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미통신일록(辛未通信日錄)을 통해 본 1811년 통신사의 해신제(海神祭) 연구

        문경호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동방학 Vol.- No.46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enact the altar of Haesinje(Religious Ceremony to the god of Sea), the offering, and the scene of the ritual at Yeonggadae, which was held before the left for Japan based on the ShinmiTongsinsa written by Kim Ikyo in 1811. Haesinje is a very important ceremony performed by the Tongsinsa before leaving for Japan. In particular, Yeonggadae, where the Haesinje was held, was famous as a place of departure for ships of the Tongsinsa and as a scenic spot. Howev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rea of Busanjin was reclaimed and a railroad passed through it, and it disappeared into history. However, in 'Shinmitongsinilrok', there are detailed records related to Haesinje, which are no less than the previously known 'Haeyurok' by Shin Yu-han.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d on restoring the Haesinje, a news agency in 1811,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based on the Jinseol-do of the sacrifice of ShinmiTongsongIlrok and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Yeonggadae Haesinje. The word restoration has several meanings and responsibilities.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understanding a text and understanding a picture. The various materials cited in this article are based on the picture data contained in the ShinmiTongsinIlrok.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will be of some help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annual communication company Haesin Festival held in Busan Metropolitan City. 본 연구는 1811년 김이교가 저술한 신미통신일록 에 수록된 해신제 관련 기사와 진설도(陳設圖)를 토대로 통신사 일행이 일본으로 출발하기 전에 거행한 해신제의 준비에서 설행까지의 과정을 상세히 정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신제가 거행된 영가대는 남아있는 그림과 시문을 통해 볼 때 「영가대기」에 기술된 것처럼 선창을 파올린 흙더미 위에 지은 건물이 아니라 본래 바다를 향해 솟아 있는 바위 언덕 위에 지은 건물이었다. 본래는 마루가 없는 대의 형태였으나 여러 차례의 보수를 거치면서 누각의 형태로 변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통신사선이 정박한 선착장은 권반이 처음 만든 후 이민구 등이 축대를 쌓고 수리하여 완성하였는데, 그 규모는 세로 45m, 가로 340m 정도의 ‘G’자형 구조였다. 선창과 바다 사이에는 선박 3척이 한꺼번에 드나들 수 있는 약 30m 길이의 수문이 있었다. 셋째, 영가대 해신제는 통신사 일행이 거행한 제례 중 유일하게 정사와 부사가 직접 참여한 의례였다. 전체 인원이 참여하는 행사이기 때문에 비용도 적지 않게 소요되었는데, 제물은 동래부에서 마련하였고, 제기와 기름천막 등의 도구는 통신사 비용으로 충당하였다. 넷째, 해신제의 제물 진설은 국조오례의에 기술된 중사(中祀) 해독제(海瀆祭)와는 다소 다른 형태로 마련되었다. 능인(菱仁, 마름), 검인(芡仁, 가시연밥) 대신 잣[栢], 호두[胡桃]를 쓰고, 토해(兎醢) 대신 구저(韭菹)를 쓰는 등 준비가 어려운 제물은 좀 더 용이한 물품으로 대체되었다. 해신제에 관한 연구는 통신사 연구 중의 중요한 부분으로 당시 사람들의 해양인식과 일본에 대한 인식 등을 보여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서평> 삼별초에 대한 오해와 진실, 그리고 그들을 위한 변론, (윤용혁, 2014, 『삼별초-무인정권, 몽골, 그리고 바다로의 역사』, 혜안)

        문경호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59

        This book describes the whole process of Sambyolcho from its birth to extinction in a chronological order. There was no other country than Goryeo severely resisting Mongolia that put the whole world in to horror in the 13th century. Goryeo resisted against Mongolia for 43 years and Sambyolcho lied at the foundation of such long resistance. Such anti-Mongolian resistance of Sambyolcho that Mongolia did not expect. It influenced not only on the policy of Mongolia against Goryeo but also on the military expedition to Japan. Accordingly, to understand Mongolian invasion, resistance of Goryeo and overall surrounding history of East Asian history, it needs to have proper understanding of Sambyeolcho. In that sense, it can be said that this books is the most objective and systematic description on Sambyolcho. The book consists of as follows: Chapter 1. East Asian history in the 13th century, Chapter 2. Ganghwadoseong and Sambyeolcho, Chapter 3. Entering mountain fortress and 30 years thereupon, Chapter 4. Sambyeolcho and Jindo, Chapter 5. Sambyolcho as maritime power and west and south islands, and Chapter 6. Sambyolcho and Tamla Hangpaduseong. This book was written for easy read compared with existing major books. Thanks to this book, readers, experts and non-experts alike could step one closer to Sambyolcho. In this sense, it is fair to appraise that this book contributes to popularize Sambyolcho beyond an introductory book.

