개별 취약성에 적합한 분리 보안처분, 분리조치, 범죄성 개선 보안처분이 독립적으로, 동시에 활용되어야 하고, 수단적 보안처분에 의한 이행 보장이 필요할 수 있다.

      • KCI등재

        신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기부여언어의 매개효과 및 LMX 조절효과 검증

        소병,김지현,유명현,전이제,송지훈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examine how new employees’ perceived job stress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intent to stay. In addition, focused on mediated effect of team’ motivating language and moderated effect of leader-member relationship to increase new employees’ retention. A total of 248 employees who have less than 3-year experience in Korean for-profit organizations were included as research samp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was employed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proposed variables. Results show that 1) new employees’ job stress level negatively and directly effect on their intent to stay; 2) motivating language negatively was effected by employees’job stress level; 3) intent to stay of new employees was positively effected by motivating language; 4) motivating language of leaders was playing as a mediating role between job stress and intent to stay; and finally 5) the strength of leader-member relation was playing a moderating role between job stress and motivating language. According to the results, significant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discipline in terms of organizational culture, communication training and leadership program development. 본 연구는 신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재직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상사의 동기부여언어의 매개효과와 상사와 구성원간의 관계(LMX)의 조절효과가 신입사원의 재직의도를 높이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기업 신입사원으로 재직 중인 248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EM을 통해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MGSEM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모형의 적합도는 GFI=0.928로 높은 적합도를 나타냈다. 분석결과, 첫째 신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재직의도는 감소하였다. 둘째, 신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상사의 동기부여언어 효과는 감소하였다. 반면 셋째, 상사의 동기부여언어 효과가 높을수록 신입사원의 재직의도는 증가하였다. 넷째, 신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재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상사의 동기부여언어는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하였다. 끝으로, 상사와 구성원의 관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조절효과를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상사와 구성원의 관계가 높은 집단(LMX HIGH)과 낮은 집단(LMX LOW) 간 '직무스트레스→동기부여언어' 경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신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재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상사와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상사의 동기부여언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게 만들어 재직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부적 영향은 상사와 구성원 간의 관계가 높은 집단(LMX HIGH)에서 더욱 분명하게 나타남으로써, LMX에 따라 신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상사의 동기부여언어 간의 영향관계가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측면의 신입사원 재직의도 향상 방안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정폭력처벌법에 대한 스토킹처벌법의 시사점과 한계 – 경찰관의 대응을 중심으로

