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등의식의 문학적 탐구 : 김승옥의 「더 많은 덫을」에 대하여

        김영찬(Kim Young-chan),김승옥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김승옥은 1966년 대중적 상업주간지인 『주간한국』이 지령 100호 기념으로 지식인 100명에게 투표를 의뢰하여 발표한 ‘오늘의 작가’에 선정된바 있다.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그 선정결과가 발표된 『주간한국』 100호 기념호에 〈100인이 선정한 ‘오늘의 작가’의 ‘오늘의 작품’〉이라는 타이틀 아래 실린 것이다. 김승옥의 소설 「더 많은 덫을」은 그동안 독자의 기억에서나 문학연구의 영역에서나 유실되었던 작품이다. 그러나 「더 많은 덫을」은 ‘서울에서 산다는 것’에 임상심리 보고서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이 시기 그의 다른 작품과 비교할 때 작품의 질에서도 당연히 뒤떨어지지 않는다. 이 소설에서 주목되는 것은 전라도에서 상경한 촌놈으로서의 자의식, 그리고 그와 얽혀 있는 당대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사회심리의 표정, 그에 대한 심리적 반응 등이 거의 날것 그대로라 할 만큼 생생하게 증언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김승옥 소설의 배면에 은밀하게 깔려 있는, 열등의식 가득찬 고단한 ‘상경 촌놈’의 내면풍경을 그 특유의 미려한 장식을 걷어내고 더욱 깊숙이 들여다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김승옥의 소설 「마지막 덫을」은 비루한 자기보존을 위해 남모르는 안간힘을 써야 하는 소외된 열등생의 불행하고 눈물겨운 자의식의 분투를 보여준다. 그런 측면에서 이 소설은 너무나 욕된 생활 속을 죄충우돌 살아가야 했던 열등한 상경 촌놈들의 ‘서울살이’에 대한 또 하나의 눈물겨운 임상심리 보고서다. 그런 가운데서도 이 소설은 김승옥의 여타 임상심리 보고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준다. 그것은 ‘열등생’이라는 김승옥 고유의 토픽이, 열등감의 사회경제적 배후와 지역차별에 대한 문제의식과 결합되면서 한층 구체적이고도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전라도 출신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라는, 사회적으로 중요하지만 문학에서 쉬 발설되지 않았던 민감한 문제를 소설 속으로 적극적으로 끌고 들어온 것 자체만으로도 이 소설이 갖는 문제성은 크다. 무엇보다 이 소설이, 소외된 주변의 욕망을 관리하는 동시에 식민화하는 1960년대 한국사회 근대화 과정의 심리적 결과를 화자의 복잡 미묘한 갈등의 굴곡을 통해 정면으로 포착하고 있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그런 측면에서 이것은 ‘서울에서 산다는 것’에 대한 김승옥식 임상심리 보고의 연장이자 그 사회문화적 구체화라 할 만하다. Seung-ok Kim was selected in 1966 as a “writer of the day” in the poll made by a popular magazine Weekly Korea; his fiction 「Even More Traps」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as a "fiction of today novelist of today" selected by one hundred people. 「Even More Traps」 has been neglected by common readers and literary scholars. However, it is significant as a report of clinical analysis of ‘living or surviving in Seoul’ and comparable to his other works in terms of quality. What draws our attention in the work is that the psychological dynamism of the main character is so vividly described naked: his self-consciousness as a churl from the Cholla Province, a wretched rural area in Korean history; his psychological response to the socio-cultural milieu and mentality of the Korean society at the moment. In this respect, 「Even More Traps」 can be called a hard-boiled testimony of the inner landscapes of a churl who has come to Seoul, undecorated with the writer’s characteristic refined style. The writer carries out a more detailed profound investigation of his own topic of ‘losers’, regarding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inferiority complex and the criticism of unjust discriminations against the rural.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his attempt to shed light on the sensitive issue-th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s of those who are from the Cholla Province, for it has been neglected in literature in spite of its social connotation. More fundamentally, it is important that 「Even More Traps」 faces the psychological outcomes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in 1960’s by the means of the dramatization of sophisticated inner conflicts of the narrator; it is a detailed version of the writer’s signature analysis of society from a clinical perspective.

