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웹 기반 실내공기질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김희강(Kim Hee-gang),박은영(Park Eun-young),강동화(Kang Dong-Hwa),최동희(Choi Dong-Hee),여명석(Yeo Myoung-Seok),김광우(Kim Kwang-Woo)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07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study, a web-based home indoor air quality evalu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 program was apply to the mock-up test cell. To develop the evaluation program, algorithm was determined and the material database was established. Then the user interface was developed in a web base. This program is expected to encourage the appropriate reaction from the designers and the engineers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of newly built homes.

      • KCI등재

        서구 페미니즘 이론의 동향과 쟁점, 글로벌 맥락에서의 한국 페미니즘에 미치는 의미

        김희강(Kim Hee-Kang) 21세기정치학회 2006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 positive direc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feminist theory by (1)reviewing academic trends in Western feminist theory during last twenty to thirty years and (2)critically examining their implications to Korean feminist scholarship. First, it identifies academic trends in Western feminist theory in three aspects: the aspects of method, content, and subject. The methodological trend of theory has moved from feminist 'critique' to feminist 'construction'; the content of theory has shifted from issues of 'equality' to those of 'liberty'; 'gender' has been replaced by 'social justice' in the aspect of subject analysis. Then, the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ose trends to Korean feminist scholarship. Given this critical examina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to accommodate simply Western feminist theory to Korean cases but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feminist theory that is specific to Korean particular contexts. Such a development of Korean feminist theory is only possible when unique Korean feminism is able to be placed in the universal context of transnational feminism.

      • KCI등재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Global Gender Injustice

        Hee-Kang Kim(김희강)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4 OUGHTOPIA Vol.29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이주의 여성화를 규범적인 관점에서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논문은 다음의 세 가지 작업을 진행한다. 첫째, 이주의 여성화를 젠더화된 국내외의 제도에서 형성된 체계적이고 패턴화된 여성이주로 특징짓는다. 젠더화된 국내외 제도의 복잡한 관계는 여성들의 집단적인 이주를 생성, 유지, 공고화하는 맥락이 된다. 이러한 특징의 이주의 여성화 사례로 필리핀에서 홍콩으로 이주하는 여성노동이주와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이주하는 여성결혼이주를 살펴본다. 둘째, 이주의 여성화를 규범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토머스 포기(Thomas Pogge)의 글로벌 정의 논의에 주목한다. 포기는 전 세계적 빈곤과 경제 불평등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글로벌 제도 질서(global institutional order)’ 개념을 사용한다. ‘글로벌 제도 질서’의 시각에서 본다면, 이주하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또한 이주를 받아들이는 국가의 문제도 아닌, 글로벌 질서의 측면에서 국제이주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포기의 논의를 이론 틀로 하여 이주의 여성화를 평가해 본다. 무엇보다도 논문은 이주의 여성화가 생산, 유지, 공고화되는 젠더화된 국내외의 제도적 맥락을 평가함으로써, 어떻게 이러한 제도가 글로벌 젠더 부정의과 이주여성의 취약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를 밝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feminization of migration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relate feminization of migration to the issue of global gender injustice.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characterized as a patterned migratory movement of women constituted in the domestic and global context of gendered institutions and structure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and global levels of gendered institutional structures provides a context for producing and reproducing feminization of migration. This paper does not intend to demonstrate that feminization of migration itself is unjust. Rather, relying on some theoretical insights from Thomas Pogge’s accounts of global justice, it purposes to access domestic and global institutional structures on which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placed. This paper plans to show how the gendered context of domestic and global institutional structures, wherein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located, is closely associated with global gender inequality and the vulnerability of migrant women.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돌봄부정의, 돌봄포용국가

        김희강 ( Kim Hee-kang ),박선경 ( Park Sunkyoung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2

