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첨가제가 나트륨 이온 전지용 고분자전구체 기반 하드카본 음극 표면에 형성되는 고체 전해질 내부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하영(Hayoung Kim),윤승욱(Seung Uk Yoon),박수봉(Subong Park),진형준(Hyoung-Joon Jin) 한국고분자학회 2020 폴리머 Vol.44 No.1

        고분자 전구체(polymeric precursor) 기반의 하드카본(hard carbon)은 난층 구조(turbostractic structure)와 난층 구조들 사이의 기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음극소재로써 약 300mA h g<SUP>-1</SUP>의 높은 용량을 나타낸다. 하지만, 불안정하게 형성된 고체 전해질 내부상(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의 영향으로 인해, 하드카본은 제한된 수명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적절한 첨가제를 찾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첨가제 fluoroethylene carbonate(FEC) 및 succinic anhydride(SA)가 하드카본의 수명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원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첨가제에 의한 필름 저항 증가로 인해 하드카본의 수명 특성이 저하되었다. FEC를 첨가한 전해질에서의 높은 필름 저항은 3.34 eV의 비교적 높은 배리어 에너지를 갖는 sodium fluoride 성분이 도입된 SEI 층 형성에 기인하였다. 반면, SA를 첨가한 전해질에서의 높은 필름 저항은 두껍게 형성된 SEI 층 형성에 기인한 것으로 두 첨가제의 필름 저항 증가 원인이 상이하였다. Polymeric precursor-based hard carbon with a disordered turbostratic structure has a high capacity of approximately 300 mA h g<SUP>-1</SUP> as an anode material for a sodium-ion battery. However, hard carbon has a limited cycle performance owing to the formation of unstable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To improve the cycle performance, several studies are underway to find suitable additiv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luorocarbon carbonate (FEC) and succinic anhydride (SA) on the life characteristics of hard carbon were investigated and the reasons were examined. All additives negatively affected the cycle performance because they increase film resistance. The high film resistance in the electrolyte with FEC was due to the formation of the SEI lay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odium fluoride component with a relatively high barrier energy of 3.34 eV. On the other hand, the high film resistance in the electrolyte with SA was due to the formation of a thick formed SEI layer, and the reason of the increase in film resistance of the two additives was different.

      • YOLO v2를 이용한 항공영상에서의 태양광 발전 시설 객체 탐지

        김하영 ( Hayoung Kim ),최규훈 ( Gyuhoon Choi ),유승환 ( Seung-hwan Yoo ),오윤경 ( Yungyeong Oh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높이기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하였으며, 그 결과 급격하게 증가한 태양광 시설로 인해 환경·생태계 훼손 논란을 비롯하여 지역 주민의 민원이 증가하고 있다. 태양광 시설 입지 적합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농촌 시설 현황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태양광 발전 시설의 설치 현황에 관한 공간정보의 데이터 구축이 아직은 미흡하여 농촌 지역의 토지이용 모니터링에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에 설치된 태양광 시설을 탐지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고해상도 항공영상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태양광 시설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딥러닝 모델 중 YOLO(You Only Look Once) v2 객체 검출기를 훈련하여 생성된 태양광 시설 검출기를 영상 분석에 활용하였다. 농촌지역에 분포하는 소규모 태양광 시설을 대상으로 AI 분석법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최소한의 데이터 셋과 항공 영상의 축척의 크기를 산정하기 위해 축척이 1:5000에서 1:10000 규모인 항공 영상 이미지 약 800장을 수집하여 학습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 시설 탐지 모델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모델중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인 태양광 시설 객체 탐지 검출률은 약 93%로 나타났다. 향후 학습데이터의 양적인 보완을 통해 영상 분류모델의 객체 탐지 성능을 향상시켜 농촌 지역에 분포하는 다양한 농업시설물을 대상으로 토지이용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하고자 한다.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 및 취약성 평가

