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혈액종양 질환 환자에서 발생한 침습성 폐 국균증의 수술적 치료 -2예 보고-

        범민선,나국주,송상윤,김병표,박정민,이교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1

        The mortality rate of the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to be able to developed during chemotherapy induced myleosuppressionin is high in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despite antifungal treatment. Effective antifungal treatment combined with operation can decrease the mortaligy rate of the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Recently, we experienced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two cases of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i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through effective antifungal treatment and surgical resection. We report this cases with review of literature. 혈액종양 질환 환자에서 항암요법에 의한 골수기능 저하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습성 폐 국균증은 항진균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높다. 적절한 항진균제의 사용과 함께 수술적 절제가 침습성 폐 국균증의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 저자들은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진단된 환아 2명에서 침습성 폐 국균증을 효과적인 항진균제와 함께 수술적 절제를 통해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치험하였다.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Acute Thrombotic Occlusion of Left Internal Jugular Vein Compressed by Bypass Graft for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Debranching Procedure

        심형태,범민선,김성룡,류상완 대한흉부외과학회 201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7 No.6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has become a widespread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thoracic aortic aneurysm. The debranching of arch vessels may be required to provide an acceptable landing zone for an endovascular stent graft. We report a case where the bypass graft used in the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procedure compressed the left internal jugular vein, causing acute thrombotic occlusion.

      • KCI등재

        흰쥐에서 출형성 쇼크 후 회복 시 저체온법 및 수액 치료에 따른 폐장의 염증성 변화

        장원채,범민선,정인석,홍영주,오봉석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12

        배경: 출혈성 쇼크는 허혈 시 발생하는 산소산화물 등에 의해 체내에 여러 가지 염증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각 장기의 기능부전을 초래한다. 특히 폐장은 허혈 시 조기에 폐포 세포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부종, 염증세포의 침윤 및 출혈 등이 일어나 호흡부전증을 초래한다. 또한 출혈성 쇼크 시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수액 요법은 간질의 부종을 일으켜 폐장의 기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이다. 따라서 출혈성 쇼크 후 폐장의 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폐장의 염증 반응을 줄이고 폐부종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300∼350 gm 정도의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경정맥을 통해 약 3 mL/100 g의 혈액을 제거하여 평균 경동맥압 35∼40 mmHg의 출혈성 쇼크 상태(I 단계, 60분)를 유도하고 유지한 후, 제거한 혈액을 재주입하고 수액요법을 실시하여 평균 경동맥압을 80 mmHg로 유지하는 소생 상태(II 단계, 60분)를 시행한 후 약 3시간 정도 경과를 관찰(III 단계)하였다. 실험동물은 3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I군(n=10)은 I 단계 시 직장체온을 37 1oC로 유지하고 II 단계에서 린저액을 이용하여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II 군(n=10)은 I 단계 시 직장체온을 33 1oC로 유지하고 II 단계에서 린저액을 이용한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III 군은 I 단계 시 33 1oC로 체온을 유지하였고 II 단계에서 5% 알부민액을 이용하여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각 군 모두 실험 전, I, II, III 단계 후반에 혈류역학적 인자(심박수, 평균 경동맥압), 동맥혈 가스 분석, 혈청내 포도당과 LDH, I, II 단계의 투여 수액양,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Interleukin (IL)-8을 측정하였고, 조직검사를 통해 염증반응의 정도를 조직학적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I 군의 4예를 제외한 26예가 III단계까지 생존하였다. 각 군 간의 평균 경동맥압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 1단계에서의 채혈량은 I 군은 3.2 0.5 mL/100 g으로 II, III 군의 3.9 0.8 mL/100 g, 4.1 0.7 mL/100 g에 비해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0.05). II 단계에서의 투여 수액량은 I 군 28.6 6.0 mL, II 군 20.6 4.0 mL, III 군 14.7 2.7 mL로 각 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혈청내 칼륨 농도는 I 군에서 II 군에 비해 소생술 후 의의 있게 높았으며(p<0.05), 포도당 농도는 II 단계의 I 군에서 타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았다(p<0.05). IL-8은 I 군 1,834 437 pg/mL, II 군 1,006 532 pg/mL, III군 764 302 pg/mL로 I 군에서 II 및 III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폐조직의 조직검사를 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포 점수에서 III 군이 1.6 0.6으로 I 군 2.8 1.2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압력 조절형 출혈성 쇼크 모델에서 시행한 저체온법은 정상체온을 유지하고 있는 군에 비해 쇼크 상태에서의 기초대사량을 줄여줌으로써 허혈에 의한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저체온법은 수액의 사용량을 줄여주고 IL-8 등의 싸이토카인 분비를 억제시키며 백혈구의 침윤을 줄여줌으로써 쇼크 후 폐장의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저체온법을 시행한 군에서도 투여하는 수액을 달리함으로써 폐장의 염증변화나 손상이 차이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세심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Modified Surgical Intervention for Extensive Mitral Valve Endocarditis and Posterior Mitral Annular Calcification

