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에서 활모양각막절개술 시행의 장기간 임상결과

        방찬우,최재원,한상엽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10

        목적: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에서 활모양각막절개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장기간 임상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수술 전 각막난시 0.5 diopter (D) 이상의 78명 환자 99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2년간 나안과 교정시력, 각막난시, 고위수차를 비교 분석하였고 Alpins method를 이용해 난시교정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평균 나안시력과 교정시력은 각각 0.55 ± 0.31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0.33 ± 0.26 logMAR이었고, 수술 2년 후 0.13 ± 0.19 logMAR, 0.07 ± 0.09 logMAR로 유의한 시력 상승을 보였다(p<0.001, p<0.001). 각막난시는 수술 전 -1.15 ± 0.66D에서 수술 1, 2일 후 -0.79 ± 0.38D로 유의하게 개선된 후(p<0.001) 2년간 유의한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수술 전 평균 target induced astigmatism은 1.15 ± 0.66D였고, 수술 2년 후의 평균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과 difference vector는 각각 0.69 ± 0.43D, 0.83 ± 0.48D였으며 평균 correction index는 0.68 ± 0.45였다. 4 mm, 6 mm 총 고위수차와 6 mm 트레포일수차에서는 수술 전과 비교해 수술 2개월 후 유의한 변화를 보였지만(p=0.001, p=0.001, p=0.004), 나머지 영역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과 동시에 시행되는 활모양각막절개술은 중등도 미만의 난시를 교정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long-term follow-up results of arcuate keratotomy in femtosecond laser-assisted cataract surgery.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78 patients (99 eyes) with corneal astigmatism >0.5 diopters (D) who underwent arcuate keratotomy concurrent with femtosecond laser-assisted cataract surger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Uncorrected and corrected visual acuities and keratometric and higher order aberration outcomes were compared preoperatively and 2 year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mean uncorrected visual acuities and corrected visual acuities changed from 0.55 ± 0.31 D and 0.33 ± 0.26 D, preoperatively to 0.13 ± 0.19 D and 0.07 ± 0.09 D, 2 years postoperatively. The mean preoperative corneal astigmatism was -1.15 ± 0.66 D. This was reduced to -0.79 ± 0.38 D at 1-2 days after surgery (p < 0.001), followed by no significant change for 2 years. The mean target-induced astigmatism was 1.15 ± 0.66 D preoperatively, and the mean surgically-induced astigmatism and difference vector were 0.69 ± 0.43 D and 0.83 ± 0.48 D, 2 years postoperatively. The mean correction index was 0.68 ± 0.45, 2 years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er order aberrations except 4 mm and 6 mm total higher order aberrations and 6 mm trefoil between preoperatively and 2 years postoperatively. Conclusions: Arcuate keratotomy concurrent with femtosecond laser-assisted cataract surgery is a safe and effective way to reduce corneal astigmatism which remained stable over 2 years of follow-up with below moderate astigmatism.

      • KCI등재

        건설 현장 노동자를 위한 스마트 안전 장비 플랫폼 설계

        방찬우,김봉현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7

        The number of accident victims of construction workers is 24,617 based on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0 Industrial Accident Status," accounting for about 26.6% of the total number of accident victims, which is the second largest after other projects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death toll is 458, accounting for about 51.9% of the total number of deaths, which is the highest. As such, it can be seen that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occur very frequently, which requires the need to solve safety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a smart safety equipment platform for construction workers. Smart safety equipment consists of a total of three types of equipment: safety helmets, insoles, and watch-type wearables. Various sensors for worker safety are attached to each equipment, and the values of the attached sensors are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device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The transmitted sensor values were designed to be inquired in real time at the situation room and the field command center through communication. 건설업 종사자의 사고 재해자 수는 ‘고용노동부 2020년 산업재해 현황’ 기준으로 24,617명으로 전체 사고 재해자 수의 약 26.6%에 해당하고 이는 기타의 사업, 제조업 다음으로 많은 재해자 수를 보인다. 사망자 수는 458 명으로 전체 사망자 수의 약 51.9%에 해당하고 이는 가장 많은 사망자 수를 보인다. 이처럼 건설 현장에서의 사 고는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건설업 안전 문제 해결 필요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설업 노동자를 위한 스마트 안전 장비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스마트 안전 장비로는 안전모, 깔창, 시계형 웨어러블로 총 3가지의 장비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장비들에는 노동자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센서들이 부착되어있으며, 부착된 센서들의 값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달된다. 전달된 센서 값 들은 통신을 통해 상황실 및 현장 지휘소에서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와 같이 조회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KCI등재