      • KCI등재

        『辛未通信日錄』을 통해 본1811년 通信使船의 構造와 積載物品 硏究

        문경호 한국고전번역원 2021 民族文化 Vol.58 No.-

        The Shinmi Tongsinsa(friendship envoy) dispatched from Joseon to Japan in 1811 was made in the manner of Yeokji message(Place-changed message). A Yeokji Tongsin meant the action of appointing the point of diplomatic formalities for Tsushima Island to execute the functions carried out by the Japanese capital city, Edo. It was a unique design made first and last in 1811. Accordingly, the records related to Shinmi Tongsinsa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the studies to understand the procedures and the changed nature of the messenger as well. <Shinmitongsinilrok> authored by Kim l-gyo, <Dong-Sa-Rok> written by Yoo Sang-pil, <Chungsan-Do-Yu-Rok> by Kim Sun-shin and <Shinmi Hae-Hang-Rok> by Lee Myung-oh are the archives related to Shinmi messengers. Out of them, <Shinmitongsinilrok> structured in an official letter type and describes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scale of the Tongsinsa's ship, space allocation and structure of the upper part, count of the crews boarded on each ship, length of the mast, method of manufacturing, fund raising, and the name and count of various tools boarded on each ship. This study analyzed the scale and structure of the Tongsinsa's ship, kinds of goods loaded on each ship, as well as the count of the crew and space allocation based on <Shinmitongsinilrok> authored by Kim I-gyo. Further, the scale and structure of the ship at that time and procedures for procuring and preparing the goods were investigated. This information is hard to found from the previous records on the messenger.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deeper study of the Shinmi messenger and preparatory measures to dispatch the Tongsinsa. Kim I-gyo structured the somewhat official records in a manner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Tongsinsa's records made in diary format because he considered the manner of Yeokji Tongsin in 1811 had emerged first and thought Shinmi Tongsinsa would be an important precedent case when the Yeokji Tongsin was continued in the future. However, contrary to Kim I-gyo's expectation, further Tongsinsa was not dispatched and Japan forced Joseon to open the seaport 55 years later. It can be said this case showed the extent to which exchange and mutual understanding were important in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era. With the motive of <Shinmitongsinilrok>, it is considered that studies on the Tongsinsa's ship were deepened from a picture oriented approach to the level of referring to biblical studie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understanding on the Tongsinsa's ship will be deepened further when the studies on the currently unused ships and navigation related goods are continued. 1811년의 신미통신사는 역지통신(易地通信, 외교의 장소를 에도에서 대마도로 바꿈)이라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신미통신사 관련기록은 통신사의 성격 변화뿐만 그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신미통신사 관련 기록으로는 金履喬의 『辛未通信日錄』, 柳相弼의 『東槎錄』, 金善臣의 『淸山島遊錄』, 李明五의 「辛未海行錄」이 있다. 이 중 『신미통신일록』에는 통신사선의 제작 과정과 규모, 상장의 공간 배치와 구조, 각 선박에 승선한 인원의 수, 돛대의 길이, 돛의 길이와 제작비용 마련 방안, 각 선박에 실린 각종 도구의 명칭과 수효 등이 공문 형태로 기록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김이교의 『신미통신일록』을 토대로 통신사선의 규모와 구조, 각 선박에 실린 물품의 종류, 승선 인원, 공간 배치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선박 규모와 구조, 물품의 조달 및 준비과정 등에 대해 살폈다. 이러한 정보는 이전의 통신사 기록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다. 이 글을 통해 신미통신사는 물론, 통신사 파견을 위한 준비과정, 통신사 선박에 관한 이해 등이 좀 더 명확히 조사되었다고 생각한다. 김이교가 일기형태로 제작된 이전의 통신사 기록과 달리 공문서 중심의 기록을 남긴 것은 1811년의 역지통신 방식이 처음 등장한 것이었다는 점과 앞으로 역지통신이 이루어질 경우 신미통신사의 사례가 중요한 전례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러나 김이교의 생각과는 달리 그후 더 이상 통신사는 파견되지 않았고, 55년 후에 일본은 조선을 강제로 개항시켰다. 교류와 상호에 대한 이해가 국제관계에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해양사 연구의 성과와 역사수업에서의 교재화 방안

