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이선희 소설 <창>에 나타난 토지개혁 이데올로기와 서사전략

        김효주 ( Kim Hyo-jo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2

        본 연구는 해방기 이선희 소설 <창>에 나타난 토지개혁 양상과 서사 전략에 대해고찰하고 이를 통해 작가의 이데올로기 선택과 지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창>은 토지개혁 과정에서 벌어지는 인물들의 갈등과 내면 심리의 추이를 세밀하게 그리고 있다. 연재 초기에는 팽팽하게 대립되는 인물 설정으로 토지개혁 문제와 그 이면에 내재된 이데올로기 선택 문제를 중립적인 시각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소설 중 반부터는 회상의 방식을 사용한 내면 심리 묘사를 통해 김사백의 소망을 노골적으로 피력함으로써 토지개혁의 국면에서 작가가 선 자리를 분명하게 드러냈다. 연재가 끝날 무렵에는 주인공 김교사의 자살로 급하게 소설을 마무리 지었다. 작가는 무상몰수 무상분배가 성실한 소지주들의 몰락과 희생이 전제되었다는 점을 포착하고 그들의 희생으로 인하여 미래가 밝다는 희망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이데올로기의 타협점을 찾은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 intend to examine the aspects and strategies of the land reform described in Lee Sun-hee's novel 'Chang', and investigate how the writer's ideology was chosen and oriented. 'Chang' depicts in detail the conflict of the characters and the changes of their inner psychology over the process of the land reform. In the early pieces of the series, the writer takes a neutral approach to the interpersonal problems involving the land reform and the selection of ideology behind them during the tense conflict of the characters. As it goes past the middle of the novel, the writer uses retrospection to explicate Kim Sa-baek's inner psychology, exposing Kim's desire openly. This also indicates the writer's clear stance on the land reform. At the end of the series, the writer finishes the novel with the main character ending up with a sudden suicide. Kim's sudden death is the outcome of the writer's attempt to finish the work arbitrarily, without showing his firm conviction at the crossroads of ideological selection. This is related to the writer's defection to North Korea. It seems that Lee Sun-hee well captures that the ideology of non-compensatory forfeiture and free distribution of land premises is subject to the downfall and sacrifice of sincere landlords and finds a compromising point with ideology, conveying a hopeful message that their sacrifice will brighten the future.

      • KCI등재

        최명익의 〈맥령〉에 나타난 제국주의 수탈과 토지개혁

        김효주(Kim, Hyo-joo) 우리말글학회 2018 우리말 글 Vol.78 No.-

        이 글은 해방기 최명익 소설 〈맥령〉에 나타난 반제국주의 투쟁과 토지개혁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 당대 문단 상황과 최명익의 이데올로기 변화와 연결되는 지점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맥령〉에는 강제 징집과 공출 문제를 통해 작가가 지닌 반제국주의 시선이 강하게 드러난다. 특징적인 점은 지주와 소작인 사이의 계급 갈등을 부각시키지 않고, 소작농민들의 단결과 협업에 의한 텃물받이의 재건을 강조한다. 또한 토지개혁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개인 간 갈등보다는 공동체에 닥친 모든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는 영웅 김일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맥령〉은 고상한 리얼리즘 창작원리에 부합한 결과라고 볼 수 있지만 단순히 지도자의 출현을 강조한 작품만은 아니다. 최명익은 〈맥령〉에서 민중의 힘을 강조했으며, 어떻게 살아야 ‘모두가’ 의미있는 삶이 될 것인가에 대해 그 대안을 고민하였다. 그런 점에서〈맥령〉은 해방 이전에 작가가 지닌 문제의식을 지속하면서도 작가 최명익의 새로운 이데올로기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anti-imperialist movement and land revolution depicted in the novel by Myeongik Choi, “Maekryeong” to shed light on the literary landscape of the time and how it aligned with the ideological changes in Myeongik Choi. “Maekryeong” reflects a strong anti-imperialist view of the author by depicting forced recruitment and emigration. What is of particular note is that the class conflict between the landlord and peasants is not empahsized, but instead the restoration efforts and collaboration among peasants is brought to the fore. Rather than emphasizing the conflict between individuals that occurs throughout land revolution, it focuses on the hero Ilsung Kim who resolves all issues faced by the community in one fell swoop. Because of these aspects, the novel can be referred to as reflecting realism but “Maekryeong” is not a work that only emphasizes the emergence of a leader. The author Choi empahsized the power of the people and thought long and hard about the alternatives that would make everyone’s life more meaningful. In this sense, “Maekryeong” can be said to have reflected the expectations of Choi for a new ideology.

