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8.15 직후 함흥지역 일본인 귀환단체의 조직과 활동

        변은진 ( Eun-jin Byun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9 일본공간 Vol.25 No.-

        이 논문은 8.15 직후 38도선 이북 일본인의 귀환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함흥지역의 귀환단체, 특히 함흥일본인위원회의 조직과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함흥에서 처음 조직된 귀환단체인 ‘함흥일본인세화회’는 구성이나 조직 형태면에서 식민지 조선의 사회관계를 그대로 반영하였다. 이러한 ‘국가주의적’ 성격으로는 38도선 이북의 달라진 정세에 대응할 수가 없었기에, 1945년 12월 3일세화회는 ‘함흥일본인위원회’로 전면 개조되었다. 그리고 일제패망 이전에 조선인과 동지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이소가야 스에지나 마쓰무라 기시오 같은 인물이 전면에 나서서 귀환단체를 주도함으로써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이들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조선 및 소련 측 관계기관과 소통과 협력에 주력하였다. 이를 통해 귀환 전까지 재류일본인과 피난민의 생활난 해결을 위한 각종 구제활동, 집단피난민의 대량 소개(疏開) 과정에서 발생한 ‘부평 문제’ 등의 일정한 해결, ‘북선전재자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집단탈출’ 방식의 귀환 추진 등의 당면 과제를 풀어나갔다. 그 결과 공식 인양 발표 전인 1946년 3~6월 사이에 함경남북도의 일본인과 피난민 다수가 귀환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합법적인 탈출은 조선 및 소련 측 관계당국의 ‘암묵적’이면서도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따라서 이 시기 함흥일본인위원회를 중심으로 추진된 ‘집단탈출’은 사실상 ‘반(半)합법적’인 성격을 띤 것이었다. 한편 이들은 산업기반 건설과 재건 없이는 조선인 동지들이 새로운 조국을 안정적이고 총체적으로 건설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판단 아래, ‘일본인 기술자 잔류’ 문제를 각종 지원을 받아내는 협상카드로 활용하기도 했다. 이는 조선인과 일본인 양측에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ummary of Organizations for Repatriation of the Japanese in Hamheung, especially Hamheung Japanese Committe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for repatriation of Japanese settlers in the north of the 38th parallel after the collapse of Japan in 1945. ‘Hamheung Japanese Sewakai’, which was organized for the first time in Hamheung, reflected the social relations of the colonial Korea in its composition. This nationalistic nature was unable to correspond to the changing situation in the north of the 38th parallel, and on December 3, 1945, Hamheung Japanese Sewakai was completely renovated into the ‘Hamheung Japanese Committee’. In addition, Isogaya-Sueji and Matsumura-Gisio who had forme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Korean people before the collapse of Japan, made a new moment of Hamheung Japanese Committee activities. Based on mutual trust, they focused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of Joseon and the Soviet Union. Through these efforts, it is possible to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various relief activities for residence of Japanese and refugees before returning to Japan, efforts to solve problems of Group refugees such as ‘bupyeong problem’, and the return of ‘Group escape’ method. As a result, a large number of Japanese and refugees from Hamkyung Province could return to Japan between March and June 1946, before the announcement of official Repatriation. This illegal escape was possible because of the ‘implicit’ and ‘active’ support of the Joseon and Soviet authorities. Therefore, the ‘Group escape’ by the Hamheung Japanese Committee at this time was semi-legal in fact. On the other hand, they have used the problem of ‘remaining of Japanese engineers’ as a negotiation card to receive various supports under the judgment that it is impossible for Korean comrades to construct a new Joseon without industrial-based reconstruction. This is a win-win for both Koreans and Japanese.

