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북한 민족가극 〈춘향전〉에 관한 고찰

        마성은(馬聖恩)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통일인문학 Vol.54 No.-

        남북을 아울러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고전문학으로 첫손가락에 꼽히는 작품은 바로 「춘향전」이다. 「춘향전」은 분단 이전부터 분단 이후까지, 오랫동안 우리민족의 사랑을 받아 온 작품이다. 그런 만큼 「춘향전」은 다양한 방식으로 재창작 되어 왔다. 북한에서도 「춘향전」은 다양한 방식으로 재창작되고 있다. 북한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재창작된 「춘향전」 가운데 북한만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 보여 주는 작품으로는 ‘민족가극 〈춘향전〉’을 꼽을 수 있다. 이는 ‘민족가극’이라는 독특한 장르가 오늘날 북한 문화예술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장르이기 때문이다. 민족문학사에서 「춘향전」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감안할 때, 민족가극 〈춘향전〉의 성공적인 창조는 ‘민족가극’이라는 장르의 안착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작업이었다. 따라서 김정일은 민족가극 〈춘향전〉의 창작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다. 김정일의 직접 지도 아래 완성된 민족가극 〈춘향전〉은 1998년 12월 19일 만수대 예술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북한 민족가극은 “노래가 절가화됨으로써 음악 자체가 연극성을 강하게 담지하는 수준은 떨어지지만”, 대신 “대중성은 강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민족가극이 “피바다식 가극”으로 대표되는 혁명가극의 양식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창’이라는 독특한 형태의 노래를 통하여 극에 개입하는 서술자가 존재한다는 것은 민족가극 〈춘향전〉에서 중요한 서술상의 특성이다. 8ㆍ15 민족해방 이후 북한 창극은 서방 오페라의 영향으로 무대 위에서 모든 노래들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변모하였다. 하지만 “피바다식 가극”이 수립되면서 방창이 다시 적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피바다식 가극”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기에 이르렀다. 원작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새롭게 각색된 민족가극 〈춘향전〉에서 찾아볼 수 있는 장면으로는 방자와 향단의 연애 장면을 들 수 있다. 남한 판본들에서는 다분히 억척스러운 인물로 묘사되고 있는 월매가 민족가극 〈춘향전〉에서는 상당히 다른 면모, 즉 차분하고 냉철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민족가극 〈춘향전〉은 창작 과정에서 김정일의 지도를 직접 받은 작품인 만큼, 주체시대의 새로운 인간형을 담아냄으로써 주체적 민족가극을 창작해야 한다는 김정일의 요구가 그대로 반영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민족가극 〈춘향전〉에서는 등장인물들을 개성적인 매력을 갖춘 인물들로 형상화하기보다는, 그들로 하여금 봉건사회를 저주하게 하는 데 더욱 열중했다. 따라서 등장인물들이 개성적이기보다는 몰개성적이며 입체적이라기보다는 평면적인 성격을 가지게 되면서, 등장인물들 각자가 독특한 매력을 형상화하는 데에는 실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조선 『아동문학』과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마성은(Ma, Sung-e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3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2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East Asia as appeared in Children’s Li terature Magazine of DPRK in the 1960s when the DPRK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Marxist-Leninist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East Asian countries that appeared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60s are DPRK,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ROK), China, Vietnam, and Mongolia. Of these, China, Vietnam, and Mongolia, “Socialist brother countries”, are represented as friends, under “Marxist-Leninist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There are only one work appeared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60s that cover Mongolia. Therefore, this article will focus upon China and Vietnam as appeared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60s. In the 1960s, children’s literature of DPRK considered China and Vietnam as a good friends to the people of DPRK, and especially perceived Vietnam, the forward ranks of Anti-imperialism. The Vietnam War in the 1960s influenced not only Vietnam but whole East Asia. Chinese opinion of Vietnam War changed DPRK perception of China. DPRK insisted on “Marxist-Leninist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and Anti-imperialism. Unfortunately, Children’s Literature of DPRK in the 1960s and East Asian Sense do not show much artistry, it just show their political opin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1980〜1990년대 중국조선족아동소설 연구

