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 및 성과에 대한 다차원적 인식 분석

        서우석(Seo, Wooseok),홍성표(Hong, Sungpyo),선곡유화(Seongok, Yuhoa),박정근(Park, Jeonggeun),박정희(Park, JungHee),김동정(Kim, DongJeo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22 진로교육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성과 및 발전 과제에 대한 진로전담교사, 일반교사 및 학교 관리자의 인식을 다차원적으로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의 중등 진로전담교사 482명, 일반교사 324명, 학교 관리자 51명을 대상으로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도, 중요도, 성과와 발전과제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진로전담교사의 직무 중요도와 수행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을 통해 개선 사항을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진로전담교사제의 성과와 발전과제에 대한 요구의 우선순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하여 세 집단 모두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진로전담교사 제도도입을 통해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가능해졌으며, 이러한 변화에 대해 구성원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진로전담교사의 직무 중 동료교사 및 학부모의 진로지도 역량 개발과 지역사회 네트워크는 점진적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전담교사제의 성과에 대해서 세 집단 모두 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과 개인 맞춤형 진로상담 활성화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진로전담교사제의 발전과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세 집단 모두 진로교육 예산과 환경 지원 그리고 학생 맞춤형 진로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대입제도 개선을 우선순위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전담교사의 원활한 직무 수행과 발전과제에 대하여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multidimens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career teachers, peer teachers, and principals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the career teachers, as well as the outcomes and development tasks of the educational system. To achieve this objectiv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job performance, importance, outcomes and task of improving system with 482 middle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324 general teachers, and 51 school princip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Specifically,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areer teachers were analyzed, and improvements were compared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ll three groups had a high perception of the job performance in the career education system. In common, systematic career education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career teacher system, and all the members evaluated this change positivel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eer guidance competency development of fellow teachers and parents and the community network needed gradual improvement among the career teachers’ duties. Third, regarding the outcomes of the career teacher system, all three groups presented improvement in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activation of personalized career counseling as important outcomes. As a result of requesting the development task of the career education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all three groups prioritized the career education budget, environmental support, and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which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centered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asks for job performance and system development of career teacher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장벽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선곡유화(Yuhoa Seongok),서우석(Wooseok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초등학교 고학년의 진로장벽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방법 사회인지진로이론(Lent et al, 1994/2000)의 선택모델 내에서 취급된 일원론의 진로장벽에 입각하여 잠재적으로 도출된 하위요인에 부합한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고 피험자의 사전 문항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여 초기 27문항의 예비 측정도구를 완성하였다. 예비 조사는 전국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 중 136부가 탐색적 요인분석(EFA)에 활용되었다. 본 조사는 예비 조사와 다른 집단을 전국에서 표집하였고 회수된 자료 중 236부(94.4%)가 확인적 요인분석(CFA)에 활용되었고 이를 통해 초등학생용 진로장벽 측정도구(Career Barriers Inventory, CBI)가 개발되고 체계적 타당화 절차가 수행되었다. 결과 첫째, 예비 조사 자료를 활용한 EFA를 통해 4가지 요인이 타당하게 추출되고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둘째, 본 조사 자료를 활용한 CFA 결과, 표준화된 회귀계수(ß)의 평가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3개의 문항이 발견되어 수렴타당도 확보를 위해 모두 제거하고 수정된 24문항의 측정모델 적합도 지수를 검토한 결과 판정기준을 모두 만족시켜서 최종 24문항의 초등학생용 CBI가 개발되었다. 셋째, 하위요인 간의 평균분산추출 값과 개념 신뢰도 값을 검토한 결과, 모든 평가기준을 지지하여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CBI의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자존감,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지지 변인을 준거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가 모두 부적으로 유의미하여 CBI의 공인타당도 역시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었다. 결론 사회인지진로인론에서 주장한 일원론의 진로장벽에 입각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장벽 개념과 하위요인을 밝혔으며, 체계적인 절차를 수행하여 초등학생 고학년용 CBI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develop a Career Barrier Inventory(CBI)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y its validity. Methods The concept of the career barriers were defined and sub-factors of the career barriers were derived based on the monistic view limited to contextual barriers(Lent et al., 1994/2000)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 preliminary scale of 27 items was developed through the expert’s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the subjects’ understanding of the prior item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ationwide, and 136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survey sampled a different group from the preliminary survey across the country, and 236 (94.4%)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in CFA, through which the optimal CBI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a systematic validation procedure was performed. Resul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EFA using preliminary survey data, four latent factor were validly extracted and reliability was secured. Second, as a result of CFA using the main survey data, three items with a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β) of .50 or less were removed and the goodness of fit index for the final CBI measurement model (24 items) were reviewed, and all were good. Thir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VE and C.R., of each sub-factor, all of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satisfied and the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s to verify criterion validity, the correlations among sub-factors of each variable were all significant. And the overall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final CBI, was found to be .912, and the reliability of each sub-factor was also confirmed to be good. Conclusions Based on the monistic career barriers advocated i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e concept and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dentified and a CBI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systematic procedure was develop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및 자기주도 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선곡유화 ( Seongok¸ Yuhoa ),서우석 ( Seo¸ Wooseo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이 연구 목적은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이하 CDC)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CDC Model을 초등학생에 적용하여 모델 적합도를 판정하고, 둘째, 초등학생 CDC Model 내의 관련 변인 간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검증하며, 셋째, CDC Model 내에서 나타나 는 초등학생 자기주도 학습의 매개효과를 확증하는 데 두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년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의 초등학교 6학년 8,59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CDC와 관련 변인의 측정도구의 신뢰도(Cronbach’s α .791~.931)는 각각 영호한 수준이었다. 