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쿠베르탱의 올림피즘에 대한 탈식민주의 역사학 관점의 독해 I

        서재철(Seo Jae-chul)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ad Pierre de Coubertin’s Olympism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For this aim, two concepts such as‘Eurocentrism’as a geography-centered ontology and‘whiteness’as a racialized epistemology are utilized as crucial concepts through which critically interpret the way Coubertin conceptualizes Olympism as a cultural project in which Eurocentric mindset and white supremacy are embedded. To be more specific, this paper explores Coubertin’s Eurocentric view embedded in his essays and writings about Olympism in terms of its definitions, principles, purpose, values, and so on. About the nature of Olympism,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Coubertin established Olympism as a philosophical ethos based upon Hellenism, Humanism, athleticism, internationalism, and cosmopolitanism. In this paper, however, I claim, following a group of scholars who deconstruct Olympism from various aspects of critical insights, that all of such values can be also interpreted as a sign by which his historical philosophy is deeply rooted in Eurocentrism and whiteness prevailed in the modern European society. As a conclusion, it is discussed why Eurocentrism is problematic and how we critically take away its diverse issues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sport world history from the post/colonial perspective.

      • KCI등재

        영화를 통한 비판적 체육·스포츠 교육(학)의 가능성 탐색: 《4등》을 활용하여 예비(초등)체육교사의 비판적 스포츠 문해를 함양하는 문제제기 식 교수-학습의 한 방식

        서재철 ( Seo Jae Chul ),이영석 ( Lee Young Su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영화를 통해 비판적 체육·스포츠교육(학)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사항을 논의한다. 첫째, 스포츠영화를 비판적 교육(학)의 관점에서 읽고 다시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목적과 방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개진한다. Paulo Freire에서 시작하여 Henry Giroux를 거쳐 지금은 전 세계의 많은 교육(학)자들이 주목하여 탐구하고 있는 `비판적 문해`의 개념을 최의창(2013)이 주장한 `스포츠 리터러시`의 아이디어와 연관지어 `비판적 스포츠 문해`라는 소양 혹은 역량을 착안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이 소양을 함양하는 교육적 실제의 구체적인 방식으로 `문제제기식 교수-학습`의 원리와 성격을 요약적으로 정리한다. 둘째, 《4등》이라는 영화를 비판적 교육(학) 관점의 예비(초등)체육교사교육에 활용하는 방식을 두 가지 생성적 주제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하나는 영화 속 인물들을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면서 이야기의 구조와 과정을 비판적으로 읽고 해석하며 대화/토론하는 차원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영화가 문제화하는 스포츠세계의 폭력적 체벌과 1등 지상주의라는 사건 혹은 현상을 개인적 차원의 이슈로 단순화하거나 환원하여 받아들이지 않고, 개인과 구조가 관계하며 빚어내고 만들어지는 집합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으로 문제화하여 인식하는 입체적 안목을 함양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영화 밖 스포츠 세계 및 세상에 대한 읽기와 토론으로 나아가는 차원이다. 교사/교수와 학생 모두 `교육과정 비평가`가 되어 영화 속 스포츠이야기를 체육과 교육과정이 지시하는 `도전`과 `경쟁`의 가치와 연관지어 생각해보고, 나아가 학교교육 및 사회 체제 전반에 작동하고 있는 `(무한)경쟁`이라는 교육 담론 속에서 다시 사유해보는 것이다. 결론에서는, 비판적 체육·스포츠교육(학)의 가치와 비전을 함께 상상하고 탐색하는 공동의 여정을 제안하며 마무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fold. First, we discuss theoretical points in terms of why film can be a `good` source for teaching critical pedagogy-oriented classes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Especially, it mainly focuses on two concepts: one is what we call `critical sport literacy` which combined between Paulo Freire`s `critical literacy` and what Choi(2013) coined `sport literacy`and the other is about som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problem-posing dialogue` informed by Freire, as a method for teaching critical literacy. Second, we introduce a specific way to utilize films into critical teaching in elementary P.E. teacher education, selecting a Korean sport film 《4th place》 as well as demonstrating for what goal and how to design problem-posing dialogue for cultivating critical sport literacy. In short, two themes are detailed. One is a theme of how to conceptualize protagonists in the film as a social being not only considered their personal characters but also integrated their ways of living in social relations. The other is to critically think and interpret the value of competition represented in the film within the broad relations among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public school sports as a systematic institution of cultural practice, and the larger conditions of historical,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order to facilitate this point, teacher and students need to play a role of curriculum-critic in participating dialogue and discussions.

