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麗時代 刊行의 佛經版畵 硏究

        석혜영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situation related to the engravings included in Buddhist scriptures produced in the Goryeo Dynasty. at the wooden board in Hae-in Temple(海印寺)'s ≪Hwa-eomgyeong(華嚴經)≫ are Ju-bon(周本) 80sheets(5sheets duplicates), Jin-bon(晉本) 12sheets, and ≪Ye-sugyeong(豫修經)≫ 44sheets, and There is a print of ≪cheon-tae-eun-sa-han-san-seub-deug- si-jib(天台隱士寒山拾得詩集)≫ at Songgwang Temple(松廣寺). Also ≪Uhjebijangjeon(御製秘藏詮)≫ included in the Koryo period Chojo Tripitaka is the Emperor Tàizōng of Sòng Poetry collection owned by Japan's Nanzanji(南禪寺). In each book from volume 1-20(volume17 is not there), there were 5 sheets of engravings and most of them are located in the same locations (1,5,9,13,17). And than 50 engravings that are contained in volume 1-10 are used repetitively in volume 11-20. In Volume 21 that corresponds to appendix, 3 engravings, This has a big value in that this is a Booljeondo(佛傳圖) of the fastest period that was made in Korea. In Chapter 3, we looked at the publications of the Goryeo Dynasty by century. We have confirmed that among 19 types of the 12 kinds of printed materials. 본 연구는 고려시대 제작된 불교 경전에 포함된 판화와 관련된 개괄적인 현황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고려시대 간행된 판화본 중 해인사 소장 대장경에 포함된 것은 ≪華嚴經≫ 周本 80점(5점 중복), 晉本 12점을 비롯하여 ≪豫修經≫ 3종 44점과 송광사에 ≪天台隱士寒山拾得詩集≫의 판화 1점이 현전한다. 또한 초조대장경 중 현재 일본 남선사에는 소장된 ≪御製秘藏詮≫ 권1-10까지에는 50개의 판화가 현전하며, 이것은 권11-20까지 중복해서 사용 되었으며, 권21에는 佛傳圖 형식의 판화가 3점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 본고에 다룬 고려시대 간행된 불경 판화는 12종 19점으로, 중국에서 유입된 불경 판화의 모티브를 차용하면서도 고려인들만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독창적인 도상을 만들어 내었다는 점과, 특히 조선 초기 제작된 다양한 불경 판화의 원형을 제공해주고 있어 그 시원을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密陽 地域 寺刹의 書籍 刊行에 대한 硏究

        석혜영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5 No.-

        In this article, I briefly examined the books published in the temple of Mir-yang area and the Buddhist culture in the area. In this paper, 6 temples and the materials published there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book published in the Maneosa Temple is a total of two types, characterized by a collection of short scriptures and a compilation of them together. For example, the combination of Yuggyeonghappu (六經合部), Jangsugyeong (長壽經) and Eunjunggyeong (恩重經) The period of publication is the 15th century and corresponds to the old book, which was published before the imperial era. In the Pyochungsa Temple, Samyeongdaesamunjib (四溟大師文集), Pyochungsajyeong (表忠寺題詠), Song-unasubunchungholanlog (松雲大師奮忠紓難錄), etc. were published, and it seems that general books were also actively published. In addition, six kinds of Buddhist books were published in both Chinese and Korean. Until now, the wooden board has been on the Pyochungsa Temple. And all these printed books are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In the Yeongjeongsa Temple and Jaeagsa Temple are previous existence of Pyochungsa Temple. Four types of Buddhist scriptures were publish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long with this, Dong-gyejib (東溪集) of the monk ‘Gyeongil (敬一)’ was created. It is presumed that the book was published activel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few data related to the temple history in Bongcheonsa Temple. However, it is confirmed through the publication record of the book that two writings of Giseongdaesa (箕聖大師) were published in the 18th century, And I found out that the corresponding wooden blocks were moved to the Dae-gu Donghwasa Temple. In the case of Yeong-eunsa Temple, only the temple site is currently identified. But with records remaining in the books published here, it is fortunate that we can confirm the publication activities of the time that existed. 본고에서는 밀양지역의 사찰에서 간행한 서적들과 해당 지역의 불교 문화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다. 본문에서는 6개의 사찰과 그곳에서 간행된 자료들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萬魚寺에서 간행된 책은 전체 2종으로 모두 짧은 경전들을 모아 하나로 묶어 편찬한 합부본이라는 특징이 있다. 六經合部 및 長壽經 ․ 恩重經 의 合綴이 그러하다. 또한 간행 시기는 15세기로 모두 임란 이전에 간행된 古本에 해당한다. 간기에서 확인되는 사찰명은 ‘萬魚寺’ 혹은 ‘万魚寺’로 확인된다. 表忠寺에서는 四溟大師文集 을 비롯하여 表忠寺題詠 , 松雲大師奮忠紓難錄 등이 간행되었으며, 일반불서의 간행도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6종의 佛書가 漢文과 국문 音釋으로 모두 간행되었으며, 현재까지 표충사에 그 목판이 현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인본들을 합철한 자료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靈井寺와 載岳寺는 표충사 이전의 前身들로써 17~18세기 때에 4종의 佛書와 함께 승려 ‘敬一’의 문집인 東溪集 이 간행되는 등 임란직후 서책의 간행이 활발히 이루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鳳泉寺는 寺歷과 관련된 근거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아쉬운 점이 있으나, 책의 간기를 통해서 18세기 때 箕聖大師의 저술 2종이 간행되었음이 확인되었고 해당 판목이 대구 동화사로 이관되어 보관 중인 것을 알 수 있다. 靈隱寺는 현재 그 寺址만을 확인할 수밖에 없지만 서적의 간행 기록을 통해 존재 당시의 출판 활동을 증명해주는 자료가 확인된 것은 다행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고려시대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어제비장전(御製秘藏詮)』 판화의 내용과 의미