        김관식,범민선,김성룡,김나래,장지욱,장미희,류상완 대한흉부외과학회 201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9 No.1

        The concomitant presence of posterior mitral annular calcification and infectious mitral valve lesions poses a technical challenge with considerable perioperative risk when using previously proposed techniques for mitral valve surgery. Herein, we report a case of the use of a modified surgical technique to successfully treat a patient with mitral infective endocarditis complicated by a subendocardial abscess and extensive posterior mitral annular calcification.

      • KCI등재

        Neurologic Outcomes of Preoperative Acute Silent Cerebral Infarction in Patients with Cardiac Surgery

        심형태,김성룡,범민선,장지욱,김나래,장미희,류상완 대한흉부외과학회 201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7 No.6

        Background: Acute cerebral infarction is a major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neurologic complications in cardiac surgery. However, the outcomes associated with acute silent cerebral infarction (ASCI) have not been not well established. Few studies have reported the postoperative outcomes of these patients in light of preoperative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I). We studied the postoperative neurologic outcomes of patients with preoperative ASCI detected by DWI.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32 patients with preoperative ASCI detected by DWI. None of the patients had preoperative neurologic symptoms. The mean age at operation was 68.8±9.5 years. Five patients had previous histories of stroke. Four patients had been diagnosed with infective endocarditis. Single cerebral infarct lesions were detected in 16 patients, double lesions in 13, and multiple lesions (>5) in three. The median size of the infarct lesions was 4 mm (range, 2 to 25 mm). The operations of three of the 32 patients were delayed pending follow-up DWI studies. Results: There were two in-hospital mortalities. Neurologic complications also occurred in two patients. One patient developed extensive cerebral infarction unrelated to preoperative infarct lesions. One patient showed sustained delirium over one week but recovered completely without any neurologic deficits. In two patients, postoperative DWI confirmed that no significant changes had occurred in the lesions. Conclusion: Patients with preoperative ASCI showed excellent postoperative neurologic outcomes. Preoperative ASCI was not a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neurologic deterioration.

      • KCI등재

        심낭 압전을 유발한 심장혈관증 1예 보고

        장원채,김병표,최용선,범민선,오봉석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3

        Cardiac hemangioma is an extremely rare benign tumor. A 65 years old woman was admitted due to epigastric and chest pain. After we confirmed cardiac tamponade with right atrial mass by chest CT, we performed surgical resection of the mass and identified hemangioma with c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 on pathologic examination. Therefore, we report the case with literature review. 심장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매우 드문 양성 종양이다. 본원에서는 상복부 및 흉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65세 여자 환자에서 시행한 전산화 단층 촬영상 심낭 압전과 함께 우심방 종괴를 발견하고 수술절제를 시행하여 조직 검사상 유두상 내피세포 증식증을 가지고 있는 혈관종을 발견하였다.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에 있어 유리 이식편으로 사용된 골격화 우위대망 동맥의 효용성

        류상완,안병희,홍성범,송상윤,정인석,범민선,박정민,이교선,류상우,윤주식,김상형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9