        문경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3

        In this writing, I have discuss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maritime history, its value in terms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reality that our history textbook less and less covers maritime history. Also, I have presented a plan and procedures for introducing into history class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that contributed to formation of diverse maritime culture. The main points of what I have talked about so far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e Korean Peninsula is located at a point where continental culture and maritime culture crosses. It was the final point where culture introduced by land from China or Russia reached and also the final destination where culture introduced by sea through the maritime Silk Road reached. This geographical position is not irrelevant to how Islamic merchants reached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South-North States Period to Goryeo Dynasty. This shows that the maritime part of the Korean history can provide important data o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of and change in the Korean culture. Moreover, since the ships, maritime weapons, pottery, etc, excavated from the sea are recently appearing in the textbook of the history of state system and local history, if maritime history is effectively covered in history class, it will highly motivate the students in getting practical help. Nevertheless, the part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hat maritime history accounts for is decreasing sharply. Since it is the case that there are not that plenty of materials available to be covered related to maritime history, not even attempts are being made to include it as part of textbook. Not only this, but considering the gradually increasing value of the ocean and the mounting tension involving our neighboring countries’ threat to infringe on our sovereignty over the ocean, the problem gets even worse. The reason I particularly focus on dealing with maritime history among many other topics of history is because it helps us to have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whole history by including the ocean as part of history. Considering we now have a certain amount of research results accumulated in the field of maritime history, it is about time we should make an effort to enrich our history education by reflecting such results in the history textbook and encourage students to take an interest in the ocean. 전세계적으로 해양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한국사 교육에서는 해양사와 관련된 내용들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2015개정교육과정 시안대로라면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한국사>교과에서는 해양사와 관련된 분야를 거의 접할 기회가 없게 된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이 글에서는 해양사의 의미와 필요성, 역사교육적인 면에서의 가치 등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교과서에서 해양사 관련 내용 서술이 줄어들고 있는 현실의 문제점에 대하여 짚어 보았다. 또한, 다양한 해양 문화에 기반하고 있는 조운제도를 역사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다양한 분야의 역사 중에서 해양사에 주목하는 이유는 역사학이 간과한 해양이라는 공간을 역사의 범주에 넣음으로써 역사를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전체사를 지향하려는 데에 있다. 해양사의 여러 분야에서 연구 성과가 어느 정도 축적된 만큼 이를 교재화 하여 역사교육에 반영함으로써 역사 교육의 내용과 자료를 풍부하게 함은 물론, 학생들이 바다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바다를 중심으로 역사에 접근하게 되면 다양한 공간과 시간의 얽힘 속에 공존하는 사람들의 삶에 주목하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영토 중심적인 한국사 교육의 틀에서 벗어나 더 폭넓은 세계 시민적 교육으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통합사회』 에서 평화지향 통일교육 모색

        문경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In this article, we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ourse of the 2015 curriculum, and searched for the foundation of the peace - oriented unification education, and proposed improved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tent elements for effective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2015 curriculum,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has been equipped with a certain degree of external conditions that allow for fusion and three-dimensional unification education, but "peace" and "unification" are not selected as core concepts and core values. And content elements also have a somewhat unsatisfactory point in terms of the integration of school classes and subjec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ore complementary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that can clarify the point of unification education emphasizing peace and apply it to the school site. Accordingly, we complemented the relevant content elements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ourse and proposed improved achievement standards. 이 글에서는 2015 교육과정 『통합사회』과목의 통일교육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평화지향 통일교육의 구성 기반을 모색하는 동시에, 평화지향 통일교육을 위한 개선된 성취기준과 내용요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5 교육과정에서에서는『통합사회』의 신설로 인하여 융합적이고 입체적인 통일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외형적 조건을 일정 정도 갖추었지만, ‘평화’ 나 ‘통일’이 핵심 개념, 핵심 가치로 선정되지 못하였고, 내용요소 역시 학교급별 계열성과 과목별 통합성 측면에서 다소 아쉬운 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평화의 가치를 기저에 담고 있는 통일교육으로의 지향점을 보다 분명히 하고, 통합사회 신설 취지에 맞도록 융합적 통일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보다 보완된 내용 체계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통합사회』의 내용 체계를 보완하고 개선된 성취기준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려시대 관련 고고학의 연구 성과와 전망