      • KCI등재

        대중극의 문화적 지형 연구 - 뮤지컬의 대중문화적 함의를 중심으로

        김승옥(Kim Seung-Ock) 돈암어문학회 2004 돈암어문학 Vol.- No.17

        Popular culture has long been an underdeveloped area in cultural studies that tend to cling to the tradition of the humanities. This is because the aesthetic quality of its texts has been excluded as low class culture through the hierarchical discrimination against high class culture, which relies on the conservative elitist cultural criticism.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osely examine the popular cultural implications of musicals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rms of popular art. In so doing, I will first explore the historical elements of musicals as popular dramas, and then find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Korean musicals that have already shown a remarkable growth.<br/> The cultural environment that allowed the public performance of musicals in Korean society is, first of all, its economic change as a result of capitalization. Since the 1980's, the middle class has increased in Korean society at an incredible pace due to the material growth and the ensuing economic stability. The existence of the masses with various tastes called to cultural producers for a new change to be sensitive to the consumer's taste. Accordingly, the drama producers and suppliers had to develop and sell cultural commodities that suit the various tastes of the public, and it was when musicals, with their value in exchange and use, entered into the matrix of production, supply and consumption. At this point, as the cultural market was opened up, American musicals were imported and rapidly disseminated among the general public. As a result, a number of consumer groups were formed and they could purchase musicals as cultural commodities. Those musicals had a variety of features that suit the public taste and, therefore, appealed to the young audience.<br/> Another factor in the popularity of musicals can be examined from the side of the performing style. The charm of musicals lies in music and dance, and the life of musical actors is improving their skills. The main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Korean musical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stage actors have grown more rapidly than in any other field and they can deeply move the heart of the audience by increasing their realistic experience. The music flowing with the unfolding of the storyline, the rhythmical and dynamic quality of the dance, and the spectacle setting attract the audience into a lively scene of magical power, tremble, and wild excitement. Musicals as a popular entertainment lead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show and, taking advantage of this, induce them to break in the festival mood as a group.<br/> As we stepped into the 1990's, Korean musicals rapidly grew. With their various forms and natures put on the stage, the audience response increased, and the audience spectrum growing big, the outlook of Korean musicals may certainly be seen optimistic. However, there are just too many problems piled up to be optimistic about the future of Korean musicals based solely on the given conditions at present.<br/> Above all, the problem is the repertoire with all Broadway hits. The reality is that we are rehashing foreign musicals rather than creating original works. Directly imported Broadway musicals do not fit our communal sentiments and they are just an alternative entertainment relying on the dreams and fantasies of foreigners. If we only follow the Broadway style commercialism, we can easily plunge into a long period of stagnation just like the theatrical world of Japan. Most of all, it is grounded in shortsighted commercialism. That is, the myths of love, ambition, and success, which are the tastes of the young, are wrapped in splendid music and dance just to be made popular. In addition, what worries us even more is the west-centered blindness making eyes at sexually suggestive and violent dramas. Another urgent matter is the absence of theaters for musicals only since blockbuster musicals are being wasted as an one-time event. When these problems are solved, Kore

