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접 영상에 기반한 2차원 3차원 가능 컬러 디스플레이

        김윤희(Yunhee Kim),조성우(Seong-Woo Cho),이병호(Byoungho Lee)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본 논문에서는 집적 영상에 기반한 2차원/3차원 연환 가능한 디스플레이에서 기초 영상을 표시하는 투과형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기존의 광변조기 대신 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을 사용하여 컬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험 결과를 보여주도록 하겠다. 또한 예상되는 색 분산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법을 제안하여 2차원/3차원 변환 가능한 컬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하도록 하겠다.

      • KCI등재

        어린이집 재원 영유아의 수면패턴과 문제행동의 관계

        김윤희(Kim, Yun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8

        최근 영유아기 수면과 정서행동문제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재원 2, 3세 영유아 74명을 대상으로 수면패턴과 정서행동문제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유아의 수면패턴은 부모와 어린이집 교사가 3일간 관찰에 기초하여 수면일지를 작성하였다. 문제행동은 담임교사의 평정에 의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ANOVAs, 편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여 분석한 결과, 기관에서의 주간 수면과 가정에서의 야간 수면길이는 하루 총 수면길이와 정적상관이 있었는데, 수면시점 (timing)은 교사와 부모가 정한 소등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문제행동에 대한 주간수면변인의 상대적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에서 소등시간은 영유아의 정서불안행동에 대해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소등시간이 빠를수록 영유아들은 보다 높은 수준의 정서불안행동을 나타내었고, 잠든 시점이 빠를수록 공격적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주간 수면에서 깨어난 시점이 빠를수록 반항, 위축, 문제행동총점과 관련이 있었다. 야간 수면길이는 위축과 문제행동총점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에 가정과 기관에서는 영유아의 발달과 연령에 적합한 양육과 개별적 지원을 위한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sleep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leep patterns in children aged 2-to-3-year old are related to concurrent behavioral problems. Sleep and nap data obtained over 3 days and nights for seventy four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completed sleep logs based on the observations of each child’s sleep. Teacher rate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NOVAs, partial correlation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Most of the children in this study fell asleep after 10 P.M. and took daily naps at child care. Major results indicated that the duration of daytime nap and nocturnal sleep were positively related to daily amount of sleep. The sleep onset time was closely related to light-off time set by teachers and parents. Both earlier sleep onset time and off-set time for nap in child care have effects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such as anxiety, withdrawn, aggression and oppositional problems. The duration of nocturnal sleep has effects on withdrawal and behavioral problems. Both parents and teachers need greater efforts to provide individualized care and flexible routines for each child.

      • KCI등재

        움직이는 자동차와 비행기: 디지털 블록의 어포던스와 자유놀이 경험

        김윤희(Kim, Yunh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0 No.3

        사물의 어포던스는 유아의 선택, 상호작용,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창의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놀이 맥락에서 실제화되는 디지털 블록의 어포던스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디지털 블록 놀이 경험이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 대상은 A유치원의 4,5세 혼합 연령 반유아 15명과 A교사, B유치원 5세반 유아 20명과 B교사였다. 먼저, 질적자료는 자유놀이 맥락에서 나타나는 어포던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집ㆍ분석되었다. 사전-사후검사 방법을 통한 양적자료는 유아의 문제해결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수집ㆍ분석되었다. 질적자료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적 분석을 통해 도출된 대주제는 세 가지로 디지털 블록의 실제화된 어포던스, 지각된 어포던스의 사용, 문제해결 과정을 통한 어포던스의 실제화였다. 또한, 사전-사후 검사결과는 참여 유아의 문제해결력이 유의하게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IoToys를 비롯한 다양한 첨단 매체를 도입한 현장 교육과 연구를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affordances of objects provides children with various opportunities for creative use in the process of selecting, interacting, and commuincating with th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1) to explore the actualized affordances of digital blocks in the context of free play and (2) to find out the effect of free play using digital blocks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ixed-method studies were conducted. Participants included 15 four- and five-years-old children and teacher A from A preschool in Seoul as well as 20 five-years-old children and teacher B from B preschool in Seoul Korea.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explore the actualized affordances of digital blocks in the context of free play. Next, a-paired t-Test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pre- and post-test scores to examine the changes of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Three main themes such as (a) the actualized affordances of digital blocks, (b) the use of perceived affordances, and (c) actualized affordances through problem-solving processes were derived from the qualitative data analyses. In addition, the result of a t-Test indicated that the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were improved.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 discussed the need for supporting for ECE practices using high-tech media, including IoToys as well as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in this area.

