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은규(Eun-Gyo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4 No.-
21세기 정보사회의 지구적 거버넌스를 구축하고자 했던 ‘정보사회 세계정상회의(WSIS)’가 2003년 제노바에서, 2005년 튀니스에서 개최됐다. WSIS는 세계 각 나라의 정부를 비롯해, 민간영역, 시민사회, 국제기구들이 한 자리에 모여 ‘지구적 정보사회(global information society)’를 위한 국제질서를 수립하고자 하는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WSIS가 제시하는 정보사회와 정보질서의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WSIS의 역사적, 국제질서적 맥락을 살펴보고 있으며, 나아가 WSIS가 제시한 의제들을 검토하고 있다. 그 결과, WSIS가 새로운 지구적 거버넌스 구축을 국제사회의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조율 속에서 진행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개발도상국들의 이해를 점진적으로 반영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또한, 정보질서를 위한 국제사회의 중재자로 국제전기통신연맹(ITU)의 역할이 부각되었다는 점 역시 주목할 부분이다. 하지만, 정보통신 기술(ICT)을 주요 수단으로 삼아 인간중심의 포괄적인 정보사회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했던 WSIS의 논의는 자칫 장밋빛 미래와 과도한 기술결정론에 치우칠 우려를 보여준다. 나아가, 본 논문은 WSIS 논의가 신자유주의적 질서에 입각해 있는 현재의 정치경제학적 맥락의 결여로 인해 논의의 결과인 핵심원칙들과 행동계획을 흐리게 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The World Summit on the Information Society (WSIS) was held in two phases. The first phase took place in Geneva, December 2003, and the second phase took place in Tunis, November 2005. The objective of the WSIS was to establish the foundations for an Information Society for all, reflecting all the different interests at stake. In relation to, this article explore the vision and paradigm of WSIS. For this, this article review the historical context of International information order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examine the issues of WSIS. As a result, I recognize, It is valuable that the process of WSIS for Global governance was held among governments and other stakeholders, i.e. the private sector, civil societ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In addition, developing countries's voice are deeply reflected on the WSIS. It is noticeable that ITU played key role as coordinator. However, we are anxious that WSIS's vision for Information society have a bias toward Technology determinism. Eventually, this article argue that WSIS discourse is the lack of any serious and critical structural analysis of the politico-economic context.
김은규(Kim, Eun Gyoo) 한국출판학회 2017 한국출판학연구 Vol.43 No.3
일제강점기 신문과 잡지가 1920년대 근대 조선 민중의 계몽과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실천체로 작동하는 와중에 언론을 비평하는 신문평론 잡지가 1928년부터 출현하게 된다. 이 중 <철필>은 1930년 7월호 창간호를 발간한데 이어 1931년 1월까지 4호를 내면서 당시의 언론계 상황을 비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30-1931년 사이에 발행된 신문평론 잡지 <철필>을 텍스트로 하여, 신문평론 잡지의 발행 배경과 그 논지는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1930-1931년에 발간된 신문평론 잡지 <철필>은 당대 언론계의 시대적 요구를 수용하는 기자들의 협업으로 이루어진 언론인을 위한 이론서와 교양서였다. 그러나 시대적 상황에 순응하거나 순응해야 하는 기자 자신들의 처지를 질타하고 위문하는 자기 비판처이자 피난처이기도 했다. In 1920s, Korea wa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ose days, publishing business for Magazine and Newspapers activated as a campaign for enlightenment and to inspire independence. At that time, Newspaper review magazine, the title is ‘Cheol-Pil’, was launched in July 1930, and it was issued four times until January 1931. Although the ‘Cheol-Pil’ magazine was published just four times, it must be meaningful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condition of newspapers and journalism system during 1920’s-1930’s in Korea which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o, this study explore the publishing intention and main issues of the ‘Cheol-Pil’ magazine. As a result, the ‘Cheol-Pil’ magazine is a kind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 book for journalist, and the work was conducted cooperating with that times of journalist together. However it was a kind of space for self-criticism and shelter, which for journalist themselves adopt to the colonial and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미디어교육에 대한 도시와 농촌 간의 실태 차이 비교 연구
김은규(Kim, Eun-Gyoo)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교육격차가 현존하는 상황에서 미디어교육의 영역에서도 도농 간의 교육격차가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미디어교육의 교육과정 요인 중에서 미디어 이용 실태, 미디어교육 현황, 미디어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한 도농 간의 차이를 점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디어교육의 교육요건, 교육현황, 인식 등 교육과정적 측면에서 도농 간의 큰 격차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의 교육문제에서 교육격차, 특히 지역 간 격차가 주요한 이슈로 부각하고 있을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다행스러운 일이다.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도농 간의 큰 격차가 없는 이유로는 정보격차 및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농촌 지역에 대한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 농촌 지역학교의 유휴시설의 전환으로 미디어교육과 관련한 교육여건이 확충되고 있다는 점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전체 교육과정에서 아직 미디어교육의 비중이 크지 않기에 미디어 교육에 대한 도농 간의 격차 역시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사대상자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이해의 문제, 도농 간의 큰 편차가 없는 조사대상의 범위 문제 등이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media-education gaps are exist or no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schooling. In the concrete,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media use, the present state of media education, and the understanding for media educ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this aims, this study use survey research method. The sample are taken in the whole primary-school in Jeollabuk-do province. In conclusion, there are a little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relation to media education in schooling. Reflecting on the state of educational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result is very fortunate for schooling media education. The reasons are assumed like these; 1) expand and improve the facilities for educational gaps and information divide, especially rural areas. 2) make use of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that has so far remained unused in order to schooling in rural areas. 3) because media education is given little weight in the total schooling, gaps are still might not appeared. Partly, this research have limitation; if the extension of research areas which have big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the result might be changed.
