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마지막 기회 」 를 통해 본 마티외의 변신

        변광배 한국불어불문학회 2000 佛語佛文學硏究 Vol.44 No.1

        Cette e´tude a pour objet d'e´clairer le sens de la me´tamorphose de Mathieu, personnage le plus important des Chemins de la liberte´, a` la lumie`re de La Dernie`re chance, dernier tome de ce roman. Bien qu'il occupe la place centrale dans L'Age de raison et Le Sursis, les deux premiers tomes de ce roman, Mathieu a re´ellement disparu a` la suite de la fameuse sce`ne de la lutte de´crite a` la fin de la I^(e`re) Partie de La Mort dans l'a^me qui en est le troisie`me. Apre`s sa disparition, il est toujours absent non seulement dans la II^(e`me) Partie de La Mort dans l'a^me, mais aussi Dro^le d'amite´, quatrie^me tome des Chemins de la liberte´. Il faut attendre, pourtant, la publication de La Dernie`re chance en 1981 afin d'assister a` sa re´apparution sur la sce`ne des Chemins de la liberte´. D'ailleurs, La Dernie`re chance nous fait savoir qu'il est blesse´ dans ladite lutte et qu'apre`s la gue´rison, il dirige, au camps de prisonniers, une organisation clandestine qui les aide a` s'e´evader. Il conduit me^me les membres de cette organisation a` assassiner Mou^lu qui tente, a` l'occasion de l'e´vasion de Brunet, de la de´noncer aux Allemands pour ses inte´re^ts purement personnels, c'est-a`-dire des cigarettes a` bout dore´. Or, ce qu'il faut remarquer, c'est que, par rapport a` Mathieu d'avant-guerre qui ressemble a` Roquentin de La Nause´e Mathieu d'apre`s-guerre est tellement diffe´rent qu'on ne reconnai^t plus l'un en l'autre. D'ou` la ne´cessite´ de regarder de pre`s sa me´tamorphose. Il nous semble que, vu du point de vue des activite´s de l'organisation clandestine et, surtout, de la violence faite a` Mou^lu, la me´tamorphose de Mathieu se caracte´rise notamment par le fait qu'elle porte en germe plusieurs notions, par exemple le serment, le groupe assermente´, la fraternite´, la Terreur-violence, etc., que Sartre va de´velopper plus tard dans la Critique de la raison dialectique. Compte tenu du fait que Mathieu est l'alter ego de Sartre lui-me^me, nous pouvons constater que ce qui s'applique a` la me´tamorphose du celui-a` s'applique aussi a` celui-ci. Bref, comme a` Sartre, la Deuxie`me Guerre mondiale et l'expe´rience de la vie au camps de pisonniers sont les deux e´le´ments qui permettent a` Mathieu de se me´tamorphoser en homme d'action et en celui de violen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탈주를 위한 미시정치적·분자적 전략 : 장 주네의 『하녀들』의 경우 Le cas des Bonnes de Jean Genet

        변광배 세계문학비교학회 200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 No.-

        Le principal objectif de cette e′tude est d'e′clairer la strate′gie micro-politique pour la fuite de Claire et de Solange, deux personnages majeures des Bonnes de J. Genet, notamment a` la lumie`re de Kafka : Pour une litte′rature mineure de G. Deleuze et de F. Guattri. Il est rare que les pie`ces the′a^trales de J. Genet soient e′tudie′es du point de vue de la litte′rature mineure. C'est tout re′cemment que ce genre d'e′tude a e′te′ fait me^me en France. L'ouvrage de D. Eribon, Une Morale du minoritaire : Variations sur un theme de Jean Genet, publie′ chez Fayard, en 2001, en est un exemple. Mais la litte′rature mineure peut se servir, semble-t-il, de bons moyens avec lesquels on tente de mettre au jour les caracte`res de la litte′rature mineure des pie`ces the′a^trales de J. Genet. En fait, G. Deleuze et F. Guattari de′finit la litte′rature mineure non pas comme celle d'une langue mineure, mais pluto^t comme celle qu'une minorite′ fait dans une langue majeure. Et les trois caracte`res de la litte′rature mineure sont, d'apre`s eux, la de′territorialisation de la langue, le branchement de l'imme′diat-politique (tout est politique dans la litte′rature mineure) et l'agencement collectif (tout y prend une valeur collective). Or on peut repe′rer facilement, dans Les Bonnes de J. Genet, les deuxie`me et troisie`me caracte`res de la litte′rature mineure donne′s ci-dessus. Claire et Solange s'efforcent de faire face a` l'opression re′elle de Madame en jouant alternativement le ro^le de Madame et celui de bonne dans le the′a^tre de the′a^tre. Dans ce jeu, elles veulent de′coder l'espace strie′ qui n'est que l'appartement de Madame, selon les de′sirs de cette dernie`re. Cette strate′gie peut se traduire, selon la terminologie de G. Deleuze et de F. Guattari, par le tracement des lignes de fuite. Et cette tactique peut e^tre conside′re′e comme micro-politique et aussi, mole′culaire dans le sens ou le but n'en est qu'a` de′territorialiser l'espace tre`s limite′. Peu importe ici de s'interroger si elle finit par l'e′chec ou le succe`s. Ce qui est significatif en elle, c'est pluto^t de dire qu'elle n'est pas indiffe'rente aux inte're^ts collectifs des bonnes, me^me si J. Genet nie le carcate`re social des Bonnes en expliquant comment jouer cette oeuvre. C'est en sens qu'on peut constater que cette dernie`re satisfait le troisie`me caracte`re de la litte′rature mineure. Par contre, il est assez difficile d'en discerner, dans Les Bonnes, le premier caracte`re qui n'est que la de′territorialisation du langage. Ce sera une ta^che a` remplir dans nos futures e′tudes qui se porteront non seulement sur Les Bonnes, mais aussi les autres pie`ces the′a^trales de J. Genet, notamment Haute surveillance, Le Balcon, Les Ne`gres et Les Paravents.