        배경: 조직학적 장점과 생리학적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자들은 완전동맥도관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 시행 시에 골격화 방식으로 체취한 우위대망동맥을 유리 이식편으로 사용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골격화된 우위대망동맥을 조합도관이나 연장도관으로 사용하는 것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골격화 우위대망동맥을 유리 이식편(연장도관 22명, 조합도관 107명, 기타 4명)으로 사용하여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했던 133명(43 여자, 평균연령 61.8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상동맥 조영술을 수술 직후(중간값 14일, 86명), 초기(중간값 366일, 56명) 그리고 중기(중간값 984일, 29명)에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조기 사망 3명(2.2%)이었고 만기 질환 연관성 사망이 4명(3.3%)였다. 환자 당 평균 문합수는 전체 3.34개였으며 우위대망동맥은 1.92개였다. 수술직후, 초기, 중기의 우위대망동맥 개통률은 각각 157/159 (98.7%), 105/112 (93.7%), 50/56 (89.3%)였다. 외래 관찰 중 4명의 환자가 우위대망동맥의 문합부 협착 또는 경쟁혈류에 의해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골격화 우위대망동맥 유리 이식편은 개통률 및 임상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비록 대상환자들의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하겠지만 저자들은 골격화 우위대망 동맥 유리 이식편이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에 있어 효용성 있는 선택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To maximize the histological advantage and minimize the physiological disadvantage, we have been using the skeletonized gastroepiploic artey (GEA) as a free graft for total arterial revascularization.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icacy of the skeletonized GEA as a composite or extended graft for total arterial revascularization. Material and Method: Between January 2000 and Feburary 2005, 133 patients (43 female, mean age=61.8 yr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with a skeletonized GEA as free graft (22 extended, 107 composite and 4 othe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oronary angiograms were performed in the immediate (median 14 days, n=86), early (median 366 days, n=56) and midterm (median 984 days, n=29) postoperative periods. Result: There were 3 (2.2%) early and 4 (3.3%) late cardiac-related deaths. The mean number of distal anastomoses per patient was 3.34 for total graft and 1.92 for GEA graft. The immediate, early, and midterm GEA patency were 157/159 (98.7%), 106/112 (94.6%), and 53/56 (94.6%), respectively. During follow-up, four patients required percutaneous intracoronary intervention because of GEA and target coronary artery stenosis or competitive flow. Conclusion: These data demonstrate satisfactory clinical and angiographic results in the skeletonized GEA as free graft for total arterial revascularization. Although we need a careful longer follow-up, the skeletonized GEA as a free graft will be a valuable option ‘to be’ for CABG.

      • KCI등재

        Maze 수술 후 동율동 및 좌심방 수축능 회복에 대한 좌심방 부피 감소 성형술의 영향

        홍성범,안병희,류상완,정은경,정인석,범민선,박정민,이교선,김상형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11

