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형회귀모형에서의 이상치 탐색방법들의 비교 연구

        박대인,강현철,한상태,최호식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1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outlier detection methods in regression model. Various influence measures for detecting outliers are illustrated and compared via real data sets. Including single outlier detection method and three multiple outliers detection methods are considered : procedure based on the least median of squares estimation, the robust distance with the minimum volume ellipsoid estimator, and She, Owen (2011) procedure. Comparison studies are conducted using two data sets which are known to contain multiple outliers. It appears, in general, that all of these procedures are effective in identifying the outliers. However, procedures based on the least median of squares estimation and the robust distance with the MVE estimator are difficult to identification of outliers when masking or swamping effects exist in the data. On the other hand, the procedure proposed by She, Owen (2011) is effective to detect such outliers. 통계적 자료 분석에서 이상치 검출은 기본적인 분석과정으로 모델 선택, 추론, 평가 등 거의 모든 분석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경우에 따라서는 식별된 이상치 자체가 중요한 정보를 담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모형으로 선형회귀모형을 고려하고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이상치 탐색 방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치 탐색방법은 크게 지렛점 등의 전통적인 통계량 등을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이상치를 식별하는 단일(single) 이상치 식별방법과 강건한 추정을 기반으로 여러 개의 이상치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다중(multilple) 이상치 식별방법(least median of square estimation, robust distance with minimum volume ellipsoid estimator)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이상치를 포함하고 있다고 알려진 실제 자료를 통해, 최근 제안된 She, Owen (2011)의 축소추정법을 통한 다중 이상치 검출방법과 기존의 여러 방법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특히 수렁효과나 가면효과를 가진 자료에 대해서 She, Owen(2011)의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보다 이러한 이상치들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난해한 공화국’의 시인들

        박대현(朴大賢)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신춘시』 동인은 1960년대의 한 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에 대해 기민하게 반응했던 문학적 분투다. 이 동인은 한 일협정뿐만 아니라 베트남 파병까지도 비판함으로써 군사정권의 성역을 넘어서기까지 한다. 기존의 문인들이 한 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에 대해서 다소 소극적으로 대응했던 것과는 달리 『신춘시』 동인은 한 일협정과 베트남 파병으로 형성된 ‘65년 체제’를 아시아의 식민성의 관점에서 사유했던 뚜렷한 증좌로서 남아 있다. 이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탈식민적 상상력과 제3세계적 정치 감각은 지금껏 알려지지 않았던 1960년대 문학사의 새로운 영토라 할 수 있다. 요컨대 『신춘시』 동인은 1960년대의 참여정신의 최전선에 서 있었으며, 1970년대의 리얼리즘과 민족문학의 제3세계적 정치감각을 선취해 낸 진취적이고 도발적인 사건으로 기록될 수 있다. 『新春詩』 (Shin Choon Shi) is a literary struggle that promptly had responded to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and the ROK troop dispatch to Vietnam in 1960s. This coterie had even trespassed the military regime’s sanctuary by criticizing not only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but also the ROK troop dispatch to Vietnam. Unlike previous writers who responded to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and the ROK troop dispatch to Vietnam in a more or less passive manner, 『新春詩』 (Shin Choon Shi) remained a distinct evidece which had thought of the ‘1965 Resime’ formed by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and the ROK troop dispatch to Vietnam within the framework of Asian colonialism. The post-colonial imagination and third-world political sense that can be found in these are the most brilliant parts of the 1960s literary history that has not been known until now. In short, 『新春詩』 (Shin Choon Shi) coterie was at the forefront of the participatory spirit of the 1960s and can be described as an enterprising and provocative event that preoccupied the third-world political sense of realism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70s.

      • KCI등재

        사찰구조와 출토유물로 본 芬皇寺성격 고찰

        박대남(朴待男)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09 한국고대사탐구 Vol.3 No.-