근대 잡지를 통해 본 1920/30년대 ‘라디오 방송’의 수용에 관한 연구
김은규(Kim Eun Gyoo)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2
1927년 2월 16일 경성방송국이 개국했다. 일제 강점기 하에서 등장한 경성방송국은 식민통치를위한 도구로 기능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이 땅에 근대성을 전파하는 근대 미디어이기도 했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1920/30년대에 활발하게 발행되었던 《별건곤》과 《삼천리》를 통해 근대 미디어로서 라디오가 어떠한 표상으로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의 근대 지식인들은 근대 과학기술의 산물로서 라디오에 대해 분명히 인식했다. 과학적 원리를 통해라디오가 세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는 것을 분명히 전달하고자 했으며, 이러한과학기술 역량이 조선에도 축적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도 했다. 문명의 이기로서 라디오가 가진자와 지배자의 이익에 우선한다는 것도 직시했다. 라디오는 근대적 공간과 풍경을 새롭게 만들어 낸다는 것에도 주목했다. 라디오 방송을 하는 경성방송국은 서울의 새로운 구경거리가 되기도 했고, 지붕위에 라디오 안테나를 매단 문화촌 역시 새로운 근대적 풍경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또한 거리의 라디오확성기는 근대 문명의 도구를 활용한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서 활용되면서 근대적 거리 풍경을 연출하기도 했다. 라디오는 또한 연예오락 프로그램을 통해 식민지 조선에 근대적 대중문화를 전파하기도했다. 1920/30년대의 근대 잡지 《별건곤》과 《삼천리》는 이같은 라디오의 역할을 기록하고 전파했다. 신문물에 경이를 표하면서 우리 조선도 이러한 신문명을 만들어내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또한 라디오라는 신문명과 결합하는 대중문화를 지원하기도 했으며, 그 부작용을 날카롭게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근대성의 매개자로서 라디오에만 집중했지, 식민지 통치 도구로서의 라디오의 모습에는 소홀했다는 아쉬움을 보여주기도 했다. In 16th Feburary 1927,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had launched.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which had been operat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functioned as an apparatus of occupation. But it also regarded modern Radio media system which spread the modernism. So, this study examine how Radio had accepted in modern Korea and what radio represented relations with modern life. For this, this study review modern reading material 《Byeolgeongon》 and 《Samcheonri》, which widely read in 1920s-1930s as popular magazines. To sum up this study, modern Korea’s intellectuals were obviously perceived Radio to be creature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y conveyed that Radio is new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ystem to linking the world and emphasized this kind of scientific ability must accumulate in modern Korea. They also understood modern conveniences like Radio serve to promote benefit of bourgeois and dominator. On the one hand, Radio as a modern material set the modern life fashion in street and cityscape; Gyeongseong Broadcast Station become known as a sightseeing building, and modern village which install radio antenna on the roof also created modern landscape. Radio loudspeaker was utilized for fresh marketing technique. On the other hand, radio broadcasting created and spread the modern mass-culture through entertainment program such as popular music, radio drama, comic monologue. 《Byeolgeongon》 and 《Samcheonri》 as modern reading materials reported and delivered these Radio’s features and social phenomenon; They bolstered the modern mass culture which connected radio and pointed out the adverse reaction. Like this, these two magazines mainly focused Radios’s feature as a mediator of modernism, but they were careless about the another radio’s feature closely related with an apparatus of colonial occupation.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 내 미디어교육 교재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 아동의 미디어 이용 실태에 따른 학년별, 성별 차이 분석
김은규(Kim Eun-Gyoo),김성벽(Kim Sung-Byuk) 한국출판학회 2008 한국출판학연구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rame up media education text for Primary-school parents in a home life section. To put it concretely, this research analyse children media use conditions of children who being in primary-school in order to build media education texts. For this aims, this study use survey research method:the samples are taken in primary-school parents attached to University in nationwide. In sum, The parents who care high-level primary school children want media education about the appropriate skill of Internet use and TV viewing;and media education text frame up to forster media use regulation, to improve the capacity of media use, to protect against noxious media contents. 