      • KCI등재

        일반논문 : 최명익 소설의 문지방 공간 연구

        김효주 ( Hyo Joo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본고는 최명익 소설에서 문지방 공간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최명익 소설에서 문지방 공간은 크게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첫째는 문지방 공간이 견고히 확보되는 경우이며, 둘째로는 근대성이 침투함에 따라 문지방 공간이 위축되는 경우 이다. 셋째는 급속한 근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문지방 공간이 더 이상 존재하지 못하고 상실되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최명익 소설에서 문지방 공간의 기능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최명익 소설에는 문지방 공간의 필요성을 깨닫고 근대화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인공을 문지방 공간에 머물게 하면서 근대를 대상화하고 근대화의 폭력을 성찰할 수 있게 하였다. 최명익은 근대적 삶을 앞두고 근대의 의미를 질문하고 탐색하려 하였다. 그래서 문지방 공간을 설정하여 주인공으로 하여금 문지방 공간에 머물게 하였다. 이러한 문지방 공간의 설정은 주인공이 근대적 삶의 중심으로 들어가 구체적으로 경험을 하게 하기보다는, 근대적 삶으로부터 명백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근대를 대상화하는 길을 더 선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주인공의 경험 내용이 구체적이기 보다는 성찰적이게 하였다. 또, 주인공의 행동이 일상적 사건과 얽히게 하기 보다는 그 직전 단계에 머물게 하여 매우 정제되고 단순화되게 하였다. 따라서 최명익 소설의 문지방 공간 설정 방식에는 근대화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모색의 결과가 담겨 있다고 본다. In the novel by Myung Ik Choi, the threshold space which can be called an aisle space frequently appear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threshold space appearing in the novel by Myung Ik Choi. First, the aspect of the threshold space in the novel by Myung Ik Choi was examined. In the novel by Myung Ik Choi, the threshold space appears in two main aspects. First is firmly securing the threshold space and the second is the loss of balance of the threshold space due to the penetration by the modernity. The loss of balance of the threshold is again divided into two. First, it secures the threshold space but the balance is lost and second, the threshold space is no longer present because of a rapid modernization progress. Based on this, the functi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threshold space in the novel by Myung Ik Choi were examined. The novel by Myung Ik Choi has tried to raise the awareness of issues on the modernization by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he threshold space. For this, the main character stays at the threshold space to allow the objectification of the modernity. As such, the novel by Myung Ik Choi has tried to raise the awareness of issues and a serious concern on the modernization by setting up the threshold space.

