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기로 본 5~6세기 복암리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

        서현주 ( Hyunju Seo ) 호남고고학회 2016 湖南考古學報 Vol.54 No.-

        나주 복암리 일대는 복암리 1~4호분으로 보아 3~7세기동안 고분이 조영되었음이 알려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최근들어 5~6세기를 중심으로 새로운 대형 고분들이 조사되면서 다양한 계통을 보여 주는 자료가 확인되어 이를 통해 복암리세력의 동향을 좀더 잘 드러낼 수 있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최 근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복암리 정촌고분, 가흥리 신흥고분의 토기를 중심으로 하고 복암리고분군과 비교하면서 5 ~6세기 복암리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복암리 정촌고분과 가흥리 신흥고분은 영산강중류지역인 복암리고분군의 인근에 위치하며, 토기나 매장시설로 보아 복암리 3호분보다 더 이른 시기에 조영되기 시작하였고 계통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가흥리 신흥고분은 5세기 중엽, 복암리 정촌고분은 분구와 함께 1호 석실묘가 5세기 후엽에 조영되기 시작하여 7세기를 전후한 시기까지 이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계통적으로 볼 때 가흥리 신흥고분은 가야계, 왜계, 백제계, 영산강하류지역, 복암리 정촌 고분의 1호 석실묘는 왜계, 백제계, 영산강상류지역 등 다양한 계통과 관련지역이 확인되며, 이후 석곽묘와 옹관묘, 사비기 석실묘에는 재지계 유물과 함께 소수의 가야계 유물도 포함되어 있다. 복암리 3호분이나 영동리고분군에서는 신라계 자료도 확인된다. 가흥리 신흥고분은 영산강하류지역의 양상과 연결되므로 5세기 중엽경에 이 일대의 세력이 재지성향을 가지면 서 중류지역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복암리 정촌고분은 다른 영산강 중류나 하류 지역의 고 분들과 비교하면, 토기나 매장시설 등에서 다소 이질적이다. 특히, 1호 석실묘는 영산강상류지역, 백제와의 관련이 두드러진다. 6세기경에 조영되어 주로 6세기 전반에 매장이 이루어진 복암리 3호분의 96석실묘를 중심으로 한 복 암리고분군에서도 백제계 토기는 이어지지만, 소위 백제식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배 형식이 주류를 이룬다. 두 고분 모두 백제계 위세품인 금동식리가 부장되어 백제와의 긴밀한 관계를 잘 보여주는데, 토기 양상 또한 시차를 두고 복암리세력이 백제와의 관계에서 위상과 역할이 변화·확대되는 모습을 잘 보여준다 Bokam-ri, Naju, is known for the presence of ancient tumuli dated to the 3rd to the 7th centuries AD, and a new set of tombs have recently been excavated. The current paper examines pottery assemblages of the newly excavated tomb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interaction of regional polities. The Jeongchon tomb in Bokam-ri and the Shinheung tomb in Gaheung-ri are located in the middle reach of the Yeongsan River. These tombs are close to the Bokam-ri tombs, but were built earlier than the Bokam-ri no. 3 tomb. The Shinheung tomb was built around the mid 5th century and reflects the influence from Gaya, Wa (倭) and Baekje. The tomb represents the emergence of new power group in the area. The stone chamber of the Jeongchon tomb was built around the late 5th century. The tomb and the associated pottery reflects cultural connections with Baekje, especially those in the upper area of Yeongsan River. The so-called Baekje-style flat cups are the dominant artifact types discovered from No. 96 chamber tomb of the Bokam-ri no. 3 tomb. Gilt-bronze shoes, a Baekje-style prestige item, were discovered from the Jeongchon tomb and the Bokam-ri no. 3 tomb. These findings suggest the close relationships of the local polities with Baekje and the changing political status of the Bokam-ri elite groups.