      • KCI등재

        유언비어를 통해 본 일제말 조선민중의 위기담론

        변은진(Byun Eun-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2 No.-

        일제말 전시파시즘기(1937~45) 침략전쟁의 확대와 총력전체제의 강화는 식민지 조선의 민중들에게 ‘일본국민’, ‘천황의 신민(臣民)’으로서의 자각을 강력히 요구했다. 일제당국은 조선민중들에게 ‘성전(聖戰)ㆍ승전(勝戰) 의식 만들기’를 위한 극단적인 여론의 조작을 강화해갔으며,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를 주창하면서 조선민족을 말살하는 정책들을 추진해갔다. 하지만 대다수 조선민중에게는 오히려 민족 간 차별을 부각되었고, 이는 당대 조선사회 내 위기담론 형성의 주된 근거와 배경이 되었다. 민중사회 내의 이러한 위기의식의 고조는 유언비어 등 각종 ‘불온언동’으로 표출되었다. 이러한 유언비어 유포 현상은 전쟁상황의 전개에 따라 점차 양적ㆍ질적으로 확대되어갔고, 이는 당시 일반 민중층의 심리상태와 담론구조를 파악하기에 용이하다. 민중층의 유언비어는 그 성격상 개개인의 이해관계나 신세한탄에서부터 독립과 건국에 대한 희망까지 매우 다양한 내용으로 표출되었다. 유언비어의 내용을 보면 시간이 흐를수록 전쟁에 대한 단순한 공포와 위기의식에서 일본의 패전, 즉 일제패망과 조선독립에의 희망을 반영하는 쪽으로 흘러갔다. 유언비어가 지니고 있는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식민지 전시파시즘’이라는 제한된 시ㆍ공간 속에서 유언비어는 민중들 간에 공동의 언로(言路)를 확보하여 조선인 내부의 결속을 강화하고 민족의식을 고무시키는 역할을 했던 것이다. 그런데 당시의 민중층의 유언비어 현상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이것이 당면 전쟁 국면에 대한 위기의식의 표출로서의 위기담론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일제패망이라는 또 다른 국면에 대한 간절한 희망을 표출하는 담론이었다는 점이다. 즉 당면 전쟁 정세를 바라보면서 도출된 민중층의 위기담론은 곧 위기극복담론으로서 희망담론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식민지 전시파시즘이라는 엄혹한 상황에서 유언비어의 만연 현상은 민중저항의 주요한 한 형태였으며, 보다 높은 수준의 민족운동이 진행될 수 있는 기층의 토대로서 의미를 갖는다. During the War-time Fascism(1937~1945) of the Japanese Occup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forced the people of Joseon an extreme manipulation of the public opinion to create the mode of the ‘Sacred War’ and ‘A War for Victory’, and various policies to eliminate the identity of Joseon people. But, this intent backfired as the people of Joseon became more aware of the discrimination they had to suffer between the people of Japan and the people of Joseon. Such wide spread awareness on the crisis was then caused an outburst of ‘rebellious speech and behavior’ like spreading a wild rumors. The rumors that were found among the people had very divergent characteristics, ranging from personal affairs or interests to the hope of independence and foundation of a new country. And, as the war closed to its end, the contents of the rumors changed from simple fears and the sense of crisis to stories about the defeat of Japan, that is, the destruction of Japanese empire and the independence of Joseon. In spite of various limitations rumors usually have, the rumors under ‘the War-time Fascism and Colony’ found its way among average Joseon people to create a shared flux of discourse, helping to establish and spread the awareness of an identity as Joseon people. By the way, what is the most important with the rumors was that it was not ‘discourse of crisis’ but ‘discourse of hope’ (to overcome the crisis). The spreading of the rumors was one of the major forms of people resistance and offered the basis for independence movement of higher levels.