        기존 후방 안내렌즈 삽입된 백내장 환자에 대한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의 임상결과

        방찬우,최재원,한상엽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9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results of femtosecond laser-assisted cataract surgery (FLACS) in eyes previously implanted with a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 (PIOL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27 ey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Each eye had history of implantation of posterior chamber PIOLs and newly got FLACS. Complications of intraoperative anterior capsulotomy and lens fragmentation were investigated. Uncorrected and corrected visual acuities (UCVA and BCVA), keratometric and manifest refraction (MR) values were compar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1 day, 2 months and 6 months. Results: All eyes completed anterior capsulotomy without any intraoperative complication. However, 13 eyes out of 18 eyes experienced incomplete lens fragmentation. Vaultings of 5 eyes with complete lens fragmentation were 460.40 ± 199.11 μm (0.84 ± 0.35 corneal thickness [CT]) and vaultings of the other 13 eyes with incomplete lens fragmentation were 225.85 ± 151.2 μm (0.43 ± 0.29 CT). 2 eyes with vaultings of 460 μm and 412 μm failed to complete lens fragmentation due to corneal opacity. All eyes could be completed whole surgery without additional complications. Conclusions: FLACS in eyes with posterior chamber PIOLs is useful to execute anterior capsulotomy.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doing lens fragmentation because of bubble accumulated under PIOLs. 목적: 기존에 후방 안내렌즈를 삽입했던 백내장 환자에서 펨토초레이저를 이용한 백내장수술 후의 임상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기존에 후방안내렌즈삽입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 중 펨토초레이저 백내장수술을 본원에서 받았던 27안을 대상으로 하였고, 펨토초레이저수술 중 전낭절개 및 수정체 분할 성공 여부를 알아보았다. 수술 전과 수술 후 1일, 2개월, 6개월째의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 각막곡률, 현성굴절값을 측정하여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후방 안내렌즈 삽입 상태에서 펨토초레이저를 시행한 27안에서 불완전한 전낭절개가 있었던 환자는 없었다. 그러나 수정체 분할을 시행한 18안 중 13안(72%)에서 불완전 수정체 분할이 있었으며, 완전 분할된 환자의 평균 천장높이(vaulting)는 460.40 ± 199.11 μm (0.84 ± 0.35 corneal thickness, [CT]), 불완전 분할된 환자의 평균 천장높이는 225.85 ± 151.2 μm (0.43 ± 0.29 CT)였다. 불완전분할이 있었던 환자 중 2안은 각각 460 μm, 412 μm의 천장높이를 갖고 있었으나 각막혼탁이 있었다. 불완전 수정체 분할이 있었던 환자 모두 무균 수술 과정에서 추가 합병증 없이 수술을 완료하였고 수술 후 합병증이 있었던 환자도 없었다. 결론: 후방 안내렌즈가 삽입된 백내장 환자에서 펨토초레이저수술 시 전낭절개에는 문제가 없으나, 수술 전 안내렌즈의 낮은 천장높이를 갖는 환자에서는 레이저 시행 시 발생한 기포가 안내렌즈 아래 공간에 갇혀 수정체 분할을 방해하는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드루젠 환자에서 망막전막수술 후 드루젠의 변화 관찰