자료 분석은 Windows SPSS 25.0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구조모형에 대한 관계 구명을 위한 구조방정식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초등학생 CDC Model의 적합도 지수는 제시한 판정기준을 모두 만족시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가 검증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CDC Model 내에서 관련 변인 간의 영향 관계는 모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CDC Model 내에서 진로교육 경험과 부모지지는 자기주도 학습을 매개로 CDC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CDC Model은 진로발달 특성에 차이가 있는 초등학생에게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 실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CDC 함양을 효과적으로 조력하기 위한 진로교육 경험, 부모지지, 자기주도 학습 간의 관계에 대한 함의를 논하고 이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career education experience, parent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of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analyz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he analysis data was us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Current Status Survey of Secondary Career Education of the KRIVET. Finally, the latest data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2018’s n=8,597) was mainly used. The statistics programs used for analysis are SPSS & AMOS version 25.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mong career education experience, parent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parent support had a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ird, career education experience, parent suppor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선곡유화 ( Seongok Yuhoa ),서우석 ( Seo Woo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으로 입증된 사회적 지지, 자존감, 자기효능감 및 대처효능감의 구조모델을 설정하고 모델의 적합도를 판정하고, 관련 변인 간의 직·간접적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청소년이었으며, 표본은 지역적 대표성 확보를 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소재한 21개 중·고등학교에서 유의표본 추출법으로 표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 212부 가운데 200부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으로 설정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모델 적합도는 이 연구의 판정기준을 충족시켰다. 둘째,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직접적 영향 관계가 모두 유의한 것이 입증되었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모델 내에서 자존감, 자기효능감 및 대처효능감의 개별 매개효과와 연속 다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장벽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끝으로 이 연구에서 검증된 진로장벽모델을 보다 다양한 특성을 가진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barriers(CB), social support(SS), self-esteem(SE), self-efficacy(SEF) and coping efficacy(CE) of the Korean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as set and investigated, and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within the model were identified. To collect dat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level of their perception of CB, SS, SE, SEF and CE using tools for measuring CB and related variables. The final 200 multicultural adolescents'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mong SS, SE, SEF, CE and CB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econd, it was proved that all the direct influence relationships among CB and related variables were significant within the CB Model. Third, the SE, SEF and 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partially mediated between SS and CB. Based on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대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선곡유화(Seongok, Yuhoa),서우석(Seo, Woo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대처효능감 척도(CES, coping efficacy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대처효능감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 개념 하에 적합한 총 74문항을 추출하고 초등교육 전문가와 척도 개발연구 전문가 간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예비도구를 선정하였다. 예비도구를 활용하여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문항이해도검사를 통해 총 27문항의 본 조사 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조사는 초등 고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분석은 236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우선 EFA 결과, 5개의 잠재 하위요인이 추출되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고 각각 문제해결 대처, 지원추구 대처, 긍정적 전환 대처, 회피적 대처, 감정표출 대처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CFA를 통해 최종적으로 총 23문항의 5요 인으로 구성된 CES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CES의 모델적합도 지수는 판정기준을 지지하였고 하위요인 간의 상관분석, 개념신뢰도, 평균분상추출 및 공인타당도 등을 검토한 결과, 모두 판정기준을 충족시켜 CES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증되었다. 끝으로 타당화 된 CES의 의의와 이 연구의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ES.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s and other existing scales, 74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and reviewed by experts.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em-scor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were implemented. The revised scale consisting of 27 items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another 2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the CES was finally developed, which consists of 5 factors and 23 items, including such factors as problem-solving coping, social support-seeking coping, positive conversion coping, avoidance coping, emotional expression coping. The EFA and CFA were performed in order to assess the construct validity. The 5 factor model was proved good fit to the data and all items had a significant effect to each construct from which it can be concluded that convergent validity is supported for all of the items. The relationships among sub-factors were examined and no strong relationship among them was found, supporting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is scale. The construct reliability index and average variance extracted index indicated good reliability of the this scale.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y and practic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