      • KCI등재

        한 · 일 중 · 고교 역사 교과서의 ‘위안부’ 서술 비교

        서현주(Hyunju Seo)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위안부’문제를 둘러싼 한 · 일 간 인식 차이는 정치 지도자들과 언론계등의 오피니언 리더들은 물론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과거사에 대한 관련국(가해국과 피해국)의 현저히 다른 인식이 현재의 정치 · 외교 상 첨예한 갈등 요소가 되고 있을 때, 역사 교과서는 그 문제를 어떻게 서술해야 하는가? 한국과 일본의 중 · 고교 역사 교과서는 동일하게 검정제도로 발행되고 있지만, 일본군 ‘위안부’ 서술을 둘러싼 상황은 많이 다르다. 한국은 집필기준(2011년)과 교육 과정(2015년)에 일본군 ‘위안부’를 명기하고, ‘위안부’의 연령과 규모에 대한 일정한 기술 지침을 제시하는 등 서술을 강화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반면 일본은 정치 · 사회적 압력으로 관련 서술이 약화되는 추세 속에서, 학계와 관련 단체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는 정부의 견해를 기술하라는 요구까지 받고 있다. 화해는 고통스런 과거를 점차 망각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든 책임을 묻는 과정을 포함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가해자가 마땅히 치러야 할 대가를 치러 사태를 바로잡고 사회에 다시 통합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점에서 마나비샤의 중학교 교과서와 짓교출판사의 고교일본사처럼 교과서 집필자들의 고민과 분투로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적 실태와 최근 동향에 대해 상당히 균형 잡힌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실은 분명히 평가받아야 한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수준에서 갈등을 해소하고 화해로 나아가기 위한 서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본의 정치 · 사회적 분위기의 변화, 그것의 제도적 결과인 검정 기준의 변경이 필요하다. 한국 사회에서 일본군 ‘위안부’는 비교적 최근에 사회적 의제로 등장해서 진상이 밝혀지고 있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잘못 알려진 부분과 오해, 편견 등이 적지 않다. 이런 요인들로 인해 형성된 선입견-근로정신대와 일본군 ‘위안부’의 관계 등-에서 벗어나고, 한일관계만이 아닌 보다 보편적인 관점에서, 현재 세계 도처에서 자행되고 있는 여성에 대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폭력의 역사적 선례로서 이 문제를 서술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한국과 일본의 교과서 집필자들이 양국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기술한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여, 이에 대한 서술 권고안을 마련해 볼 필요도 있다. 12.28 한일 합의를 둘러싸고 양국 정부 사이의 이견이 확대되고 있는 지금, 민간 차원의 이러한 활동이 갈등을 해소하고 화해로 나아가는 긴 도정의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06~2016년간 일본군‘위안부’ 연구의 성과와 전망

        서현주(Seo Hyunju)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3

        이 글은 동북아역사재단이 설립된 2006년 9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국내의 일본군‘위안부’문제 연구 동향을 주로 역사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검토한 것이다. 일본군‘위안부’문제는 1990년대 초 이래 주로 사회운동의 범주에서 다루어 지다가 2007년 즈음부터 본격적인 학문적 의제로 등장하기 시작했고, 2013년 이후에는 ‘위안부’문제의 역사적 실태를 둘러싼 논쟁이 학문적 영역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먼저 지난 10년간의 국내 일본군‘위안부’ 연구 상황을 개괄하고 역사분야의 주요 성과와 재단의 관련 활동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그동안의 연구에서 제기된 주요 쟁점으로 일본군‘위안부’제도의 강제성과 일본군·정부의 책임을 설정하고 그간의 논의를 정리하였으며, 향후 국내의 일본군‘위안부’ 연구가 나아갈 방향과 재단이 수행해야 할 과제를 추출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This paper primarily reviews the progress made in research o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from September 2006, when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was established, up until June 2016. The issue regarding former comfort women of the Japanese military used to be covered through social movements since the 1990s. Then around 2007, the issue started to emerge as an actual subject for research and from 2013, academic disputes surrounding the historical facts involved with the comfort women issue began to materialize. Based on the above understanding of developments concerning the comfort women issue, this paper first summarizes research done on the issue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decade, examines major progress made in the realm of historical research on the issue, and reviews activities related to the issue carried out by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The paper then covers discussions that have taken place so far on the issue’s main points of controversy, which are whether coercion was used to operate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system and to what extent the Japanese military and government were responsible for the system. The paper finishes by suggesting the direction research in South Korea should be heading toward on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nd noting the challenges regarding the issue that lie ahead for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 KCI등재