      • KCI등재
      • KCI등재

        8·15 직전 국내 독립운동세력의 정세관과 건국준비운동

        변은진(Byun, Eun-ji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3

        8·15 직전 국내외 독립운동세력들 사이에서는 독립과 건국을 위한 구체적인 방략이 일치되어가고 있었다. 그것은 당면한 전쟁에서 결국 일제가 패망할 것이고, 그 ‘결정적 시기’에 국내외가 연합하여 무장봉기를 통해 조선독립을 완수하고 새로운 민주공화국을 건설한다는 것이었다. 이 시기 해외에는 연합국 진영에 속해 활동하던 한국광복군, 조선의용군, 동북항일연군 등의 조선인 군사력이 있었고, 국내에는 무장봉기를 일으킬 수 있는 민중들이 있었다. 이에 국내에서는 경성콤그룹을 비롯한 8·15 직전의 소규모 공산주의그룹들, 국내와 일본 각지에서 선진적인 민중들이 결성한 수많은 소규모 비밀결사들, 그리고 일제패망 직전에 이들을 아울러서 신국가 건설을 준비했던 건국동맹세력이 동일한 정세인식과 독립·건국방략에 입각해 다가올 국면에 대비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결정적 시기 무장봉기론’은 일제강점기 국내외 독립운동전선이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책이었다. 그런데 2차 세계대전의 결과로 조성되어간 정세는, 미국의 원폭 투하와 소련군의 참전으로 일본이 예상보다 빨리 항복했으며, 항복 즉시 총독부의 통치권은 조선인에게 이양될 수 있었고, 연합군 역시 이를 인정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건국동맹을 이끌던 여운형은 1945년 8월 시점에서 총독부로부터 치안권 등을 이양 받고, 굳이 무장봉기를 추진하지 않고 곧바로 임시정부를 수립해 연합국의 승인을 받는 방책으로 전환했다. 문제는 종전 이후 세계질서에서 냉전 대립의 조짐에 대해 당시 독립운동세력들이 인지해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분단을 방지하고 통합된 근대 국민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비책이 부족했다는 한계를 지녔다는 점이다. During World War Ⅱ, among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at home and abroad, It was going to be consistent with the specific strategies for independence and new nation-building.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three Korean military forces belonging to the Allied camp at abroad(Independence Army of Korea, Korean Volunteer Army, Korean Unit of The Northeast Anti-Japan Allies), and there were the people, which can cause an armed uprising in Korea. Thus, in Korea,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was preparing for the upcoming year based on the same specific strategies for independence and new nation-building, they were the small Communist groups including Gyeongseong Com-Group, small secret organizations of the people in Korea and Japan, and Chosungeonguk -Dongmaeng led Lyuh Woon-Hyung. By the way, these strategies was the best way to take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under Japanese domination. However, due to the US atomic bombing and the Soviet participation in the war, Japan surrendered sooner than expected. So Lyuh Woon-Hyung switched to a another strategy, such as taking over policing from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fter establishing an interim government immediately, subject to the approval of the Allied, without necessarily promoting an armed uprising. The problem was a lack of preparedness to prevent the division and establish a unified country, despite going to recognize the signs of the Cold War confrontation.

      • KCI등재

        일제 말 비밀결사운동의 전개와 성격, 1937~1945

        변은진 ( Byun Eun Jin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28 No.-

        Near the end of the facist Japanese Imperialism(1937~45), the Chosun peoples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ad a typical form where at least 200 members formed a small secret organization. This organizations movement was not properly developed despite the different conditions, as it was a spontaneous organization that prepared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nation stare development, it was the one of the first organization to pioneer the Chosun independence and it was their duty to organize and concentrate mass effort in independence and considering the core, balance, and……. During the 8 years or increasing fascism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 Japanese mobilized overall oppression over the Chosun people. The aspect of resistance by the secret organization was proportionate to the level of oppression towards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1. The diffusion and assurance of the defeat of the Japanese rule. 2. Expanding participation social classes. 3. Its ideological background and aim at strengthening nationalism. 4. The movement gradually shifted toward violence and preparation for armament was beginning. During this period, the secret organization was not well formed and the names it went by were very diverse. Partly due to organizations political and ideological levels, but more importantly, the organizations lack of organization was due to its participants unawareness of knowledge of theory, training i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education as well as their propensity to adopt what they deemed as elements of independence. Despite those problems, the secret organizations aim of nationalism remained intact as the Japanese defeat became more eminent while strengthening the organization. Appearance wise, there were no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because they were able to concentrate on their own common goal of national unity and their social consciousness allowed for them to form a united front. In general, the secret organizations activities were: 1. to provide internal support for propaganda and training, 2. to enlighten the Chosun people, 3. to implement terror and violence by weaponry, and 4. to provide field research for the establishment and reconstruction after achieving independence. Although the movement was speared along a small organization, it was not sector specific but a mass effort which not only included students but also laborers, farmers, workers-involving all social strata of classes. Despite the obstacles, the closer the emancipation neared, the armament of people took hold in order to pursue their goal through the organization.

