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자제도를 통해 본 조선후기 가족구조와 가계계승: 의성김씨 호구단자 분석을 중심으로

        박수미,Park, Soo-Mi 한국인구학회 2007 한국인구학 Vol.30 No.2

        이 글은 조선후기 호적자료외 양자계승기록을 단서로 조선후기 양반가족의 가계계승 원리와 가족유형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의 분석자료는 1669년에서 1913년까지 의성김씨 호구단자이다. 분석 결과 조선후기의 가족형태와 조선전기나 조선중기의 가족형태 사이에 많은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그 변화의 방향은 부계계승원리의 강화이며 그 한가운데 양자제도가 자리하고 있었다. 분석자료의 전체 호구 평균가구원수는 5.66명으로 17세기 초에 비해 가족규모가 매우 커졌으며 가족구성원의 친족 범위도 매우 넓어져, 17세기 초 양반가의 가족원이 되는 근친자 종류가 6종의 자였던 데 비해 의성김씨 호구단자에 나타난 그것은 무려 70종이었다. 조선전기 양반가 분석결과와 달리 의성김씨 집안의 가족형태는 직계가족, 방계가족의 비율이 45%를 넘을 뿐 아니라 18세기, 19세기 모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족형태는 확대가족이고 부부가족의 비중은 1/3 수준으로 약화되는 등, 가구구성의 친족범위가 더욱 확장되었다. 의성김씨 호구단자에서 입양을 통해 가계를 계승한 사례는 전체 호구 가운데 무려 33.8%에 이른다. 적장자가 호주자리를 승계할 때까지 살아 있을 확률이 낮았던 당시의 인구학적 환경 속에서 적장자가계계승 원리를 확고하게 지키는 방법으로 활용된 것이 양자제도였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종족집단은 자신의 직계혈통에게 가계를 계승하는 것보다도 입양을 통해서라도 '적장자 자리'라는 명분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했던 사회이고 이런 양반가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 적임자를 찾을 때까지 호주대리인을 내세우는 등 양자제도를 보편화시켰던 것이다. 또한 제작된 믹서는 외부의 IF 발룬을 필요하지 않아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제작된 94 GHz MIMIC single balanced cascode믹서는 기존의 balanced 믹서와 비교하여 높은 격리 특성을 나타내었다.L 및 FPGA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구현 검증되었다. 0.25um CMOS 표준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합성하였을 때, 총 게이트 수는 37K개였으며 7.5개의 라인 메모리가 사용되었다.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다.참굴 D상 유생을 대상으로 먹이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험구와 대조구간 유생의 성장 및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C$에서 73.3%, $10^{\circ}C$에서 63.3% 및 $5^{\circ}C$에서 56.7%로 수온이 $30^{\circ}C$ 이내에서는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염분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는 실험 개시 300분 경과 후 염분 30 psu에서 93.3%로 가장 높았고, 35 psu에서 90.0%, 25 psu에서 83.3%, 20 psu에서 60.0%, 15 psu 이하에서는 거의 잠입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적정 살포를 위한 잠입률은 치패의 크기와 상관없이 저질종류는 모래 (75%) + 뻘 (25%), 입자크기는 1 mm 모래에서 높게 나타났다. 공기 중 노출시간은 짧을수록, 수온은 $30^{\circ}C$ 이내에서 높을수록, 염분은 20-35 psu 이내에서 높을수록 잠입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principle of family succession and family patterns of yangban in the late Chosun period through an analysis of male adaptation cases found in family registration records. The primary source of analysis is the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of Uiseong Kim'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ubstantial change in the patterns of family from the early and mid Chosun period to the late Chosun period. The change is the strengthening of the principle of patriarchy succession through male adoption. Looking at the data as a whole,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s increased and the membership of kinship also expanded. In contrast to the family patterns of the early Chosun period, not only the patterns of Uiseong Kim's family are predominately immediate family or collateral family but also the majority is extended famil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male adoption cases recorded in Uiseong Kim's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take up 33.8% of the male adoption cases in the entire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This goes to show that the strengthening of the principle of primogeniture succession at a time when child mortality rate is very hig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male adoption. In conclusion, the late Chosun society was a society where the seat of primogeniture was much more important than immediate hereditary members in the family succession.