        마성은(Ma Sung-Eu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1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1

        본고는 20세기 조선족아동문학을 대표하는 선집인 『20세기중국조선족아동문학선집 1(아동소설편)』에 수록된 작품들의 주요 특색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아동문학 연구에서 ‘디아스포라’ 아동문학을 고민하는 단초를 제공하려 한다. 중국은 개혁개방이 진행된 이후 급속한 사회변화를 겪었다. 개혁개방은 폭발적인 경제성장을 불러왔지만 엄청난 빈부격차, 가치관의 혼란, 공동체의 붕괴 등을 불러오기도 했다. 배금주의가 만연하여 도박이 성행했고, 경제문제로 인한 가정불화 탓에 이혼가정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국교 정상화 이후 많은 중국인들이 돈을 벌기 위해 한국으로 향했다. 이때 한국행을 택한 중국인 가운데 상당수는 조선족이었다. 한족을 비롯한 다른 민족에 비하여 언어장벽이나 문화장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한국행을 택한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중국으로 돌아가지 않음으로써 수많은 조선족 가족공동체가 붕괴되었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현실은 조선족 아동에게 크나큰 충격과 절망으로 다가왔다. 1980?1990년대 조선족아동소설의 성취는 개혁개방의 이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국교 정상화 이후 한국행을 통하여 가족공동체가 붕괴되는 것은 개혁개방의 폐해 가운데에서도 조선족 사회에서만 두드러진 특징이다. 그리고 그러한 현상이 야기한 최대의 피해자가 된 아동 독자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전하여 줄 수 있는 작품이 있다는 점은 조선족아동소설이 당시 상황에서 수행한 사회적 역할로 볼 수 있다. 하지만 1980?1990년대 조선족아동소설에는 보편적인 울림을 가질 만한 철학적 깊이나 인간적 성찰이 잘 보이지 않는다. 중국 사회에서 관심을 불러일으킬 만한 제재(주로 개혁개방의 이면)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당시 중국아동문학사에서만이라도 중요하게 자리 잡을 수 있는 작품이 나올 수도 있었지만, 모든 작품이 조선어로 창작된 까닭에 그나마 중국아동문학사에 길이 남는 작품마저도 배출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his study aims to discuss ‘Diaspora’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research on main features of juvenile novels published in《The Anthology of Children’s Literature of Korean-Chinese in the 20th Century》. There have been so many social changes in China after Chinese economic reform. Chinese economic reform has resulted in a hug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chaos in traditional values, breakdown of communities, rage of gambling, and increase of broken homes due to economic problems. After the normalis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Peoples Republic of China, many Chinese nationals have left for South Korea to make money. Of these people, many were Korean-Chinese, who were relatively free from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However, the problem was that a great number of these Korean-Chinese people did not return to China, and it caused a mass-scale family breakdown 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To Korean-Chinese children, such reality came about as a huge shock and disappointment. An achievement of juvenile novels of Koreans in China in the 1980s and 1990s is that they successfully depict the dark side of Chinese economic reform. Of the problems arising from Chinese economic reform, a mass-scale family breakdown 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due to a huge out-flux of Korean-Chinese was a problem characteristic to the Korean-Chinese community. The fact that there were these juvenile novels that offered consolation and encouragement to Korean-Chinese children who were the biggest victims of such phenomenon was the social role that these novels played under the situation of the time. Unfortunately, however, juvenile novels of Koreans in China in the 1980s and 1990s do not show much philosophical depth or humanistic introspection that may bring about a universal reaction. As they have dealt with subject matters (mostly the dark side of Chinese economic reform) that could bring about interests in the Chinese society, it could have been possible for some novels to establish themselves significantly at least in the history of Chinese Childrens literature. And yet. it is deplorably sad that no such novel has been produced as they were all written in Korean only.

