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실평가 실제 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평가인식과 학업적 자기조절 및 피드백 추구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노현종 ( Noh¸ Hyunjong ),김난옥 ( Kim¸ Nanok ),이빛나 ( Lee¸ Bitna ),손원숙 ( Sohn¸ Wonsoo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4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교실평가 실제의 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AFL) 인식이 학업적 자기조절과 피드백 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실평가 장면에서 중학생이 인식하는 평가 유형을 교사주도 평가와 상호작용적 형성평가로 구분하였다. 교실평가 실제의 유형과 AFL 인식, 학업적 자기조절, 피드백 추구 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D와 K지역에 소재한 4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2, 3학년 학생 450명이다. 분석 결과, 성적 산출이나 등급부여를 목적으로 하는 교사주도 평가는 AFL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학습 상태를 관찰하고 의견을 나누는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적 형성평가는 AFL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실평가 실제가 AFL 인식과 학업적 자기조절을 매개하여 피드백 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적 형성평가는 AFL 인식을 매개하여 학업적 자기조절과 피드백 추구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주도 평가는 AFL 인식과 학업적 자기조절을 매개하여 피드백 추구 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학생이 인식하는 교실평가 실제와 AFL 인식의 중요성 및 교실 평가 개선과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을 돕기 위한 상호작용적 형성평가의 교육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 with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for learning (AFL), their academic self-regulation,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The instrument for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SCoA-IV) was completed by 450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to four different schools in D or K region of Korea.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the variables such as two types of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s, AFL conception, academic self-regulation,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teacher controlled assessment on AFL conception was not significant, whereas the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FL conception. In the analysis of indirect effects, the teacher controlled assessment had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self-regulation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whereas the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feedback seeking behavior through the AFL conception and academic self-regulation. Last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for students’ learning and teachers’ instruction improvement, and the importance of students’ AFL concep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가 교과태도에 미치는 학교맥락효과 :

        노현종(Hyunjong Noh),김동욱(Donguk Kim),박상현(Sanghyun Park),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가 교과태도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개인의 내적/외적(I/E) 참조체제 및 ‘작은 연못의 큰 물고기 효과(Big Fish Little Pond Effect: BFLPE)’(Marsh, 1987)를 연계한 통합모형을 구성하였다. 2015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한 일반계 고등학교 1,457개의 2학년 학생 총 399,71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영어와 수학 성취도 및 교과태도 간의 관계를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수준에서 개인의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는 동일 영역 교과태도에는 정적 영향을, 다른 영역의 교과태도에는 부적 영 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구안한 I/E 통합모형에 따르면, 학업성취도의 학교맥락 효과는 교과별로 차이를 보였다. 즉, 학교수준의 영어성취도 효과는 학생 개인의 영어와 수학 교과태도 모두에 부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수준의 수학성취도는 영어와 수학 교과태도 모두에 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업성취도의 학교맥락 효과와 학생평가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chool contextual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and Math academic achievement on their attitudes toward English and Math subjects, which are supposed to be formed by social comparisons. In part, this was based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frames of reference(I/E) and the big-fish-little-pond effect(BFLPE) models in one integrated model. In order to address our research questions, doubly-latent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s, differentiating between the student and school levels were applied to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2015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grated I/E model fit the data well. At the student level, academic achievement in one domain was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ttitude in that domain but negatively related to academic attitude in other domain. At the school level, school-average English achievement had negative effects on both students’ English and Math academic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ffects of school-average math achievement on student’s English and Math academic attitude were foun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as well as the role of classroom assessment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Finally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noted to guid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and to stimulate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초등 리노베이션 교실 활용의 효과성 분석

        노현종(Noh, Hyunjong),박민애(Park, Min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초등학교 교실 공간혁신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리노베이션 교실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역량과 학교 만족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D 지역에 소재한 16개 초등학교 중 리노베이션 교실을 사용한 16개 학급과 일반 교실을 사용하는 16개 학급의 2~3학년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생들의 역량과 만족도를 3시점 동안 측정하여 리노베이션 교실 입급 학생과 일반 교실 입급 학생의 성장 패턴을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리노베이션 교실 입급 학생과 일반교실 입급 학생의 초기 역량과 학교 만족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차별적인 성장이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선형변화 조건모형에서 리노베이션 교실에 입급 여부가 자기관리역량, 공동체역량 및 역량 전체, 학교 만족도의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 공간의 변화를 통한 학생의 역량 함양 및 학교 만족도 향상의 효과에 대한 의의를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living in the renovated classroom implemented as part of the elementary classroom space innovation project. Among the 1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area D region of Korea, students in grades 2 and 3 of 8 classes using renovated classrooms and 8 classes using general classroom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Students competency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for 3 points and the growth patterns of students entering the renovated classroom and those entering the general classroom were compa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atent growth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itial competencies and school satisfaction of students entering the renovated classroom and students entering the general classroom,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scriminatory growth over time. In the linear change condition model, it was found that entering to the renovated classroo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community competency and overall competency, and schoo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 of improving student competency and school satisfaction through changes in classroom space was suggested.