      • KCI등재

        대학의 교육환경과 학생참여, 학습성과의 구조적 관계와 전공계열 간 일반화 가능성 분석

        박수미(Park, Sumee),고장완(Ko Jang W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4

        이 연구는 대학의 교육환경과 학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구 조적 관계의 전공계열별 일반화 가능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한국교육개발 원 교수·학습의 질제고 전략 탐색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 중 수도권 대규모 4년제 사립대 학에 재학하는 인문·사회·공학·자연계열의 1-4학년 재학생 4,42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다 변량분산분석, 구조회귀모델의 교차 타당성 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학의 교육환경과 학 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는 전공계열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학계 열에서는 대학의 교육환경에 대한 학생 인식이 학습성과 증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인문계열에서만 능동적 수업활동이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ollege environment,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and to identify whether such relationships can be generalized by academic discipline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data collected in the course of an exploratory study on improvement strategy for learning process and quality of faculty and learning for Korean college students conduct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in 2014 were used. This study analyzed 4,423 students of four academic disciplines attending four-year private colleg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employed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ncerned variables were different by academic disciplines. Based on the total effect on learning outcomes, college environment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promotion of learning outcomes in engineering. In addition, active class activities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only in liberal arts. Thes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teaching-learning mechanism can be different by academic fields. The detailed results of the study were elaborated in the main text, and related implications for academy and polic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박수미(Park Soomi)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1

        이 연구는 잦은 경력단절로 특정지워지는 여성취업 가운데,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기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진입과 퇴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며 두 번째 취업 이행 유형에 세대효과가 발견되는지의 여부를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여성들의 취업력 자료(job history data)를 대상으로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여성들의 ’학력’, ‘첫 취업경력’과 같은 인적자본요소는 여성들의 재취업 이행과 재퇴장 이행 둘 다에 대해서 정(+)적 효과를 지니지 않았다. 반면, 여성들의 생애과정상의 변화들, 예를 들어 ‘결혼’, ‘첫 출산’, ‘6세 미만의 자녀양육기’ 등과 같은 생애사건은 여성들의 재취업률을 유의미하게 낮췄다. 동시에 ‘둘째, 셋째 출산’을 경험한 여성들,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들은 그 동안 미뤄왔던 재취업을 적극적으로 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퇴장에 대한 분석결과에선 여성들의 노동시장 재퇴장 행위가 ‘연령’의 증가와 생애과정단계의 변화에 따른 시간의존적인 퇴장 행위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가 보여주는 저조한 여성들의 취업 상태를 통해서, 여성들이 생애과정의 일정한 단계 혹은 일정한 연령에 이르렀을 때, 자연스럽게 일생의 경제활동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었다. 이 결과가 함의하는 것은, 한국사회 여성들의 취업유형이 잦은 ‘경력변동’으로 특정지워지기보다는 취업경력상의 ‘저열함’으로 특징지울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야기하는 노동력 수요의 측면과 정책적ㆍ규범적 측면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pattern of the Korean women's second labor force participa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factors which determine women's reentry into and re-withdrawal from the labor market. This research investigates labor market dynamics, using longitudinal data and event history analysis, to conceptualize labor market behaviors. we find that human capital variables - education, job career, duration of previous work, type of previous work and so on -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reentry and reexit. Instead, life course variables - marriage, childbearing, existence of young children under age 6 and so on -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reentry. Only the 'age'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women's second career interruption. we also find that the pattern of Korean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does not change across the birth cohort. Most of all we find an interesting fact that women's total duration of employment and total numbers of employment are too low. Korean women's pattern of labor force supply is very poor picture to debate which is more proper in two competing hypotheses - 'revolving doors theory' and 'accumulated disadvantage effect theory'. In conclusion, the pattern of women's second labor force participation varies remarkably by women's life course stages. So this study calls for more sophisticated, rather than simpler, models of women's labor force behavior and policy about women's work. Because women's employment decisions are products of the complex interplay of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and economic changes.

      • KCI등재

        신입생 대상 학사경고 예방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미(Park, SuMee),오미자(Oh, Mi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 대상 학사경고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 대학 재학생으로 2019학년도에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진행한 NASEL(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이하 NASEL) 조사에 응답한 833명이다. 학사경고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사경고 예방프로그램의 참여 여부가 1학년 1학기 학사경고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출결사항과 진로관련 면담의 내용에 따라 소속감과 만족감에 영향을 미쳐 1학년 1학기 학사경고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와의 상호작용 목적에 따른 정책적인 지원, 교수 면담 내용의 전문성 제고, 학생 역량진단 문항과 그 결과의 활용에 대한 개선 과제를 제안하였다. 또한 후속 연구로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warning prevention program for university entra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833 students at K University who responded to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NAS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the school year of 2019. The study analyzed the information on program completion and academic warnings combined with academic data.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academic warning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prevention program,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lso, to look into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academic warnings while controlling for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warnings and achievements,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he analysis found that although participation in the academic warning prevention program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academic warnings during the first term of the freshman year, the program influenced the students’ sense of belonging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attendance and career-related interviews, thereby lowering academic warnings during the first term of the freshman yea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policy and academic implications on the program improvement.