      • KCI등재

        1905년~1920년 금환본위제와 보조화 부족, 단일통화체제의 균열

        김윤희(Kim, yunhee)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9

        이 글은 세계적 차원에서 진행된 금본위제가 식민지 조선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금본위제에 기초한 통화체제가 성립된 1905년에서 한국 화폐의 법화 지위가 소멸된 1920년까지의 시기에 주목한다. 이 시기 조선에서는 매우 심각한 보조화 부족 현상이 나타났고, 보조화와 본위화 사이에 환율이 형성되어 단일통화체제에 균열이 발생하기도 했다. 기존 연구에서 보조화의 부족으로 조선은행이 소액지불수형을 발행했다는 점이 언급되기도 했지만, 보조화 부족 현상과 그 의미에 대한 고찰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보조화 부족은 금본위제가 국내통화 운영에 미친 부정적 기능을 보여줌과 동시에 식민지 조선의 통화 취약성을 드러내는 사례이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전제하고 있었던 금본위제의 긍정적 기능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재고하는 한편 금환본위제 통화의 취약성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vulnerability of the gold exchange standard - the problem of colonial currency operation. The period noted in this article was 1905 when the monetary system based on the gold standard was established, and 1920 when the legalization status of Korean currency disappeared. In Joseon, a very serious shortage of subsidiary coin, and the exchange rate was formed between subsidiary coin and standardization, resulting in cracks in the single currency system. It was also mentioned that the Chosun Bank issued a a small check due to the lack of subsidiary coin, but no consideration was made on the phenomenon of the lack of subsidiary coin and its meaning. The lack of subsidiary coin is an example of showing the negative function of the gold standard on domestic currency management and at the same time revealing the vulnerability of the colonial Joseon currency. It is intended to reconsider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ositive function of the gold standard system, which was premised in previous studies, an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vulnerability of the gold exchange standard currency.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초등학교 전이시기 학업수행능력의 종단적 발달경로: 가정환경자극과 학교준비도의 이중매개효과

        김윤희 ( Kim Yunhee ),구자연 ( Koo Ja Yeun ),김현경 ( Kim Hyoun 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만 4세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만 7세 때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만 5세 때 가정환경자극과 만 6세 때 학교준비도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아동 2,128명(여아 1,046명)과 아동의 어머니로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중 어머니 및 교사에 의해 평정된 만 0세부터 만 7세까지의 1-8차년도(2008-2015년) 자료를 사용하였고, 연구모형은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만 5세 때 가정환경자극과 만 6세 때 학교준비도는 만 7세 때 학업수행능력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만 4세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만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은 만 6세 때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직접적으로 각각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만 4세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만 5세 때 가정환경자극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만 4세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만 7세 때 아동의 학업수행능력간의 관계에서 만 5세 때 가정환경자극과 만 6세 때 아동의 학교준비도가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긍정적인 초등학교 전이를 돕는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mothers’ parenting stress in early childhood (age 4) influence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ge 7) through home environment (age 5) and school readiness (age 6). Data for the present study were taken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across Waves 1 through 8 (from 2008 to 2015).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others’ reports on parenting stress and home environment and teachers’ reports on 2,128 children’s (girls, n=1,046) school readi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used. Results from the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irect effects of children’s positive home environment at age 5 and school readiness at age 6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t age 7 were significant, although mothers’ parenting stress at age 4 did not show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mothers’ parenting stress at age 4 was negatively and home environment at age 5 was positively influenced children’s school readiness at age 6. Additionally, mothers’ parenting stress negatively influenced home environment. Further, mothers’ parenting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positive home environment and high levels of school readiness. These findings support the hypothesized dual mediation model,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positive home environment and school readiness for children’s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also suggest that targeting to reduc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ubsequently to promote positive home environment and school readiness in children via intervention programs can be an effective way to facilitat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during this transitional period.

