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인이 대면한 이율배반과 자유의 이행 한용운 시의 근대성과 관련하여

        김익균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논총 Vol.79 No.1

        Han Yong-un was the first modern young man to be born in 1879, right after ports were opened by the Treaty of Ganghwa Island (1876). When Silence of Lover was published in the 1920s, Han Yong-un was a representative of the older generation. If Silence of Lover is regarded as love poetry, it can be said that the poem shows difference from the love poems of youth at the time. This Difference can be said to show the pluralism of the layers of modernity.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Han Yong-un’s modern project, deviating from the standard approach of cultural history research that sees Silence of Lover love poetry as the backlash of the older generation. For this purpose, the point where Han Yong-un’s poems “Causality” and “Freedom Chastity” meet Kant’s concept of antinomy and freedom were reviewed.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modern intellect of East Asia tried to properly recognize and overcome modernity through Buddhism as a medium. 한용운은 강화도조약(1876년)에 의한 개항직후인 1879년에 태어난 최초의 근대청년이었다. 하지만 1920년대 『님의 침묵』을 출간할 때 한용운은 기성세대의 대표였다. 『님의 침묵』을 사랑시로 볼 때 이 시편들은 당시 청년들의 사랑시와 차이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 차이는 근대성의 층위의 다원성을 보여준다. 이번 논문은 『님의 침묵』의 사랑시를 기성세대의 백래시로 보는 문화사 연구의 표준적 접근법에서 벗어나 한용운의 근대적 기획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용운의 시 「인과율」, 「자유정조」가 칸트의 이율배반 개념, 자유 개념과 만나는 지점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동아시아 근대 지성이 불교를 매개로 하여 근대를 올바로 인식하고 극복하려고 한 시적 사유를 발견하였다.

      • KCI등재

        중력에 대한 대학생의 상황의존적 오개념의 변화과정

        김익균,박종원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8 No.6

        In real situations, physics explanations should involve various concept and need to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ext. This study identified college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gravity in five different contexts and investigated their processes of conceptual change through a Socratic interview. As results, we found that the students' core concept was related to their other conceptions and that their misconceptions changed successively through several cognitive conflicts. An interesting finding was that their misconceptions existed even when they had correct background knowledge related to the misconceptions. This was due to student's failing to integrate their sub-background knowledge into a coherent structure by considering various contexts. In fact, in this study, are found that students' misconceptions could be changed into a correct idea by helping them utilize their prior background knowledge. Therefore, as a conclusion, we emphasize, appropriate utilization for more effective conceptual change. 실제 상황에서 물리학적 설명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개념이 동시에 적용되어야 하고 상황에 따라 개념들이 다르게 적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러 상황을 통해 학생의 개념구조를 조사하고, 면담을 통해 학생의 개념구조 변화과정을 이해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5가지 상황을 제시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분석 결과, 학생의 오개념이 다른 개념과 연관 지어 있었고, 개념 변화 과정이 여러 번의 갈등을 통해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개념이 배경지식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해서 생기는 것을 볼 수 있었고, 따라서 배경지식을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서 개념변화에 도움이 되는 것도 볼 수 있었다. 이에 개념변화를 위한 배경지식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 한국 보육정책과 보육이념의 형성과정

        김익균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05 아동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육이념에 따른 보육정책의 형성에 대해 접근하고 있다. 그 나라 의 보육정책은 그 나라의 보육이념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의 경우 보육역사가 짧기 때문 에 보육사업이 발전한 보육정책을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우리나라의 적합한 보육이념에 따른 보육정책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보육이념을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를 제시 하고자 한다. 보육정책에 대한 의의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보육사업의 개념은 다소 다르게 정의를 내리고 있듯이 달라진다. 그러나 산업화에 따른 여성의 사회참여의 증가 및 가족구조의 핵가족으로 인하여 보육사업에 대한 욕구가 급증하면서 보육사업의 의의는 그 중요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보육정책의 중요성도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은 역사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다른 관련정책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 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보육이념을 규정하고 보육정책을 실시해야 만이 우리 나라의 보육사업이 혼란 없이 발전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보육사업이 너무 빠른 속도로 발전하다 보니 보육이념에 따른 보육 정책에 의하여 보육사업이 전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 보육 이념에 따른 우리나라의 보육정책과 보육이론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에 대해 고찰하고 자 한다.