      • KCI등재

        1930년대 후반의 세대논쟁과 최명익 소설

        김효주(Kim, Hyo-joo)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6 No.-

        이 논문은 「역설」과 「폐어인」에 나타난 세대논쟁의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먼저, 1930년대 후반에 있었던 세대논쟁에 대해 살펴보고, 그 속에서 최명익의 위치에 대 해 살폈다. 다음으로 「역설」과 「폐어인」 에 나타난 세대문제에 대해 다루었다. 「역설」에서 주인공 문일은 신세대와 구세대 중 그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고 자신의 양심대로 살아가기를 희망하였다. 「폐어인」에서는 주인공 현일을 내세워 세대문제에 대해 고민했다. 최명익은 신세대 작가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신세대 작가의 편에만 서지 않고 신구세대를 아울러 문단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민하였다. 그리고 구세대의 입장을 존중하여 앞날을 잘 설계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또한 드러내고 있다. 이렇듯 최명익은 소설 공간을 통해 신세대와 구세대의 도식적 구분을 넘어서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세대문제가 문학에 국한되지 않고 포괄적인 삶의 방식이나 태도의 영역으로 확장되기를 희구하였다. 급격하게 변화되어가는 사회에서 구세대와 신세대의 삶의 방식은 어떻게 달라져야 하고, 세대 간의 관계는 어떤 것이 되어야 할 것인가를 모색하려 했는데, 「역설」과 「폐어인」이라는 소설 속에 그 고민의 과정과 결과를 담았다고 본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issue of generation argument that was presented in the Choi Myung-Ik’s novels, <Yuksul> and <Pe-eo-in>. First, the generation argument in the late 1930s and the position of Choi in the argument were addressed. Since Choi was a writer of new generation, he released the novels representing the new generation. But, infact, he denied his belonging to whichever side of the old or new one. Then, the generation issue in the novel <Yuksul> was addressed. In this novel, the main character Mun-Il doesn"t belong to anywhere, either the old generation or new generation, and wishes to live upon his own conscience. This expressed what Choi was thinking of during the course of generation argument on the level of a fiction. In <Pe-eo-in>, the author expressed his reflection about generation issue by speaking through the main character Hyun-Il. Even though Choi was a new generation writer, he didn"t take one-sided position of new generation, and considered the possible way of the literary circle. Also, he showed his critical mind that we should plan our future by carefully considering the views of old generation. Like this way, Choi tried to go beyond the limit of the generation argument with the two novels.

      • KCI등재
      • KCI등재

        1920년대 여행기에 나타난 미국 인식과 표상

        김효주(Kim, Hyo-Jo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9 No.-

        이 글은 부녀지간인 허헌과 허정숙의 미국 여행기를 대상으로 하여 여행기에 담긴 대상 세계에 대한 여행 주체의 태도와 그 서술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허헌과 허정숙의 여행기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은 여성의 문제, 기계공업으로 대표되는 자본의 문제, 그곳에서 생활하고 있는 조선 동포들의 문제이다. 허헌의 여행기에서는 대상 세계에 압도당한 여행 주체의 대상에 대한 감탄과 경이가 주를 이룬다. 허정숙의 여행기에서는 대상 세계에 대한 비판적 거리가 유지되며, 여행 주체의 삶의 자세가 재정비된다. 허헌의 여행기가 해석을 최소화하고 묘사와 나열의 서술방식을 보여준다면 허정숙의 여행기는 해석 및 가치판단을 극대화하여 초점화의 서술방식을 보여준다. 대상 세계를 바라보는 이러한 시각의 차이는 제국주의 내면화의 문제, 사회주의 사상의 문제, 성(젠더)의 문제 등에서 기인한다고 본다. This writing compares travel journals of Hur Heon and Hur Jung Sook who visited the United States together during the same period and recorded the experience of travel. Then, the writing tries to find reason for difference of descriptive perspective in their travel journals, since they viewed same object differently during the travel. Travel journals of Hur Heon and Hur Jung Sook mainly talk about women’s problem, problem of capital which is represented as machine industry, and problem of overseas Koreans who live in the United States. In Hur Heon’s travel journal, Hur Heon is overwhelmed by the world of object. His travel journey is mainly consisted of admiration and wonder about object. On the other hand, in Hur Jung Sook’s travel journal, she applies critical viewpoint when she looks at the world of object, and reorganizes her own attitude of her life through the world of object. While Hur Heon’s travel journal minimizes interpretation and uses narrative style which describes and lists. Hur Jung Sook’s travel journal maximizes interpretation and judgment of value, and uses narrative style which focuses.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which views the world of object comes from availability of internalization in gender problem, generation problem, problem of belief in socialism, and problem of imperialism.