      • KCI등재

        錦江流域 松菊里型 墓制의 硏究

        김승옥(Seungog Kim) 한국고고학회 2001 한국고고학보 Vol.45 No.-

        송국리형 문화는 취락구조와 조직, 출토유물의 분석을 통해 무문토기시대 사회변천의 중요한 전환기였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 글은 금강유역에서 발견되는 무문토기시대 묘제의 분석을 통해 송국리형 묘제의 설정과 묘제에 반영된 당시 사회의 구조와 성격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석관묘․석개토광묘․옹관묘의 형식분류를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석관묘는 묘광의 구조에 따라 일단과 이단으로 나누어지고, 이들은 다시 적석과 개석시설에 따라 각각 두 형식으로 세분된다. 석개토광묘역시 일단과 이단으로 나누어지고 옹관묘는 석개직치, 석개사치, 토개사치로 분류된다. 다음으로 이글은 이러한 석관묘․석개토광묘․옹관묘의 입지와 분포, 공간적 배치, 발전과정의 논의를 통해 이들 묘제를 송국리형 묘제로 설정하였다. 송국리형 묘제는 금강중하류에서 가장 밀집된 분포를 보여주지만 금강상류와 하류로 파급되면서 형식의 종류가 변화하면서 지석묘 문화와 혼재하는 지역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무덤의 공간적 분포에 의한 사회조직을 살펴 본 결과 송국리형 묘제는 개별무덤, 무덤군, 전체무덤의 동심원상으로 조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송국리형 묘제에서 보이는 사회조직과 성격에 대한 ‘시론적 성격의 논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무덤의 크기에 대한 분석결과 송국리형 묘제의 피장자는 굴신장법으로 매장되었으며, 각 무덤군은 성과 연령에 따라 무덤의 규모와 구조, 부장유물의 차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즉 소아용 무덤에 비해 성인의 무덤에 석검과 석촉을 훨씬 많이 부장하는 경향이 있으며, 판석과 생토바닥을 하고 석촉이 부장되어 있는 무덤은 남성과, 바닥에 토기를 깔고 석촉이 전혀 부장되어 있지 않는 무덤은 여성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추정해 보았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송국리형 묘제는 성과 연령에 의해 조직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부여 송국리와 가증리유적처럼 인근의 유적에 비해 유력자 집단의 묘로 추정되고 유력자 집단내에서도 어느 정도 사회적 차별화가 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도 존재한다. It has been well known that,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settlement structure and pattern and artifacts recovered, the period of the Songgungni-type culture was a time of important transition and change in socio-political systems of the Mumun(plain-coarse pottery) period in Korea. This essay attempts to establish the Songgungni-type tombs and to discuss the so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nggungni-type culture through the analyses of the Mumun period tombs in the Kum-gang river basin. It starts with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s of stone cist tomb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nd jar coffin tombs. The analyses show that stone cist tombs are classified into the two types, single level tombs and double level tombs, each of which is again divided into the two types based on the structure of capstones and paved stone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re also divided into single level tombs and double level tombs. Jar-coffin tombs are classified into erect jar-coffins with stone covers, slant jar-coffins with stone covers, and slant jar-coffins with pottery cover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location and distributions,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stone cist burial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nd jar coffin tombs, these burial styles are identified as the Songgungni-type burials. The Songgungni-type burials were found most densely in the middle Kum-gang river but, as they were diffused into the upper and lower Kum-gang river, they were found together with dolmens and the variation of the burial types changed. The results on the analyses of the social organization reveal that the Songgungni-type burials consist of burials, burial clusters, and macrocluster, which reflects at three increasingly inclusive levels as a layout plan of burial sites. Finally, this essay attempts to propose a rough sketch on the soc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reflected on the Songgungni-type tombs. The analyses of the burial size strongly suggest that the dead of the tombs were buried in a crouched posture. In addition, there seems to exist differences in the burial size and structure and artifacts recovered according to the sex and age of the dead. In other terms, it seems likely that adult tombs in comparison to infant tombs were accompanied by much more stone daggers and arrowheads. Further, while male tombs had floors made of several stone slabs or earth, and many male tombs contained stone arrowheads, female tombs had floors made of pot fragments and none of them produced stone arrowheads. Although most of the Songgungni-type burials, as discussed above, seems to be organized based on the age and sex of the dead, some burial sites such as Songgungni and Gazungni can be ascribed to the burials of high-ranking groups, suggesting some degree of social ranking within and between Songgungni-type burial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수술실❳욕창예방 간호 실무지침 현황 및 적용실태 조사