        방종욱,방찬우,이민수,전혜민,윤희성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10

        Purpose: To observe results in drusen patients with epiretinal membrane after a vitrectomy and membrane peeling.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drusen patients diagnosed with epiretinal membrane after vitrectomy with membrane peeling. Twenty eyes had epiretinal membrane with drusen (group 1) and 112 eyes had epiretinal membrane without drusen (group 2). At the 6 month follow-up, central foveal thickness and changes i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ere evaluated. In Group I, the results with drusen size <65 μm and size >65 μm were compared. The largest drusen size change was measur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reoperative intraretinal cysts or ellipsoid zone disruption. Results: Preoperatively and at 6 months postoperatively, the average size of the largest drusen was 198.23 ± 27.34 and 192.23 ± 26.12 μm,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during the follow-up period. Group I patients with intraretinal cysts and ellipsoid zone disruption experienced low BCVA during the preoperative period; the BCVA had improved postoperatively at 6 months, but with limitations. Conclusions: Postoperatively at 6 months,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largest drusen size after vitrectomy and membrane peeling. Thus, drusen patients with epiretinal membrane, as well as intraretinal cysts or ellipsoid zone disruption can expect an extended recovery period and slow BCVA improvement. 목적: 드루젠 환자의 유리체절제술 및 막제거술 후 드루젠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술 후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드루젠과 함께 황반전막이 있는 환자 20안과 드루젠이 없는 황반전막이 있는 환자 25안을 대상으로 유리체절제술 및 막제거술을 시행하였다. 드루젠이 있는 망막전막군과 드루젠이 없는 망막전막군에서의 수술 전, 수술 후 1주, 1개월, 3개월, 6개월에서의 최대교정시력, 중심황반두께를 비교하였으며 드루젠이 존재하는 군에서는 65 μm를 기준으로 크기가 작은 군과 큰 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드루젠 크기 별로 수술 전후 최대 크기 드루젠의 크기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드루젠이 존재하는 군에서 수술 전 망막내낭종과 시세포수용체 단절의 유무에 따른 최대교정시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최대 크기 드루젠의 평균 크기는 수술 전 198.23 ± 27.34 μm, 수술 6개월 후 192.23 ± 26.12 μm였으며, 드루젠 사이즈별 최대크기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드루젠이 있는 망막전막 환자에서 망막내 낭종의 존재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 수술 6개월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최대교정시력의 호전을 보였으며, 수술 전 시세포수용체 단절이 관찰된 경우에는 단절이 관찰되지 않은 안과 비교하여 수술 전후 최대교정시력은 낮았지만 수술 6개월 후 유의한 시력호전이 관찰되었다. 결론: 유리체절제술 및 막제거술 후 최대크기 드루젠의 크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드루젠과 함께 수술 전 망막내 낭종 또는 시세포수용체 단절이 관찰된 경우 수술 후 시력회복의 소요 기간이 길었다.

      • KCI등재

        Atom Probe Tomography를 이용한 나노 스케일의 조성분석: I. 이론과 설비

        정우영,방찬우,구길호,박찬경,Jung, Woo-Young,Bang, Chan-Woo,Gu, Gil-Ho,Park, Chan-Gyung 한국현미경학회 2011 Applied microscopy Vol.41 No.2

        Even though importance of nano-scale structure and compositional analysis have been getting increased, existing analysis tools have been reached to their limitations. Recent development of Atom Probe Tomography (APT), providing 3-dimensional elemental distribution and compositional information with sub-nm scale special resolution and tens of ppm detection limit, is one of key technique which can overcome these limitations.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APT is not well known yet in the domestic research area, it has been rarely utilized so far. Therefore, in this articl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PT was briefly introduced with sample preparation to help understanding APT analysis. 최근 나노 영역에서의 구조분석과 조성분석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기존의 분석장비들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최근 개발된 APT는 nm 이하의 공간분해능과 수십 ppm수준의 detection limit으로 원소의 3차원분포와 조성정보를 제공해 주는 분석장비로서, 이러한 기존 분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장비이다. 그러나 국내에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아 활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PT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APT분석의 원리와 시편준비에 대해 소개하였다.