      • KCI등재

        서사무가 「바리공주」를 동화화 할 때 버려야 할 것과 살려야 할 것

        마성은(Ma Sung-eu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0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5

        Lately, Tale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of children's literature. Traditional Fairy Tale is alway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children's publishing business. There is so many Picture Book and Traditional Fairy Tale based on the Tale, especially Shamanist Epic. Above all the rest 「Princess Bari」is the most popular and important tale in Korea. In order to transmit effectively the quintessential themes of the Picture Book or Traditional Fairy Tale, contemporary writers must have a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values and philosophical principles of the traditional tale as its source. Above all, those who want to rewrite or adapt shamanic narratives for the Picture Book or Traditional Fairy Tale should have respect to the traditional tale as its source. The texts which I hav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present work are two Picture Books and one Traditional Fairy Tale. As for the two Picture Books, one was adapted by Song Un and Byun Hae-Jung, and the other by Baek Seung-Mi. As for the Traditional Fairy Tale was adapted by Kim Seung-Hee and Choi Jung-In. As for the Picture Book of Princess Bari, Song Un and Byun Hae-Jung rewrites mingled together conspicuously themes to their tale. As for the Traditional Fairy Tale of Princess Bari, Baek Seung-Mi rewrites reproduced faithfully themes to her tale. As for the Picture Book of Princess Bari, Kim Seung-Hee and Choi Jung-In rewrites the shamanist tale realistically by omitting many themes and details.

      • KCI등재

        사회주의 가정의 붕괴와 재결합 -리준길의 『전설은 계속된다』를 중심으로-

        마성은 ( Ma¸ Sungeun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본고에서는 리준길의 중편소설 『전설은 계속된다』를 통하여 북측이 재난을 극복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문학사회학을 기본 연구 방법론으로 하며, 북측 연구 방법론으로 새롭게 제기된 ‘주자학적 접근법’을 적용하였다. ‘주자학적 접근법’은 북측이 표방하는 사회주의 대가정이라는 개념을 이해함에 있어 절실하다. 북측이 표방하는 사회주의 대가정은 대를 이어 수령이 지도하고, 주민들은 수령을 어버이처럼 여기며 충성과 효도를 다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고난의 행군, 강행군시기에 자강도 희천시의 상황이 악화되자 승철이 어머니는 외가가 있는 자강도 동신군 석포리로 떠나가 버린다. 반면에 설비과장으로 일하던 승철이 아버지는 자진해서 다시 주물직장 전기로공이 되면서까지 희천공작기계공장을 위하여 헌신한다. 어머니가 집을 나간 것은 승철이네 가정의 문제이다. 그런데 어머니의 부재로 아버지가 마음 놓고 연구에 집중하지 못한다. 아버지의 연구는 국가의 문제이다. 그러므로 승철이네 가정의 문제는 사회주의 대가정의 문제와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사회주의 가정은 사회주의 대가정과 유기적으로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승철이는 아버지를 더 잘 돕기 위하여, 멀리 동신까지 찾아가서 집을 나간 어머니를 데려온다. 어머니를 데려온 사람은 승철이지만, 승철이를 떨쳐나서게 한 사람은 강계정신을 체현한 아버지이다. 결국 강계정신이 붕괴되었던 사회주의 가정의 재결합을 이끈 것이다. 붕괴되었던 사회주의 가정의 재결합은 사회주의 대가정에 들이닥친 재난인 고난의 행군, 강행군이 극복되는 것을 상징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 of DPRK overcoming disasters through Ri Jun Gil’s medium-length novel The legend continues. This study uses literary sociology as a basic research methodology, and applied the Zhūzǐxué approach, which is newly raised as a DPRK research methodology. The Zhū zǐxué approach is desperately need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 socialist great family advocated by DPRK.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ocialist great family advocated by DPRK is guided by the leader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that the residents regard the leader as a parent and fulfill loyalty and filial piety. During the days of the Arduous March and forced march, when the situation in Huichon city, Jagang Province, worsened, Sungchol’s mother left for her mother’s home. On the other hand, Sungchol’s father was working as a facilities section manager, but he devoted himself to becoming again a worker at the electric furnace of the casting workplace for the Huichon machine tool factory. It is a matter of Sungchol’s family that mother leave home. Anyway, Sungchol’s father cannot relax and focus on research because Sungchol’s mother is not there. Sungchol’s father’s research is a matter of state. Therefore, the problem of Sungchol’s family cannot be thought of separately from the problem of the socialist great family. The socialist family is organically connected to both the socialist great family. To help his father better, Sungchol goes far and brings his runaway mother. It was Sungchol who brought his mother, but his father inspired Sungchol to leave by embodying Kanggye Spirit. In the end, Kanggye Spirit also resulted in reuniting the collapsed socialist family. The reunited of the collapsed socialist family symbolizes the overcoming of the days of the Arduous March and forced march, a disaster that hit the socialist great family.