        문경호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2

        This thesis aims to introduce the major achievements in the excavations conducted into the relics of the Goryeo period since 2000 and present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maj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got into full swing around 2000, there were increased excavations of the relics and artifacts of the Goryeo period. Moreover, as local governments lay great store on the history and cultural properties in their regions, the public interest in the unearthed artifacts and relics is increasing.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Korean Mediaeval Archeology Basic Database Creation Project us in progress as supervised b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entr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reated a compendium of the mediaeval archeological research achievements entitled, “Collected Materials for Korean Mediaeval Archeology”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opened a web portal on the achievements of the Korean studies promotion projects. Moreover, the website for the Database for Korean Historical & Cultural Investigation, which specialized in informatizing the interred cultural properties and managing scholarly information on archaeology, was opened in 2016, and ‘Korean Middle Ages Archeological Society’ launched in the latter half of the same year. The relics of the Goryeo Period investigated so far vary as widely as defense-related relics, urban castles and relics, Buddhist relics, production relics, residential relics, and maritime relics. The defense relics include castle and beacon relics, and the urban castle and urban relics include the relics of the palace in Gaeseong and the relics of Gangdo, the relics of chiso(治所) or eupsa(邑司), and government office relics including the residential relics. The Buddhist relics are led by the temple relics, while the production relics include iron making relics, pottery kiln, and rooftile kiln. The tomb relics include the royal tomb relics, ordinary tomb relics etc. found on Ganghwa. And the maritime relics include ship-related relics unearthed on the west coast such as Taean and Ansan. Through the unearthing of these relics, the relics of the Goryeo Period which differ from the periods coming before or after, the diverse-ranging achievements from the excavations need to organized and typified. Considering this, the conclusion of the thesis presents the tasks and prospects for the archaeological study of the Goryeo Period.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출토된 고려시대 유적의 주요 발굴 성과를 소개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 등을 제시하려 하였다. 2000년을 전후하여 대규모 도시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고려시대 유적과 유물의 출토가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 자치 단체들이 자기 지역 역사와 문화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 되면서 지역문화재에 대한 인식도 많이 달라졌다. 이러한 현실에 힘입어 숙명여자대학교 주관의 ‘한국 중세 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 베이스 구축’사업이 진행되고, 중앙문화재연구원에서 『한국중세고고학 자료집성』이라는 제목의 중세 고고학 연구 성과 총록을 제작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운영하는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 사이트’가 개설되었다. 또한, 2016년에는 매장문화재 정보화 고고학 학술정보 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한국역사문화조사자료 데이터베이스’ 사이트가 개설되었고, 이듬해인 2017년에는 ‘한국중세고고학회’가 발족되었다. 최근까지 조사된 고려 시대 유적은 크게 관방유적, 도성 및 도시유적, 불교유적, 생산유적, 분묘유적, 생활유적, 해양유적 등으로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관방유적 중에는 방어를 위해 쌓은 성곽과 봉수유적 등이 있고, 도성 및 도시유적으로는 개성의 궁궐유적과 강도유적, 治所나 邑司 등의 관아유적, 주거유적 등이 있다. 사원유적으로는 불교유적이 대표적이고, 생산유적으로는 제철유적, 자기 가마, 기와 가마 등이 있다. 분묘유적으로는 강화 일대에서 출토된 왕릉 유적과 일반 분묘유적 등이 있다. 그리고 해양유적으로는 태안과 안산 등 서해안 일대에서 출수된 선박 관련 유적이 있다. 이들 유적의 출토를 통해 전후 시기와는 다른 고려시대 유적들의 정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다양한 발굴성과를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유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여 논문의 결론 부분에서는 고려시대 고고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