        석혜영 미술사학연구회 2018 美術史學報 Vol.- No.50

        53 woodblock prints of the text Eojebijangjeon from the Goryeo-period first edition of the Tripitaka Koreana are currently housed at Nanzenji Temple in Japan. Unlike other Goryeo woodblock prints, which faithfully convey the content of Buddhist scriptures through pictorial engravings, those of Eojebijangjeon call to mind the form of a landscape painting. In this study, I attempt to reconsider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Eojebijangjeon by examining the content and meaning of these prints. Their content is as follows: 1. Each book in Volumes 1-20 of Eojebijangjeon (Volume 17 is missing) contains five prints; most of these are located in the same page positions (1, 5, 9, 13 and 17). 2. The approximately 50 prints included in Volumes 1-10 are generally repeated in Volumes 11-20. 3. The prints in Volume 13 of a Northern Song copy of Eojebijangjeon in the collection of Harvard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and in Volume 13 of the Goryeo period copy at Nanzenji differ in terms of iconography and page location. This implies that duplication of prints was possible, and that they could be rearranged if necessary. 4. The fact that the box number of the prints is marked as “6(六)”, “7(七)”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scripture texts and pictorial engravings were produced separately. 5. The prints portray itinerant monks entering the mountains in search of enlightenment. The depiction of these monks is similar to that in Xuanzang qujingtu (“paintings of Xuanzang’s journey in search of the scriptures”), a genre popular at around the same time in China. It is therefore believed that the Eojebijangjeon woodcuts were influenced by Xuanzang qujingtu. 현재 일본 난젠지에는 고려시대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어제비장전(御製秘藏詮)』 판화본 53점이 소장되어 있으며, 이는 다른 고려시대 판화본들이 경전의 내용을 충실히 도해(圖解)한 것과 달리 한 폭의산수화를 연상시키는 삽화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판화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초조대장경『어제비장전』이 갖는 의의와 가치를 되짚어 보고자 하였으며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제비장전』의 권1-20(권17 결본)의 각 책에는 5장의 판화가 삽입되어 있으며 대부분 동일한 위치(장차(張次) 1, 5, 9, 13, 17)에 자리한다. 2. 대체로 권1-10까지 수록된 50여개의 판화는 권11-20까지 중복 사용되었다. 3. 미국 하버드대학교 소장 북송본 『어제비장전』 권13과 남선사(南禪寺) 소장의 고려본 『어제비장전』 권13의 변상판화(變相版畵)는 도상과 삽입된 위치가 각기 다른 것으로 확인된다. 이것은 동일판본의 중복이 가능하고, 필요하다면 재배열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4. 또한 판화의 함차(函次)가 숫자(六·七)로 나타난 것은 경문과 판화가 별도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5. 판화의 내용은 입산구법(入山求法)의 행각승(行脚僧)을 묘사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행각승들의모습은 당시 비슷한 시기에 중국에서 유행한 <현장취경도(玄獎取經圖)>와 유사한 것으로 그 영향을받은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14세기(世紀) 간행(刊行)의 한(韓)·일(日)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中經)』 판화본(版畵本) 연구