      • KCI등재

        8·15직후 38도선 이북의 일본인 귀환단체 및 간부진 현황

        변은진(Byun, Eun-Jin)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0 No.-

        이 글은 1945년 일제패망 직후 38도선 이북지역 재조일본인의 귀환단체와 이를 주도했던 간부진의 전체적인 현황을 정리한 연구이다. 전후 일본사회에서 ‘공적 기억’으로 자리 잡은 피해자 일변도 인식의 배경이 된 38이북 일본인 귀환자들의 ‘고난의 탈출’ 체험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총 68개의 일본인 귀환단체(평안남북도 29개, 함경남북도 27개, 황해・강원도 12개) 현황을 파악하고, 총 286명의 간부진 명단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 간부들의 일제강점기 경력과 주요 활동분야를 조사하여 이를 기초로 분류해보았다. 그 결과 귀환단체 간부진의 다수는 경제인과 관직 종사자에 집중되어 있었다. 말하자면 과거 ‘식민자 사회’의 상층을 구성했던 집단이 일본인의 귀환활동을 주도했던 것이다. 관리가 중심이 된 초기의 귀환활동이 한계에 봉착하자 점차 교육자 등 민간의 유지들로 간부진이 교체되어갔다. 미군정이 점령한 38이남과 정세가 달랐던 38이북에서는 ‘소련-북조선-일본인’ 3자 간의 상호 소통과 조율이 필요했고, 이러한 측면에서 귀환단체 간부진의 일제강점기 경력은 중요한 변수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실질적인 교섭력과 통합력이 중요했다. This article is a summary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organization and its executives for repatriation of Japanese settlers in the north of the 38th parallel after the collapse of Japan in 1945. This process is summarized, a total of 68 organizations for Repatriation of the Japanese(29 organizations in North and South Pyongan Province, 27 organizations in North and South Hamgyong, 12 organizations in Hwanghae and Gangwon Province) and a total of 286 staff members. And I investigated the career of these executives and their major activities and classified them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s. As a result, many of these executives were concentrated in the businessmen and the public employee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group that formed the upper class of the "colonial society" in the past led the activities for repatriation of the Japanese. As soon as the early return activities centered on management were hit by the limitations, gradually, the executive staffs were replaced by the community leaders of civil society such as educators. In the north of the 38th parallel, which wa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south of the 38th parallel occupied by the US Military, it was necessary to communicate and coordinate between Soviet Army - North Korean – Japanese. In this respect, the executives" caree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as an important variable. The real bargaining power and solidarity were important.