      • KCI등재

        ‘태권도 세계화’ 비전의 ‘코스모폴리탄’적 전환: 울리히 벡의 ‘세계시민적 현실주의’를 중심으로

        서재철 ( Seo Jae-chul ) 국기원 2018 국기원태권도연구 Vol.9 No.4

        이 연구는 ‘코스모폴리타니즘(cosmopolitanism)’, 즉 ‘세계시민주의’로 흔히 번역, 이해, 소통되고 있는 국제·정치적, 사회·문화적, 윤리·철학적 아이디어의 유의미성에 주목하고, 그것을 성찰적 사유의 렌즈로 삼아, 향후 국기원을 포함한 태권도 관련 집합적 주체들이 함께 추진할 필요와 가치가 있는 ‘태권도 세계화’의 ‘새로운’ 모습과 방향성을 제언하는 작업이다. 오늘날 태권도는 세계화된 현상 그 자체일 정도로 널리 전파, 확산되었지만, 태권도가 ‘세계화’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지, 태권도가 ‘세계화’된 세계사회의 모습과 성격은 무엇인지, 태권도가 세계화되는 현상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며 또 누구를 위한 ‘세계화’의 결과인지 등에 대한 규범적이고 윤리적인 질문과 문제제기는 여전히 제기되고 있지 않다. 이에, 이 연구는 ‘세계시민주의’라는 아이디어가 세계화 연구의 지형 속에 하나의 지적 화두로 등장하여 뜨겁게 논의되고 있는 흐름에 주목하고, 그러한 ‘코스모폴리탄’적 전망과 논의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학술적 영감의 안목과 통찰을 ‘태권도 세계화’의 비전과 연결하여 조망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먼저 세계시민주의의 담론 지형을 개괄하고, Ulrich Bec이 천착하여 기획한 ‘코스모폴리탄 비전’의 내용과 성격을 요약하여 제시한다. 이어서 태권도 세계화의 주제를 탐구한 학술적 지형을 정리해보고, Beck의 안목과 통찰이 왜 그리고 어떻게 유용한지 논의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필자는 오늘의 ‘세계화’ 현상을 문화적 ‘차이’와 ‘다양성’이라는 관점에서 직시하여 진단하고, 그것에 대한 윤리적 성찰을 바탕으로 하는 ‘태권도 세계화’의 비전을 새롭게 정초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즉 태권도를 통해 세계시민적 가치, 태도, 마음가짐 등을 꽃피우는 ‘세계사회’를 함께 꿈꾸며 같이 상상해보자는 것이다. 단언컨대 ‘태권도 세계화’ 비전의 ‘코스모폴리탄(cosmopolitan)’적 전환 혹은 확장이야말로, 태권도를 사랑하고 태권도의 ‘발전’을 꿈꾸며 염원하는 많은 세계인들이 함께 공감하고 공유할 필요가 있는 새로운 21세기형 ‘태권도 정신’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osmopolitan turn’ in which the vision of Taekwondo-Globalization is designed, implemented, and institutionalized toward a more ethical and normative way. Taekwondo as a Korean traditional physical culture has been globalized, and more than two hundred states are the members of the Kukkiwon, the headquarter of the World Association of Taekwondo. However, there still remains many unanswered questions and needed reflective discussions, such as how we define the phenomena that Taekwondo has been globalized, what its meaning is, why it is questioned in terms of value issues, for whom it exists, and in what way Taekwondo should be globalized and for whom? Reflecting and answering these questions, this study argues that the vision of Taekwondo-Globalization needs to be reconsidered in a cosmopolitan way in which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and diversity is fully incorporated into culture of world society. In order to comply with this argument, to be more specific, the present study lays out more details about the cosmopolitan vision of Taekwondo- Globalization, dividing into and focusing on two dimensions: 1) culture, in terms of how one need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that Taekwondo is globalized and what ethical issues and values are circulated into that cosmopolitan way in which a different and divergent cultures are interacted one another, and 2) education, in terms of what kind of cosmopolitan citizenship needs to develop, inculcated, and envisioned for the cosmopolitan society.