      • KCI등재

        사르트르와 68혁명 (II) - 마오주의자들과의 교류와 지식인관의 변모 -

        변광배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0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3 No.-

        사르트르는 68혁명에 깊이 관여했다. 그는 특히 이 혁명 이후에 마오주의자들과 교류하면서 그들로부터 작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 그 영향중 그의 지식인관의 변모가 두드러진다. 68혁명 전에는 ‘고전적 지식인’ 개념을 내세웠던 그는 이 혁명 이후에는 ‘새로운 지식인’ 개념을 내세운다. 피지배계급에 속하는 자들, 곧 대중들 위에서 군림하고 그들을얕보는 지식인 개념을 배척함은 물론이거니와 단지 그들과 ‘함께’하는것으로만 만족하는 고전적 지식인 개념 대신에 오히려 그들 ‘속에서’, 그들과 일심동체, 곧 ‘하나’가 되어 행동하는 ‘새로운 지식인’ 개념을내세운다. 심지어 사르트르는 68혁명 이후에 지식인 개념의 소멸까지내다보고 있기도 하다.

      • KCI등재후보

        ‘순수⋅참여문학’ 논쟁 재탐사-사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변광배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科學 Vol.0 No.5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it once again to the famous debate ‘pure literature-committed literature’ which took place in the years ’60-’70 in South Korea. One of the reasons why we decided to go back lies precisely in the fact that Qu’est-ce que la littérature?, Sartre’s central work that serves the basis of this debate, could not be understood on both sides that participated in this debate. In fact, this theoretical work contains in itself a very enigmatic statement : “There is only art for and by the others.” It could be rewritten in the context of literary theory : “There is only literature for and by the readers.”It seems that the first aspect of this statement corresponds to Sartre’s literary salvation, that is to say that of a pure literature or the literary religiosity and the second, that of literary engagement which emphasizes the emancipatory function of the act of writing. Nevertheless, these two aspects of Qu’est-ce que la littérature? could not be adequately captured by the participants of the debate ‘pure literature-committed literature’. Those who supported the pure literature have neglected the aspect of literary engagement of this book, namely that of ‘literature for the readers’, while those who claimed literary engagement have not done justice to the look of ‘pure literature’. From this stems indeed are derived two needs : the one is to visit once again to this debate which can be considered as one of our country’s morbid symptoms of ’60-’70 years and the other is to review the real history of this debate and reassess all studies about this debate. 이 글의 주된 목적은 1960-1970년대 우리나라에서 벌어졌던 이른바 ‘순수참여문학 논쟁’에 대한 재탐사이다. 이 문학논쟁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없을 성싶다. 하지만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제기하면서 이 글에서 이 문학논쟁을 다시 한 번 검토하고자 한다. 실제로 이 문학논쟁의 기저에는 20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참여작가이자 참여지식인이었던 사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가 놓여 있는데, 이 저서에는 전문 연구자들도 어렵다고 느낄 정도로 상당히 어려운 내용이 담겨 있어, 과연 이 문학논쟁에 참가한 들이 이 저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논쟁에 임했을까 하는 의문이 그것이다. 특히 이 저서에 포함된 “타자를 위한, 타자에 의한 예술(문학)만이 있을 뿐이다”라는 문장이 이 저서의 이해를 가늠하는 열쇠에 해당하는데, 과연 이 문장이 그들에 의해 충분히 이해되었을까 하는 의문이 그것이다. 이 문장에서 볼 수 있는 ‘타자에 의한 예술(문학)’은 분명 사르트르가 문학에 부여한 종교성, 즉 문학을 통한 구원의 가능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반면, ‘타자를 위한 예술(문학)’은 참여문학, 곧 문학이 갖는 해방적 기능과 이의제기 능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측면은 순수참여문학 논쟁에서 제대로 고려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순수문학 옹호자들은 ‘타자를 위한 예술(문학)’의 측면을 경시했고, 참여문학 옹호자들은 반대로 ‘타자에 의한 예술(문학)’의 측면을 직시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문학논쟁을 <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한 재검토의 필요성과 이 문학논쟁에 대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에 대한 종합적 재평가의 필요성이 그것이다.