        芬皇寺는 善德王(632~647재위) 3년(634) 정월에 완성하였으며, 일명 ‘王芬寺’라고도 한다. 분황사의 창건배경과 성격에 대해서는 그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선덕왕의 왕위 계승 두 돌을 기념하여 분황사를 낙성하였고, 皇龍寺ㆍ皇福寺ㆍ皇星寺 등과 같이 신라왕실의 원찰을 의미하는 ‘皇’자를 사용한 왕실사찰이다. 이 논문에서는 분황사의 가람 배치의 구성과 그 의도, 그리고 탑 내에 매납된 사리기의 구조와 그 계보를 살펴보아 사찰조영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분황사의 사찰구조가 삼국시대 불교를 수용한 이래 여전히 사원의 중심이 탑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사리가 안치된 탑을 중심으로 탑의 후면에 불전을 배치하고 강당은 계획되지 않았다. 3개의 불전은 기존의 ‘고구려식 삼금당 배치 유형’을 받아들인 위에 동서금당의 방향전환과 탑의 이동 등 ‘品’자형 가람배치로 변화를 가져왔다. 이처럼 탑의 위치이동과 동서금당의 남향으로의 방향전환은 이 시기 새로운 불교신앙의 수용으로 인한 의례형식의 변화로 기존의 탑이 위치했던 중심공간의 확보 필요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당초 사찰계획 시 강당이 축조되지 않은 것과도 연결되며, 불교의례를 중시한 北朝佛敎와 연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탑을 중심으로 금당, 강당이 남북 일직선상에 축조되는 ‘一塔一金堂式’ 백제사찰 배치유형에서 보여주는 현학적인 남방불교와는 대조를 보이는 것으로, 분황사가 북조불교의 맥을 계승한 隋代 불교의 영향을 받았음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목탑건립 풍조에서 석탑으로 대체되면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의도하고 있는 것 또한 분황사의 축조에서 보여지는 주목되는 부분이다. 석탑이 건립되면서 기존 목탑의 경우 지하심초석이나 지상의 심주석에 사리공을 뚫어 사리를 안치하는 방식에서 석탑의 2층 탑신석에 안치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사리를 담는 사리기를 유리병과 은합에 넣고 다시 이를 석함에 넣어 갈무리하는 사리장엄의 병렬안치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 또한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방식이다. 이는 北魏시대부터 이어지는 중국의 사리장엄 방식이 수대에 오면서 통일된 규범의 仁壽舍利器 안치방식의 확산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사리공양품의 안치는 수대 인수사리탑 안치 방식을 따라 ?頂型舍利石函ㆍ銀盒유리병의 多重容器에 사리공양품을 안치하였다. 특히, 그동안 고려시대 유물로 비정해왔던 은합이 기형이나 제작기법 등을 통해 창건기 유물로 보았으며, 공양구와 관련하여 일제시대 수리 당시 보고서를 검토하여 崇寧重寶가 일제시대 수리 시에는 보이지 않던 유물로 후에 잘못 삽입된 것으로 보아 사리공양품에서 제외하였다. 따라서 사리기와 공양품은 모두 창건 당시에 매납된 것으로 후에 재매납된 것이 아님을 밝혔다. 그리고 공양품 중에는 여성용품이 특히 많은 것이 두드러지며, 이는 선덕왕의 봉헌에 의한 것임을 입증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밖에도 공양품에는 인도 귀걸이와 동남아 연안 산 패각류의 외래품이 포함된 것은 신라의 대외교류를 입증하는 것들로, 이를 통해 신라의 대외교류와 교역로에 대한 연구자료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전체 공양품의 내용으로 보아 탑에 안치된 불사리공양품이 당시의 墳墓埋納品과 관련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분황사의 창건과 석탑의 축조, 사리안치 방식 등 새로운 변화의 동인은 진평왕대와 선덕왕대에 이르는 7세기 초반의 中國留學僧 가운데 隋에 유학하고 돌아와 신라에서 활약하고 있는 수 유학승들의 두드러진 활약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았다. 분황사의 창건은 인수사리탑 건립을 통한 수 통일 이후의 정신적인 통합과 왕권강화를 도모한 수 文帝를 모델로 여왕통치의 허약성을 극복하고 선덕왕의 왕권강화를 도모하고자 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조선시대 사고관리의 변화

        박대길(朴大吉) 한국국학진흥원 2009 국학연구 Vol.14 No.-

        조선은 건국초기부터 실록을 편찬하였고, 사적분장지책을 실시하며 관리하였다. 그 결과 7년 동안 진행된 임진왜란에서도 실록을 보존하였고, 실록 편찬의 목적 중의 하나였던 후세의 귀감과 교훈이 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조선전기에 설치된 네 곳의 사고 중 세 곳의 사고가 일본군의 북상로에 있었다. 이로 인해 임진왜란 당시 세 곳의 실록은 소실되었지만 전주사고의 실록을 지켜내 실록 보존이라는 최종적인 목적은 달성했다. 아쉬운 것은 전란에 대비한 보존대책이 보다 철저했다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전주사고의 경우에서 보듯이 실록을 지키고자 하는 의지와 그에 따른 조치들, 그리고 위험에 처했을 때 이를 극복하려는 책임자의 존재여부가 더욱 중요한 요소가 아닌가 한다. 전란이 계속되는 동안 유일본으로 남는 실록의 보존을 위해서 조선정부는 노심초사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깊은 산의 큰 사찰에 안치하고, 승려들로 하여금 지키게 하였다. 이것은 고려시대 해인사에 실록을 보관하던 전통을 잇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억불을 취해 온 조선이 불교에 대해서 어느 정도 유화적인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해석될 여지를 남긴다. 즉, 임진왜란이라는 국난에서, 호국불교를 구체적으로 실천한 불자들의 공로를 인정하면서 이들에게 믿음과 예우를 보인 사례로 해석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임진왜란 이후 사고관리에 있어서 승려들에 대한 배척이 아니라 활용하는 계기를 만들기도 하였다. The Joseon government compiled a history of each reign since the outset, and placed the annals to special repositories (Sago) in four widely separated parts of the country. The annals survived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to 1598, thus achieving the goal of the compilation as a mirror, or exemplar, for future governments. Unfortunately, 3 of 4 repositories had been located at the strategic corners by way of that Japanese army advanced northward. Thus all the volumes stored in the three history archives were reduced to ashes. Only the annals of Jeonju sago survived the war. If the government thoroughly prepared for the worst, the damages would be reduced. In this respect, the instance of Jeonju sago showed the fact that the will and the endeavors of keeping the annals intact, and the persons in charge themselves are most important. The government was very worried about storing the annals of Jeonju during the war, so established five separate history archives deep in the mountains to store copies of the annals after the Imjin war, and kept them under the guard of monks near temples. It might come from the traditional practice of Koryo dynasty when the annals were kept in Haeinsa temple. On the other hand, there is room for another interpretation. Joseon might stand back a step from its previous tough stand against Buddhism. The government recognized the merits of monks under the national crisis, and treated them with honorable respect. This in turn led to the use of monks for the surveillance of history archives, no the least of the exclusion of monks, after the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