        Background: The Maze procedure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treatment for atrial fibrillation. However, the sinus conversion rates decreased due to several factors, especially enlarged left atr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ze procedure with left atrial volume reduction plasty on rheumatic mitral valve disease. Material and Method: From December of 2001 to July of 2004, 45 patients received mitral valve and Maze operation. The patients were placed in either group 1 or group 2, based on the left atrial volume reduction plasty. The presence and onset of sinus rhythm and the incidence of trans mitral A waves were monitored during the postoperative 7 days and throughout the follow up period of 3 and 6 months. Mean follow up periods were 15.8 10.1 months in group 1 and 6.1±2.7 months in group 2. Result: The sinus onset were 9.88±12.2 days in group 1, and 1±3.6 days in group 2 (p<0.01). The sinus conversion rates in the group 1 and 2 were 65%, 75% (p=0.07) in the postoperative 7 days, 70.5%, 100% (p<0.01) at postoperative 3 months, and 93%, 100% (p<0.01) at postoperative 6 months, respectively. The wave detection rates in the postoperative 7 days were 31.2% and 63.6%, and continued to improve over time to 83.3% and 100% by 6month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aze procedure with left atrial volume reduction plasty is effective for inducing sinus rhythm and for restoring left atrial contractile function after concomitant rheumatic mitral valve surgery. However further follow up of this patients for long time is necessary. 배경: Maze 술식은 심방 세동의 치료에 있어 중요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몇가지 요인, 특히 좌심방 크기가 클수록 전환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류마티스성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 세동 환자에서 좌심방 부피 감소 성형술과 함께 시행한 Maze 술식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2월부터 2004년 7월까지 류마티스성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한 심방 세동에 대해 총 45명의 환자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좌심방 부피 감소 성형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를 1군, 시행한 경우를 2군으로 구분하고, 수술 후 7일, 3개월, 그리고 6개월에 동율동 전환과 A파 발견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1군과 2군에서 각각 15.8 10.1개월, 6.1 2.7개월이었다. 결과: 수술 후 동율동 전환 기간은 1군과 2군에서 각각 9.88 12.2일, 1 3.6일(p<0.01)이었다. 동율동 전환율은 1군과 2군에서 각각 수술 후 7일에 65%, 75% (p=0.07), 수술 후 3개월에 70.5%, 100% (p<0.01), 수술 후 6개월에 93%, 100%(p<0.01)였다. A파 발견율은 1군과 2군에서 수술 후 7일에 31.2%, 83.3%, 3개월에 63.6%, 100%, 6개월에 71.4%, 100%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류마티스성 승모판 질환에 동반된 심방 세동 환자에서 좌심방 부피 감소 성형술과 함께 시행한 Maze 술식이 수술 후 동율동 전환율이나 좌심방 수축능 회복에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향후 대상 환자들에 대한 중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SCOPUSKCI등재

        감염성 승모판 심내막염의 중단기 수술 성적

        안병희,전준경,유웅,류상완,최용선,김병표,홍성범,범민선,나국주,박종춘,김상형,Ahn, Byong-Hee,Chun, Joon-Kyung,Yu, Ung,Ryu, Sang-Wan,Choi, Yong-Sun,Kim, Byong-Pyo,Hong, Sung-Bum,Bum, Min-Sun,Na, Kook-Ju,Park, Jong-Chun,Kim, Sang-Hyu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1