      • KCI등재

        통일시대 아동문학 정전의 가능성(2) - 1920년대 동요ㆍ동시를 중심으로

        마성은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4

        This paper is the first attempt to find an intact can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20s when the national children’s literature began, not a half-canon. Thus, analyzed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n nursery rhyme and children’s verse in the 1920s and compared the aspects of the nursery rhyme and children’s verse in the 1920s in the both Korea’s anthologies. DPRK grasps that children’s literature began to appear in the 1920s as the national literary movement became more active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ew of the both Koreas was consistent that the national children’s literature began in the 1920s. In DPRK, the nursery rhyme and children’s verse from the 1920s is largely divided into line of critical realism and socialist realism. More than half of the nursery rhyme and children’s verse in the 1920s contained in South Korean anthology is also contained in North Korean anthology. This proves that it’s possible to seek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20s was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 children’s literature. Both Korea’s quest for a canon of the nursery rhyme and children’s verse in the 1920s together will be a big step to children’s literature in unification era. 본고는 반쪽의 정전이 아닌 온전한 정전을 마련하기 위하여, 민족아동문학이 시작된 1920년대 아동문학의 온전한 정전을 모색하는 첫걸음을 내딛었다. 이를 위하여 1920년대 동요ㆍ동시에 관한 북측의 시각을 분석하고, 남측 『겨레아동문학선집』과 북측 『1920년대 아동문학집』의 1920년대 동요․동시 수록 양상을 비교하였다. 북측에서는 1919년 3.1운동 이후 1920년대에 들어와 민족문학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근대적인 성격이 뚜렷한 동요․동시․아동소설․동화와 같은 고유한 아동문학 형태를 갖춘 작품들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아동문학의 역사가 1920년 전후로 시작되어 본격적인 발전 단계에 들어섰다고 파악하는데, 민족아동문학이 1920년대에 시작되었다는 데 남북의 시각이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920년대 동요․동시를 크게 “아이들의 시점에 서서 당대 생활에서 보고 느낀 체험을 동심에 맞게 형상”한 작품과 “1920년대 일제의 식민지통치에 의하여 빚어진 현실의 모순과 무산소년들이 당하는 불행과 고통 그리고 새 사회에 대한 동경과 리상을” 보여준 작품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겨레아동문학선집』에 실린 1920년대 동요ㆍ동시 44편 가운데 25편이 『1920년대 아동문학집』에도 실려 있다. 남측 선집에 실린 1920년대 동요․동시 가운데 절반 이상의 작품이 북측 선집에 실린 작품과 일치한다는 것은 통일시대 아동문학 정전의 모색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1920년대 아동문학은 민족아동문학이 시작된 시기이다. 우리 민족의 속담 가운데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1920년대 동요․동시 정전을 남북이 함께 모색하는 것은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큰 내딛음이 될 것이다.