        석혜영 ( Suk Hae-y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본 논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14세기에 간행된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중에서도 판화가 삽입된 2개의 판본을 비교·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그 성립과 체재를 알아보았다. 우선 7세기 경 완성되어진 경전의 내용에 현재와 같은 제 5종의 대보본(大報本)이 성립된 후 적어도 13세기 이전에는 중국을 거쳐 한국과 일본 등으로 전파·유통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양국에서 간행된 것 중 한국본은 변상판화가 상도하문(上圖下文) 체재의 형식으로 각 십은변상(十恩變相)마다 송문(頌文)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일본본은 좌도우문(左圖右文) 체재로 십은변상은 있으나 송문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세 번째로 양국에서 간행된 판본의 저본과 관련하여서는 일본학자 아라이 사토시 호마레(新井慧譽)가 선행 연구한 자료를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그는 일본본의 저본(底本)을 한국본 K2(1432년본) 계열과 비슷한 것으로 보면서도 일본본에서만 보이는 자구(字句) 및 경문(經文)이 한국본에서는 나타나고 있지 않으므로, 또 다른 계통의 것이 유통되었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필자도 그의 의견에 어느 정도 동의한다. 그러나, 중국에서 간행된 1행 17자 형식의 대장경 및 기타 경전들처럼, 1383년 이후 간행되어지는 일본판 『은중경』 자료의 체재가 대체로 1행 17자 배열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들과의 교감·대조작업이 추후 진행되어야만, 각국의 ‘저본’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에서 간행된 고려본은 6행 20자를 기본으로 한다.) 그는 또한 한국본에서 보여 지는 송문의 유무처럼, ‘역경자명(譯經者名)’이 표시된 것은 일본본과 확실하게 구분되는 한국본만의 특징이라고 언급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판화는 그 체재가 우선 다르고, 세부적인 장면묘사에 있어서도 다소 차이를 보인다. 한국본의 경우, 등장인물을 비롯하여 동작과 상황이 펼쳐지는 배경의 묘사가 상당히 소박하면서도 단아하게 정돈된 느낌을 준다. 특히 협소한 공간을 활용하여 변상을 그려냄에 있어 인물의 표정묘사가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 생각된다. 반면, 일본본의 경우는 실내와 실외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으며, 상황이 펼쳐지는 배경은 실내이며, 이 가옥의 실내는 커튼장식이 있고, 띠창살이 촘촘히 갖춰졌으며, 침대보에는 문양을, 거실에는 장식장 같은 것들이 놓여 진 것들을 함께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매우 장식적인 경향을 보여준다는 점이 한국본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다. 실외의 배경표현에도 신경을 써서 마당의 암석이나 풀잎, 집안의 정원 등을 묘사한다거나, 지붕 위에 항상 구름무늬를 그려내고 있는 것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한 한국과 일본에서 간행된 초간본 『은중경』 판화의 비교 고찰을 통해 우리는 각 나라에서 유통되었던 책이 다른 종류에 속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에 언급되기는 하였으나 공개되지 않았던 자료를 공유하는 데에 의의를 가지며, 판화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해당시기 양국에서 유행하였던 다른 분야(회화, 불상, 건축 등)의 양식분석이나 시기추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In this paper, we compared two versions of prints inserted '佛說大報父母恩重經(Bulseol-daebo-bumo-eunjung-gyeong)' published in the 14th century in Korea and Japan. First, I looked at its formation and stay. It seems to have been propagated and circulated to Korea and Japan at least until the thirteenth century after the formation of the 5th edition of the ‘大報本(Daiboobon)’, as it is now, in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completed in the 7th century. Secondly, in the Korean version, the Korean ver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at of the print is in the form of a picture on the top, and the text on the bottom is a monologue in each of the 十恩變相(sib-eunbyeonsang).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version has pictures on the left and letters(經文, gyeongmun) on the right. Thirdly, in relation to the transcripts of the editions published in both countries, the Japanese scholar Arai Satoshi Homare(新井慧譽) has already presented the presentations. He concluded that the Japanese version of the book was similar to the Korean version of the K2 series, but that the book and verse appearing only in the Japanese version did not appear in the Korean version, so I concluded that another version was circulated. In addition, it is a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version, which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Japanese version.