      • KCI등재

        오장환의 메타노이아(Metanoia) 연구 — 1930~40년대의 지성사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김익균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논총 Vol.76 No.3

        Aestheticism, which distinguished art from everyday praxis, helped realize Culturalism in modern literature. The early works of the Decadent poet Oh Jang Hwan was closely connected to this Culturalism-based Aestheticism. In the first half of the 1940s, Oh was confronted with the task of criticizing. Culturalism through the ideas of Showa Culturalism, the main charge of Korean intellectualism at the time. By then Showa Culturalism had regained its influence through its Marxist criticism on Daisho Culturalism, even as Marxism itself was on the wane. However, it fell into the contradiction of criticizing Culturalism while simultaneously promoting it, and the contradictory demands forced intellectuals of the era into a double bind. For superficial devotees of Culturalism, this double bind served as a convenient cover for their intellectual compromise and exempted them from self-criticism. But Oh, who adhered strictly to both sides of the contradicting demands, was able to achieve metanoia through the process. This thesis identifies the link between the Culturalism of mainstream poetry in 1930s colonial Joseon and the leftist praxis of Culturalism in post-liberation Korea through Oh’s body of work. 근대문학에서 교양주의는 ‘생활실천으로부터의 예술의 이탈’을 지향하는 유미주의를 통해서 구현된다. 데카당 시인으로 알려진 오장환의 초기 시세계는 교양주의적인 유미주의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1940년대 전반기 오장환은 ‘쇼와 교양주의’를 매개로 하여 교양주의비판이라는 한국 지성사의 과제와 접하게 된다. 다이쇼 교양주의에 대한 맑스주의의 비판을 거치면서, 맑스주의의 퇴조기에 다시 영향력을되찾은 쇼와 교양주의는 ‘교양 비판으로서의 교양주의’라는 ‘모순’에빠진다. 쇼와 교양주의의 모순된 명령은 당대의 지성인들을 이중구속으로 몰아넣는다. 이중구속은 ‘속물 교양주의자들’에게는 자신의 손쉬운 타협에 대한 자기비판을 면제해주는 알리바이가 되기도 했지만 모순된 명령을 철저화해온 오장환은 메타노이아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번 논문은 1930년대 식민지 조선 주류 시단의 교양주의와 해방 이후좌파적 실천 사이를 연결하는 고리를 오장환의 시적 편력에서 발견하였다.

      • KCI등재
      • 소집단 탐구활동에 참여한 과학영재아들의 학습양식 변화

        김익균,이인선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과학교육연구논총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중심의 탐구 활동을 강조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영재아들의 학습양식이 변화하는지, 그 변화가 성별과 학년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았다. 검사지는 수업에 대한 인식과 태도, 교수나 동료들에 대한 견해, 학습습관, 선호하는 학습 방식 등을 묻는 6개 유형(독립형, 의존형, 협동형, 경쟁형, 참여형, 회피형), 총 4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4점 리커트 척도에 따라 응답하게 하였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 2학년 학생 총 195명을 연구대상으로 정하였고, 학생들에게는 학습양식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소집단 탐구활동을 강조한 영재교육 후 협동형, 경쟁형, 회피형 점수가 높아졌고, 의존형 점수는 낮아졌다.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모든 학년에서 의존형 점수가 낮아졌고, 중학교 1학년은 협동형, 경쟁형 점수가 증가하였고, 중학교 2학년은 독립형, 회피형, 경쟁형 점수가 감소하였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습양식을 비교해 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의존형은 감소, 협동형과 회피형은 평균이 증가 하였고, 특히 여학생은 경쟁형에서도 평균이 증가하여 남학생과 차이를 보였다. 학년별, 성별로 분석한 결과 모두에서 과학영재아들이 덜 의존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science-gifted students’ learning styles through gifted education programs which emphasize small group inquiry activity. We revised the questionnaire to include a total of 45 questions and six items (independent, dependent, collaborative, competitive, participative, and avoidan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d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the class, the views of instructors and colleagues, learning habits, and preferred learning methods.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according to the 4-point Likert scale. A total of 195 science-gifted students in fifth to eighth grade responded to both pre-testing and post-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science-gifted students1 score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learning styles changed following involvement with a gifted education program that emphasized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Cooperative, competitive, and avoidant scores increased while dependent scores decreased. In analyzing the effects of learning style by grade, the dependency score decreased in all grades. In particular, the seventh grade showed an increase in cooperative and competitive scores, and eighth grade showed increases in independent, competitive, and avoidant scores. In addition, in analyzing changes in learning style according to gender, both females and males showed increased cooperative and avoidant scores with decreases in dependency scores. While females alone also increased their competitive sco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