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입생 대상 교수와의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수미(Park, Su mee),박지회(Park, Ji Ho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K대학이 시행한 신입생 대상 교수와의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대학의 교수·학습성과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대학생 교수-학습과정 조사도구(NASEL)를 활용하여 학습 경험 변인과 교수·학습 성과 변인을 측정하고, K대학의 학사데이터를 연동하여 총 833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교수와의 상호작용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참여 여부가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과 및 대학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관련 상호작용과 그 외 상호작용, 대학 소속감에 대하여 1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진로관련 상호작용, 학과 및 대학 소속감이 다소 높았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자체는 직접적으로 학과 및 대학 소속감 변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상호작용변인군이 투입되었을 때 유의미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 내에서 만족스러운 진로상담과 같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신입생들의 학과 및 대학 소속감과 같은 정의적 성과가 간접적으로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호작용이 증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론적인 논의가 부족한 연구 환경에서 개별 대학에서 진행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with faculty for freshmen conducted by K University in terms of the university s teaching and learning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833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linking the academic information of K University after measuring the variables of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outcomes us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NASEL). Specifically,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teraction with faculty based on program particip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program participation affects the sense of belonging to departments and universitie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facult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eshmen perceived career-related interactions, other interactions, and sense of belonging at university at a little higher level compared to other grades. In addition, program participants had a little higher perception of career-related interaction,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 and university than non-participants. Second,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itself did not directly affected the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al and university variables, but it showe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when the interaction variable group was deploy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n be indirectly enhanced to the affective achievement and sense of belonging at departmental and university when interactions with faculty, such as satisfactory career counseling, are made within the program.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conducted at individual university in research environments where there is insufficient methodological discussion of whether programs can promote interaction.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에 대한 학생․교수 집단 간 인식 분석: K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김승옥(Kim Seung Ok),박수미(Park Su M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이 연구는 강의평가 결과 신뢰성 및 활용에 대한 구성원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기존 강의평가결과의 차이와 문항 중요도에 대한 집단 간 인식 차를 분석하여 강의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K대학 학 생․교수를 대상으로 기존 강의평가 문항별 의견과 강의평가 문제점 및 개선의견에 대한 인식조사를 시행 하였다. 학생과 교수 간의 인식비교를 위해 설문에 응답한 학생 1,124명, 교수 469명의 응답 결과 차이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비모수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 문항별 분석결과, 강의평가의목적(우선순위), 강의평가의 필요성과 활용, 강의평가 문항 간소화의 적절성, 자율문항 추가의 적절성, 핵심역량 강의평가 문항 추가의 적절성에서는 교수와 학생 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나 서술형 문항 포함의 필요성에서는 교수와 학생간의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강의평가 문제점과 개선의견에서는 학생은 강의평가 결과 반영, 익명성, 평가 문항 등의 문제점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고, 교수는 강의평 가 결과에 대한 점수산정방식의 문제, 응답불신, 평가도구, 평가 결과와 좋은 수업불일치 등의 문제점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강의평가의 이해관계자인 학생․교수 집단 간 인식비교분석 결과는 강의평 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enhance a course and teaching evaluation by analyzing the gaps in existing evaluation results and in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questionnaires among relevant groups to determine the shared views of these groups regarding the cred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 results. To this end, a survey was distributed to students and professors at K University in Seoul asking them to share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and to identify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existing evaluation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nonparametric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between the 1,124 students and 469 professo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s showed perceptual gap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regarding the purpose (priority), necessity, and utilization of the evaluations, as well as the adequacy of the simplified evaluations, the effectiveness of adding voluntary questions, and the effectiveness of adding questions about core competency; meanwhile, the survey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in perceptions regarding the necessity of including write-out questionnaires. Second, regarding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existing evaluations, the students pointed out the need to address issues with evaluation results, anonymity, and evaluation questionnaires while the professors identified problems with calculating evaluation scores, distrust of responses, evaluation tools, and contradictions between evaluation results and actual teach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the evaluation stakeholders—ha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s.

      • KCI등재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인증 지표 설계 연구

        오미자(Oh, MiJa),박수미(Park Su M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대학 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의 질 관리와 대학교육기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accreditation) 지표를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2회의 내부 검토, 1회의 내·외부 전문가 검토를 거쳐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 지표를 마련하였다. 최종 인증 지표는 5개 영역, 9개의 세부기준, 18개의 평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개 영역에는 프로그램 목표, 프로그램 구성,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평가 및 활용, 프로그램 성과 영역이 포함되었다. 본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지표 연구 결과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 혹은 교육기관에서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 표준안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제 운영을 위한 관련 부서 전담 부서 설치, 비교과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대학 내 정책 마련, 비교과 인증제 시행 전 워크숍 및 교육, 컨설팅 등의 필요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in order to manage the quality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ing in universities and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this end, this study prepared accreditation indicators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by conducting a literature study as well as two rounds of insider review and a round of review by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Final accreditation indicators of this study consist of five areas, nine detailed criteria, and 18 assessment questions. The five areas include program goals, program structure, program operation, program evaluation and use, and program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draft standard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in universitie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run extracurricular programs. It is also suggested that a body in charge of departments related to opera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be established; that a policy be prepared in universities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hat workshops, education and consulting are needed before implementing the accredit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