      • KCI등재

        0세 영아의 수면/의식 상태의 변화에 따른 교사 민감성

        김윤희(Yunhee Kim)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수면/의식 상태(sleep/wake state)의 변화에 따른 영아의 요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석한 후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는 교사의 민감성이 0세 보육에서 교사-영아 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개념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양적 통합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영아가 깨어있는 동안의 각성(alertness)수준에 따라 교사행동 비율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영아가 기분이 좋고, 집중력이 높은 ‘기민함(Alert)’의 상태일 때 보다 ‘칭얼/울음(Fussy/Crying)’의 상태에 보다 자주 반응하였는데, 구체적으로 ‘기본적인 돌봄’, ‘일대일의 상호작용’, ‘신체적인 접촉‘을 동반한 돌봄을 많이 제공하였다. 이는 영아의 기분이 까다로워지고 칭얼대는 상태나 울음이 교사의 반응을 강하게 이끌어내는 것으로서 영아의 각성수준이 교사행동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6가지의 범주로 도출된 교사행동을 중심으로, 각 행동범주와 관련하여 강조되는 민감성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다수의 영아를 돌보는 보육 현장의 맥락에서 교사 행동주제와 관련되는 핵심적인 민감성 요인의 종류와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교사행동과 민감성 특성은 보육의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어졌기 때문에 현장의 교사들에게 통찰력을 제공해 줄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infants’ daily experiences and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ensitive responsiveness in infant-caregiver interactions in a child care setting. This study carefully considered the mutual and recursive influences of infants’ sleep/wake states while exploring essential elements of professional caregivers’ sensitivity associated with seven action themes drawn from the data. I carried out mixed methods case studies with one caregiver and her four, 3 to 7-monthold infants in an infant room at a university-affiliated child care center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Video recordings served as a major tool for the collection of observational data. The major findings, which answered the overarching research question, indica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giver’s actions was conditioned by its impact on each infant state. The analyses revealed that caregivers responded more frequently to infants’ distress signals in the repertories of Physical Caretaking, One-on-one Interaction, and Physical Contact than to infant alertness. However, infants’ affectionate response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during Alert states, whereas caregiver actions were still effective in that infants stopped crying and became calm or alert during Fussy Alert states. The focus on sensitivity elements related to the recurrent themes of caregiver actions not only suggests reflections on the dynamic of group care practices that may greatly differ from the home context but also offers examples of the value of caregiver expertise.

      • KCI등재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윤희(Kim, Yunhee),김소영(Kim, Soyoung),윤혜주(Yun, Hyeju),김유나(Kim, Yuna),선미니(Seon, Min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실행기능(억제, 인지유연성, 작업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 34명(실험집단 17명, 비교집단 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2017년 10월 27일부터 12월 7일까지 총 6주간에 걸쳐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Pica(2013)와 Gallahue & Ozmun(2009)의 이론과 체계를 기초로 구성하였다. 사전·사후검사 결과는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인지억제, 행동억제, 인지유연성, 작업기억을 포함하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가정과 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이 다양한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Recent research studies have documented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on synaptic stimulations and systems, and function in memory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movement program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ovement activities with balls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s. A m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frameworks of Pica(2013) and Callahue & Ozmun(2009). Participants were 34 (17 experimental group; 17 control group) 5-year-old-children. After pretesting session, there were 20 movement sessions, and then a post-testing session.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ere performed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pre-test score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ly greater positive gains over time in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pecifically, cognitive and behavioral inhibitory control, cognitive flexibility, working memor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20 movement sess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how movement activities with balls promot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s.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provide children with a variety of physical activities to support children’s development.

      • KCI등재

        문헌고찰을 통한 국내 영아애착 관련 연구동향 분석

        김윤희(Kim, Yunhee),김희정(Kim, Heejeong),임지혜(Im, Ji-Hy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0

        애착은 부모-자녀 관계의 세부적 분류체계 이론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개념이다. 영아기 애착안정성은 전 생애 발달과정에서 자아에 대한 내적표상, 대인관계 양상 및 기대감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애착형성의 결정적 시기를 포함하는 영아기를 중심으로 국내 애착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영아애착에 관한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1984년 국내에서 최초로 진행된 한 편의 연구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영아애착 연구에 대해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영아애착 연구의 일반적인 동향과 연구주제, 대상, 방법의 경향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영아의 애착유형과 발달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애착안정성은 영아의 어린이집적응,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 언어인지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에는 가정과 보육환경에서 영아의 복합적 애착관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Attachment theory has served as a useful typology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Attachment theory places an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early attachment in the primary caregiver-child relationship that becomes the basis for later socialization as well as for later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was to provide a resource that summarized: a infant/toddler attachment research trend in Korea and the effect size of the associations between infants" attachment security and developmental outcomes. Results showed that both infant-mother attachment security and infant-teacher attachment secur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fant developmental outcomes(i.e., cognitive, language, and social adjus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infants" multiple attachment relationships in relation to infant development.