        김하영 ( Hayoung Kim ),나라 ( Ra Na ),주동혁 ( Donghyuk Joo ),유승환 ( Seung-hwan Yoo ),김수진 ( Soo-jin Kim ),배승종 ( Seung-jong Bae ),최영은 ( Young-eun Choi ),송석호 ( Suk-ho Song ),정경훈 ( Kyung-hun Je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세계 경제 포럼 Global Risks 2021은 글로벌 위험요인으로 극한기상, 기후변화 대응 실패, 인간이 초래한 환경피해 전염병, 생물다양성 감소 등을 선정하였고, The Global Risks Report 2022는 글로벌 리스크 요인으로 기후 행동 실패, 극한 기상현상, 생물다양성 손실, 사회적 결속력 약화등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농업 분야에서 이상기후로 인해 발생하는 재해의 피해 규모는 불규칙적이기 때문에 과학적 예측 및 사전 대응에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06년간(1912~2017) 여름철 강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최근 30년(1981~2010)동안 극한 강우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또 연평균기온은 1.8℃ 상승하여 전 지구 평균 온난화(0.85℃) 보다 뚜렷하고 빠르게 진행중이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로인한 기후변화는 물 부족, 수자원의 안정적 수급을 위협하고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이수 관리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를 분석하고, 적응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농업생산기반시설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이수 및 치수 모델링 분석 결과 산정을 위한 절대적·상대적 지표로 기후안전도 개념을 정의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이수 기후안전도 분석을 위해 최근 영농여건 변화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시설별 물수지 분석을 통해 논용수수요량 및 저수지 설계유효저수용량을 산정하였다. 물수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시설의 가뭄빈도 적정성 및 상관성을 분석하여 이수 기후안전도를 평가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산기반시설 중 취약시설의 이수 기후 안전도 분석을 통해 보조수원공, 퇴수재이용, 수계연결, 저수지 준설 등 기후변화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기존 지하철역사 피난성능 향상을 위한 피난대피소 구축방안 연구

        김하영(Kim, Hayoung),유용호(Yoo, Yongho),이동호(Rie, Dongho)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4

        기존 지하철 역사는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최신의 설계 기준을 적용한 안전성 향상이 어렵다. 특히 피난약자의 경우 피로도로 인해 필요 피난안전시간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피난약자의 안전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구획실을 활용한 피난대피소 구축 및 운영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 외부로의 피난시간이 6분 이상인 역사에 대해 필요 면적 산정 방안 및 적절한 위치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피난대피소의 화재방호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지하철 역사의 피난안전성능 향상을 기대한다. Existing subway stations are difficult to improve evacuation performance by applying the new design standards due to various problems. In particular, a weak person in evacuation are more likely to exceed the required evacuation time due to fatigue than the general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operate an evacuation shelter using the existing compartment to secure the safety performance of a weak person in evac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we proposed a method to calculate the required area and a suitable location for the evacuation time of 6 minutes or longer. Also, facilities for maintaining the fire protection performance of evacuation shelters are sugges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evacuation safety performance of existing subway station.

      • KCI우수등재

        마우스의 기도 내 점적을 통한 가습기살균제 CMIT/MIT와 사망 간의 원인적 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하영(Hayoung Kim),정용현(Yonghyun Chung),박영철(Yeongchul Park) 한국환경보건학회 2017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3 No.4

        Objectives: The deaths of Korean victims exposed to the disinfectant CMIT/MIT have remained unresolved. This is mainly due to a lack of concordance between the few available toxicity tests and the abundant epidemiological data,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y potential associations between CMIT/MIT exposure and death. Methods: Group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C57BL/6 mice were instilled (in the trachea) with chloromethyl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CMIT/MIT) using a visual instillobot. CMIT/MIT was instilled over a period of three days and eight weeks, respectively, to achieve acute and chronic exposures. A threshold dose-response model was applied for estimating the threshold level as one line of evidence for a causal association between CMIT/MIT and death. Results: An acute exposure of 1.2 mg ai/kg/day of CMIT/MIT was estimated to reflect the threshold for death. The dose-response curve with this threshold showed a very steep slope and a narrow range of CMIT/MIT exposures. The narrow range of CMIT/MIT exposures, in particular, indicated an evident boundary between survival and death, thus implicating a strong causal association. A similar threshold dose-response relationship observed following acute exposure was also seen following chronic exposure to CMIT/MIT. Airborne disinfectant exposure was visible as minimal or mild lung damage with no fibrosis, as shown by histopathological tests. However, many observations are considered to be functional respiratory tract or lung failure due to death, as observed in necropsies of the mice that died due to CMIT/MIT exposures. Conclusions: There are two strong lines of evidence for a causal association between death and CMIT/MIT exposure: 1) The threshold dose-response curve, with a very steep slope and a narrow range of CMIT/MIT exposures showing a visible boundary between survival and death; and 2) many cases of functional respiratory or lung failure.