이 연구는 학부모들이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 교재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아동들의 가정내 미디어 이용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가정에서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야 할 미디어교육교재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전국 범위의 초등학생 학부모들 대상으로 가정 내에서 진행되는 아동의 미디어 이용실태를 조사했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반적으로 자녀의 학령이 높을수록 학부모들도 자녀의 인터넷과 TV 사용과 관련된 미디어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그 내용은 아이들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도록 미디어 이용규칙을 정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내용(이용 규칙), 무조건적인 억제보다는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활용능력 제고), 미디어 유해성으로부터의 예방 교육(유해성 예방) 등의 영역으로 정리된다. 요컨대,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가정 내 미디어교육 교재의 구성은 학년별 수준을 달리하는 가운데, 미디어의 이용규칙, 유해성 예방, 활용능력의 제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운영 현황 점검과 방향성 모색: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시민미디어센터의 다문화미디어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규 ( Eun Gyoo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1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다문화미디어교육은 참여적 미디어 활동을 통해 다문 화사회 구성원들이 공감과 소통을 장을 형성하는 한편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적 통 합을 이끌어 내는 핵심적 교육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문화미디 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의 특징과 개선점 등을 점검함으로써 다문화미디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가 전국적으로 운영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시민들의 참여적 미디어활동을 증진하고자 하는 ``시민미디 어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현황을 조사했다. 그리고 이를 시 민교육, 커뮤니케이션권 교육, 상호이해 증진 교육이라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지 향점 측면에서 검토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활성화와 내실화를 위해 실행 체계적 차원과 내용적 차원에서 그 방향성을 제시한다. 실행 체계적 차원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각 기관의 특성을 살리고 이를 연계하는 ``상호협력적 네트워크`` 체계 구축, 공교육(학교교육) 차원에서 다문 화미디어교육의 시행, 다문화 채널 방송의 설립을 제안한다.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내용적 차원에서는 다문화미디어교육의 대상이 다문화가족의 구성원과 그 이웃들을 포함한 전 국민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그 구체적 내용은 정보화교육, 미디어능력 함양 교육, 다문화교육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아울러, 다문화 미디어교육의 프로그램은 영상 제작과 같은 미디어 활용 교육과 더불어 미디어를 매개로 소통과 표현의 증진, 그리고 콘텐츠의 비판적 이해를 함양하는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as par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because Korean society enter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lays a vital educational role to build a specific space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members and leading to social cohes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participatory media activities. So, this study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by checking its features and improvements, and seek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Now, in Korea, there are two organizations that operat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hich is operating throughout the nationwide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Public Media Center`` which to promote citizens participatory media activities. So, this study examine all th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programs that operated or operating by above organization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some conclusions in the systematic dimension and contents dimension to activate and substantiality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First, in the systematic dimension, it is necessary that build the ``mutual collaborative networks`` system which rai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rganization and to make their connection,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 public schools(schooling), and establishment of a multicultural channel in Korean broadcasting system. Second, in contents dimension, we need to extend its range to all people for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cludi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neighbors, and it``s contents should consist of IT training, media capacity building training, multicultural education.