      • KCI등재

        일제말(1937~1945) 각종 ‘불온문서’와 소규모 비밀결사

        변은진(Byun, Eun-Ji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2 No.-

        일제말 조선과 일본에서는 조선의 독립과 건국을 준비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된 수많은 소규모 비밀결사들이 존재했다. 이 결사들은 제일 먼저 조선인이 일제의 거짓 선전과 통제를 벗어나 민족의식과 독립의지를 고양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리고 그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택한 것이 각종 ‘불온’한 내용을 담은 삐라ㆍ격문의 배포와 투서ㆍ편지의 발송이었다. 삐라나 격문뿐만 아니라 투서나 편지도, 삐라 배포가 쉽지 않은 조건에서 자신의 주장을 알리고 일반 사회의 여론을 환기시키기 위해 당시 널리 이용되던 방법이었다. 이러한 행위는 문서 내용의 심각성 여부를 떠나 행위 자체만으로도 일제당국이 원하는 여론의 안정화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는 요소였고, 따라서 그 배후의 조직은 일제의 총력전체제를 와해로 이끌 대상으로 취급했다. 유언비어나 낙서는 단순하고 감정적인 언사들이 많은 반면, 삐라ㆍ격문ㆍ투서 등은 상대적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민족의식과 독립ㆍ건국에 대한 의지를 표현하는 편이었다. 소규모 비밀결사들에 주로 학생ㆍ노동자 등 청년층이 많이 참가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확인되는 ‘불온문서’ 역시 10~20대 청년층이 작성한 것이 많았다. 문서의 내용은 일제의 패망과 조선인의 민족적 각성, 조선독립을 추구하는 것, ‘내선일체’ 논리와 이에 기초한 각종 정책들에 대한 반발과 거부를 표현하는 것이 중심을 이루었다. Numerous small secret societies, formed voluntarily to prepare for the Joseon’s independence and nation building existed in Joseon and Japan during the latter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First and foremost, these secret societies made an effort to increase national consciousness and willingness to become independent casting away Japan’s false propaganda and control. The easiest method chosen to realize this goal was to distribute leaflets and manifestos and to dispatch anonymous letters and letters that include all types of ‘rebellious’ messages. Sending not only leaflets or manifestos, but also anonymous letters or letters was a method that was used widely back then to raise the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 in the society and to communicate views at a time when leaflet distribution was not easy. This act was considered an element that could severely threaten stabilization of the public sentiment that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wanted. That is, the act itself could threaten putting aside the seriousness of the message communicated. Accordingly, the organization ‘behind’ it was treated as the target who will lead Japan’s all-out war system to collapse. Rumor or scribble was too simple while filled with emotional words. Meanwhile, leaflets, manifestos and anonymous letters tended to express relatively high level national consciousness, and will towards independence and nation building. Because many young people including students and laborers participated extensively in the small secret societies, ‘rebellious documents’ that are confirmed to this day were often drafted by the young people in their 10s and 20s. Contents of the documents were centered on Japan’s collapse, self-reflection of the Joseon people, pursuit of Joseon’s independence, and opposition and refusal of all types of policies based on the logic of ‘NaeSeonIlChae (the concept that Japan and Korea are one).’