      • KCI등재

        유아음악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박수미(Park Su-Mi),우정희(Woo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5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08년까지 발행된 유아음악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 208편을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대상, 자료 수집, 자료분석 방법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 학술지별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주제는 교수 방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구유형은 문헌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으로는 유아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 만5세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자료수집은 문헌 수집이 가장 많았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문헌 분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술지 유형에 따라서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대상, 자료수집, 자료분석 방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1995 to 2008, a total of 208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ree type of Korean journals. Three type of Korean journals reviewed for this study w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education/music journal: journals published by universities. The 208 artic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themes, types, subject, data collection method and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greatest number of research themes was teaching method, the greatest number of research types were literature study, the greatest number of research subjects were children,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collection method was a literature collec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analyzing method was a literature analysis.

      • KCI등재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박수미(Soomi Park)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1

        이 글은 한국사회 가족내 성 형평성과 둘째 출산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 초저출산 현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정책적?이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5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조사 당시 한 자녀를 둔 20-34세 기혼 여성의 둘째 출산 계획에 대한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516명 가운데 둘째 출산을 할 의향이 있는 여성들은 54.7%, 282명이었다. 분석결과 여성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자녀 터울 조절’과 ‘원하는 자녀 구성’ 등 가족주기상의 가족계획으로 나타났다. 총가구원수가 많을수록 (90% 유의도 수준), 첫째 자녀의 성이 여아일수록 둘째 출산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성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가족내 부부의 ‘성 형평성 요인’은 기혼 취업 여성에게서만 의미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기혼 취업 여성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할수록 둘째 출산에 더욱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전업주부의 경우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이나 가사분담률과 같은 부부간 성 형평성 정도는 그들의 둘째 출산 계획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전업주부의 경우 둘째 출산 시기를 앞당김으로써 자녀양육기간을 단축하고 이후 재취업을 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국 가족내 성 형평성 여부가 둘째 출산 계획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기혼취업여성이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전업주부여성 모두 일과 가족생활의 양립이 어려운 상황에서 개별적인 생애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일ㆍ가족생활 양립을 위한 가족내 성 형평성 증대와 사회적 지원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ity within family and second birth in Korea. For a factor analysis on the intention of having additional children for women with one child, I have used the data from the "2005 National Survey on Marriage and Fertility Trend"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mong 516 samples(year of 20-44), women planning to have second birth are 54.7%, and others have answered that they have no intention to have second birth. As a result, main causes affecting progressing to second birth seemed to be family planning on family cycle, such as controlling age gaps between first and second child, composing children genders as they wish etc. The variable of "gender equity between couples'' in progressing to second birth are of significant only with married working women group. In case of married working women, more the husband's houseworking hours increase, the more prone to progress to second birth. However, in case of housewives, gender equity level, such as husband's housework hours or share of housework are not of significant influence in progressing to second birth. Not only working mothers but also housewives nee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ity within the family and the expansion of social support system for work-family life balance.

      • 보행공간개선을 통한 청계천 주변 길의 활성화 방안

        박수미(Park. Soo-Mi),김재균(Kim. Jae-Kyun),이재훈(Lee. Jae-Hoon)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4 No.1

        The Cheonggyecheon is being restored in the year 2003. And w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in this restoration is the changing of the transportation in Seoul. It is a conversion from the existing form of automobile transportation to a form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pedestrian. And the re-development of the conventional market was proceeded at the same tim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study on activating the markets using the existing passes within the markets to solve the problem occurring to extinction of the north and south areas of the stream and the stagnation of the inner blocks after the restoration. For this, We wi1l program and plan using visual perception of various positions in the improvement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activation of the general blocks.<br/> The views of the passes recognize as a unique space and transforms by human movement. Therefor, the basis of this research is about when a person is conscious of this space, It is mostly a reliance on vision and that space is defined by reiteration and accumulation of each sc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