김은규(Eun-Gyoo Kim) 동서언론학회 2005 동서언론 Vol.9 No.-
2000년 인터넷신문으로 출범한 오마이뉴스는 시민기자제도라는 독특한 방식을 선보이며 한국 언론구조에 새로운 지형을 선보였다. 이후 오마이뉴스는 시민들의 적극적 참여 속에서 시민참여 미디어로서의 위치를 강화했으며, 이를 토대로 그 영향력을 높여갔다.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창간 6년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오마이뉴스의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오마이뉴스와 같은 시민 참여 미디어가 가능했던 정치사회적 배경을 살펴보고 있다. 이는 1987년 이후 변화된 한국시민사회의 지형과 주류 언론에 대한 회의감, 그리고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입각한 정보통신 인프라의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검토된다. 또한 오마이뉴스가 기존 미디어와 어떠한 차별성을 갖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이 신문의 조직모델을 점검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오마이뉴스의 뉴스 생산 및 유통 방식이 전문기자와 시민기자로 이원화되는 가운데 시민참여의 통로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전통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던 대안미디어와 경제적 자생성이라는 측면에서, 오마이뉴스의 수익구조를 살펴보고 있다. 본 논문은 오마이뉴스의 성과라는 측면에서 이러한 내용들을 검토한 후, 향후 오마이뉴스가 시민참여 미디어로서 그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신문 지원 조례(안)" 비교분석을 통한 현실적 쟁점 고찰
김은규 ( Eun Gyoo Kim ),최낙진 ( Nak Jin Choi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4 法과 政策 Vol.20 No.3
2004년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이 제정되어 지역신문에 대한 지원을 공적지원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지역신문에 대한 공적지원은 지역의 여론다양성 확보를 국가가 적극적으로 지역신문을 진흥시키겠다는 의지의 산물이다. 중앙정부의 지역신문 지원정책에 힘입어 각 지역자치단체에서도 지역신문 지원 조례 제정을 통해 지역신문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2010년 경상남도에서 최초로 지역신문 지원 조례가 제정된 이후 부산, 충남 등 광역자치단체와 서울 동작구, 경기도 의정부시 등 기초자치단체에서 조례가 제정되었다. 더불어 경기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광주광역시 등에서도 지역신문조례 제정을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조례가 제정되었거나 현재 논의 중인 지자체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사항은 조례를 통해 지역신문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모두 공감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원 조례에 대한 이견들로 인해 일부 지자체의 조례 제정이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지자체에서 제정되어 운용되고 있거나 아직 논의 중인 조례안 검토를 통해 지역신문 지원 조례의 현실적 쟁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검토 결과 첫째, 지원대상의 범위의 문제로 인터넷신문의 포함 여부, 둘째, 지원 자격의 조건으로 지원기준의 절대 요건과 우선요건의 문제, 셋째, 상위법인 <지역신문발전지원특별법>과의 차별성, 넷째, 지원 조례에 따른 재원의 형성, 다섯째, 지원조례 운용을 위한 위원회의 구성 등의 문제가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례 제정의 방향성과 관련해 선택과 집중의 원칙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 지방자치단체의 홍보예산 문제가 지역신문 지원과 연동되어 지역신문 난립의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는 것, 지역별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독립성과 공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쟁점을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 대안으로는 첫째, 지역신문 지원과 관련 연차별 지원 대상을 구분하여 진행, 둘째, 개별 신문사별 지원 방식 대신 기획취재 사업, 소외계층교육 사업 등과 같이 사업별 공모제 실시, 지역사회 공헌을 고용인원, 세금, 4대보험 지급 등 지역의 고용 안정과 기여 면에서 가중치를 크게 두는 방안을 고려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Support for local newspaper has been carried out in a public support level, after the special law of supporting local newspaper development in2004. The public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s the product of the government``s will to improve the local newspaper by acquiring the opinion diversitiy in local community. Along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supporting policy for the local newspaper, regional governments also t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newspaper by establishing the local newspaper supporting ordinance. After the first local newspaper ordinance was enacted in Gyeongsan Province in 2010, the same ordinance was established in municipal corporations like Busan, Chungnam and local governments like Seoul Dongjak gu, Gyeonggi Province Ujjeongbu. Also, the movement for enacting the local newspaper ordinance is very active in Gyeonggido, Chungcheongbukdo, Jeonlado, and Gwangju city. The common thing that is confirmed both in local communities in which the ordinance was established or is being under discussion is the acknowledgement that the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s needed through the ordinance. However, due to the discordance in opinions about the supporting ordinance, the process of enacting the ordinance is undergoing the difficulties in some regional communities. Therefore, this paper reconsiders the realistic issue in the local newspaper supporting ordinance and finds the better solution by analyzing the ordinance which is either being actually performed or being under debates. After thorough analysis, five issues are recognized; first, whether internet newspaper is included in terms of coverage of supporting, second, absolute condition and priority condition in terms of the qualification of applying, third, the difference from the special law of supporting the local newspaper``s development which is in a higher rank, fourth, securing finances after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fifth, establishing the committee for operating the ordinance. So this study emphasizes that select and concentration principal should be maintained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the ordinance, that publicity budget of the regional communities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support for the local newspaper in order to remove the cause of excessive establishment of local newspapers, and that independence and fairness of the local newspaper development committee should be secured.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the solutions with realistic base are first, to carry out the ordinance by dividing the subjects for the annual support of the local newspaper, second, to put more importance in employment security and contribution in local community such as tax, four major insurance, employment rate by having contests for individual businesses like covering a in-depth case or a special feature, and educating underprivileged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