      • KCI등재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초·중·고등학생 경제이해력 조사 연구 문항 양호도 및 추측에 따른 응답 특성 분석

        노현종 ( Hyunjong Noh ),박상은 ( Sangeun Park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기획재정부의 위탁으로 한국개발연구원이 2020년 11월에 조사한 초·중·고등학생 경제이해력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3-모수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여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 추측도를 추정하였다. 각 학교급에서 추측도가 가장 높은 문항을 선별하여 추측도는 높으면서 어려운 문항, 추측도는 높지만 쉬운 문항을 골라 명명반응모형을 적용하여 학생의 능력수준에 따라 어떤 선택지에 응답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전검사이론 분석 결과 도출된 난이도와 변별도, 3-모수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문항 양호도 추정에서 심각하게 문제 되는 문항은 없었다. 둘째, 추측도가 25% 이상인 문항은 초등학교 4문항, 중학교 2문항, 고등학교 3문항이었다. 셋째, 추측도가 높은 문항 중 초등학교의 '합리적 선택', 중학교의 '물가'의 경우 교과과정 성취기준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넷째, 상위권 학생의 정답률은 높지만 하위권 학생들의 추측이 높은 문항 예컨대 중학교에서의 ‘합리적 선택’, 고등학교의 ‘기회비용’과 ‘비교우위’의 경우 하위권 학생들이 특히 어렵게 느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교과서와 수업에서 쉽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stimated the difficulty, discrimination, and guessing of items from the economic literacy data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urveyed by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in November 2020, applying the 3-parameter item response theory. In each school level, the items with the highest degree of guessing were selected, the items with high guessing and difficulty and the items with high guessing but easy. The study analyzed which option was answered according to the student's ability level.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erious problems in estimating the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and the goodness of the items. Second, the items with guessing of more than 25% were 4 items in elementary school, 2 in middle, and 3 in high school. Third, among the items with high guessing, some of the contents, such as "rational choice" of elementary school and “price” of middle school, were not covered by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Fourth, in the case of items with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high level students but with high guessing by low-level students, low-level students are likely to have difficulty around some of the concepts. Thus, it is necessary to deal the concepts, such as rational choice, opportunity cost and comparative advantage, more easily in textbooks or classes.

      • KCI등재

        교사의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과제가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노현종(Hyunjong Noh),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제공하는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과제가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0년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에서 수집된 초, 중,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과제가치는 학습태도(수업 및 숙제태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교사의 숙제 피드백은 학생수준 변인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가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자료의 위계적 구조를 반영하여 2수준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이러한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교과 및 학교급별로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수업 및 숙제태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간접효과는 교과 및 학교급별로 혼재되어 나타난 반면, 과제가치의 경우 공통적으로 간접효과만 나타나 실제 수업에 참여하거나 숙제를 성실히 하고자 하는 실천성이 발휘될 때 학업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숙제 피드백 중 확인적 피드백은 학생수준 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 교정적 피드백은 주로 국어에, 정교화 피드백은 수학과 영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role of teacher-provided feedback on homework and its relationships to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by comparing core academic subjects and three school levels using SELS 2010 data. In part, this was based on a framework proposed by Brookhart(1997). The multi-level SEM approach was used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need for simultaneous evaluation of the student and teacher-level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student level characteristics were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s regarding vari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including self-regulated learning, task value,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Self-regulated learning and task valu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mediation of attitude toward class and homework. Also self-regulated learning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while task value did not. These relationships seemed to be a little bit different across academic subjects and school levels. At the teacher level, teacher-provided feedback on homework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ll student level variables but the effects of homework feedback depended on types of feedback. The elaborated feedback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students' learning compared to verificational or corrective feedbacks. Implication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용 평가에 대한 태도 척도(SATA-Q) 개발 및 타당화