      • KCI등재

        특발망막전막에서 망막층간분리 유무에 따른 수술 전후 시력 및 해부학적 차이

        이민수,방찬우,송도윤,방종욱,전혜민,윤희성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11

        Purpose: To present differences in visual acuity and macular structure before and after surgery in patients with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ERM)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retinoschisis.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324 eyes with idiopathic ERM, that underwent pars plana vitrectomy with ERM and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and were followed for more than 6 month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retinoschisis using preopera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group 1, ERM with retinoschisis; group 2, ERM without retinoschisi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acular structure changes and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Group 1 included 61 eyes, and group 2 included 263 eyes. Group 1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operative and final postoperativ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compared with group 2 (p = 0.01, p = 0.02). Preoperative disorganization of retinal inner layers (DRIL) was significantly less in group 1 than group 2 (p = 0.01). Preoperative central macular thick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postoperative central macular thick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1 than group 2 (p = 0.02, p = 0.01, p < 0.01). The ratio of the inner or outer layer in the total retinal thickness before surgery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group 1 than in group 2 (p = 0.02, p = 0.04). Conclusions: Preoperative visual acuity was better and the occurrence of DRIL was less in idiopathic ERM with retinoschisis than without retinoschisis. Postoperative visual and structural outcome was better in idiopathic ERM with retinoschisis than without retinoschisis. Retinoschisis may have played a role in reducing the tractional force given to the inner and outer retina. 목적: 특발망막전막환자에서 수술 전 망막층간분리의 동반 유무에 따른 수술 전후 시력 및 망막층 구조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특발망막전막으로 진단받고 유리체절제술과 망막전막제거술 및 내경계막제거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연속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빛간섭단층촬영으로 망막층간분리의 동반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수술 전과 후 시력예후 및 망막 형태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324안 중 망막층간분리를 동반한 1군은 61안, 망막층간분리를 동반하지 않은 2군은 263안이었으며, 술 전 및 최종 시력이 1군에서 유의하게 좋았다(p=0.01, p=0.02). 수술 전 망막내층 조직의 손상(disorganization of retinal inner layers, DRIL)은 1군에서 2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1). 수술 전 중심황반두께는 두 군에 차이가 없었으나, 술 후 3개월, 6개월 및 최종에서 1군이 2군보다 유의하게 얇은 결과를 보였다. 수술 전 전체 망막두께에서 내층 및 외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1군이 2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 결론: 특발망막전막에서 망막층간분리가 동반된 경우가 동반되지 않은 경우보다 수술 전 시력이 좋고 DRIL의 빈도가 낮았으며, 수술 후 중심황반두께가 얇고 시력예후도 우수하였다. 이는 망막층간분리가 망막전막의 지속적인 견인력에 대한 완충적 작용을 하여 망막층의 구조가 비교적 보존되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특발 망막앞막에서 막제거술 과정 중 발생하는 중심와 견인

        전혜민,채수혜,방찬우,이민수,윤희성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8

        Purpose: To determine influences of intraoperative foveal traction during membrane peeling in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ERM) surgery.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46 eyes of 46 patients with idiopathic ERM who underwent pars plana vitrectomy with ERM and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from February 2015 to September 2015. The presence of intraoperative foveal traction during membrane peeling was reviewed using video records. The main outcome measures wer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central foveal thickness (CFT), foveal contour, and photoreceptor inner segment/outer segment junction disruption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t baseline and at 1, 3,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Group 1 (ERM with intraoperative foveal traction) included 22 eyes, and group 2 (ERM without intraoperative foveal traction) included 24 eyes. Preoperatively, convex pattern ERM was observed more often in group 1. Group 1 had a significantly thicker CFT and a lower BCVA compared to group 2 at baseline and during the first 6 months, but the final postoperative BCVA and CF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at 12 months. Among 22 eyes, 12 eyes (54.5%) were restored to flat or concave ERM patterns at an average of 5.4 months after surgery in group 1, and 18 out of 24 eyes (75%) recovered at 2.4 months (p < 0.01) in group 2. Conclusions: Preoperative thick CFT and convex pattern ERM indicated a high possibility of intraoperative foveal traction in idiopathic ERM surger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ong-term BCVA and restoration of fove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foveal traction during membrane peeling. 목적: 특발 망막앞막 환자에서 막제거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중심와 견인이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 2월부터 9월까지 본원에서 특발 망막앞막으로 진단받고 유리체절제술 및 막제거술을 시행받은 환자 46명 46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영상을 판독하여 막제거술 과정에서 중심와에 견인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였고, 술 전, 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에 최대교정시력 및 빛간섭단층촬영상에서 중심망막두께, 중심오목형태, 시세포 내절/외절 상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과: 술 중 중심와 견인이 발생한 22안은 견인이 발생하지 않은 24안에 비해 술 전 볼록형 형태가 많았고 중심망막두께가 두꺼웠으며 술 전 시력이 낮았다. 술 후 6개월까지 견인이 발생했던 군에서 시력이 낮고 중심망막두께가 두꺼웠으나 12개월에는 두 군의 차이가 없었다. 술 후 황반의 형태가 편평형 또는 오목형으로 회복되는 기간은 견인이 발생한 군에서 5.4개월, 견인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서 2.4개월이었다(p<0.01). 결론: 특발 망막앞막 환자에서 수술 전 중심망막두께가 두껍고 볼록형 형태일수록 막제거술 과정 중 중심와 견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막제거술 과정 중 중심와 견인의 발생 유무에 따른 장기적 시력 및 해부학적 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인공수정체 낭내 탈구에서 시행된 유리체절제술 및 새로운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의 임상 결과