      • KCI등재

        브랜드 경험 증진을 위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에 관한 연구 - 커피전문브랜드 매장 중심으로 -

        김윤희 ( Kim Yunhee ),이재규 ( Lee Jea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경험은 소비자에게 자사의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축척시킴으로써 브랜드 충성도를 확보하기 위한 브랜드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는 그러한 경험의 가치를 더 확장시키고 있으며, 경험이 제공되어지는 공간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과거 공간은 제품을 팔기 위한 배경으로 존재 했다면 디지털 시대의 공간은 특별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고객과 소통하고 브랜드의 가치를 높여 주기 위한 창구로 그 개념과 범주가 달라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경험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브랜드 경험이 일어나는 공간의 종합 환경인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을 정의하여 브랜드 경험 증진을 위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를 도출하고, 정립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브랜드 경험과 서비스스케이프의 선행연구를 통해 브랜드 경험의 유형 및 구성요소와 서비스스케이프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브랜드 경험 증진에 기반을 둔 브랜드 경험 구성요소에 따라 서비스스케이프 요소 및 분석모형을 구축하였다. 마케팅의 관점으로 브랜드 경험을 통한 브랜드 기획 및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한 커피전문 브랜드 4곳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브랜드 경험을 일으키는 서비스스케이프 요소를 정의하고, 서비스스케프 요소를 통한 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서비스스케이프 요소 심미성, 안락성, 쾌적성, 편리성, 상징성, 전문성의 6가지 분석기준을 가지고 국내ᆞ외 커피전문브랜드 각각 2개를 분석하여 본 결과 각 브랜드는 고객을 브랜드 경험에 노출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들을 공간에 적용하고 있었다. 스타벅스 리저브 매장은 상징성을 포함한 전반적인 영역에서 우월한 수치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를 고루 만족시키고 있었다. 이어 맥심플랜트>블루보틀>테라로사 순으로 분석되었지만 3개의 브랜드는 모두 근사치 범위 안에 속했다. 서비스스케이프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전문적 행위와 서비스 태도를 포함하는 전문성이 가장 두드러졌다. 이어 편리성>상징성>심미성>안락성>쾌적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브랜드 경험을 선사하기 위한 공간의 디자인 전략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분석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를 브랜드의 정체성이 부여된 전문성과 사용자 중심의 편리성, 브랜드 철학과 통합적 이미지의 상징성, 사용자의 감각과 감성을 자극하는 심미성, 보편적이지만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공동의 가치를 창출하는 안락성, 쾌적성으로 정의하며, 이를 중심으로 한 공간 디자인은 브랜드와 고객의 관계성을 형성하고 브랜드의 인상을 심어 고객과 브랜드의 지속 가능한 소통의 창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가 브랜드 경험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고, 브랜드의 차별화 전략의 중요 요인으로 활용되어 브랜드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oday’s experience is on the rise as a brand strategy to retain loyalty by accumulating positive responses to its brand to consumers. The transition to the digital era is expanding such a value of the experience and place where the experience is provided is working as an important factor. If the place existed as a background to sell products in the past, in the digital era, it is changing concept and category as a solution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and is increasing brand value by providing a special experien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brand experience and several brand experience constituents. It also defines the concept of servicescape which is a comprehensive environment of the space making brand experiences so as to draw and found the servicescape elements. (Method) This study draws brand experience type and constituents, and the constituent of servicescape through advanced research of the brand experience and servicescape. The servicescape elements and analytic model were built according to the brand experience constituents based on the brand experience enhancement. Moreover, it analyzes four examples of coffee brands that constructed their own brand projects and images using their experiences in aspects of marketing. Then, it defines design elements that generate brand experience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spatial design through the servicescape elements. (Results) After analyzing two domestic and two external coffee brands using the servicescape elements for six analysis criteria, namely, aesthetic impression, pleasure, comfort, convenience, symbolism, and professionalism, it is identified that each brand is applying various strategies to expose its customers to brand experiences. The Starbucks Reserve store has satisfied the servicescape elements in overall scope including symbolism. It was then analyzed in the order of Maxim Plant>Blue Bottle>Terrarosa, all three brands were within the approximate range.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 servicescape elements, the most prominent was professionalism including professional behavior and service attitude, and it was followed by convenience>symbolism>aesthetic impression>comfort>pleasure. (Conclusions) The design strategy of the space to present the brand experience is of crucial importance. Analyzed servicescape elements are defined in professionalism with brand identity and user-centered convenience, symbolism of integrated image and brand philosophy, aestheticism that stimulates user sense and sensibility, and comfort and pleasure that creates common value with universal but interrelatedness. This spatial design centered on the servicescape elements creates relationships between brands and customers, and also provides a window of sustainable communication between brands and customers with brand impress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ervicescape elements effectively increase the brand experience and are used as a vital element for a brand’s differentiation strategy so that it ends up employed as a standard to evaluate the brand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