        노현종(Hyunjong Noh),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평가에 대해 가지는 인지적․정서적 태도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측정할 수 있는 척도(Students’ Attitude Toward Assessment Questionnaire: SATA-Q)를 개발하여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D와 K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61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가에 대한 기대와 가치를 인지적 태도로, 평가에 대한 정적 정서와 부적정서를 정서적 태도로 개념화 하였고, 관련 문항을 수집하여 문항풀(item pool)을 구성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를 점검하기 위하여 Rasch 모형 분석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SATA-Q는 인지적 태도 6문항(가치 4, 기대 2)과 정서적 태도 6문항(정적 2, 부적 4), 총 12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총괄평가와 형성평가 유형에 따른 태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내적합치도와 Rasch 모형 분석에서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LCFA 분석에서는 4요인 구조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유형에 따른 측정동일 성이 확보되었다. 법칙론적 타당도를 점검하기 위하여 성취목표지향성 및 지능에 대한 신념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접근목표와 지능 향상신념을 가질수록 평가에 대한 가치, 기대, 정적정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피목표나 지능 고정신념을 가질수록 평가에 대한 부적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ATA-Q의 활용 방안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추가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assessment questionnaire (SATA-Q) in either formative or summative assessment situations. The SATA-Q comprises four sub-factors through the theoretical frameworks based on the Expectancy-Value model and the Control-Value model. Expectation and value factor were included for the cognitive attitud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were included for the affective attitude. To validate the SATA-Q, 165 fifth and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were participants in the pilot survey and 610 fifth and sixth graders were participants in the main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ATA-Q with 12 items was accepted for both types of assessment(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by Rasch rating scale model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Longitudin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hypothesized four factor with different assessment type structure. Third, nomological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of the SATA with beliefs about intelligence and achievement-goal orientation. Expectancy, value, and positive affec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astery/performance approach of goal orientation and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However, negative affec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stery/performance avoidance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the entity beliefs about intelligence. Finally implications for SATA-Q research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지역지리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갑철(Gapcheol Kim),노현종(Hyunjong Noh)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사회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역지리교육을 위해, 국내 지역지리교육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동향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통적 동향분석의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는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실시한다. 1993년부터 2019년까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3년 이후 국내 지역지리교육 연구는 전통지역지리 담론에 기반한 논의가 주를 이룬다. 둘째, 평가를 강조한 국내 교육 맥락 하에서 실증주의 측면의 지역지리교육연구가 강조된다. 셋째, 교수학습방법론 및 가치교육 측면에서 미래 지향적인 진보적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마지막 장에서는 국내 지역지리교육 연구의 현 상태를 진단하고, 미래 사회에 대비한 새로운 지역지리교육 연구 및 학교 지역지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Regional geography for the future has increasingly become an important issue among geography educators in South Korea. However, academic research concerning this topic remains fairly simple, superficial, and normative, failing to reflect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In this article,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f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RGER) in South Kore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 algorithm for topic modeling, was used for data analysis on word corpus of journal articles from 1993 to 2019.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1) RGER largely engaged in a traditional totalizing notion of regional geography; 2) Under educational culture toward performativity in Korea, positivist approach to geographical knowledge in research was preferred; 3) Some progressive works in relation to pedagogy or educational values increasingly considered the notion of future education. For a better school regional geography in the future, some possible avenues are proposed for further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 주기억 상주형 XML DBMS 저장 구조 설계

        임혁수 ( Hyucksoo Lim ),노현종 ( Hyunjong Noh ),이규철 ( Kyuchul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2

        최근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첨단 기술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고성능 트랜잭션 처리가 요구되고, XML 관련 기술들 역시 확대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기반 DBMS 의 한계를 극복하고, 점차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XML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XML 저장 방법은 대부분 XML DOM 구조 정보만을 저장하는 것이었으나, 이 방법은 XQuery를 처리하는 속도면에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해 2 중의 인덱스 구조를 두어, XQuery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주기억 상주형 XML DBMS 의 저장 구조를 설계 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이타성과 공정성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특성 탐색

        박상은 ( Sangeun Park ),노현종 ( Hyunjong Noh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0 경제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경제실험을 활용하지 않고 고등학생을 이타성과 공정성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성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 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대체로 이익과 손해에서 균형을 추구하며 전략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연구대상 학생들 중 27%는 보통수준의 이타성과 공정성을 가지는 매처 집단으로, 73%는 타인의 이익을 고려하는 높은 이타성을 가지는 기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학생들은 경제 뉴스를 많이 접할수록 매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기본심리욕구가 만족될수록 기버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버 집단에 많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개인적 특성에서 팀과제 참여 여부 보다 매처 집단에 속하는지 기버집단에 속하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이타심과 공정성 유형에 따른 경제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researchers attempted to classify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altruism as well as fairnes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instead of economic experimen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most all students had high tendency to seek equilibrium between gain and loss in their behavior strategies. Of the total, 26% were the matcher group and 73% the giver group. The giver group was altruist who cared about benefiting others or wanting to help and have positive impact on others. Second, the more the students were exposed to the economic news, the better the students’ chances of being the matcher group. while, the more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possibility of students being the giver group was higher. Third, female students were more distributed in the giver group than male students, and students showed more clear distinction based on their group they belong to the giver or the matcher rather than the participation in a team projec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aper discussed the economic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regarding altruism and fair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