        소병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論文集 Vol.46 No.1

        경찰관은 중범죄로 이어지기도 하는 가정폭력 사건에 적극 개입하여 범죄를 예방할 의무를 진다. 그러나 가정폭력처벌법은 스토킹처벌법과 비교하여 경찰관의 개입 시점과 범위에 제약을 두고 있다. 가정폭력처벌법의 긴급임시조치와 응급조치의 요건이 가정폭력 ‘범죄’의 발생인 것과 달리 스토킹처벌법의 긴급응급조치와 응급조치의 요건은 스토킹 ‘행위’의 발생이라 사건 초기에 경찰관이 개입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정폭력처벌법이 긴급임시조치 실행 전 응급조치의 선행을 요구하지만 스토킹처벌법은 긴급응급조치 실행 전 응급조치를 요구하지 않아 경찰관이 비교적 신속하게, 양 조치를 동시 또는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가정폭력처벌법이 피해자보호명령의 요청 주체에서 경찰관을 제외하고 있으나 스토킹처벌법은 잠정조치의 청구 주체는 검사로 두면서도 경찰관이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경찰의 피해자 보호 의사가 반영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하였다. 가정폭력처벌법상 경찰관의 사건 개입의 시간적·절차적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스토킹처벌법이 스토킹행위를 규정한 것처럼 가정폭력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여 위험관리의 대상으로 두어야 한다. 나아가 스토킹처벌법상 범죄가 아닌 스토킹행위에 대해서 긴급응급조치와 응급조치가 가능한 것처럼 가정폭력처벌법도 가정폭력에 대해서 긴급임시조치와 응급조치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스토킹처벌법이 긴급응급조치와 응급조치의 선후관계를 규정하지 않은 것처럼 가정폭력처벌법도 긴급임시조치와 응급조치의 선후관계 규정을 삭제하여야 한다. 또한 스토킹처벌법이 잠정조치의 경찰관 신청권을 인정하는 것처럼 가정폭력처벌법도 피해자보호명령의 경찰관 신청권을 인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스토킹처벌법은 가정폭력처벌법이 실질은 행정경찰 작용인 긴급임시조치와 응급조치를 사법경찰 영역에 둔 오류를 긴급응급조치와 응급조치 규정에서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데, 이러한 분리조치들을 행정경찰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실행의 주체를 경찰관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분리조치를 위반한 경우는 사법경찰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위반 시 과태료 처분에 그칠 것이 아니라 실질적 이행강제 수단을 확보하기 위해 형사적 범죄로 두고 체포의 특례를 인정하여 강제력을 통한 피해자와 가해자 분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행위와 범죄를 구분하고 범죄에 대해서만 경찰관의 개입을 인정하는 태도는 가정폭력처벌법만의 문제가 아니다.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노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은 ‘범죄’에 비해 ‘학대’ 행위를 추상적으로 정의하고 구체적인 위험관리 규정을 충분히 두고 있지 않은데 이 연구의 논의를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Police officers are obligated to actively intervene in domestic violence cases that could lead to serious crimes. Howeve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restricts the timing and scope of police officers' interventions compared to the Stalking Punishment Act. Unlike unde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in which a “domestic violence crime” must first occur in order for urgent temporar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to be implemented, under the Stalking Punishment Act, urgent emergenc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can be executed as soon as “stalking behavior,” not necessarily a crime, occurs, so police officers can intervene earlier. Also unlike unde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where emergency measures must be put in place before urgent temporary measures are implemented, the Stalking Punishment Act allows urgent emergency measures to be implemented immediately, so police officers can quickly execute them and can execute them simultaneously with emergency measures. Additionally, while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does not allow a police officer to apply for a victim protection order, the Stalking Punishment Act not only grants the prosecutor the right to request a provisional measure, it also gives the police officer the right to apply for one, so that the police officer’s opinions can be communicated to the court. In order to expand the flexibility in terms of timing and procedure for police officers to intervene in domestic violence cases,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should specifically stipulate "domestic violence" as an action that should be subject to risk management. This would parallel the Stalking Punishment Act, which specifically stipulates "stalking behavior" as an action that should be subject to risk management. Additionally, just as the Stalking Punishment Act enables urgent emergenc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for "stalking behavio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should also enable urgent temporar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for "domestic violence."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should also eliminate the priority relationship between urgent temporar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just as the Stalking Punishment Act does not stipulate a priority relationship between urgent emergenc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Finally, just as the Stalking Punishment Act allows police officers to apply for provisional measures,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must also allow police officers to apply for victim protection orders. Although urgent temporar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are elements of administrative police action,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errs by stipulating that these measures are elements of judicial police action. Similarly, the Stalking Punishment Act also errs by stipulating that urgent emergency measures and emergency measures belong to judicial police action. These separation measures should be recognized as elements of administrative police action, and the party authorized to request them should be revised from "judicial police officer" to "police officer." Conversely, a violation of these separation measures must be recognized as falling under the authority of the judicial police and must be defined as a crime rather than being punished only by a fine for negligence. The perpetrator must be subject to arrest and victims and perpetrators should be separated in order to enforce the separation measures. The issue of distinguishing between “behaviors” and “crimes” and allowing police officers to intervene only in “crimes” is not only an issue under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the Elderly Welfare Act, and the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also abstractly define “abuse” and do not have sufficient regulations to manage the risk of “abuse.” By applyi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o these other laws, plans for improvement can be made.