        코로나 팬데믹 속 ‘돌봄위기’는 대표적인 코로나 위기로 자주 언급된다. 돌봄위기의 본질은 무엇인가? 무엇이 돌봄위기를 야기하는가? 돌봄위기는 코로나가 만들어낸 현상인가 아니면 이전부터 존재했던 현상인가? 국가는 돌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돌봄위기를 극복하려는 국가는 어떤 비전을 보여야 하는가? 이 연구는 이들 질문에 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 연구는 돌봄위기의 상황은 코로나19가 만들어낸 처음 보는 현상이라기보다 돌봄을 배제한 기존 사회구조에 얽히고설켜있는 부정의에 가깝다고 주장한다. 돌봄위기는 코로나 19와 무관하게 코로나19 이전부터 돌봄이 배제된 사회구조가 지속적으로 배양해온 ‘돌봄부정의(care injustice)’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의 역할은 코로나 국면을 해쳐가기 위해 과거로의 회기나 일상으로의 회복이 아니라 돌봄부정의를 직시하고 반성하며 이를 교정(矯正)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국가는 돌봄이 배제된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 넘는 돌봄포용의 전망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함을 주장한다. In the Covid-19 pandemic, the “care crisis” is often referred to as a representative coronavirus crisis. What is the nature of the care crisis? What causes the care crisis? Is the care crisis a phenomenon created by Covid-19 or did it exist before? What role should the state play to overcome the care crisis? What prospects should the state have in order to overcome it?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argues that the care crisis is an injustice entangled in the existing social structure that excludes the value of care, rather than a phenomenon that first came into being because of Covid-19. The role of the state in overcoming the coronavirus phase, therefore, should be to identify and rectify the care injustice, rather than primarily focusing on regression to the past or recovery to daily life. To this end, this paper argues that the state must be able to present a inclusive care prospect that goes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ystem that excludes the value of care.

      • KCI등재

        난민은 보호받아야 하는가?

        김희강 ( Hee Kang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5 담론 201 Vol.18 No.3

        본 논문의 목적은 국제규범으로서 당연시 여겨지는 난민보호의 규범성에 대해재성찰을 시도하는 것이다. 난민은 보호받아야 하는가? 어떤 근거로 개별 국가를포함한 국제사회는 난민보호의 책임이 있는가? 본 논문은 난민협약과 난민의정서에 반영된 규범적 원칙과 논리를 모두 포괄하지 못하겠지만, 비록 시론적인 수준에서 나마 어떤 규범적인 근거와 이유로 난민을 보호해야 하며 지원해야 하는지에대한 근본적인 논의를 풀어보기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논문은 인권, 박해, 비자발적 이주에 근거한 난민보호의 규범성 논리와 더불어, 이러한 논리가 국가주권, 문화권리, 자발적 이주의 논리와 서로 갈등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본 논문의 의도는 난민법의 제정과 시행에 관한 문제제기도 아니며 국제규범으로서의 난민보호에대한 회의를 지적함도 아니다. 오히려 난민보호의 국제규범을 따르고 이를 국내법으로 보다 잘 수용하기 위해서, 난민보호의 규범성에 대한 기초를 견고히 다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당연히 받아들이고 있는 난민보호의 규범성의 논리를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규범성 논리의 정당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논쟁의 여지가 있음을 함께 보여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sit the normative justification of refugee protection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well-established international norm. Why should refugees be protected? On what basis should international society including each state be held responsible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refugees? Although this paper does not intend to cover all normative principles and logics embedded in international refugee laws, it tries to raise a fundamental question over the international norm of refugee protection even in a preliminary level. For this purpose, it focuses on examining the issues of human rights, persecution, forced migration as the normative grounds for refugee protection and also shows how these grounds are indeed in the matter of contention. This paper aims to suggest neither the skepticism of international norm nor the criticism of the recently enacted refugee law in Korea. Rather, it purposes to show that in order to properly comply with the international norm and rightly reflect it in the domestic law,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normative justification of refugee protection should be proceeded in the academia of refugee studies, which this paper aims to present.