      • 일본 남선사 소장 초조본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에 대한 교감학적 분석 - 재조본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

        석혜영 ( Suk Hae-yung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大乘莊嚴經論』은 대승 불교 초기 유식학파를 대표하는 책으로 인도의 無着菩薩이 저술하고 唐의 波羅頗蜜多羅가 漢譯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역대장경 가운데서도 고려시대 간행된 『大乘莊嚴經論』의 현전 初雕本과 再雕本의 原文을 대조한 내용을 바탕으로 校勘學的 分析을 시도한 것이 그 주된 논지이다. 현재 日本 南禪寺에 소장된 高麗 初雕本 『大乘莊嚴經論』은 卷1, 2, 3, 4, 5, 6, 8, 11, 12, 13에 해당하는 10책이 현전하며, 卷7, 9, 10은 中國 宋代 大藏經인 思溪藏本에 해당한다. 대조의 기준이자 대상이 되는 高麗 再雕本은 卷1-13까지의 全卷이 동국역경원의 통합대장경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본문에서 다루어진 교감학적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판수제를 통한 장차표시가 初雕本은 ‘丈’字를, 再雕本은 ‘張’字를 사용 대상자료 간 원문이 상이한 부분은 총 147회로 확인 ; 글자의 脫落 3회, 追加 9회, 異字의 用例 32회로 확인 ; 字의 移動 29회(특히 卷5의 第11, 16張에서 다수 발견) ; 避諱字는 ‘竟’, ‘敬’, ‘弘’字가 확인되며, 총 10회 확인 ; ‘弘’字 避諱는 7회로, 다른 避諱字와 달리 해당글자만 再雕本에서도 동일하게 避諱缺劃 ; 卷6, 8을 제외한 8冊에서 훼손부분을 포함한 탈획 또는 묵서보충이 64회로 확인 - 初雕本에는 刊記가 없으나, 再雕本에서는 刊記(1243)가 확인 再雕本에서는 23행 14자의 정연한 체재를 잘 유지하고 있으며, 初雕本의 오류를 수정·보완하여 좀 더 완벽한 대장경을 판각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大乘莊嚴經論(『Mahāyānasūtrālaṃkāra』)』 is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early Yogacara school in Mahayana Buddhism. Originally composed by Asanga in India, this text found its way into Chinese through the translation efforts of Prabhākaramitra during the Tang Dynasty. In this paper, the main focus is on a textual criticis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tant 初雕本(Chojo Tripitaka Koreana) and 再雕本(Jaejo Tripitaka Koreana) of the “『Mahāyānasūtrālaṃkāra』” a text published during the Goryeo period among the translated scriptures. The aim is to conduct a morphological and bibliographical analysis, using the collated original texts,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Buddhist scriptures. The Goryeo Chojo Tripitaka Koreana of the 『Mahāyānasūtrālaṃkāra』 currently housed at Nanzen-ji Temple in Japan, consists of 10 volumes labeled as Volume 1, 2, 3, 4, 5, 6, 8, 11, 12, and 13. However, Volume 7, 9, and 10 are part of the Chinese Song Dynasty canon, 思溪藏本(Sagyejangbon). The Chojo Tripitaka Koreana is the earliest edition from the Goryeo period, and the second edition, known as the Jaejo Tripitaka Koreana, covering all thirteen volumes, can be verified through the integrated scripture database of Dongguk Translation Center.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contextual analysis presented in the main body: - The Chojo Tripitaka Koreana uses the character ‘丈’ for volume indications, while the Jaejo Tripitaka Koreana uses ‘張.’ - Discrepancies in the original text between the target materials were identified 147 times: ; 3 instances of omissions, 9 instances of added characters, and 32 instances of variations in characters’ usage. ; 29 instances of character movements, particularly notable in Volume 11 and 16 張 of 卷5. ; 10 instances of avoided characters (‘竟’, ‘敬’, ‘弘’), with a total of 7 instances of avoidance for the character ‘弘’ in the re-carved edition, consistent with Chojo Tripitaka Koreana. ; Excluding Volumn 6 and 8, there were 64 instances of damage or supplementation, including erasures or inked additions. - While Chojo Tripitaka Koreana lacks publication information, 刊記(1243) was identified in the Jaejo Tripitaka Koreana. - The re-carved edition maintains a clear layout of 23 rows and 14 characters,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errors from the Chojo Tripitaka Koreana, resulting in a more flawless presentation of the scripture.