        김승옥(Seung Ok Kim),신용순(Yong Soon 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수술실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 실무지침 현황 및 적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상급 종합병원 4개와 전문병원 3개를 온라인 무작위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정하였고 선정된 수술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경력을 가진 수술에 직접 참여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1월부터 4월까지였고 설문지는 총 150명에게 배부하여 129명에게 회수(회수율 86%)하였다. 수술실 간호사들은 측위 43명(33.3%), 앙와위 37명(28.7%), 복와위 36명(27.9%)이 수술 체위 대상자들에게 욕창예방 간호 경험을 갖고 있고 주로 사용하는 지지표면은 젤 102명(79.1%), 스폰지 62명(48.1%), 솜 47명(36.4%)이었으며 지지표면 사용 전후로 2회(90명, 69.8%) 피부사정을 실시하지만 욕창위험 사정을 위해 특별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았고(76명, 58.9%)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수술 체위(83명,64.3%)를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수술 소요 시간은 2시간 이상(49명,38.0%)임을 확인하였다. 수술실 간호사들이 수술 대상자들에게 욕창예방 간호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지지표면이 젤, 스폰지, 솜이었으며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수술 체위를 지지표면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수술 소요 시간은 2시간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This descriptive study examined the practical nursing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injuries (PI) in operating rooms and their application. Method: Four general hospitals and three specialized hospita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were selected through an online randomization program and nurses at these hospitals who participated in operations and had at least six months work experience were surveyed.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April 2018 through a survey distributed to 150 nurses, 129 of whom returned the survey (86% recovery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43 nurses provided PI prevention care for patients in a lateral position (33.3%), 37 for patients in a supine position (28.7%), and 36 for patients in a prone position (27.9%). Gel was most widely used as the supporting surface material (102 nurses; 79.1%), followed by sponge (62 nurses; 48.1%), and cotton (47 nurses; 36.4%). Skin was often inspec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use of a supporting surface (90nurses; 69.8%), but no designated tool was used to determine the risk of PI developing (76 nurses; 58.9%). Additionally, the patient"s position during surgery (83 nurses; 64.3%) and the length of the operation (i.e., more than two hours, in this case) (49 nurses; 38.0%) were determining factors for whether to use a supporting surface. The operating room nurses used the gel, sponge, and cotton as the supporting surfaces for the prevention of PI and confirmed that the cutoff operation time for the use of a supporting surface was more than 2 hours.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교수 집단 간 인식 분석: K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김승옥(Kim Seung Ok),박수미(Park Su M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이 연구는 강의평가 결과 신뢰성 및 활용에 대한 구성원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기존 강의평가결과의 차이와 문항 중요도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를 분석하여 강의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K대학 학 생․교수를 대상으로 기존 강의평가 문항별 의견과 강의평가 문제점 및 개선의견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행 하였다. 학생과 교수 간의 인식비교를 위해 설문에 응답한 학생 1,124명, 교수 469명의 응답 결과 차이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비모수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 문항별 분석결과, 강의평가의목적(우선순위), 강의평가의 필요성과 활용, 강의평가 문항 간소화의 적절성, 자율문항 추가의 적절성, 핵심역량 강의평가 문항 추가의 적절성에서는 교수와 학생 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나 서술형 문항 포함의 필요성에서는 교수와 학생간의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강의평가 문제점과 개선의견에서는 학생은 강의평가 결과 반영, 익명성, 평가 문항 등의 문제점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고, 교수는 강의평 가 결과에 대한 점수산정방식의 문제, 응답불신, 평가도구, 평가 결과와 좋은 수업불일치 등의 문제점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강의평가의 이해관계자인 학생․교수 집단 간 인식비교분석 결과는 강의평 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enhance a course and teaching evaluation by analyzing the gaps in existing evaluation results and in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questionnaires among relevant groups to determine the shared views of these groups regarding the cred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To this end, a survey was distributed to students and professors at K University in Seoul asking them to share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and to identify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existing evaluation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nonparametric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between the 1,124 students and 469 professo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showed perceptual gap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regarding the purpose (priority), necessity, and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s, as well as the adequacy of the simplified evaluations, the effectiveness of adding voluntary ques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adding questions about core competency; meanwhile, the survey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in perceptions regarding the necessity of including write-out questionnaires. Second, regarding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existing evaluations, the students pointed out the need to address issues with evaluation results, anonymity, and evaluation questionnaires while the professors identified problems with calculating evaluation scores, distrust of responses, evaluation tools, and contradictions between evaluation results and actual teach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the evaluation stakeholders—ha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서부지역 마한계 분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金承玉(Kim, Seungog)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1 No.-