      • KCI등재

        돌봄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넘어

        김희강(Hee-Kang Kim) 한국여성학회 2020 한국여성학 Vol.36 No.1

        이 글의 목적은 정치적 평등을 향한 역사의 경로를 추적해보고 그 경로를 따라 보다 더 민주적인 민주주의를 전망하는 것이다. 18-19세기 자유민주주의가 봉건적 위계질서에 도전하며 ‘자유’의 가치를 중심으로 재편된 민주주의였다면, 19-20세기 사회민주주의는 자본주의의 시장경제 위계질서에 도전하며 ‘노동’의 가치를 중심으로 재편된 민주주의였다. 자유민주주의와 사회민주주의는 모두 정치적 평등을 향한 인류의 진일보한 성취임에 틀림없지만, 이들의 성과를 일정 부문 영위하고 있는 21세기 현재 우리는 또 다른 위계질서에 봉착해 있음도 틀림없다. ‘돌봄(care)’이 배제된 자유민주주의 경제시스템과 사회민주주의 복지시스템으로 인해 돌봄수혜자와 돌봄제공자는 고착화된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겪는 부정의를 경험한다. ‘돌봄의 지위(care status)’가 바로 위계질서 속 배제를 가름하는 것이다. 이 글은 돌봄의 지위로 가름되는 위계질서의 모순을 지적하고 이에 도전하는 돌봄민주주의야말로 기존 민주주의에 비해 더 정의롭고 더 포용적인 민주주의라고 주장한다. 돌봄민주주의는 돌봄이 배제된 사회경제의 위계질서에 도전하고 ‘돌봄’의 가치를 중심으로 재편된 민주주의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path of history toward political equality and anticipate a more democratic democracy along the way. While liberal democrac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as a democracy that challenged the feudal hierarchy reorganized around the value of ‘liberty,’ social democracy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was a democracy that challenged the hierarchy of the capitalist market centered on the value of ‘labor.’ Although both liberal and social democracies are big achievements for political equality, in the 21st century where some of these democracies’ achievements have taken place, we are in another critical hierarchy. Due to the liberal democratic economic system and the social democratic welfare system, which both excludes ‘care,’ care providers and care receivers have seriously experienced the injustice of persistent socioeconomic inequalities. The ‘care status’ is what determines the exclusion in hierarchy. This paper argues that caring democracy, which identifies and challenges the contradiction of hierarchy determined by the care status, is a more just and more inclusive democracy than conventional democracies. Caring democracy is a democracy that resists the hierarchical order of socio-economy that excludes care while being reorganized around the value of care.

      • KCI등재

        공공성, 사회집단, 그리고 심의민주주의

        김희강(Hee-Kang Kim) 한국정치학회 2010 한국정치학회보 Vol.44 No.2

        최근에‘공공성의 위기’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인문사회과학 분야 전반에 걸쳐 공공성 논의가 주목을 끌고 있다. 이러한 공공성 논의를 관통하는 한 가지 흥미로운 공통점이 있는데, 그것은 기본적으로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공공성 논의는 공과 사만을 문제 삼을 뿐 집단에 대해 크게 주목하지 않는다. 이 논문은 공/사 만을 전제하는 기존의 공공성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하여‘공공성’과 집단 간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이리스 영(Iris Young)이 제시한 심의민주주의(deliberative democracy)의 비판에 주목한다. 논문은 영의 이론을 중심으로 공공성과 집단과 관련되어 다음의 목적을 지닌다. 첫째, 공공성 논의에서 집단의 의미를 재고함으로서 공공성과 집단과의 유의미한 관계를 규정하고자 한다. 둘째, 이를 위해 공공성과 집단의 관계를 거시적인 입장에서 분석하려 한다. 특히 논문은 공공성과 집단의 문제를 심의민주주의의 틀 속에서 풀어내고자 한다. 심의민주주의의 규범적 정당성은 심의를 통해 사회정의에 일조하는 점에 있으며, 이를 위해 심의는 공동체 전체 이익을 위한 공공선 대신에 주변화되고 소외된 사회집단의 구체적이고 특수한 관점이 제시될 수 있어야 한다고 논문은 주장한다. 심의민주주의가 전제하는 공공성은 전체 이익을 대변하는 공공선이라기보다 집단에 주목하는 공적심의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이는 심의민주주의의 규범성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한다. 이는 공적심의에서 사회집단이 대표되어야 하는 집단대표제의 규범적 당위성으로까지 이어진다. Confronted with the collapse of publicity in current society, the topic of “publicity”has often been discussed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cholarship. There is an interesting assumption running through the “publicity”discussion: the distin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That is, the discussion on “publicity”assumes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This implies that the issue of groups has been missed in the “publicity”discussion.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ize the shared assumption on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and define a place for groups in the “publicity”discussion. For this purpose,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Iris Young’s account of deliberative democracy. There are two main purposes of the paper. First, it aims to build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publicity”and groups. Second, in particular it intend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ity”and groups from the view of deliberative democracy. The paper argues that public deliberation in deliberative democracy should encompass not the common good of community but the particular perspectives of marginalized social groups. This argument also provides a normative justification of group representation in public deliberation.