        백제 사비도성 일대 고분의 분포양상과 의미

        서현주(Seo, Hyunju),이솔언(Lee, Soleon) 한국상고사학회 2021 한국상고사학보 Vol.114 No.114

        백제 사비도성의 외곽성(나성)은 금강이 곡류하는 부여읍의 지형을 잘 활용하여 축조되었고, 도성 거주민의 무덤은 그 외곽성 바깥에 배치되었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발굴조사된 유적을 중심으로 사비도성 일대 고분군의 분포양상을 동쪽, 서북쪽과 서쪽, 남쪽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세분하여 분포정형을 구분한 후 그 의미를 파악해보았다. 사비도성 일대 고분군은 도성에서의 거리와 자연지형, 고분군 내 고분 수와 시기 분포, 중요 유물 양상, 유적 내와 인근에 중요 취락 존재 여부 등에 따라 A~D군의 분포정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성 바로 바깥에 위치하며, 큰 봉분도 존재하고, 대부분 잘 치석된 횡혈식석실묘가 축조된 능산리고분군은 A군으로, 이는 동쪽지역에만 있다. B~D군은 동쪽, 서북쪽과 서쪽, 남쪽 지역에서모두 확인된다. 그중 D군은 고분의 수나 내용이 백제 사비기에 집중되기보다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로 계기적으로 이어지는 점으로 볼 때 사비도성과 연계되기보다는 다른 중심지가 상정된다. A~C군의 분포정형을 보이는 고분군들은 도성을 중심으로 확산되는 양상이어서 거의 도성 거주민의 무덤으로 볼 수 있으며, 대체로 이 무덤구역 범위까지를 광의의 도성인 王都에 가까운 것으로 볼 수 있겠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처럼 4郊 등의 행정구역으로 설정되거나 공간 분화가 뚜렷한 것은 아니지만, 이에 상응하는 외곽성으로 도성을 일차적으로 경계짓고 다른 군현 등의 행정구역과의 사이에 무덤 조영이나 사찰 조성 등 도성 운영과 관련되는 활동을 위한 일정 범위의 공간을 두고자 했던 과도기적인 양상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삼국사기에 5部로 구분되어 있던 사비도성 내 공간구획을 고려하면, 동쪽, 서북쪽과 서쪽, 남쪽 지역의 A~C군의 고분군에는 각각 이른 시기의 고분들이 포함되어 있고, 지역별로 A→C 군의 위계 차이가 보이는 점에서 대체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도성 내 행정구역(部)에 속한 사람들의 무덤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사비도성 일대 고분군의 분포정형에는 외곽성의 축조, 도성내 행정구역 구분 등을 포함한 제도 정비와 함께 나타난 체계적인 공간 배치와 규제가 반영되어있던 것으로 볼 수 있겠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tate of the tombs of Neungsan-ri, Buyeo and The Sabi capital city of Baekje was built by taking good advantage of Buyeo-eup s terrain surrounded by the Geum River. The tombs of its residents were placed along the around of the Sabi capital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meaning of ancient tombs excavated so far around the Sabi capital city by dividing eastern, northwestern and western, and northern parts. Ancient tombs around the Sabi capital city can be categorized into Distribution types A~D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city, terrain relations, number of tombs, distribution by the period, patterns of major artifacts, and presence of important settlements inside and around sites. The sites of Group D are estimated to have relations with another central cities than the Sabi capital city, in terms of the number and content of tombs from tombs of the Sabi period of Baekje through Unified Silla to Goryeo. Ancient tombs of Distribution types A~C showed a spreading pattern from the capital city, which suggests that they were tombs of residents in the capital city. This boundary marks that of royal capital different from a capital city. The Sabi capital city was divided into five Bu(部)s according to Samguksagi(三國史記). Since A to C groups in the eastern, northwestern and western, and northern regions each contain early tombs,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hierarchy of A→ C groups by region, it is likely that the tombs were generally made for people that lived in geographically adjacent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in capital cit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istribution types of ancient tombs around the Sabi capital city reflect the political system including administrative districts around and within the capital city.

      • KCI등재

        마스크팩 패키지 디자인의 색채 연구

        이현주(Lee, HyunJu),서현주(Seo, HyunJu),임연재(Lim, YeonJae) 한국색채학회 2017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1 No.1

        As the mask pack market grows, mask pack package designs using various colors have been introduced. Interest in cosmeceutical mask packs that emphasize functions is increasing, so the color strategy of cosmeceutical mask package design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olor data according to functions of the cosmeceutical mask packs. In this study, colors of the mask pack package were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smeceutical mask packs was examined and the colors of package designs of 60 cosmeceutical mask pack produc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Color Syntax program. Color analysis of the mask pack package design revealed that the color strategy by functions such as singe function, double function, and triple function varies in the package design. Also, the chromatic color of the mask pack was mainly shown in the illustration part of package design and mostly the color of mask pack background was achromatic. Achromatic colors in the package design of cosmeceutical mask packs means that the mask packs have scientific features and they are reliable. The chromatic colors of the package design analyzed in this study showed the inform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mask pack such as moisture,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nutrition, vitality or soothing. This study provides a useful color strategy for cosmeceutical mask pack package design.