      • KCI등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중도탈락 원인 분석: 대학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병한(So Byung-Han),김재웅(Kim Jae-Wo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이 연구는 전문대학의 중도탈락 원인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 별, 출신고교, 고교졸업시기, 입학전형, 고등학교 GPA, 합격시기 등을 외생변인으로 설정하고, 학문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으로 구성되는 대학경험을 구분하여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중도 탈락에 대한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에 포함된 모든 항목의 정보 를 가지고 있는 2개교 신입생 4,914명 전원에 대한 입학 및 재학기록 자료를 중심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모형의 적합도는 GFI=0.998로서 매우 높은 적합도를 나타냈다. 외생 변인 가운데 성별과 고교졸업시기만이 중도탈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대학경험 을 통한 간접효과는 입학전형과 합격시기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대 학경험이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학문적 경험은 효과가 없었고, 사회적 경험만이 유 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xogenous variables, mediators, and dependent variable, i.e., dropout in junior college in Korea by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x, graduated high school, time of graduation, admission type, high school GPA, and time of admission belonged to exogenous variables. College experiences, broken down to academic and social experiences, were regarded as mediators. Data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from two junior colleges which had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variables in the model. The goodness of fitness value was high as GFI=.99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nly sex and time of graduation out of six exogenous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dropout directly. Indirect effects of all the exogenous variables, excluding admission type and admission time, on dropout through college experiences were statically significant. Social experiences influenced dropout directly, while academic experiences had no effect on dropout.

      • KCI등재

        공동체 내부 범죄와 형사정책

        소병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연구 Vol.63 No.2

        In modern-day society, community members need to be in constant contact with each other. Continuous contact between community members creates conflict, and conflict increases the risk of crime within the community. Government authorities have an obligation to manage this risk.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ur legislators have enacted special laws for crimes targeting specific victims, such as women, children, and the elderly, but these special laws fail to regulate crimes in many communities. They were enacted with a limited set of victims and a limited set of crimes in mind, for example, sexual crimes. Such biased legislation results in a lack of equity among victims. In addition, there is often confusion about the purpose of such special laws, as each one contains a risk management clause and a punishment clause, which is not necessary.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arises from the mass production of such special law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special laws should not be written for each target victim, but should be developed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given community. By specifically defining each community based on its unique characteristics, victims in a particular community will not end up being inadvertently excluded from protection. In addition, there should be ongoing discussions to ensure that new communities and risks are included in the particular special law as needed. The risk management clauses of special laws should allow government authorities to intervene and separate the victim from the perpetrator when a crime is foreseen or signs of criminal intent are detected, even without a judicial judgment. The separation measures found in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and the Child Abuse Punishment Act would be good examples of what to include in a future special law. Separation measures are issued by the administrative police and must be premised on clear authority. Since there is no reason for the punishment function to operate differently inside or outside of a given community, it does not need to be defined along with the risk management function in a given special law. Instead, any new punishment or procedures should be implemented through revisions to the Criminal Act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addition, severe punishment, such as aggravated punishment, is difficult to justify. Finally, it is not appropriate to decide whether to prosecute based on security concerns, because such a decision-making process inappropriately conflates the distinct purposes of security measures and punishment.

      • SCOPUSKCI등재

        벌노랑이로부터 Rhizobium loti 의 분리 동정 및 그 특성

        소병,이강련,윤경하,고상균,이영록 한국미생물학회 1992 미생물학회지 Vol.30 No.6

        Five strains of the fast-growing endosymbionts were isolated from the nodules of Lotus eorniculatus var. japonicus inhabited in Taejeon. From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odulation test, the isolated strains were identified as Rhizobium loti. Compared to the control plant, both Lotus cornieulatus var. japonieus and Lotus corniculatus seedlings inoculated with the isolated strains. grew normally due to effective root nodule. The reisolated endosymbiont from the induced root nodule was confirmed identical to those of the first isolates by investigating antibiotic resistanc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ree strains among the isolates. R. loti TUS I. TUS5 and TUS6 produced a ca1cof1uorbinding exopolysaccharide. 대전 지역에서 자생하는 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의 뿌리혹으로부터 생장속도가 빠른 (fast-growing) 5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공생균주들은 형태적, 생리적 특성 및 뿌리혹형성 실험을 통하여 이 균주들은 Rhizobium loti 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로 접종시킨 벌노랑이 유식물에서 뿌리혹을 형성하였으며,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정상적인 성장을 하는 것으로 보아 질소고정능을 갖는 (effect) 뿌리혹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유도된 뿌리혹으로부터 재분리된 공생균주의 형태절 특성 및 항생제 내성에 대한 조사로부터 이들 뿌리혹은 1차 분리균주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Lotus corniculatus 에서도 질소고정능을 갖는 뿌리혹을 형성하였다. 분리균주 중 R. loti TUS2, TUS5 그리고 TUS8 은 calcofluor-binding exopolysaccharide(EPS) 를 생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