        Background: Infective endocarditis shows higher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than other cardiac diseases. The vast majority of studies on infective endocarditis have been made on aortic endocarditis, with little attention having been paid to infective endocarditis on the mitral valv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spects and operative results of infective endocarditis on the mitral valve. Meterial and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23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s for infective endocariditis on the mitral valve from June 1995 to May 2003. Among them, 2 patients suffered from prosthetic valvular endocarditis and the other 21 from native valvular endocarditis. The subjects were evenly distributed age-wise with an average age of 44.8$\pm$15.7 (11∼66) years. Emergency operations were performed on seventeen patients (73.9%) due to large vegetation or instable hemodynamic status. In preoperative examinations, twelve patients exhibited congestive heart failure, four patients renal failure, two patients spleen and renal infarction, and two patients temporary neurological defects, while one patient had a brain abscess. Based on the NYHA functional classification, seven patients were determined to be at Grade II, 9 patients at Grade III, and 6 patients at Grade IV. Vegetations were detected in 20 patients while mitral regurgitation was dominant in 19 patients with 4 patients showing up as mitral stenosis dominant on the preoperative echocardiogram. Blood cultures for causative organisms were performed on all patients, and positive results were obtained from ten patients, with five cases of Streptococcus viridance, two cases of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one case each of Corynebacteriurn, Haemophillis, and Gernella. Operations were decided according to the AA/AHA guidelines (1988).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7.6 $\pm$23.3 (1 ∼ 97) months. Result: Mitral valve replacements were performed on 43 patients, with mechanical valves being used on 9 patients and tissue valves on the other 4. Several kinds of mitral valve repair or mitral valvuloplasty were carried out on the remaining 10 patients. Associated procedures included six aortic valve replacements, two tricuspid annuloplasty, one modified Maze operation, and one direct closure of a ventricular septal defec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two cases of bleeding and one case each of mediastinitis, low cardiac output syndrome, and pneumonia. There were no cases of early deaths, or death within 30 days following the operation. No patient died in the hospital or experienced valve related complications. One patient, however, underwent mitral valvuloplasty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Another patient died from intra-cranial hemorrhage in the 31st month after the operation. Therefore, the valve-related death rate was 4.3%, and the valve-related complication rate 8.6% on mid-term follow-up. 1, 3-, and 5-year valve- related event free rates were 90.8%, 79.5%, and 79.5%, respectively, while 1, follow-up. 1, 3-, and 5-year valve- related event free rates were 90.8%, 79.5%, and 79.5%, respectively, while 1, 3-, and 5-year survival rates were 100%, 88.8%, and 88.8%, respectively.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a complete removal of infected tissues is essential in the operative treatment of infectious endocarditis of the mitral valve. It is also suggested that when infected tissues are completely removed, neither type of material nor method of oper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peration result. The postoperative results also suggest the need for a close follow-up observation of the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brain damage, which is caused by preoperative blood contamination or emboli from vegetation, for a possible cerebral vascular injury such as mycotic aneurysm. 배경: 감염성 심내막염은 다른 심장질환에 비해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고, 대부분의 임상연구가 대동맥판에 발생한 심내막염에 편중되어 있어, 승모판 심내막염에 대한 보고는 상대적으로 드문데 이에 대한 임상양상 및 수술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감염성 승모판 심내막염으로 단일 술자에 의해서 외과적 치료를 받았던 23 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2예는 인공판막 심내막염이었고 나머지 21예는 자가판막 심내막염이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44.8$\pm$15.7 (11∼66)세였고 연령분포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17예에서는 혈역학적 불안정이나 거대 우종으로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12예에서 울혈성 심부전, 4예에서 신부전, 2예에서 비장 및 신장경색, 2예에서 일시적 뇌손상, 1예에서 뇌농양 소견을 보였다. NYHA 기능 분류상 Grade II가 7예, Grade III가 9예, Grade IV가 6예이었다. 술 전 심초음파상 승모판 역류우세가 19예, 협착우세가 4예이었으며, 우종은 20예(86.9%)에서 관찰되었다. 혈액배양 검사상 10예(43.4%)에서 원인균이 동종되었는데 Streptococcus viridans 5예, methicillin 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2예, 그리고 Corynebacterium, Haemophillis, Gernella 각각 1예씩 이었다. 수술 적응증은 ACC/AHA 지침에 근거하였으며, 평균 외래 추적관찰기간은 27.6$\pm$23.3 (1∼97)개월이었다. 결과: 13예에서 승모판치환술을 시행하였는데 9예에서 기계판막을 사용하였고 4예에서 조직판막을 사용하였다. 10예에서 다양한 수기의 승모판성형술을 시행하였다. 동반수기로는 6예에서 대동맥판 치환술, 2예에서 삼첨판 성형술, 1예에서 변형된 미로수술, 1예에서 심실중격결손 낙합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합병증으로는 출혈에 의한 재수술 2예, 종격동염 1예, 저심박출증 1예, 페렴 1예가 있었다. 술 후 30일 이내의 조기사망이나 병원 내 사망 및 판막 연관성 합병증은 없었다. 1예의 환자가 수술 3개월 후 다시 판막성형술을 받았고, 술 전 우종 전색에 의한 뇌경색을 보인 1예의 환자가 술 후 31개월에 뇌출혈로 사망하여 만기 전 체판막 연관성 사망률은 4.3%, 판막연관성 합병증은 8.6%였다. 1, 3, 5년 valve-related event free rate는 90.8%, 79.5%, 79.5%이었고 1, 3, 5년 생존율은 100%, 88.8%, 88.8% 이었다. 결론: 승모판 심내막염의 외과적 치료 시에는 감염된 조직의 완전 절제가 중요하며, 감염된 조직을 완전히 제거하면 대체물이나 수술 기법상의 차이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고, 술 전에 감염이나 우종 전색에 의한 뇌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술 후 추적관찰 중에도 뇌혈관 손상 가능성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