      • KCI등재

        청소년 직업카드를 활용한 학교 진로교육 수업의 효과성 분석

        노경란(Roh, Kyungran),서현주(Seo, Hyunju)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71 No.-

        이 연구는 학교에 기반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제공된 전문기관 보급형 직업카드와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를 중학생과 고등학생 비교의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2개 중⋅고등학교를 추출, 실험집단(중: 36명, 고: 26명)을 대상으로 3차시(3주)의 직업카드 활용 수업을 진행한 후 통제집단(중:37명, 고: 26명)과 비교분석하였다. 기초기술통계 분석 결과,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등에서 고등학생은 중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진로결정효능감에 있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업카드 활용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의 경우 직업카드를 활용한 교육적 개입이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달리 고등학생의 경우 직업카드를 활용한 수업 참여 후 진로정체감에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서는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using the commercial vocational cards for youths which has been developed by career professional organiz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compare the change of experimental group(62 students) after attending 3 hours career class with that of control group(63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high 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terms of career maturity,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while two groups do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career self-efficacy. On the one hand, to use vocational cards in the classroo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effective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On the other hand, a career education with vocational cards for high school student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o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except career ident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영산강유역 대형석실묘 출토 목관부속구의 변천과 의미

        이나은(Naeun Lee),서현주(Hyunju Seo) 한국고고학회 2024 한국고고학보 Vol.- No.130

        본고에서는 영산강유역의 대형석실묘에서 출토되는 관고리와 관정의 두부 형태, 목질흔, 석실 내 출토현황 등을 통해 개별 고분의 목관부속구 조합 양상을 살펴본 후 이를 비교하여 목관부속구에 따른 단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공주 왕릉원, 금학동고분군 등 웅진기 왕도 자료와 비교하면서 목관부속구의 변천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영산강유역 대형석실묘에서 출토된 목관부속구를 검토하고 목관부속구 조합 양상을 파악한 결과, 크게 무두정이 소수 사용되는 1단계, 관고리를 사용하지 않거나 무받침쇠관고리와 함께 주로 방두정계 관정이 사용되는 2단계, 원형관고리와 함께 원두정계 관정이 사용되는 3단계, 그리고 일부 지역에 한정되지만 방형관고리가 추가되며 원두정계 관정이 이어지는 4단계로 나누었다. 각 단계의 시기는 1단계 5세기 후엽, 2단계 6세기 전후~6세기 전엽, 3단계 6세기 중엽의 이른시기(웅진기말~사비기초), 4단계 6세기 중엽의 늦은시기로 추정된다. 영산강유역은 웅진기에 지역과 시기에 따라 목관부속구 양상이 차이를 보이는데, 웅진기 전반에는 나주 다시면일대에서 관정이 사용되어 이 지역세력이 일찍부터 백제와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웅진기 후반에 영산강유역의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왕릉급고분의 목관(부속구) 조합 양상이 장고분 등의 고분에서 나타나고 그 이후에도 중앙과 비슷한 변화를 보이며 영산강유역 내에서도 위계 차이가 나타난 점에서 이 지역의 고분 조영세력들은 백제 중앙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면서 왜와의 교류 등 다양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사비기를 전후하여 나주세지면일대에서 백제 중앙의 목관부속구가 나타나는 것도 주목된다. 목관 사용은 고분 매장의례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영산강유역에서 백제 왕릉급고분 등 중앙과 동일한 목관(부속구)를 사용했다는 것은 백제 중앙과 거의 동일한 매장의례를 행했음을 알려주는 단적인 자료로 추정된다. This paper presents the stages of the wooden coffin accessories of the large stone chamber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based on an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those wooden coffin accessories. In addition, through a comparison with examples from of the Baekje capital during the Ungjin period, the way in which the meaning of the wooden coffin accessories changed was observed. In the Ungjin period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wooden coffin accessories of different types were excavated, and it is believed that two to three coffins were generally used. The combination of wooden coffin accessories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s when headless nails were used; the second stage is when square-headed nails were used; the third stage is when circular coffin rings and round-headed nails were used; the fourth stage is when square coffin rings were added and round-headed nails continued to be used. It is estimated that the first stage is at the late of the 5th century, the second stage is early of the 6th century, the third and fourth stage is at the mid-6th century. The wooden coffin accessories excavated from Ungjin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differ in distribution pattern, and in the first half of the Ungjin period, such artifacts were identified in Dasi, Naju, and it is estimated that this area was related to Baekje from early on. In the late Ungjin period, the wooden coffins of the Baekje royal class tombs appear in the northern tomb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subsequently change in a similar manner. It is estimated that the groups that constructed the tombs in this region emerged through various roles, while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apital of Baekje. In addition,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Naju in the early Sabi period, a pattern of wooden accessory combinations similar to that of the Baekje capital appeared. The use of wooden coffins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burial ritual of ancient tombs, and it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wooden coffin accessories, that almost the same burial rituals as that of the capital of Baekje were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