      • KCI등재

        기획논문: 정부의 질과 불편부당성(Impartiality)

        김희강 ( Hee Kang Kim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1 정부학연구 Vol.1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Rothstein & Teorell의 불편부당성의 의미와 한계를 정부의 질 논의의 이론적 배경과 논거 속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논문은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기존정부의 질 연구는 정부의 질을 평가하는 다양한 규범적 지표를 논의하고 있으나, 어떠한 이론적 배경과 맥락에서 이러한 지표가 개발되고 제시되었는지에 대해서 충분히 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불편부당성 규범의 내용과 함의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전에, 정부의 질 논의에서 사용된 다양한 지표가 나오게 된 이론적 배경과 논거를 먼저 살펴본다. 둘째, 불편부당성의 규범을 소개하고 이를 자세히 분석해 본다. Rothstein & Teorell이 제시한 정부의 질의 "기본 규범"으로서의 불편부당성에 초점을 맞추어, 불편부당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떤 근거에서 불편부당성이 좋은 정부의 성격에 부합하는지, 불편부당성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불편부당성이 구현된 정부는 어떤 정부인지에 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Rothstein & Teorell이 제시한 불편부당성의 규범의 의미와 한계를 앞서 살펴본 정부의 질 논의의 이론적 배경과 논거 속에서 찾아본다. 불편부당성의 함의와 한계를 그것이 나오게 된 이론적 배경과 논거를 고려하여 기존에 논의된 정부의 질 지표와의 관계 속에서 살펴봄으로 써, 전반적인 정부의 질 논의의 내용을 보다 풍성하게 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orm of impartiality posed by Rothstein & Teorell. Rothstein & Teorell proposes impartiality as a ``basic norm`` for theorizing good government and as a prior normative standard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government. The paper comprises three parts. First, given that few studies of the quality of government scholarship have focused on the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discussion of the quality of government and normative indices for assessing the it, this paper briefly overview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hilosophical rationale for the quality of government and normative indices for it. Second, it introduces and analyzes the norm of impartiality suggested by Rothstein & Teorell, primarily focusing on the questions of how impartiality qualifies the feature of good government, how the norm of impartiality can possibly be implemented and realized, and what the government where the norm of impartiality is actualized would be like. Lastly, it discusses the contributions as well as limits of impartiality in light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hilosophical rationale for the quality of government.

      • KCI등재

        돌봄과 복지

        김희강 ( Hee-kang Kim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21 정부학연구 Vol.27 No.2

        일반적으로 복지연구에서 돌봄은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가 아니었다. 돌봄은 복지를 지원하는 수단적 서비스로 이해되거나 개념정의가 난해하고 모호한 광의의 복지단위로 이해된다. 이 연구는 돌봄을 사회서비스 차원 혹은 모호하게 개념화된 복지단위를 넘어 중요한 사회운영 원리 중 하나로 접근함으로써, 돌봄에 대한 관점과 이해의 전환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복지와 돌봄을 구분하고 그 원리를 구체화하여 서로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돌봄이 복지를 지원하는 서비스의 일환으로 간주되거나 “특정 노동 영역으로 축소되어” 버린 개념이 아님을 증명해 보이고, 더 나아가 복지의 한계를 아우르는 보다 건설적인 대안 가치이자 사회운영의 원리임을 논증해 보이고자 한다. 결국, 돌봄이 복지의 하위 부류가 아니며 대등한 사회원리로서 둘은 서로 보완적일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In general, care has not been a major topic in welfare studies. It has been understood as a kind of service that supports welfare or a unit of welfare in which the definition is difficult and ambiguous. This study attempted to re-establish the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of care by approaching care as one of the important social regulatory principles. First, it tried to differentiate care from welfare, characterizing and comparing them. Through this, the study attempted to prove that care should not be considered a part of welfare-supporting services or a concept that is “reduced to a specific area of labor.” Then, it tried to demonstrate that care is a constructive alternative value and principle that encompasses the limits of welfare. To the end, this study argued that care and welfare can complement each other as equivalent social regulatory principle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