      • KCI등재

        ‘체육인’ 개념의 탄생에 대한 ‘개념史’적 해석: ‘자부심/긍지’와 ‘수치/부끄러움’의 서사를 통해 ‘자기-재현’하는 민족-국가적 주체의 체육적 표상(1945-1961)

        서재철 ( Jae Chul Seo ),정현우 ( Hyunwoo J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1 체육과학연구 Vol.32 No.2

        〔목적〕 이 연구는 ‘체육인’이라는 개념이 한국 사회와 스포츠 세계 속에서 매개하고 발산해 온 사회·문화적 의미의 역사성에 주목하여, 그것이 언어 및 담론의 지형 속에서 사용, 이해, 소통되어온 특정한 맥락과 양상을 ‘개념사(槪念史, conceptual history)’라는 역사연구의 접근을 통해 해석적으로 탐구하였다. 〔방법〕 자료 수집 및 방법과 관련해서,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체육인’으로 검색하여 총 338편의 기사(1945-1961)를 수집하였다. ‘체육인’이 등장하는 1945년 이전의 기사는 단 3건에 불과하였으며, 그것이 사용되는 맥락 역시 체육과 관련된 주체들을 단순하게 지시하는 경우라 분석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수집된 자료 중 ‘체육인’의 기표가 단순히 ‘체육과 관련된 주체’ 혹은 ‘체육에 종사하는 사람’ 등을 지시한 기사들을 배제하였고, 최종적으로, ‘체육인’의 개념이 특정한 서사 구조 속에서 의미 작용을 하는 140편의 칼럼형 기사들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결과〕 필자들의 주장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해방공간과 건국 초기 당시의 한국 사회는 국가건설의 주체로서 ‘국민’이라는 새로운 주체를 호명하고 있었는데, ‘체육인’의 개념은 그러한 주체화의 담론이 ‘체육’이라는 특정한 문화적 실제 속에서 매개되어 구성, 형성된 민족-국가적 주체의 ‘체육적’ 표상이다. 둘째, ‘민족/국민’에 대한 호명이 곧 그들에게 정체성을 부여하면서 주체를 구성해내는 과정이듯이, ‘체육인’의 등장과 그것의 호명 역시 특정한 집단적 주체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특정한 내용과 방식으로 구성하고 형성하는 자기-재현의 언어이다. 셋째, 이러한 ‘체육인’의 지배적 의미/이데올로기는 두 가지 대립적 감정이 공존하는 서사적 구조와 패턴으로 강화되었다. 한편으로, ‘체육인’의 개념은 체육과 관련된 주체들의 빛나는 성과와 업적을 표현, 확인하는 서사 속에 등장하면서 ‘자부심과 긍지(pride)’의 감정을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집합적 정체성을 정의하고 구축한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체육과 관련된 주체들의 부정적이고 불미스러운 사건과 행태들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서사 속에 등장하면서 ‘수치와 부끄러움(shame)’의 감정을 성찰하는 수사적 의식을 통해 다시금 ‘체육인’의 (긍정적인) 집합적 정체성을 재결속하고 재강화한다. 〔결론〕‘체육인’의 개념이 탄생하게 된 양상과 맥락의 내용과 성격 등을 요약함과 동시에, 아울러 한국의 역사 속에 자리하고 있는 체육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과 언어에 대한 ‘개념사’적 탐구가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과거 속의 체육·스포츠를 역사화하는 방식에는 비단 성공과 업적을 찬양하고 기념하는 자부심/긍지의 ‘(스포츠) 역사하기’ 뿐 아니라, 실패와 잘못을 되새기며 성찰하는 수치/부끄러움의 ‘(스포츠) 역사하기’도 필요하고 또 가치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ultural meanings of the concept of ‘Che-Yuk-In’ through a critical examination of how it was described, portrayed, and represented in the narratives of the mainstream newspapers in the early days of the nation(1945-1961). [Methods] As for the data collection and method, a total of 338 article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of "Che-Yuk-In" through the database provided by the Naver News Library. Sorting out them with the point of whether the concept simply denotes the number of players or the majority of athletes, for example, we select 140 column-type articles and analyzed how it serves as a linguistic element and what discourses were involved in the narratives. [Results] Our argument is twofold: 1) the concept of ‘Che-Yuk-In’ is a kind of self-representative terminology with which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who call themselves ‘Che-Yuk-In’, construct their collective identity into a particular type of the idealized subject, so-called sporting citizen, and 2) this construction consists of two functions: one is to share the emotion of pride by celebrating success and achievements of the sporting figures, and the other is to collectively reflect shame by criticizing negative incidents and controversies such as corruption, factional disputes, violent behaviors, which broke in the sporting practices. [Conclusions] With a brief summary, this paper concludes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in terms of how the shameful past should be embraced within the field of Korean sport history, and why a conceptual history of the ‘Che-Yuk-In’ might need to be further expand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중/공공스포츠역사학의 동향과 시사점 -스포츠박물관을 중심으로-