        이 글의 목적은 마한계 묘제의 분포와 형식분류, 시공간적 발전과정을 추적하는데 있다. 먼저 이 글에서는 마한계 분묘를 분구묘와 봉토묘 전통으로 대별하였다. 분구묘 전통의 묘제는 다시 축조재료와 방법, 분포 범위에 따라 盛土墳丘墓, 積石墳丘墓, 葺石墳丘墓로 나눌 수 있고, 봉토묘 전통의 묘제는 주구토광묘와 단순 토광묘로 나누어진다. 서해안 일대의 성토분구묘는 매장시설의 수와 축조방법에 따라 단장(성토)분구묘와 다장(성토)분구묘로 나눌 수 있는데, 단장분구묘는 다시 1기가 독립된 형태로 축조된 형식(Ia형)과 Ia형 분구묘 2기 이상이 주구를 공유하거나 연접하여 축조된 형식(Ib형)으로 나누어진다. 다장분구묘는 하나의 분구에 다수의 피장자를 안치하는 형식(IIa형)과 IIa형 분구묘의 주구를 메우고 분구를 확장하는 형식(IIb형)으로 분류된다. 이 글에서는 마한계 분묘의 전개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Ⅰ과 Ⅱ 단계에서는 형태와 매장원리, 유물에서 차이를 보이는 성토분구묘와 주구토광묘가 분포권을 달리하면서 발전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Ⅱ단계까지의 묘제는 단장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Ⅱ단계 후반부터 Ia형의 분구묘는 Ib형으로 변화하고, Ⅲ단계 이후로는 IIa형과 IIb형의 분구묘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다. 다장 전통의 즙석분구묘 또한 Ⅲ단계부터 출현한다. Ⅲ단계 이후 마한계 분묘의 해체과정은 지역적으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먼저 충청내륙권의 마한계 묘제는 Ⅲ단계 전후부터 백제의 토광묘와 석곽묘로 거의 완벽하게 대체된다. 이에 비해 성토분구묘권에서는 Ⅳ단계까지 마한계 전통의 묘제가 지속된다. 또한 Ⅳ단계 마한계 묘제는 금강 이북과 이남에서 차이를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금 강이 북지 역에서는경 기남부에서주구토광묘, 부장리에서 성토분구묘가 발견되지만 발견된 유물은 백제계 일색이다. 이에 비해 금강 이남의 성토분구묘에서는 마한계와 백제계 요소가 동시에 발견된다. 이러한 마한계 분묘의 발전과정은 백제의 남정이 경기와 충청지역부터 전북지역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또한 마한계 토착세력에 대한 백제 중앙정부의 지배형태를 추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Ⅳ단계에 들어서면 금강 이북의 마한계 세력에 대해서는 직접지배, 금강 이남의 일부 재지 세력에 대해서는 정치적 자율성을 어느 정도 용인해주는 간접지배의 형태를 띠었을 가능성이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type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Mahan–oriented tombs(馬韓系 墳墓). Mahan–oriented tombs can be largely divided according to two burial traditions; Bungumyo(mounded tomb with an encircling ditch) and Bongtomyo(封土墓). Bungumyo(墳丘墓) can be reclassified into Sungtobungumyo(盛土墳丘墓), Guksukbungumyo(積石墳丘墓), and Geupsukbungumyo(葺石墳丘墓),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used to build the tombs and the distribution area. Moreover, the Bongtomyo includes pit tombs with ditchs(周溝土壙墓) and simple pit tombs(單純土壙墓). The Sungtobungumyo in the 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can be subdivided into Bungumyo Type I, with a single burial chamber(單葬墳丘墓), and Bungumyo Type Ⅱ, with multiple burial chambers(多葬墳丘墓). Bungumyo Type Ⅰ is further divided into Type Ia, consisting of a single Bungumyo distributed independently, and Type Ib, consisting of more than two Bungumyo, which share a ditch or are closely located. Bungumyo Type Ⅱ is also subdivided into Type IIa, with multiple graves within a Bungumyo, and Type IIb, which are filled first Type IIa ditches and have enlarged tomb sizes. The development of Mahan–oriented tombs is divided into four phases. Phases Ⅰ and Ⅱ mainly consisted of Sungtobungumyo and pit tombs with ditches, which differed based on the burial form, technical aspects of construction, and artifacts discovered within. Almost all burials until Phase Ⅱ are characterized by Bungumyo Type Ⅰ. However, after the latter period of Phase Ⅱ, Type Ia Bungumyo gradually transformed to Type Ib. In addition, Types IIa and IIb Bungumyo emerged and became very popular after Phase Ⅲ. Geupsukbungumyo, with the burial tradition of multiple burial chambers, also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Phase Ⅲ. After Phase Ⅲ, the dissolution of Mahan tombs and the emergence of Baekje(百濟) tombs took place differently in the Korea's mid–western region. First, Mahan–oriented tombs in the Chungcheong inland area were almost completely replaced by pit tombs and stone lined Baekje tombs around Phase Ⅲ. Contrastingly, tombs in the Sungtobungumyo area continued the Mahan tradition until Phase Ⅳ. Further, pit tombs with ditches were found north of Geum river basin in the southern Kyeonggi province during Phase Ⅳ, and Sungtobungumyo was found at the Buchangri site, but the artifacts discovered here were all related to the Baekje. Notably, both Mahan and Baekje–oriented tombs coexisted in the Sungtobungumyo area, south of the Geum river basin. This transformation of the burial tradition strongly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Baekje forces to the south had occurred gradually from the Kye 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to the Chonbuk province. Additionally, it suggests the control forms of the Baekje's central government against Mahan's indigenous forces differed. For example, the Mahan's forces north of the Geum river basin wer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Baekje's administration, while Mahan's forces south of the Geum river basin were under the its indirect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