      • KCI등재

        사르트르와 수동성의 암초

        변광배 한국현상학회 201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82 No.-

        Titles such as ‘the philosopher of consciousness’ or ‘the philosopher of freedom’ are familiar with Sartre. Concepts such as spontaneity, activity, change, etc. are the nucleus of his philosophy. Not to fall in the abyss of death, human beings must constantly ‘se projeter’ in the future. However, the concept of passivity or captivity occurs tenaciously in Sartre's thought. Based on the philosophy of consciousness and freedom, he tries to establish his own anthropology. He strives to overcome the passivity or the captivity that constantly puts himself in trouble in his philosophical road. This article provides a chance to better measure the width and depth of his philosophy by presenting his another figure which is captured by passivity or captivity. ‘의식의 철학자’, ‘자유의 철학자’ 등의 칭호는 사르트르에게 익숙하다. 이런 칭호가 ‘공식적’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실제로 자발성, 자유, 운동, 변화, 실천 등과 같은 개념은 그의 사유의 중핵에 해당한다. 죽음에 의해 가로막혀 더 이상 변신하는 것이 불가능할 때까지 인간은 자신을 ‘기투’해야 한다. 이와 같은 당위적이고 실존적인 기투가 그의 주체적, 능동적 삶의 기저에 놓여 있다. 하지만 사르트르의 사유에서 ‘수동성’, ‘사로잡힘’ 개념은 끈질기게 나타난다. 의식의 자발성, 자율성, 투명성이 확보되었다고 여겨지는 『존재와 무』에서조차 이 두 개념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 그는 의식의 철학, 자유의 철학을 바탕으로 그만의 ‘인간학’을 정립해나간다. 그는 그 과정에서 그를 끊임없이 곤경에 빠뜨렸던 수동성과 사로잡힘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 글에서는 이런 노력에 주목하면서 그가 의식, 자유의 철학에 입각한 인간학의 정립에 이르는 길이 마냥 순탄하지만은 않았다는 사실을 제시하는 한편, 수동성, 사로잡힘의 포로가 된 그의 또 다른 모습을 확인함으로써 그의 철학의 폭과 깊이를 더 잘 가늠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사르트르, 마르크스와 프로이트 사이: ‘종합적 인간학’을 위한 ‘방법’의 문제를 중심으로

        변광배 한국하이데거학회 2016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42

        사르트르의 평생의 화두는 인간에 대한 이해였다. 이를 위해 그는 존재와 무에에서는 이른바 3H로 지칭되는 헤겔, 후설, 하이데거의 영향 하에서 ‘현상학적존재론’에 의지하고, 변증법적 이성비판에서는 실존주의, 마르크스주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종합해 정립된 ‘전진-후진적 방법’에 의지한다. 사르트르는 존재와 무에서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이 방법의 윤곽을개략적으로나마 제시한다. 하지만 ‘전진적 방법’에서 미비점이 현저하게 드러난다. 한 인간이 자기 자신의 삶에서 결정적 의미를 가진 사건을 겪은 후에 이루어지는여러 선택의 의미를 파악하려면 그가 처한 사회, 역사적 상황이 고려되어야 한다.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사르트르의 관심은 ‘사회성’과 역사성’을 가진 구체적 인간으로 이동한다. 이 글에서는 변증법적 이성비판의 서론에 해당하는 「방법의문제」를 중심으로 사르트르의 인간 이해를 위한 방법의 문제를 천착한다. 이는 곧그가 목표로 했던 ‘종합적 인간학’을 위한 방법의 이해에 다름 아니다. 이와 같은연구를 통해 우리는 사르트르의 전체 사유에서 마르크스와 프로이트가 차지하고있는 비중과 위치를 정확하게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Une des idées majeures qui hantent Sartre durant toute sa vie est justement de répondre à la fameuse question suivante : qui est l'homme? Cette question est par ailleurs sous-jacente dans sa déclaration : “J'ai la passion de comprendre les hommes.” Pour bien assumer cette gigantesque tâche, Sartre fait réellement appel à l'ontologie phénoménologique dans L'Etre et le néant en s'appuyant surtout sur Husserl et Heidegger. Ce faisant, il s'est plutôt intéressé à la réalité humaine qui ne veut pas tourner la roue de l'Histoire et qui préconsie l'esthétique de l'opposition. Sartre se bascule pourtant vers l'homme concret qui se trouve à l'horizon historico-social après la Deuxième Guerre mondiale en découvrant la lutte des classes et le marxisme. De cette conversion radicale découle la modification de la méthode avec laquelle il tente de comprendre l'homme. C'est notamment dans Questions de méthode suivi de la Critique de la raison dialectique que Sartre esquisse la méthode progressive-régressive qui est d'ailleurs un noyau dur de son anthropologie synthétique. Cette méthode est déjà figurée sommairement dans la psychanalyse existentielle établie sous l'influence de la psychanalyse freudienne dans L'Etre et le néant. Il faut pourtant attendre la parution de Questions de méthode pour que Sartre puisse mettre en pleine lumière cette méthode en se tournant vers Marx et Freud. D'où la nécessité réelle de regarder de plus près le processus de l'établissement de cette méthode dans l'univers philosophique de Sart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