        서재철 ( Jae Chul Seo ),김방출 ( Bang Chool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스포츠역사학의 대중화라는 문제의식 아래 다음의 두 가지 사항을 논의한다. 먼저 미국과 서유럽에서 등장한 대중/공공역사학의 개념, 성격, 의의 등을 역사학의 역사철학적 관점(historiography)에서 요약하여 정리한다. 그 구체적 내용은 첫째, 역사학 밖의 대중을 역사하기의 독자 혹은 고객으로서 뿐만 아니라 역사하기의 새로운 주체로 받아들이는 열린 태도, 둘째, 과거는 어느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는 역사하기의 민주적 아이디어, 셋째, 역사적 작업의 본질을 과거를 재현하는 장르로 이해하는 역사인식이다. 다음으로 대중/공공역사학의 흐름이 북미와 유럽 중심의 스포츠역사 연구 공동체 속에서 어떻게 유입, 전개, 발전해왔는지를 소개한다. 대중/공공역사학에 대한 스포츠역사학자들의 관심이 스포츠박물관이라는 연구 주제 혹은 대상을 구심점으로 하여 표출되어 왔음을 주목하고, 그들이 수행한 역사적 작업들에 스며있는 문제의식, 역사철학, 방법론적 성격 등을 요약하여 정리한다. 결론에서는 한국의 현실 속에서 상상할 수 있는 대중/공공스포츠역사학의 가능성과 방향성에 대한 필자들의 입장을 피력한다. 근대역사학 패러다임의 실증주의적 역사관, 다시 말해 역사적 사실의 발견을 통해 과거의 스포츠를 객관적으로 복원하거나 검증하는 작업이 지배적인 한국 스포츠역사 연구의.문화’속에서, 대중/공공스포츠역사학은 과거의 스포츠를 이해하는 .태도.와 .정서.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키고, 나아가 과거를 재현하는 작업의 역사철학적 본질과 방법론적 쟁점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As an attempt to think about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sport history, this paper discusses three main things. First, it will be introduced what public/popular history is, how it has been developed, and why it is important to history as an academic discipline. Second, it will be summarized how sport historian embraced public/popular history into their practices in terms of what theoretical, critical, and methodological aspects they have focused. Third, I will discus why public/popular history is useful in the ways in which Korean sport history envisions its popularization in Korean society. To be more specific, I highlight two ideas: an insight for understanding sport history as a process and sport historians. role of critic. Based upon these two, I will argue that Korean sport historians might need to actively embrace practices of public/popular history into their studies of the Korean sporting past.

      • KCI등재

        인종 관련 북미 스포츠역사학 및 스포츠사회학계의 연구 동향

        서재철 ( Jae Chul Se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인종의 주제, 현상, 문제 등을 탐구해 온 북미 스포츠역사학과 스포츠사회학계의 연구 동향을 스포츠역사학의 역사철학 및 메타스포츠사회학의 관점에서 분석, 정리, 요약하여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인종관련 스포츠 연구들에 녹아 있는 문제의식, 역사·사회적 철학, 이론 및 방법론적 쟁점 등을 파악, 분석하고 그것들을 다시 지도화함으로써 북미 스포츠학자들이 천착한 학문적 접근과 태도의 흐름을 읽어내는 시도이다. 그 결과는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흑인선수들의 성공을 미화하고 찬양하는 저널리즘 기반의 대중적 논평 및 내러티브들, 둘째, 흑인 주체들의 스포츠관련 경험, 목소리, 정체성 등의 현상과 문제를 기록하거나 기념하는 작업을 통해 인종 문제에 기여하는 스포츠의 본질과 기능 등을 확인하거나 강조하는 초기 학술적 연구들, 셋째, 스포츠 세계에 나타나는 인종차별적 현상의 패턴, 양상, 실태 등을 발견하거나 조사하고 그원인과 배경을 설명하는 실증주의적 경향의 연구들, 넷째, 스포츠를 인종 관계의 맥락들이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문화적 장으로 인식하고 그 속에서 형성되고 매개되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미들을 해석적으로 읽어내는 비판적 패러다임의 문화 지향적 연구들이 있다. 끝으로 이러한 흐름들 중에서, 왜 비판적 패러다임의 문화 지향적 연구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지, 그러한 연구들의 등장이 북미 스포츠학계에 던지는 의미와 시사점 등은 무엇인지 등을 결론으로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p how sport sociologists and sport historians have engaged in the study of race and/in sport. Focusing on scholars with two communities of the North American Society for Sport Sociology & Sport History, it investigates themes, historical/sociological philosophy, theoretical/methodological issues that underpin their works. To be more specific, mainly four types of research are detailed: 1) popular narratives that mostly celebrate black athletes’ success in sport, 2) so-called the early academic works that highlight the positive role of sport in advancing the issue of race in relation to social justice, unification, equality, and so on, 3) a group of researches informed by the positivism, which attempt to discover, investigate, identify racially problematic phenomena, incidents, policies, or incidents and explain why they happen, what makes them problematic, and how to solve such matters, and 4) critical paradigm that orients cultural studies based researches that attemp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and race with focus on interpretive, theoretical, and reflective approaches. In conclusion, it is discussed why I pay attention to the critical paradigm, what it’s emergence means to the sporting academy, and in what ways we can embrace it into the Korean sporting academy.

