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흡연 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약물남용 프로그램의 효과

        김도훈,낭궁기,오병훈,유계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약물남용중에서 가장 광범위하면서 이에대한 대책이 부족한 청소년 흡연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 약물학교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서, 지역사회 병원과 학교간의 협조 체계를 구축, 운용하는 지역사회 청소년 약물남용 예방, 치료, 재활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고안 시행되었다. 청소년 흡연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약물학교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기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해 연구대상 학교 경기도 성남시 소재 P 인문계 남자고등학교를 선정하고, 이 학교 학생중 무작위로 146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연구대상학교의 약물남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지역사회 약물학교 프로그램을 이수한 33명의 학생들을 실험군으로 하고, 연구대상학교 실태조사에 참여한 60명의 흡연집단 학생중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24명의 학생을 비교군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비교군 모두 실태조사 및 프로그램 실시 8개월 후에 다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그동안의 변화를 χ²-test와 t-test로 비교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 및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첫 흡연시기는 대부분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이었으며 대부분 학생이 고등학교 1학년때 이미 습관적으로 흡연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 학생들의 흡연의 시작을 예방하거나 늦추기 위해서는, 학교에 근간한 흡연을 위한 약물남용 예방 프로그램은 국민학교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며, 늦어도 흡연 시작이 가장 많은 시기인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이나 또는 흡연을 시작하기 바로 전 시기인 중학교1∼2학년 학생에 촛점을 두어 시작해야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흡연학생의 80%가 1회이상의 금연시도를 하였으며 6회 이상 시도도 약 20%를 차지하고 있었는바, 흡연 학생을 위한 금연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2) 흡연 청소년 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약물학교 프로그램의 효과는 매우 긍정적이었다. 지역사회 약물학교 프로그램에 참가한 흡연학생들은 8개월 후의 추적조사에서 최근 1개월간의 흡연율이 19.2% 감소하였고 니코틴 중독점수가 변화가 없었으며 최근 1개월 동안의 음주율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에 비해서 약물학교 프로그램에 참석하지 않은 흡연학생은 실태조사 8개월 후에 추적조사에서 최근 1개월간의 흡연율이 22.6%가 증가하였고 니코틴 중독점수가 1.80에서 3.43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최근 1개월 동안의 음주율이 18.1% 증가하였다. 3) 흡연 청소년 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약물학교 프로그램에 참가한 흡연학생들은 교육 8개월후 추적조사에서 교육전보다 학교문제가 적었으며, 약물학교 비참여군과는 달리 가족기능이 높아지고 친구문제가 적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흡연에 대한 지식은 낮아졌으며 흡연에 대한 태도가 오히려 호의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는 약물학교에 참여한 학생들이 학교 문제, 친구문제의 감소, 가족기능의 향상 등으로 스트레스가 감소하여 흡연에 대한 욕구가 낮아져서 흡연율이 감소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때,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약물남용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는 약물의 유해성에 관한 직접적인 교육 뿐 아니라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심리, 정서상의 문제를 다루어 주고 해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아울러 병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ggest community-based adolescent drug abuse program model to prevent, treat and rehabilitate the adolescent drug abusers, which works by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hospitals and schools,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adolescent drug abuse problem for adolescent smoking students since smok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adolescent abuse problems in the community. To gain the basic data for proving the effect of community drug abuse program for adolescent smoking students, one male high school was selected as the studying school located in Seong Nam city. Among this high school students 146 students were selected randomly to investigate drug abuse status of this school. The experimental group was 33 students who participate in community-based drug abuse problem and the control group was 24 students who were selected randomly among the 60 smok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investigating the drug abuse status in the studying school. The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reinvestigated of the drug abuse status eight months after completion of community-based drug abuse program, and change during this period was analysed with x²-test and t-test. The results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smoking onset time was ranged mostly from senior in middle school to freshmen in high school and the most students smoked already habitually when they were freshmen in high school. 80% of smoking students had tried to quit smoking more than one time and 20% had tried to quit smoking more than six times and failed. This data suggest that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 must be started as soon as possible for effectiveness of adolescent drug abuse program just before many students start smoking and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smoking students is needed desperately. 2) The community-based drug abuse program for smoking students was effective. The smoking students who participate in drug abuse program(experimental group) showed 19.2% decline of recent one month smoking rates eight months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but the smoking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drug abuse program(control group) showed 22.6% incline of recent one month smoking rat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Fagerstrom's nicotine dependance score and recent one month drinking rates showed no differance between initial and 8 month follow-up investigatement, but in the control group, the Fagerstrom's nicotine dependence scor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80 to 3.43 and recent one month drinking rates showed 18.1% incline after 8 month follow-up periods. 3) The smoking students who participate in drug abuse program has less school problems and increased family functioning and decreasing tendency of friends problems but less knowledge about cigarettes and more permissive in attitude to smoking after eight months follow-up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based drug abuse program experienced reduction of stress, which results in decline of smoking rates. Therefore, I think that the drug abuse program which deals with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adolescents is needed as much as direct education about the harmful effect of cigarettes in adolescent drug abuse program for smoking students.

      • KCI등재후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에서 Methylphenidate 치료반응 예측인자로서의 기저신경절 Dopamine Transporter Density-[123I]IPT SPECT 연구

        홍현주,유영훈,낭궁기,김찬형,천근아,이홍식 대한정신약물학회 2003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4 No.4

        Objective : Dopamine transporter is a key regulator of dopamine neurotransmission and is also the primary target of methylphenidate.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dopamine transporter(DAT) density in basal ganglia is a predictor of favorable methylphenidate(MP) treatment response. Method : 15 drug-naive boys with ADH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8 children :treatment responder, 7 children : treatment non responder) They were assessed with psychiatric interview, KEDI-WISC, K-ARS, ADS and CBCL. After then, they were performed [123I]IPT SPECT. They were evaluated about treatment response after treatment with methylphenidate during 8 weeks. SPECT data reconstructed for the assessment of specific/nonspecific DAT binding ratio of the basal ganglia were compared between treatment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Result :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pamine transporter density in basal ganglia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dopamine transporter density does not mediate the MP treatment response in a direct way. 목 적:methylphenidate(MP)는 ADHD에서 효과적인 치료제이며 70%의 환자가 MP에 좋은 치료반응을 보인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에서 약물의 주 작용부위이자 도파민 체계에서 중요한 조절자인 기저신경절 Dopamine Transporter(DAT) 밀도가 MP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영동 세브란스 병원 소아 청소년 정신과를 내원한 6~12세 ADHD 남아 15명을 대상으로 한다. 이중 MP에 대한 반응군은 8명이며 비반응군은 7명이었다. 이들에게 약물치료 전 임상평가와 함께 [123I]IPT SPECT를 시행하였다. MP 투홍현주 등 385 여 8주 후 다시 치료반응을 평가하며 MP 반응군과 비반응군 사이의 기저핵 DAT 밀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DAT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와 치료반응을 예측하는 다른 인자들도 알아보았다. 결 과:MP반응군과 비반응군 사이에는 기저신경절 DAT 농도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