      • KCI등재

        1920년대 여행기의 존재 양상

        김효주(Kim Hyo-joo) 국어교육학회 2011 국어교육연구 Vol.48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xistence pattern and description form of the travel literature, and looks around the limitation of the travel literature and formation process into the travel literature briefly. In the travel literature in 1920s, the ideology of group the era pursuit and individual's desire were coexisted. According to the viewpoint to put importance between them, the direction of awareness shown in the travel literature differed. This paper largely divides the awareness pursuit in the travel literature into ‘finding the spirit of Lee dynasty and national ideology', ‘aiming at class ideology', ‘accommodating and creating modern culture', ‘concealing and internalizing imperialism' and looks around them, and analyze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target world and travelers based on them. Speci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travel literature to aim to observe individual in the light of modern viewpoint, who was aiming at awareness. The reason is came from the judgement that the travel literature seeking after individual's internal world has important meanings to explain relationship between the travel literature and a travel novel. However, the travel literature largely submissive to the exterior world of work is suitable to be used as a frame to confirm, realize awareness, but has limitations to look into inner world. Accordingly, a travel novel, new genre to settle down the problem of individual and inner world through fictional persons who underwent various experiences, could be formed.

      • KCI등재

        「비오는 길」에 나타난 욕망의 간접화와 소설적 진실성의 추구

        김효주 ( Hyo Joo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4

        「비오는 길」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근대인들의 욕망의 간접화 현상에 대한 고발과 그 자각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근대 자본주의 사회의 욕망의 성격에 대해 고찰하고, 중개자의 욕망이 주인공에게 간접화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인공 병일은 사진관 주인인 욕망의 중개자 이칠성을 만나면서 욕망의 간접화를 경험하게 된다. 그래서 정신 지향과 물질 지향 사이에서 가치관에 혼란을 경험한다. 하지만 병일에게는 자신의 가치에 대한 믿음이 남아 있다. 따라서 이칠성과의 만남을 멈춘다. 이 무렵 작가는 이칠성을 갑작스럽게 죽게 만듦으로써 더 큰 문제를 제기한다. 작가는 욕망의 삼각구도에서 병일이가 패배하게 두지 않고, 오히려 타락한 욕망을 지닌 이칠성을 죽이는 쪽으로 귀결시켰다. 그렇게 함으로써 근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욕망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근대인이 지닌 욕망의 허구성을 고발하고, 소설적 진실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The Raining Road is the work that shows most saliently the accusation and awareness as to the phenomena of indirection tendency by the desires of modern people who are living the modern capitalistic society.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nature of the desires of the modern capitalistic society, and then examined the aspect of which the indirection tendency of the desires of the intermediary was reflected on the protagonist. Byung-Il, the protagonist, happend to experience the indirection tendency of a desire through meeting Chil-Sung Lee, who is the intermediary of a desire and also the owner of a photo studio. However, Byung-Il still had his belief in his own values. Thus, he stopped meeting Chil-Sung Lee. At this point, the author suggested the bigger problem by making Chil-Sung Lee pass away suddenly. The author did not let Byung-Il lose in the triangle relationship of the desire; rather, concluded the novel as killing Chil-Sung Lee who had the corrupted desire. By doing so, the author presented the fundamental question as to the desired of the modern capitalistic society. And through this, the author aimed to accuse the fictionality of the desires of modern people and pursue the novelistic veracity.