      • KCI등재

        스포츠다큐드라마 연구를 통한 체육·스포츠역사학의 확장

        서재철 ( Jae Chul Seo ),김방출 ( Bang-chool Kim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9 체육과학연구 Vol.30 No.2

        [목적] 이 연구는 사실과 허구가 조합하여 공존하는 ‘다큐드라마’라는 특정한 장르의 출현에 주목하고, 과거의 스포츠를 다루고 재현하는 스포츠다큐드라마에 대한 학술적 관심과 탐구가 체육·스포츠역사학의 확장과 책무라는 관점에서 어떠한 가치와 유의미성을 제공하고 마련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는 문헌 연구로서 크게 세 가지 분야의 문헌들에 대한 비판적, 해석적 리뷰를 실시한다. 첫째, 역사적 (스포츠)영화의 역사성 혹은 비역사성을 논의, 주장, 제기, 검토한 (스포츠)역사학자들의 저서, 논문, 논평, 에세이들, 둘째, ‘다큐드라마’라는 장르를 구심점으로 형성되어 있는 소위 ‘다큐드라마 연구’와 관련된 문헌들, 셋째, 영상역사 혹은 영화적 역사하기의 가능성과 잠재성을 주목하고 새로운 시각문화 중심의 역사학을 지향하고 탐색, 논의하는 문헌들이다. [결과] 문헌 검토와 리뷰의 과정을 통해, 이 연구의 결과를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하여 제시한다. 첫째, 체육·스포츠역사학자들이 과거의 스포츠를 다루거나 재현하는 대중(문화)적 영상물에 대해 어떠한 지배적 관점을 가지고 비판적으로 지적하고 또 문제화하고 있는지를 북미와 한국의 사례로 구별하여 소개한다. 둘째, 역사적 영화가 생성, 매개, 제공하는 새로운 내용과 성격의 역사적 유의미성을 탐색, 논의한 연구들의 핵심 쟁점을 요약, 정리한다. 셋째, 다큐드라마 연구의 지형과 담론을 크게 세 가지 항목, 개념적 정의, 과거를 재현하는 모드로서의 성격, 문화적 기억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개괄하여 소개한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스포츠다큐드라마에 대한 학술적 관심과 탐구가 체육·스포츠역사학의 확장과 책무라는 비전과 명제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치와 유의미성을 제안하고 주장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y and how sports docudrama is one of the unique objects for the scholarship of sport history.[Methods] As a review stud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collects, and critically reviews three dimensions of the literatures: 1) ones that claim and argue for a-historicity of historical sport films by pointing out how they are full of actual errors, mistakes, and misrepresentation, and why they are problematic, 2) ones that belong to so called ‘the study of docudrama’ with specific focus on the themes of definition, mode of representation, and cultural memory, and 3) ones that attempt to envision the possibility of visual history or filmic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ography and some other epistemological issues.[Results] Following the above review method,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lso divided into three parts: 1) how sport historians respond to and criticize historical sport films from the sense based on the modern historiography, 2) how a group of historians argue why historical sport films can be one of the promising way of doing histories, 3) review of the study of docudrama, focusing on what is docudrama, why it can be a mode of representation, and how it resonates to cultural memory. [Conclusions] As a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a more collectively academic concerns to sport docudrama paves way for developing and envisioning the scholarship of sport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