      • KCI등재

        38도선 이북 일본인의 식민지・귀환 경험과 기억의 표상 : 이소가야 스에지의 저술을 중심으로

        변은진(Byun Eunji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1945년 일제패망과 함께 일본으로 귀환한 재조일본인은 전후 일본사회 내에서 자신들이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라는 ‘기억의 역전’ 현상을 거쳤다. 그리고 이는 전후 일본정부의 태도와 정책에 힘입어 일본사회 내에서 ‘공적 기억’으로 자리 잡았다. 여기에는 38도선 이북지역 일본인의 ‘잔혹한 체험’과 ‘고난의 탈출’이라는 귀환 경험이 그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이 글에서 대상으로 삼은 이소가야 스에지라는 인물은 이와는 정반대로 일본사회 내에서 이러한 집단기억에 맞서서 정부와 시민사회를 향해 끊임없이 책임과 반성을 촉구했던 귀환 일본인이다. 그가 남들과 동일한 고난과 역경의 귀환 경험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피해자 인식에만 갇혀 있지 않고 오히려 ‘공적 기억’에 저항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유일한 비국민 일본인’이라는 그의 남다른 식민지 경험과 기억, 그리고 일본인의 귀환 활동을 주도하면서 겪은 민족과 국가를 뛰어넘은 동지애와 신뢰가 자리잡고 있었다. 그는 죽을 때까지 일제의 식민지배와 침략전쟁 그리고 전후의 한반도 분단과 그 고착화에 일본의 책임이 크다는 날카로운 지적을 끊임없이 일본사회에 던졌다. 귀환 후 자신의 경험과 기억을 정리한 이소가야의 저술들 속에서 강력하게 흐르고 있는 공통분모는 바로 휴머니즘이라는 가치였다. 그의 식민지 및 귀환 경험은 남다른 특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할지라도, 전후 일본사회에서 그것은 휴머니즘이라는 지극히 보편적인 가치로 발현되어왔다. The Japanese, who returned to Japan in 1945 due to the defeat of the imperial Japan, went through a reversal of memory phenomenon in post-war Japanese society that they were victims, not perpetrators. And it has become a public memory in Japanese society thanks to the postwar Japanese government s stance and policies. The return experience of Japanese people in the north of the 38th parallel, the brutal experience and the escape of hardship , served as a decisive opportunity in the process. However, the person named Isogaya Sueji, analyzed in this article, is a returning Japanese who constantly urged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to take responsibility and reflect on the collective memory in Japanese society. Despite his experience of returning to the same hardship and adversity as others, he was not confined to the victim s perception, but rather resisted the public memory, his extraordinary colonial experience and memory as “the only an unpatriotic Japanese”, and his comradeship and trust beyond the people and countries he experienced. Until his death, he constantly threw sharp criticisms to Japanese society that Japan was responsible for Japan s colonial rule, invasion war, and postwar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entrenchment. The common denominator that flows strongly in his writings, which summarizes his experiences and memories after his return, was the value of humanism. Although his colonial and repatriation experience had particularity, it has been revealed in Japanese society as a very universal value of humanism.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유교 단체 기관지의 현황과 성격

        변은진(Byun, Eunjin) 호서사학회 2020 역사와 담론 Vol.0 No.93

        일제강점기 중앙과 지방의 유교 단체는 자체 기관지를 편찬하여 회원을 비롯한 각지의 유림들에게 자기 단체의 활동을 소개하고, 각종 논설이나 강설을 통해 총독부의 시정 등을 유학 지식과 결합해 교양하고자 했다. 또 이 기관지들은 전국의 유림들이 작성한 시문 등을 발표할 수 있는 장으로도 기능하였다. 이렇게 유교 단체를 결성하고 기관지를 출판하는 행위와 이로써 유지 재생산되는 유림 사회의 다양한 모습 자체가 바로 전통적인 유교 문화의 근대적 변용과정을 잘 보여준다. 이 글은 일제강점기 중앙과 지방의 유교 단체에서 발행된 기관지 총 10종에 총 88개 권호의 전반적인 현황을 검토한 것이다. 경학원의 『경학원잡지』, 대동사문회의 『대동사문회보, 유도진흥회의 유도』, 조선유교회의 『일월시보, 조선유도연합회의 『유도』, 강원도유도천명회의 유도천명회보』, 전라남도유도창명회의 『창명』, 충남 홍성의 유교부식회에서 발행한 『인도』와 『유교부식회회보』, 개성명륜회의 『명륜』등을 대상으로 했다. 이 가운데 『일월시보』와 『인도』·『유교부식회회보』 정도를 제외한 모두는 관변적 내지 반관반민적 성격을 띠었다. 이 유교 단체 기관지들의 전체 면수를 합하면 9,000여 쪽에 달하며, 전체 상세 기사 건수는 6,600여 건에 달한다. 이를 대상으로 기관지의 전체적인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기사 종류의 구분, 언어별 현황, 주요 필진의 상황 등을 정리하였다. 언어별 현황을 보면, 전체 기사의 57%정도가 순 한문, 37% 정도가 국한문이었다. 이는 당시 유교 단체 기관지가 대중성보다는 일차적으로 유림 사회 내부의 지식과 정보 소통의 기능을 하고자 했음을 보여준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순 한글 기사도 시도되었고, 전시체제기에는 국한문은 배제되고 한문과 일본어로만 간행되었다. 또한 확인되는 필자의 중복을 배제하고 보면 총 2,300여 명인데, 이 가운데 470여 명은 적어도 2회 이상 중복으로 참여한 주요 필진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