      • KCI등재

        1284년 忠烈王, 元成公主 발원 金字大藏 『百千印陁羅尼經(合部)』의 서지적 연구

        남권희,석혜영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4 No.-

        This study attempted to introduce and analyze Baegcheonin-dalanigyeong(百千印陀羅尼經) which were recently confirmed among the golden manuscript in the Koryo Dynasty. The summary is as follows. (1) This is a book written in golden manuscript and it was manufactured by King Chunglyeol & Jegukdaejang-Princess in the 10th year of King Chongryeol’s reign (1284). (2) This golden manuscript is written down on the blue paper(紺紙) with gold line border, has a scroll-form with a crystal axis on each end of it, and belongs to the part of the Scripture Tripitaka with the sign of “景”. The text were formally written down in 17 letters in a line, however few 16 and 18 letters in one line were discovered. (3) The contents are consisted of following four scriptures in order; Baeg-cheon-in-dalanigyeong(百千印陀羅尼經), Gu-myeon-yeon-agwi-dalani-sinjugyeong (救面然餓鬼陁羅尼神呪經), Bul-seol- gam-lo-dalaniju (佛說甘露陁羅尼呪) 7 line and Jang-eom-wang-dalani-jugyeong (莊嚴王陁羅尼呪經), Hyang-wang-bosal-dalani-jugyeong (香王菩薩陁羅尼呪經). (4) There are unprecedented red signature and a stamp on the reverse side of the front page. The signature belongs to the King Chungryeol and it is the second name of him. The stamp shows ‘Wonseongjeon(元成殿)’ which is the Princess Jegukdaejang’s original temple, and it could be the answer of the controversial debates about the original palace owner. (5) On the cover, there are a figure and floral pattern which seems to be made in the 13th century and the craftsman’s name is ‘鄭(Zheng)[益迂(ig-u)]’. The figure’s expression is similar to the other gold and silver manuscript version, but the postures and object hold in a hand are different. (6) Records of publications are similar to the other golden manuscripts, but showed some differences. In addition, the person who wrote this sutra is Choi jeong(崔楨), but the person is not confirmed in the historical data. Yet, it is presumed that he were in lower classes but had outstanding writing skills to be mobilized for the Scripture work. (7) The contents of ‘景’ and four kinds of scriptures (including gamlosudalani(甘露水陁羅尼)) are included in the ‘景’ of the 9th book sinjibjang-gyeong-eum-uisuhamlog (新集藏經音義隨函錄) and Bangsan-seoggyeong(房山石經). It is presumed that the narrative sequence of the scriptures corresponds to the order of The Khitan Tripitaka(契丹藏). In addition, these four types of scriptures are included in the “羔” of joseong-geumjang(趙成金藏), chojo Tripitaka(初雕大藏經), and jaejo Tripitaka(再雕大藏經) but the order of the scripture is recorded in reverse. In addition, this golden manuscript is a valuable data as it holds a lot of differentiator character and various sobriquet of Buddhist literature that can be utilized frequently in researches about Buddhist literature. 이 연구는 고려시대 忠烈王代에 조성된 金字大藏 중 최근 확인된 『百千印陁羅尼經(合4經)』에 대한 소개와 서지적 분석을 시도하고 더불어 지금까지 알려진 서로 다른 시기에 제작된 金銀字大藏들의 함차를 비교, 검토하여 그 계통을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자료는 고려 忠烈王 10年(1284)에 國王과 宮主인 齊國大長公主의 발원에 의하여 제작된 金泥로 쓴 寫經이다. 둘째, 이 金字寫經은 ‘景’자의 函次가 표시된 大藏經의 일부이며 水晶軸을 가진 卷子本의 형태로 전체는 9장의 연결이며 紺紙 바탕에 金泥의 테두리와 界線을 긋고 한 행에 17자를 기준으로 간혹 16-18자의 출입이 있다. 셋째, 수록된 경전은 4종이 합본되어 있는 형식으로 『百千印陁羅尼經』, 『救面然餓鬼陁羅尼神呪經』과 『佛說甘露陁羅尼呪』 7행, 『莊嚴王陁羅尼呪經』, 『香王菩薩陁羅尼呪經』이 차례로 포함되어 있다. 넷째, 表紙의 裏面에 忠烈王의 2번째 개명한 諱인 ‘賰’자가 붉은 색 수결로 있고 나란한 위치에 ‘元成殿’ 즉 齊國大長公主의 기록과 ‘封印’이란 파스파문자가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宮主가 누구인지 분명해졌으며 국왕의 手決과 宮主의 印章은 처음 확인되는 것이다. 다섯째, 表紙畵와 神將像은 13세기 후반의 다른 金銀字寫經과 유사하고 특히 神將像을 그린 畫員의 이름인 ‘鄭〔益迂(추정)〕’란 기록이 그림의 우측 하단에 있다. 특히 신장상의 표현은 다른 사경과 비슷하지만 持物을 잡은 자세가 각각 다르다. 여섯째, 권말의 發願文과 筆寫記는 다른 金字大藏과 문장 내용은 대동소이하나 표기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또 이 사경을 직접 쓴 인물은 崔楨으로 사료 등에서 그 인물은 확인되지 않으나 蔭職의 하위 직급을 받은 글씨를 잘 쓰는 젊은 사람인 까닭에 사경작업에 동원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곱째, ‘景’자의 함차와 4종(甘露水陁羅尼 포함) 경전의 수록 내용은 房山石經과 『新集藏經音義隨函錄』 제9책의 ‘景’함에 포함되어 있어서 契丹藏의 순서와 일치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이 4종 경전이 趙成金藏, 初雕大藏經, 再雕大藏經에서는 ‘羔’함에 포함되고 경전의 배열순서도 본 사경과는 역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밖에도 세부적인 표기나 異體字 등에서도 특징적인 요소를 지닌 귀중한 자료이다.