      • KCI등재

        1940~1950년대 조선 비교문학에 관한 고찰

        마성은 ( Ma Sung-e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0 No.24

        본고는 1940~5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조선) 비교문학을 검토하였다. 우선 8.15 민족해방 이후 민족문화 모색기에 있어 소비에트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하 소련)문학을 섭취하고자 했던 논의를 살펴보았고,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을 비판함으로써 대한민국(이하 한국) 문단을 비판했던 모습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당시 조선에서 소련문학이 어느 정도 번역ㆍ소개되었는지 살펴보았고, 소련문학의 번역ㆍ소개가 시 창작에 미친 영향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조선의 비교문학은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조선문학사를 돌이켜 보더라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는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조선에서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시기가 있었다. 바로 8ㆍ15 민족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까지의 시기이다. 8ㆍ15 민족해방 이후 조선문학예술계에서는 ‘민족문화론’을 제기하는 글들이 연이어 발표된다. 민족문화론의 주된 논점 가운데 하나는 소련과의 국제적 친선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조선문학은 그 건설단계에서부터 소련문화예술과의 교류를 강조했다. 1940~50년대 조선에서 이루어진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에서 흥미로운 것들 가운데 하나가 바로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에 대한 비판이다. 이러한 비판은 곧바로 당시 한국 문단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더욱 주목할 만하다. 한효는 1949년에 발표한 장문의 평론 「민족문학에 대하여」를 통하여 ‘해외문학파’와 ‘코스모포리타니즘’을 비판하고 ‘인터나쇼날리즘’을 주장하는데, 이를 통하여 당시 조선에서는 비교문학을 ‘프로레타리아 국제주의적 관점에서 소련문학을 섭취함으로써 조선의 민족문학 건설을 뒷받침 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인식했다고 볼 수 있다. 1940~50년대 조선의 비교문학이 주로 소련문학을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었음을 고려할 때, 당시 조선에서 소련문학이 어느 정도 번역ㆍ소개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물론 분단 상황에서, 그것도 조선에서 이미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를 찾아보기 어려워진 실정에서 1940~1950년대 조선의 소련문학 번역ㆍ소개 실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일부 평론과 문헌을 통하여 당시 조선의 소련문학 번역ㆍ소개 상황을어느 정도는 가늠해 볼 수 있다. 1940~50년대 조선에서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는 주로 이론 영역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창작 영역에서 비교문학의 양상을 검토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하지만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기관지 『문학예술』 1950년 2월호에 발표된 이정구의 「쏘베트 시문학과 우리 시인들」을 통하여 시 창작에 나타난 비교문학의 면모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미 1950년대에 단행본으로 350권 이상의 번역 작품을 내놓은 바 있을 만큼, 조선 비교문학의 토양은 척박하지 않았다. 그러나 1956년 ‘8월종파사건’ 이후 ‘천리마시대’가 도래하면서 조선에서는 더 이상 비교문학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지 못했다. 이후 조선이 국제무대에서 고립되면서 조선문학 역시 비교문학을 배제하고 자체 내에서만 해명하고자 하는 배타적 고립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이러한 조선문학의 배타적 고립은 주체문학과 선군문학으로 이어지면서 외국문학과의 소통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In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ROK), there has been few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after DPRK). Thinking back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DPRK, there has not been weighty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1940~50s, however, there was active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many critics in the North promoted ‘National Culture’. One of the main points of ‘National Culture’ was to establish amicable relations with the USSR. From its beginning, literature of DPRK emphasis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change with the USSR. One of the interesting points of the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is its criticism of ‘Foreign Literature Group’ and ‘Cosmopolitanism’. This criticism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connected to criticism of the literature of ROK. In Hyo Han’s lengthy critical essay, ‘About National Literature’, published in 1949, Hyo Han criticised ‘Foreign Literature Group’ and ‘Cosmopolitanism’, and promoted ‘Internationalism’. With this, it can be said that comparative literature was perceived in the DPRK as a methodology to build ‘National Literature’ by learning literature of USSR in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ism. Considering that one of the main object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was literature of USSR, it is required to see how much of literature of USSR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 the DPRK. And yet, as Korea is divided and it is now very hard to find any traces of discussion of comparative literature even in the DPRK,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ollect enough material about the situation of the DPRK in 1940~50s. Despite the fact, we can understand the situation more or less via some critics and material about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literature of USSR in the DPRK. The base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was not so poor, as over 350titles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as early as 1950s. And yet, after ‘August Affair of Sect’ and ‘The Period of Chollima Movement’ that followed, comparative literature ceased to be a topic of discussion in the DPRK. Since that time, as DPRK was isolated from the outside world, literature of DPRK excluded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t itself off from literature of the outside world as well. Such international isolation of literature of DPRK leads to ‘Juche Literature’ and ‘Songun Literature’, making it even more difficult for exchange of literature with the outsid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