      • KCI등재

        대한해협에 대한 융합적 시각

        김하영(Kim, Hayou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4 島嶼文化 Vol.0 No.44

        이 논문은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이에 위치한 대한해협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에 대하여 하나의 고정된 시각을 벗어나 융합적 시각에서 논의한다. 융합적 시각은 복잡하고 다양한 속성을 가지는 연구주제에 대하여 각각의 단일 시각이 가지는 한계를 넘어서 종합적이면서도 새로운 학제적 시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한해협은 단절과 소통이라는 상반된 속성을 가지고 있다. 자연지리로서의 대한해협은 한반도와 일본을 단절시키고 있지만, 대한해협 연안국인 한국과 일본, 해협 연안지역의 주민, 해협을 이용하는 상이한 주체들의 이익과 선택이 달라지면서 대한해협이 갖는 중요성은 다르게 나타난다. 논문은 융합적 시각에 기초하여 자연환경으로서의 대한해협이 인간의 삶과 맞물리며 그 의미와 중요성이 변하는 것을 경계, 통로, 공간의 세 측면으로 구분해서 논의한다. 대한해협은 한일 간 해양경계의 한 부분을 이루면서도 인간의 이동과 교류의 통로가 된다. 또한 대한해협 양쪽 연안 지역은 공동의 경제적 공간 속에서 해협을 통한 상호교류에 지역발전을 의존하고 있다. 이 세 가지 속성은 서로 분리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동시적으로 존재하면서 서로 중첩되어 있는 속성들이다. 대한해협은 한국과 일본 사이의 교류와 교역의 해협으로서만이 아니라 동중국해에서 동해를 연결하며 세계 모든 선박이 항해할 수 있는 국제통항로와 전략적 요충지라는 속성도 가진다. 융합적 시각으로 대한해협을 인식함으로써 우리는 자연지리적 환경과 인간의 삶이 연결되는 다양한 방식, 또 그것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변화하면서 인간의 삶이 전개되는 양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대한해협에 대한 융합적 시각, 그리고 단절과 소통이라는 상반된 속성이 동시적으로 존재한다는 인식은 우리의 한일관계 이해에 있어서도 고정된 시각과 국가중심적 관점을 지양하고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e Korea Strait,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A convergence perspective helps to understand a particular research subject that has complex and diverse characteristics from comprehensive and interdisciplinary viewpoints beyond the limitations of a single viewpoint. This study views the nature of the Korea Strait as a contradiction in the sense that it has dual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and connection. The natural geography of the Korea Strait separates Korea and Japan. But, its importance and significance vary according to different interests and choices of the two littoral countries of Korea and Japan, the residents living in the coastal areas, and those who utilize the strait in different ways. The article views the Korea Strait as border, passage, and space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since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e strait change as its natural environment encounters the life of those who navigate through or across it. The Korea Strait constitutes a part of the maritime boundary between Korea and Japan. It also provides a passage for migration and cultural exchange. The prosperity of the coastal areas on both sides of the strait depends on trade and business via the strait as a common economic space. These three aspects of the strait coexist and overlap with each other. Beyond the importance as a passage between Korea and Japan, the Korea Strait is also important as an international sea lane and strategic choke point, connecting the East Sea and the East China Sea. We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ways in which the natural environment encounters human life and the changes over time by viewing the Korea Strait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By recognizing the duality of separation and connection as attributes of the Korea Strait, we can also infer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current Korea-Japan relations in the sense that we need to renounce a fixed view and diversify our perspectives on the bilateral relationship, revising the dominant state-centered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