      • KCI등재

        益安大君 發願 紺紙銀字 『妙法蓮華經』 卷6의 書誌的 分析

        남권희,석혜영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6 No.-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newly discovered [Written in Silver on Dark-Blue Paper, Painted in Gold ‘紺紙銀字’] Lotus Sutra(妙法蓮華經) 卷6 and with the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Lotus Sutra 卷5(德2466), which is now stor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rom the source (發願文) of the written script, we have been able to confirm how close ‘Ig-an dae-gun (益安大君)’ was with ‘Tae-jong(太宗)’, at the same time, The fact that the royal family created the scriptures for peace and well-being, It can be seen that the royal court of Joseon also placed great importance on supporting the king. Furthermore, the timing of the production can be viewed as being made between 1400 and 1404, based on newly discovered data. Although the cover art(表紙畵) is influenced by the style of Goryeo Dynasty later period,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seen where lotus leaves and stems are drawn. Moreover, the scent coming from the flower’s heart changes in a straight line, and the rigid expression begins to stand out. In the of the paintings (變相畵),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the light backs of Cho-sun beginning period (that is, they are surrounded by fire patterns, but there is no decoration in the head light) and the sign that displays the scattered flowers on the stairs of ‘Su-mi-dan(須彌壇)’, What is expressed is also the form that appears at that time. In the style of font(書體), Basically it was affected by the ‘Gu-yang-sun font(歐陽詢體)’ and added the font of ‘Jo-maeng-bu Font (趙孟頫體)’. However, a variety of calligraphy styles are emerging. 본 연구는 새로 발견된 紺紙銀泥 『妙法蓮華經』 卷6과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紺紙銀泥 『妙法蓮華經』 卷5(德2466)를 비교 고찰한 것이다. 해당 寫經의 發願文을 통해 우리는 益安大君이 太宗과 얼마나 가까운 사이였는지를 여실히 확인함과 동시에, 上王을 비롯한 왕실의 평화와 안녕을 위해 여러 차례 寫經을 제작한 점 등은 조선 왕실내부에서도 功德을 위한 寫成을 매우 중요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사경의 제작 시기는 추가로 발견된 史料들을 바탕으로 새롭게 상정해 볼 때 1400∼1404년에 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表紙畵는 高麗末 양식의 영향을 받고 있으나, 연잎의 모양이나 굵은 唐草줄기 등의 표현이 圖式化되어가는 부분에서 朝鮮時代 특징을 엿볼 수 있다. 또한 花心에서 뿜어져 나오는 향기의 방향이 일직선으로 변화하는 등 硬直化된 표현이 두드러지기 시작한다. 變相畵에 있어서는 조선초 如來의 光背 紋樣의 특징(즉, 火焰紋에 휩싸여 있으나 頭光에는 장식이 없다는 점) 및 須彌壇의 계단에 散花를 표시하는 紋樣이 보인다는 점, 여래의 寶蓋가 작게 표현된 것 또한 해당시기에 나타나는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書體에 있어서는 歐陽詢體를 기본으로 하되, 麗末鮮初 유행한 趙孟頫体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다양한 書者만의 스타일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이 사경들은 현재 발원 연대가 없어, 양식만으로 고려말기의 사경으로 주목받고 있는 다른 사경들의 양식분석과 시기추정에 기초가 될 만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