      • KCI등재

        슬픔 얼리기와 문학 창작 교육

        김효주 ( Kim Hyo-joo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이 글은 슬픔 얼리기 프로그램을 통해 문학 창작과 문학치료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슬픔 얼리기란 슬픔에 대한 거리두기를 뜻한다. 슬픔 얼리기는 자신이 겪은 슬픔에 대해 좋다 나쁘다 등과 같은 분별을 하거나 성급한 판단을 하지 않는 것이다. 또, 자신의 슬픔을 암시하는 것이지 풀어서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진정한 마음의 치료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시 읽기라는 간접 경험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이 투영된 시를 자신이 직접 창작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한다. 그리고 시 쓰기가 치료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 슬픔에 대해 고민한 흔적을 시 속에 담을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방적으로 시 쓰기를 권할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점진적 쓰기 단계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줄글쓰기와 시 쓰기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슬픔에 대해 점진적으로 다가갈 수 있게 하였다. 줄글 쓰기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슬픔을 일정부분 드러내게 하는 전략이다. 학습자들은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겪은 슬픔의 경험을 추체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슬픔 얼리기 방식으로는 시 쓰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렇듯 이 글에서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완급강약을 조절하면서 자기 슬픔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 슬픔이라는 것을 온전히 드러내는 것도, 그렇다고 온전히 숨기는 것도 옳지 않다. 드러내기와 숨기기 사이를 조절할 줄 아는 능력, 그것이 슬픔을 대할 때 가장 필요한 태도이다. 그런 점에서 시를 읽고 쓰는 교육이 소중하다. 시는 적절히 보여주고 적절히 숨겨주는 비법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 시대 슬픔의 치료는 문학에서 시작하여 일정기간 치료 과정을 거쳐 다시 문학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반복되어야 한다. This paper tried to seek for a plan to closely connect creative writing to literary therapy through Freezing Sorrow Program. Freezing sorrow refers to distancing from sorrow. Freezing sorrow is neither differentiating nor hastily judging sorrow one has felt : i.e. it is good or bad. Also, it is implying his or her sorrow not revealing that. This paper attaches importance to the point that one has to create poems to which his or her experiences are reflected by him or herself rather than indirect experiences of reading poems so that a true healing of the mind can be made. In addition, for writing poems to function as healing, one should be able to include the traces of concerns with his or her own sorrow in the poem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gradual writing step to it rather than to force to write poems. This paper allowed learners to gradually approach their own sorrow through `prose writing` and `poetry writing`. Prose writing is a strategy that allows learners to reveal their own sorrow to some extent. The learners can re-experience their experiences of sorrow through this process. Next, poetry writ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the method of freezing sorrow. Like this, this paper tried to seek for a plan to allow the learners themselves to control speed and dynamics by presenting a concrete program to overcome their sorrow. In the world we are living in, neither is right to fully reveal sorrow nor to completely hide it. An ability to control between revealing and hiding is an attitude that is most necessary when one faces sorrow. In that sense, it is precious to teach reading and writing poetry. This is because poetry possesses a secret to properly show and hide. After all, healing sorrow of this epoch of ours should begin from literature, go through a process of heal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proceed back to literature. And this process should be repeated.

      • KCI등재

        영조·정순왕후 가례에 사용된 보자기의 상징성과 생활문화적 의미에 관한 고찰

        김효주(Hyo-Joo Kim),주영애(Young-Ae Ju)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는 1759년 6월에 거행된 영조와 정순왕후의 가례에서 사용된 물품 중 보자기에 관련된 내용을 조사하고, 명칭, 옷감, 크기 및 용도, 사용상황, 외형의 특징을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상방정례』와 『국혼정례』에 기록된 보자기 관련 자료와 『조선왕조실록』의 혼례 관련 기록의 정리를 통해 보자기의 외관 및 사용용도와 당대의 생활상을 비교·분석하여 보자기가 담고 있는 생활 문화적 가치와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18세기는 유교적 의례문화가 확립되고 실행되던 시기였고 왕실의례는 유교이념을 따르고 실천하려는 왕실의 의지를 백성들에게 보이는 실행의 장이었다. 따라서 왕실의 가례절차에 사용되는 모든 물품은 기능적인 용도 외에 백성들이 본받고 따를 수 있는 유교적 예법을 표현하는 도구이기도 했다. 영조는 혼례에 사치를 경계하여 본인의 가례에 사용된 물품에 대하여 사치를 금한 기록이 있다.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에 기록된 보자기의 재질은 대부분 홍주(紅紬), 홍초(紅綃), 대홍광적(大紅廣的) 등의 무늬가 없는 옷감으로 영조의 검소와 절약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영조·정순왕후 가례에 사용된 보자기는 우리의 전통 의례용품인 동시에 전통의례에 깃들어 있는 성(誠)과 예(禮)의 가치를 표현하는 문화유산이다. This study is on the usage of bojagi recorded in Yeongjo Jeongsun Wanghu garye dogam uigw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eighteenth century marked a period of entrench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royal wedding was a tool to propagate Neo-Confucian values to the people. The bojagi used at King Yeongjo and Queen Jeongsun’s wedding were made of simple red silk produced domestically to avoid extravagance. Uasge of costly flower-patterned silk from China was restricted to comply with the rules of the Kukhon jeongrye, which codified the royal marriage ceremony and the Sangbang jeongrye, which regulated royal attire. This modesty also shows King Yeongjo’s determination to abandon lavish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