        이민수,채수혜,방찬우,전혜민,윤희성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7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outcomes of combined vitrectomy and intrascleral fixation of a new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PC IOL) as a treatment for IOL dislocation.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interventional study at our medical facility from January 2015 to January 2017. Posteriorly dislocated IOLs were removed with pars plana vitrectomy. Two intrascleral tunnels, 2.0 mm in length, were created 1.5 mm to the limbus at 6 and 12 o’clock positions. Both haptics of new foldable acrylic 3-piece IOLs were inserted into the tunnel until the IOL was secured in a central position. We analyzed the preexisting ocular condition, visual acuity (VA), and refractive error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and record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Forty-nine patients (50 eye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2.8 ± 6.6 months. A best-corrected VA of 6/12 or better was achieved in 43 eyes (86%). The mean VA significantly improved from 0.32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at baseline to 0.18 logMAR at last follow-up (p = 0.03). The refractive status after intrascleral fixation of the PC IOL revealed a mean hyperopic shift of +1.09 ± 1.28 diopters from the predicted spherical equivalent. Postoperative vitreous hemorrhages occurred in six cases and were cleared without visual compromise. Cystoid macular edema was well-controlled by topical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medications in two cases. In two cases, IOL dislocation recurred and required re-operation. There were no serious adverse events of suture-related complications, retinal detachment, corneal compromise, or endophthalmitis in any of the patients. Conclusions: Our data revealed that use of combined vitrectomy and intrascleral fixation of PC IOLs is a safe and efficient technique to correct IOL dislocation. We observed good visual outcomes with only minor complications. 목적: 인공수정체 낭내(in-the-bag) 탈구에서 시행된 유리체절제술 및 새로운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의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인공수정체 낭내 탈구로 본원에서 유리체절제술 및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을 시행받고 6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증례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수술 방법은 유리체절제술을 먼저 시행하고 탈구된 인공수정체를 제거하였다. 공막내고정술은 각막 윤부로부터 1.5 mm 떨어진 6, 12시 부위에 공막터널을 만들고, 새로운 인공수정체 지지부(haptic)를 공막터널에 삽입하여 고정하였다. 수술 전 상태, 수술 전후 시력 및 굴절력, 수술 후 합병증을 관찰하였다. 결과: 49명 50안이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평균 경과관찰 기간은 12.8 ± 6.6개월이었다. 수술 후 결과에서 최종 관찰의 최대교정시력이 6/12 또는 그 이상을 보인 환자가 43안(86%)이었으며, 최대교정시력(logMAR)은 수술 전 0.32에서 수술 후 최종 0.18로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다(p=0.03). 수술 후 굴절 오차는 +1.09 ± 1.28의 원시화를 보였다. 수술 후 부작용으로 유리체 출혈이 6안, 낭포황반부종이 2안에서 발생하였고 보존적 치료로 모두 회복되었다. 2안에서 탈구가 재발하여 재수술하였고, 고정실 합병증, 망막 박리, 각막 부전, 안내염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인공수정체 낭내 탈구를 치료함에 있어서 유리체절제술 및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며, 고정실과 관련된 부작용이 없는 좋은 수술법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